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852B1 -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852B1
KR102310852B1 KR1020210062333A KR20210062333A KR102310852B1 KR 102310852 B1 KR102310852 B1 KR 102310852B1 KR 1020210062333 A KR1020210062333 A KR 1020210062333A KR 20210062333 A KR20210062333 A KR 20210062333A KR 102310852 B1 KR102310852 B1 KR 10231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user
information
intensity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피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피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피어
Priority to KR102021006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pos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신체에 부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신체의 흉추에 부착한 후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 및 걸음수를 파악하고, 사용자 자세를 교정하거나 맞춤 운동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Algorithm for Providing Customized Exercise by using Posture Correction and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많은 현대인들이 다양한 직업군에 속해 있으며 앉거나 서서 업무를 보거나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러나, 평소 올바르지 않은 자세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잘못된 자세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경우 신체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별다른 신체적 활동을 요하지 않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 있다.
야외에 배치된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 운동 기구가 있는 장소로 이동하고 이후 배치된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나 정부에서도 시민들의 건강을 위하여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운동 기구들이 설치된 시민 공원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운동 기구는 사용이 비교적 간단한 기구이나 잘못된 사용의 경우에는 신체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운동의 경력 등에 따라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다.
운동은 강도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으로 계속 수행하는 점 역시 중요하므로 트레이너 등 전문가들의 조언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다양한 운동 지원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자신의 몸 상태에 맞지 않는 운동을 함으로써 오히려 운동의 역효과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신체에 부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신체의 흉추에 부착한 후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 및 걸음수를 파악하고, 사용자 자세를 교정하거나 맞춤 운동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평소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자세 확인부;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스텝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저강도 운동 정보를 생성하는 저강도 운동 확인부; 상기 평소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 운동 제공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맞춤 운동 정보에 대한 운동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된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상기 저강도 운동 정보, 상기 운동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운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상기 저강도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동일 증상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동일 증상 사용자에게 상기 추천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추천 운동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체에 부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신체의 흉추에 부착한 후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 및 걸음수를 파악하고, 사용자 자세를 교정하거나 맞춤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에 따른 흉추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와 걸음 수를 도식화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누적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설명 조사 양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 운동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피드백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운동 제공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110), 단말기(120), 자세 교정 장치(130), 재활 병의원 장치(140)를 포함한다. 맞춤운동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자세 측정을 위해 웨어러블 장치(110)를 신체의 일측에 부착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단말기(120)와 근거리 통신(예컨대, BLE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110) 및 단말기(120)를 소지한 상태로 이동하면,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평소 자세 데이터를 산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평소 자세를 기반으로 저강도 운동(걸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기 위해 모션센서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기 위해 의료용 실리콘을 이용하거나 어깨 밴드 주머니에 삽입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사용자의 정확한 자세 교정을 위하여 흉추 부위에 고정되도록 피부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120)는 웨어러블 장치(110)와 근거리 통신(예컨대, 블루투스)을 수행하여 자동 페어링한다. 단말기(120)는 자세 교정 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각도(예컨대, 15˚, 30˚, 45˚, 60˚)를 도식화하여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 중에 있을 때 사용자의 자세 정보와 일일 걸음 수 누적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소정 기간(예를 들어, 30일) 동안의 사용자의 자세 정보와 일일 걸음 수 데이터 누적시 사용자별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사분면에 따른 자세교정 및 맞춤형 운동정보 또는 재활운동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단말기(120)에 설치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지시된 내용에 따라 자세교정 및 맞춤형 운동 또는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흉추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의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평소 자세 데이터를 산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스텝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걸음 수 데이터 산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평소 자세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한 스텝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저강도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평소 자세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를 