KR20110010299A - 신체 치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치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299A
KR20110010299A KR1020090067785A KR20090067785A KR20110010299A KR 20110010299 A KR20110010299 A KR 20110010299A KR 1020090067785 A KR1020090067785 A KR 1020090067785A KR 20090067785 A KR20090067785 A KR 20090067785A KR 20110010299 A KR20110010299 A KR 2011001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body size
user
measured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준
Original Assignee
장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준 filed Critical 장명준
Priority to KR102009006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299A/ko
Publication of KR2011001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신체치수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100)로서, 사용자신체형상을 가지는 외부피복부재로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력있는 섬유부재(112,114)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메쉬(mesh)형상을 형성하는 외부피복부재(110); 상기 가로 및 세로 섬유부재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거리인 교차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120);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준교차거리와,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한 후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교차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신체치수 측정이 가능하며, 특히 사용자로하여금 수치심을 일으키게 하는 신체부위의 치수측정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신체 치수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ody sh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치수 측정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치수계산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준신체평면정보 및 측정신체평면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치수정보생성부가 굴곡부위를 표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굴곡부위주변의 신체평면 및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6b 는 도 5의 경우가 발생하는 원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신체에 착용된 외부피복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신체치수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력성있는 외부피복부재 및 초음파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간편한 절차에 의해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복구매, 의복제조등의 경우 사용자의 부분별 혹은 전체 신체치수는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신체치수를 각 사용자마다 필요한 부위마다 줄자등을 이용하여 손으로 측정하여 이를 의류제조등에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첫째 손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뿐더러 둘째 신체부위에 따라 혹은 측정자의 성별에 따라 민감한 부위가 있기 때문에 피측정자의 수치심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신체부위에 따라 옷을 벗고 측정하기 어려운 부위도 있으며, 넷째 측정자마다 측정이 필요한 부위가 상이해서 다른 측정자는 다시 측정해야 하는 불필요함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중 특히 사용자의 수치심을 발현하거나 측정부위에 따라 옷을 벗고 측정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부위가 있는데 이는 정확도에 문제가 발생하여 신체치수를 정확히 활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옷을 벗고 측정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부분을 사용자의 수치심없이 측정가능한 신체치수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100)로서, 사용자신체형상을 가지는 외부피복부재로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력있는 섬유부재(112,114)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메쉬(mesh)형상을 형성하는 외부피복부재(110); 상기 가로 및 세로 섬유부재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거리인 교차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120);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 하여 생성된 기준교차거리와,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한 후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교차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상기 거리측정수단사이에 측정된 교차거리를 수직 및 수평성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성분사이의 위치관계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4개의 인접한 메쉬의 외곽에 위치하는 8개의 교차점인 외곽교차점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수단으로부터 상기 4개의 매쉬의 중앙의 교차점인 중앙교차점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수단까지의 측정거리인 대각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교차점이 상기 매쉬가 형성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인 돌출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상기 돌출거리가 미리정해진 임계값이상인 경우 상기 측정된 신체치수를 미리정해진 만큼 증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상기 돌출거리가 상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미리정해진 횟수만큼 연속해서 발생할 경우 상기 측정된 신체치수를 미리정해진 만큼 증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측정수단(120)은 초음파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 치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섬유부재(112)상에 설치된 거리측정수단사이에서 측정된 교차거리의 합에 기초하여 가로방향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세로섬유부재(114)상에 설치된 거리측정수단사이에서 측정된 교차거리의 합에 기초하여 세로방향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치수 측정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치수 측정 장치(100)는 외부피복부재(110), 거리측정수단(120) 및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을 포함한다.
외부피복부재(110)는 사용자신체 형상을 가지는 피복부재로서, 탄성력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섬유부재(112) 및 세로섬유부재(114)를 포함한다. 가로 및 세로 섬유부재(112,114)는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메쉬(mesh)형상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신체치수를 측정할 당시에 외부피복부재(110)를 착용한다. 섬유부재(112,114)가 탄성력있는 부재로 형성되는 이유는 본 발명이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변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거리측정수단(120)은 상기 가로 및 세로 섬유부재(112,114)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거리측정수단은 초음파거리측정센서, 광섬유거리측정센서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초음파거리측정센서가 사용된다.
거리측정수단(120)은 서로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인지 여부는 거리측정수단이 측정가능한 거리의 임계값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의 그림에서 거리측정수단 s11 의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은 s12,s21,s22 로 할당되도록 상기 측정거리의 임계값이 설정 혹은 선택된다.