가공하여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평소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기 설정된 기간(예컨대, 15일치, 30일치) 동안 누적된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갱신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회원 가입시 입력된 사용자의 키, 몸무게 등 신체정보를 입력받는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입력된 신체정보(사용자별 키, 몸무게 등)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신체정보(키, 몸무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BMI) 및 일일 권장 걸음 수를 산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체질량 지수(BMI) 및 사용자별 일일 권장 걸음 수에 기초하여 올바른 자세 기준(예컨대, 80%)과 일일 권장 걸음 수를 설정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올바른 자세 기준(예컨대, 80%)과 일일 권장 걸음 수 정보를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설정된 올바른 자세 기준(예컨대, 80%)과 일일 권장 걸음 수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별 자세정보와 걸음 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일자별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걸음 수 그래프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생성된 일자별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걸음 수 그래프 정보가 기 설정된 기간(예컨대, 30일)동안 누적되면, 사용자별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결과 통증이 없다고 답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권장 걸음 수 달성율 값의 평균을 4분면에 x,y축 좌표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분면에 x,y축 좌표로 표시된 해당 사분면에 해당하는 운동, 스트레칭 피드백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설문조사 결과 통증이 있다고 답한 사용자에게 지속적 통증이 있을 시에는 권역별 제휴병원 내방을 권유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제공된 재활의학과 병원을 사용자가 내방하여 진단시 진단 보조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평소 자세 정보 및 운동 데이터를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진단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진단 후 재활 단계에서 사용자의 자세 정보와 일일 걸음 수 데이터 등이 포함된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분면에 따른 재활운동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회원 가입시 사용자의 키, 몸무게 등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등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체질량 지수(BMI) 및 사용자별 일일 권장 걸음 수를 산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신체정보(키, 몸무게 등)를 기반으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체질량 지수(BMI)를 산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신체정보(키, 몸무게 등)를 기반으로 [수학식 2]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일일 권장 걸음 수를 산출한다.
Figure 112021055748400-pat00001
Figure 112021055748400-pat00002
자세 교정 장치(130)는 올바른 자세 기준(예컨대, 80%)과 일일 권장 걸음 수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올바른 자세 기준(예컨대, 80%)과 일일 권장 걸음 수 정보에 따라 사용자별 자세 정보와 걸음 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일자별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걸음 수 그래프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일자별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걸음 수 그래프 정보가 기 설정된 기간(예컨대, 30일)동안 누적된 사용자별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결과 통증이 없다고 답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권장 걸음 수 달성율 값의 평균을 4분면에 x,y축 좌표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설문조사에서 통증이 없다고 답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예방, 교정 단계를 수행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x,y축 좌표로 표시된 해당 사분면에 해당하는 운동, 스트레칭 피드백 정보를 단말기(120)의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재활 병의원 장치(140)는 자세 교정 장치(130)로부터 통증이 있는 사용자의 평소 자세 및 운동 데이터를 전송받아 진단 보조지표를 생성한다. 재활 병의원 장치(140)는 진단된 결과 정보를 자세 교정 장치(130)로 피드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재활 단계에서 사용자의 자세 정보 및 걸음 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분면에 따른 재활운동정보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자세 확인부(210), 저강도 운동 확인부(220), 맞춤 운동 제공부(230), 추천 운동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 교정 장치(13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자세 교정 장치(13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 확인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평소 자세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수치화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올바른 자세 비중(420) 상에 일별 사용자가 달성한 올바른 자세 비중을 출력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올바른 자세 비중(420) 상에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예컨대, 80%) 달성 여부를 출력하도록 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43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등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15˚~2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강도로 제1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30˚~44˚(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강도)로 제2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45˚~5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강도)로 제3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60˚이상(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3 강도보다 강한 제4강도)로 제4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43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목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15˚~2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강도로 제1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30˚~44˚(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강도)로 제2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45˚~5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강도)로 제3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60˚이상(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3 강도보다 강한 제4강도)로 제4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확인부(210)는 입력된 BMI 지수를 기반으로 목표 걸음수를 산정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한 스텝 카운터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목표 걸음수 대비 현재 걸음수를 도식화하여 단말기(120)에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 상에 수평선(41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자세 확인부(210)는 수평선(410) 상에 목표 걸음수(예컨대, 10000보) 달성 여부가 출력되도록 한다.
저강도 운동 확인부(220)는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한 스텝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저강도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평소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평소 자세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 자세 교정을 요청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일별, 주별, 월별로 누적하여 저장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 이외에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추가로 반영하여 맞춤 운동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피드백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430)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을 기반으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 또는 Bad로 표기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430)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이 기준치(예컨대, 20%) 이내여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예컨대, 80%)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으로 산정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430)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이 기준치(예컨대, 20%)를 초과하여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예컨대, 80%)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Bad로 산정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Goo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Goo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1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 달성율이 1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강도를 갖는 턱걸이, 힙업덕션, 랫풀다운, 체스트프레스를 포함하는 제1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Ba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Goo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2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 달성율이 2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강도를 갖는 컬업, 버드독, 사이드플랭크를 포함하는 제2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Ba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Ba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3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 달성율이 3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3 강도를 갖는 요추전만자세, 걷기, 맥켄지 신전운동을 포함하는 제3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Goo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Ba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4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맞춤 운동 제공부(230)는 사용자 달성율이 4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4 강도를 갖는 플랭크, 스쿼트, 팔굽혀펴기를 포함하는 제4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추천 운동 생성부(240)는 단말기(120)로부터 맞춤 운동 정보에 대한 운동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추천 운동 생성부(240)는 기 설정된 기간(예컨대, 15일치, 30일치) 동안 누적된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 운동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추천 운동 생성부(240)는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동일 증상 사용자를 추출한다. 추천 운동 생성부(240)는 동일 증상 사용자에게 추천 운동 정보를 전송한다.
추천 운동 생성부(240)는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되는 운동 피드백 정보(예컨대, 효과 정보, 만족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제2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제3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제4 코어 강화 운동 정보의 수행 여부를 확인한다. 추천 운동 생성부(240)는 운동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은 경우, 동일 증상 사용자들이 다른 4분면에 위치하는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중 만족도가 높은 코어 강화 운동만을 추천 운동 정보로 생성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센싱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20)와 자동 페어링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실리콘 밴드 형태로 신체에 부착 가능하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의료용 실리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부착하거나, 어깨 밴드 주머니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에 착장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흉추 부위에 고정되어 피부에 밀착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자세를 측정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지는 동작을 취하면, 사용자 기준 자세를 교정하도록 진동을 발생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깨 수평선과 척추 수직선이 교차하는 흉추 부위에 웨어러블 장치(110)를 부착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의료용 실리콘 패드(또는 접착층)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부착 가능하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옷을 다 입은 뒤에도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며, 옷을 입었을 때 티가 나지 않는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세에 따른 흉추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흉추 부위에 고정되어 피부에 밀착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센싱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20)에 설치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알람을 받을 각도를 15˚, 30˚, 45˚, 60˚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설정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와 걸음 수를 도식화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20)는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바타와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화면 상에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자세 정보와 일일 걸음 수 누적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올바른 자세 비중(420) 상에 자세 데이터를 나타낸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평선(410) 상에 걸음 데이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걸음 데이터는 거리 정보, 걸음 정보 및 칼로리 소모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10)와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일일 올바른 자세 기준(예컨대, 80%)과 일일 권장 걸음 수 기준(예컨대, 7,440보)을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누적 데이터 페이지에 각 일자별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걸음 수(운동) 그래프로 가공하여 저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누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별 단위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별 단위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일별 데이터 또는 월별 데이터를 제공하여 표시한다.