각각의 거리측정수단(s11,s12,s21,s22)은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다른 거리측정수단과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첨자와 세로방향의 첨자를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거리측정수단을 식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측정된 거리가 어느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거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11s12는 s11과 s12 의 거리측정수단(초음파센서)사이에 측정된 거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는 신체치수측정수단(130)으로 전달된다. 도 1에서 dx,dy,dxy 는 각각 x 방향(가로방향),y 방향(세로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측정된 거리를 나타낸다. 거리측정수단(120)의 측정값은 신체치수측정수단(130)으로 전달된다. 전달수단은 통신케이블(132) 혹은 무선통신(블루투스, RF 통신)등으로도 가능하다.
신체치수측정수단(130)은 기준교차거리와 측정교차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기준교차거리라함은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거리를 의미하고,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한 후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거리를 측정교차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허벅지둘레의 치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기준교차거리는 사용자 착용전 허벅지위치에 대응하는 가로 섬유부재(112)의 모든 교차거리의 합(d1 = s11+s12+s13+s14+....)이고, 측정교차거리는 사용자 착용후 허벅지위치에 대응하는 동일한 가로섬유부재(112)의 모든 교차거리의 합(d1' = s11'+s12'+s13'+s14'+....)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허벅지둘레의 신체치수는 d1' 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성분끼리의 비교를 통해 특히 많이 변화된 부분은 신체의 굴곡이 존재하는 부분(예를 들면 무릎부분등)으로 추정할 수 있다.
측정된 교차거리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각 부위마다 상이하며, 보다 정확히 정의될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변형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치수계산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기준신체평면정보 및 측정신체평면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측정값수신부(310), 신체평면생성부(320), 치수계산부(330), 기준교차거리데이터베이스(340), 측정교차거리데이터베이스(350)을 포함한다.
측정값수신부(310)는 거리측정수단(120)으로부터 측정된 교차거리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장소는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전 측정된 교차거리일 경우는 기준교차거리 데이터베이스(340)이고,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후 측정된 교차거리일 경우는 측정교차거리 데이터베이스(350)이다. 기준교차거리인지 측정교차거리인지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신호(312)에 의해 결정된다.
신체평면생성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섬유부재위치정보(322), 기준교차거리(314) 및 측정교차거리(316)에 기초하여 기준신체평면정보(324) 및 측정신체평면정보(326)를 생성한다. 섬유부재위치정보(322)는 각각의 가로 및 세로섬유부재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며, 기준신체평면정보(324) 및 측정신체평면정보(326)는 각각 외부피복부재의 착용전과 착용후의 교차거리에 관한 정보 및 착용전과 착용후 각각의 섬유부재가 이동된 거리인 이동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의 s1 은 기준신체평면정보를 나타내며, s2 는 측정신체평면정보를 나타낸다. s1에서, 교차점 p1 내지 p6 는 s2에서 p1' 내지 p6' 로 이동되었으며, 또한 교차거리 d1 내지 d2 는 교차거리 d1' 내지 d2' 로 변화되었다. 즉 교차점의 절대적 및 상대적 위치가 사용자의 외부피복부재의 착용에 의해 변경되었다.
치수정보생성부(330)는 기준신체평면정보 및 측정신체평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측정하기를 원하는 치수정보(332)를 생성한다. 치수정보(332)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가능하며 다음은 그 일 예를 나타낸다.
(1)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치수정보는 사용자가 측정하기를 원하는 위치의 가로 혹은 세로의 측정교차거리의 합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허벅지둘레치수의 경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특정 섬유부재 예를 들면 132번 가로섬유부재의 교차거리의 합으로 표현된다.
(2) 상기 (1)의 방법에 보조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치수정보는 상기 가로 혹은 세로 측정교차거리의 합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측정교차거리중에서 미리정해진 임계값이상으로 기준교차거리와 차이가 나는 측정교차거리에 관한 정보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돌출부위가 있는 가슴둘레의 경우, 특정 가로섬유부재 예를 들면 43번 가로섬유부재의 측정교차거리의 합에 관한 정보와 함께 22번 및 42번 세로섬유부재의 측정교차거리가 동일한 세로섬유부재의 기준교차거리와 임계거리이상 차이가 났다는 취지의 정보를 함께 표현할 수 있다. 후자의 정보를 치수정보에 포함시키는 이유는 돌출부위 혹은 굴곡부위의 경우 섬유부재가 완벽하게 신체에 접촉 및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측정된 교차거리에 왜곡이 있을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지적하는 동시에 해당 부분이 돌출 및 굴곡부위가 있기 때문에 신체치수를 요구하는 사용자(예를 들면 의류제조업자)에게 특별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3) 대각방향의 치수인 경우(예를 들면 어깨부위) 대각방향에 존재하는 센서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치수정보를 생성할 수있다. 이 경우 서로 대각하는 센서의 반대편 교차거리(예를 들면 후술할 도 4에서 P1과 P9의 교차거리에 대해 P3와 P7의 교차거리)에 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치수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는 어깨부위처럼 착용에 의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표면의 왜곡이 심한 경우 반대편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부위에 대한 치수를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해 특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피복부재의 착용에 의해 간단한 절차로 사용자의 신체치수가 측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치심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뿐더 러 보다 정확한 신체치수 측정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 는 치수정보생성부가 굴곡부위를 표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굴곡부위주변의 신체평면 및 그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a 및 6b 은 도 5의 경우가 발생하는 원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신체에 착용된 외부피복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교차점 P1 내지 P9 는 4개의 메쉬 M1 내지 M4를 형성한다. 이중 교차점 P5 는 상기 4개의 메쉬의 정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교차점이며, 그 외의 교차점 P1,P2,P3,P4,P6,P7,P8,P9 는 상기 4개의 메쉬의 외곽에 존재하는 외곽교차점이다.