단말기(120)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 자체적으로 센싱한 스텝 카운터 정보(예컨대, 저강도 운동 데이터, 걸음 수 데이터)를 자세 교정 장치(13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센싱 정보, 스텝 카운터 정보(예컨대, 저강도 운동 데이터, 걸음 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자세 데이터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자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준 자세를 벗어나는 경우 자세 교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자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준 자세를 크게 벗어나는지 않는 경우 맞춤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자세 교정 데이터, 맞춤 운동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기 저장된 자세 교정 데이터, 맞춤 운동 정보, 걸음 수 데이터를 조회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와 목 상태를 도식화하여 단말기(120) 상에 올바른 자세 비중(42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가 구부러진 상태를 수치화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와 목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43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43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15˚~2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강도로 제1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30˚~44˚(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강도)로 제2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45˚~5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강도)로 제3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60˚이상(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3 강도보다 강한 제4강도)로 제4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43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15˚~2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강도로 제1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30˚~44˚(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강도)로 제2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45˚~59˚(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강도)로 제3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구부러진 목 상태가 60˚이상(임계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웨어러블 장치(110)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강도(또는 제3 강도보다 강한 제4강도)로 제4 주기만큼 발생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올바른 자세 비중(420) 상에 오늘 사용자가 달성한 올바른 자세 비중을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올바른 자세 비중(420) 상에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예컨대, 80%) 달성여부가 출력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한 스텝 카운터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목표 걸음수 대비 현재 걸음수를 도식화하여 단말기(120) 상에 수평선(41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수평선(410) 상에 목표 걸음수(예컨대, 10000보) 달성여부가 출력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 걸음수를 입력된 BMI 지수를 기반으로 산정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일별, 주별, 월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다가 단말기(120)의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피드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 또는 Bad로 표기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430)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을 기반으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 또는 Bad로 표기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430)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이 기준치(예컨대, 20%) 이내여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예컨대, 80%)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으로 산정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430)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이 기준치(예컨대, 20%) 를 초과하여,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예컨대, 80%)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Bad로 산정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Good 또는 Bad로 표기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누적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일별, 주별, 월별 누적 데이터를 조회하면, 도 6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일별, 주별, 월별 누적 데이터를 내부 저장하거나 단말기(120)에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주기적으로(15일, 30일 단위) 사용자 데이터에 따른 맞춤 운동 피드백을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맞춤 운동 피드백을 제공하기 전에 단말기(120)에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통증 유무, 걷기 외 시행하는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의 주기 및 강도를 확인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통증이 없다고 답한 사용자에 한해서 예방, 교정을 수행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평소 자세, 걸음 수 데이터를 기준으로 맞춤 운동 피드백을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자세 및 저강도 운동 평가를 기준으로 자세가 일일 평균 올바른 자세 80% 이상을 유지하고, 저강도 운동이 일일 권장 걸음 수 달성 여부를 파악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본인의 신체정보(신장, 체중)를 입력하면 자동 계산하여 BMI 지수로 비만여부와 개인별 맞춤 일일 권장 걸음 수를 산출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예컨대, 자세 교정 장치(130)는 신장 170cm, 체중 70kg의 사용자 - BMI 지수 : 24.2(과체중), 일일권장걸음 : 8,503보를 산출한다.
Figure 112021055748400-pat00003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설명 조사 양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일자별 올바른 자세 비율, 일일 걸음 수 그래프 정보가 30일치 누적시에는 사용자별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그래프가 30일치 누적되면 해당 단말기(120)로 자동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의 통증 유무, 걷기 외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 운동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4분면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공되는 맞춤 운동으로 공통적으로 코어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맞춤 운동 정보에 포함시킨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코어 운동의 강도를 따른 단계로 맞춤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점진적 코어 근육 운동으로 사용자 스스로 척추를 지탱하는 힘을 강화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Goo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Goo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1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달성율이 1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강도를 갖는 기 설정된 제1 코어 강화 운동 정보(턱걸이, 힙업덕션, 랫풀다운, 체스트프레스 등)를 해당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Ba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Goo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2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달성율이 2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강도를 갖는 기 설정된 제2 코어 강화 운동 정보(컬업, 버드독, 사이드플랭크 등)를 해당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Ba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Ba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3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달성율이 3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3 강도를 갖는 기 설정된 제3 코어 강화 운동 정보(요추전만자세, 걷기, 맥켄지 신전운동 등)를 해당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Goo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Ba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4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 달성율이 4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4 강도를 갖는 기 설정된 제4 코어 강화 운동 정보(플랭크, 스쿼트, 팔굽혀펴기 등)를 해당 단말기(120)로 출력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되는 운동 피드백 정보(예컨대, 효과 정보, 만족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제2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제3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제4 코어 강화 운동 정보의 수행 여부를 확인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운동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은 경우, 동일선상의 다른 4분면에 위치하는 코어 강화 운동 정보 중 만족도가 높은 코어 강화 운동을 전송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4분면 변화시에 제공되는 맞춤 운동을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도 9a,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피드백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운동을 시행하고 그 효과, 만족도 조사(1~5 scale)를 입력받는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만족도 결과를 받고, 3점 이하일 경우 다음 주기에 다른 운동을 추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4점 이상일 경우, 해당 운동의 추천 데이터를 동일 사분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맞춤 운동과 함께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효과를 본 다른 사람들의 추천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 유도한다. 예컨대,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70%가 자세교정에 효과를 본 운동입니다.”“사용자의 80%가 매우 만족한 운동입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운동을 추천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맞춤 운동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평소 자세와 저강도 운동 데이터가 변화하고, 사용자의 코어근육 강화 및 올바른 자세 습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통증이 있다고 답한 사용자(진단, 치료 단계)를 선별한 후 제휴된 재활 병의원 장치(140)로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통증이 있다고 답한 사용자에게 지속적 통증 발생한 경우, 권역별 제휴병원 내방을 권유한다.
재활 병의원에 내방하여 진단 시, 자세 교정 장치(130)는 사용자의 평소 자세 및 운동 데이터를 진단 보조지표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통증이 사라지고 나면, 다시 처음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서 자세 교정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에 따른 사분면 맞춤 운동 정보를 수신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추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주기적으로 사분면에 좌표 표시하여 해당 맞춤 운동 반복 제공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해당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지속적 관리 및 피드백을 주어 사용자 스스로 올바른 자세 습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설문 조사 정보(통증 여부, 걷기 이외의 운동 여부, 운동 주기, 운동 강도)를 획득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 설문 조사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피드백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설문 조사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을 갖고 있는 사용자를 선별한 후 해당 사용자를 재활 병의원 장치(140)로 연결해준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통증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기(120)로 재활 병의원 장치(140)에 대한 내방 권유 메시지를 전송한다.