본 발명에서, 신체치수계산수단(130), 보다 상세하게는 치수정보생성부(330)는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교차거리를 수직 및 수평성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성분사이의 위치관계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4개의 인접한 메쉬의 외곽에 위치하는 8개의 교차점인 외곽교차점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수단으로부터 상기 4개의 매쉬의 중앙의 교차점인 중앙교차점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수단까지의 측정거리인 대각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교차점이 상기 매쉬가 형성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인 돌출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계산 방법은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 는 교차점 P4, P5, P6의 단면도이다. 사람의 몸은 3차원이기 때문에 사 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하였을 때 생성되는 도 4와 같은 교차점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는 서로 위치관계가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차점 P5 는 지면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어 있을 경우 P4과 P4 사이의 거리가 P4과 P5사이의 거리 및 P5와 P6사이의 거리의 합과 일치하지 않는다.
역으로, 만약 이 2개의 거리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교차점 P5 는 상부로 혹은 하부로 돌출 또는 만입되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관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된 신체치수에 관한 정보가 어느정도 오차를 가지는 것을 암시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거나 혹은 적어도 사용자에게 이러한 오차가 존재함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거리관계의 왜곡이 생겼을 경우 즉 돌출거리 h 가 발견되었을 경우 이를 치수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돌출부위의 존재를 알려준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거리를 이용하여 신체치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의류제조업자등에게 차별화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교차점 p4와 교차점 p6 사이의 평면거리는 d46으로 측정된다. 그러나 신치체수계산수단은 측정거리 d46이 교차점 P4와 P5사이의 거리인 d45 와 교차점 p4와 p6사이의 거리인 d56의 합과 일치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d46≠d45+d56).
그러면, 신체치수계산수단은 돌출거리 h를 계산한다.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d45,d46 및 d56을 세 개의 선분으로 하는 삼각형을 그린다(도 5). 다음으로, 삼각함수에 관한 법칙으로부터(코사인 제2법칙등) 교차점 P4의 경사각도 a1 및 교차점 p6의 경사각도 a2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삼각함수의 법칙으로부터 h = d45sin(a1) 혹은 h = d56sin(a2)로 계산된다. 돌출거리 h 는 치수정보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신체치수계산수단은 돌출거리가 미리정해진 임계값이상인 경우 측정된 신체치수를 미리정해진 만큼 감소시켜 출력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는 돌출거리가 임계값이상으로 큰 경우는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복부재가 연장된 거리 D2 와 실제 신체의 표면의 연장된 거리 D1 사이의 공간에 의한 높이차 B 의 존재를 의미하고, 이는 측정된 신체치수가 실제 신체치수보다 더 작기 때문에(D2<D1), 이를 보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변형된 실시예에서, 신체치수계산수단은 돌출거리가 상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미리정해진 횟수만큼 연속해서 발생할 경우 상기 측정된 신체치수를 미리정해진 만큼 증가시켜 출력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거리가 발생하는 횟수가 동일방향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경우는 돌출거리에 의한 신체치수의 측정왜곡이 반복하여 발생하였다는 의미이므로, 돌출거리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지 않더라도 반복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거리를 보정하기 위함이다(B1,B2,B3의 발생).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체치수측정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 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신체치수측정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함에 의해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신체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옷을 벗고 측정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신체부위이거나 신체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절차에서 발생가능한 사용자의 수치심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위의 위치에 관한 정보도 제공함으로써 의류제조업자들과 같이 정밀한 치수를 원하는 경우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위가 과다하게 크거나 과도하게 많은 경우, 이에 대한 보정을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신체치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치수가 자동으로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되기 때문에 특정 나이, 지역등의 신체치수의 통계화를 위한 목적에도 효율적 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100)로서,
    사용자신체형상을 가지는 외부피복부재로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력있는 섬유부재(112,114)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메쉬(mesh)형상을 형성하는 외부피복부재(110);
    상기 가로 및 세로 섬유부재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거리측정수단사이의 거리인 교차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120);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준교차거리와, 사용자가 외부피복부재를 착용한 후 측정된 상기 교차거리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교차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상기 거리측정수단사이에 측정된 교차거리를 수직 및 수평성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성분사이의 위치관계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4개의 인접한 메쉬의 외 곽에 위치하는 8개의 교차점인 외곽교차점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수단으로부터 상기 4개의 매쉬의 중앙의 교차점인 중앙교차점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수단까지의 측정거리인 대각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교차점이 상기 매쉬가 형성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인 돌출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상기 돌출거리가 미리정해진 임계값이상인 경우 상기 측정된 신체치수를 미리정해진 만큼 증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상기 돌출거리가 상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미리정해진 횟수만큼 연속해서 발생할 경우 상기 측정된 신체치수를 미리정해진 만큼 증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수단(120)은 초음파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 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섬유부재(112)상에 설치된 거리측정수단사이에서 측정된 교차거리의 합에 기초하 여 가로방향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치수계산수단(130)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세로섬유부재(114)상에 설치된 거리측정수단사이에서 측정된 교차거리의 합에 기초하여 세로방향의 신체치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090067785A 2009-07-24 2009-07-24 신체 치수 측정 장치 KR20110010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85A KR20110010299A (ko) 2009-07-24 2009-07-24 신체 치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85A KR20110010299A (ko) 2009-07-24 2009-07-24 신체 치수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99A true KR20110010299A (ko) 2011-02-01

Family

ID=4377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785A KR20110010299A (ko) 2009-07-24 2009-07-24 신체 치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29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734A (ko) * 2017-08-30 2019-03-08 지동철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KR101960909B1 (ko) * 2018-08-29 2019-03-21 유성민 치수 조절 마네킹 시스템
KR20190140131A (ko) 2018-06-08 2019-12-19 주식회사 블랙야크 신체 치수 계측 장치
KR20210004824A (ko) 2019-07-05 202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체 치수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07459A (ko) * 2019-07-11 2021-0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 크기와 모양 측정 장치
KR20230161226A (ko) 2022-05-18 2023-11-27 박정우 3차원 신체 측정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734A (ko) * 2017-08-30 2019-03-08 지동철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KR20190140131A (ko) 2018-06-08 2019-12-19 주식회사 블랙야크 신체 치수 계측 장치
KR101960909B1 (ko) * 2018-08-29 2019-03-21 유성민 치수 조절 마네킹 시스템
KR20210004824A (ko) 2019-07-05 202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체 치수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07459A (ko) * 2019-07-11 2021-0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 크기와 모양 측정 장치
KR20230161226A (ko) 2022-05-18 2023-11-27 박정우 3차원 신체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299A (ko) 신체 치수 측정 장치
Jin et al. Wish: Towards a wireless shape-aware world using passive rfids
CN105658167B (zh) 用来对用于手术导航的坐标转换进行确定的计算机实现技术
FI119483B (fi) Menetelmä, järjestelmä ja tietokoneohjelmatuote mittauslaitteen paikantamiseksi ja suurten kappaleiden mittaamiseksi
US10834528B2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N103782188A (zh) 位置推断装置、位置推断方法、程序及集成电路
CN103328922B (zh) 用于光学形状感测系统中的发起点识别的参考标记
SE543699C2 (en) System for protecting an operator of a power tool
CN109323659B (zh) 一种机载合成孔径雷达基线长度测量方法及装置
CN101405616A (zh) 用于测距的装置,以及用于这种装置的运行方法
US20090013771A1 (en) Textur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6535612A5 (ko)
Pirozzi Multi-point force sensor based on crossed optical fibers
JP2016535612A (ja) 光形状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実効長増加方法
CN102564448B (zh) 具有鞋装传感器和发射机的计步器
EP224923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ordinates of a mouse- or electronic stylus pen-type manipulator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03505218A (zh) 内镜下病灶组织尺寸的测量方法
KR102114744B1 (ko) 디지털 선로 게이지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측정 및 관리 방법
Man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tests of a LED‐based two‐dimensional wireless crack propagation sensor
JPWO2018104994A1 (ja) 測長システム、測長器及び測長方法
US20180010925A1 (en) Position Tracking System Employing External Magnetic Field
CN203704828U (zh) 具有通信微通道的rfid标尺刻度装置
KR102092446B1 (ko) 환자 맞춤형 도구의 좌표 등록을 위한 수술 항법 시스템
JP2015210109A (ja) 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測定プログラム
CN208063207U (zh) 电子设备和数据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