자세 교정 장치(130)는 통증을 갖고 있는 사용자의 통증이 사라지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 설문 조사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피드백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웨어러블 장치
120: 단말기
130: 자세 교정 장치
140: 재활 병의원 장치
210: 자세 확인부
220: 저강도 운동 확인부
230: 맞춤 운동 제공부
240: 추천 운동 생성부

Claims (12)

  1.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획득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평소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자세 확인부;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스텝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저강도 운동 정보를 생성하는 저강도 운동 확인부;
    상기 평소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저강도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운동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 운동 제공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맞춤 운동 정보에 대한 운동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된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상기 저강도 운동 정보, 상기 운동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운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상기 저강도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동일 증상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동일 증상 사용자에게 상기 추천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추천 운동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모션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허리가 구부러진 상태, 구부정한 자세, 구부러진 목 상태를 도식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 상에 올바른 자세 비중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상기 올바른 자세 비중 상에 일별 사용자가 달성한 올바른 자세 비중을 출력하고, 상기 올바른 자세 비중 상에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달성 여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사용자의 상기 허리가 구부러진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상기 사용자가 등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15˚~29˚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강도로 제1 주기만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30˚~44˚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강도로 제2 주기만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45˚~59˚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강도로 제3 주기만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허리 상태가 60˚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제3 강도보다 강한 제4강도로 제4 주기만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목 상태가 기 설정된 제2 임계 각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목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목 상태가 15˚~29˚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강도로 제1 주기만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목 상태가 30˚~44˚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강도로 제2 주기만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목 상태가 45˚~59˚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제2 강도보다 강한 제3강도로 제3 주기만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구부러진 목 상태가 60˚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기 설정된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이 제3 강도보다 강한 제4강도로 제4 주기만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확인부는,
    입력된 BMI 지수를 기반으로 목표 걸음수를 산정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스텝 카운터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목표 걸음수 대비 현재 걸음수를 도식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자세 교정 애플리케이션 상에 수평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선 상에 목표 걸음수 달성 여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운동 제공부는
    상기 평소 자세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 자세 교정을 요청하는 상기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며,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일별, 주별, 월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며, 상기 자세 교정 정보와 상기 저강도 운동 정보 이외에 상기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 상기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맞춤 운동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단말기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운동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을 기반으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 또는 Bad로 표기하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이 기준치 이하여서,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Good으로 산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전체 시간 대비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시간의 비중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목표한 올바른 자세 비중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를 Bad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운동 제공부는,
    목표한 상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Good이고,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Goo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1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하며, 상기 사용자 달성율이 1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강도를 갖는 턱걸이, 힙업덕션, 랫풀다운, 체스트프레스를 포함하는 제1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며,
    목표한 상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Bad이고, 상기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Goo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2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하며, 상기 사용자 달성율이 2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강도를 갖는 컬업, 버드독, 사이드플랭크를 포함하는 제2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며,
    목표한 상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Bad이고, 상기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Ba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3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하며, 상기 사용자 달성율이 3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3 강도를 갖는 요추전만자세, 걷기, 맥켄지 신전운동을 포함하는 제3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며,
    목표한 상기 올바른 자세 비중의 달성 여부가 Good이고, 상기 목표 걸음수의 달성 여부가 Bad인 경우, 4분면을 기준으로 4사분면에 사용자 달성율을 표기하며, 상기 사용자 달성율이 4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제4 강도를 갖는 플랭크, 스쿼트, 팔굽혀펴기를 포함하는 제4 코어 강화 운동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12. 삭제
KR1020210062333A 2021-05-14 2021-05-14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KR10231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33A KR102310852B1 (ko) 2021-05-14 2021-05-14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33A KR102310852B1 (ko) 2021-05-14 2021-05-14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852B1 true KR102310852B1 (ko) 2021-10-12

Family

ID=7807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33A KR102310852B1 (ko) 2021-05-14 2021-05-14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21B1 (ko) 2022-11-01 2023-10-24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자세교정 운동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244B1 (ko) 2022-11-01 2023-12-06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자세측정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운동추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094A (ko) * 2016-11-18 2018-05-28 (주)유엔디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094A (ko) * 2016-11-18 2018-05-28 (주)유엔디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21B1 (ko) 2022-11-01 2023-10-24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자세교정 운동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244B1 (ko) 2022-11-01 2023-12-06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자세측정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운동추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432B2 (ja) 治療及び/又は運動の指導プロセス管理システム、治療及び/又は運動の指導プロセス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並びに方法
WO2023109352A1 (zh) 一种慢性呼吸衰竭病人远程康复训练指导系统
Devroey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ackpack load and position during standing and walking using biomechanical, physiological and subjective measures
KR102310852B1 (ko)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Danneels et al. A functional subdivision of hip, abdominal, and back muscles during asymmetric lifting
US9468382B2 (en) Ergonomic/physiotherapy program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Levinger et al. A real time biofeedback using Kinect and Wii to improve gait for post-total knee replacement rehabilitation: a case study report
US20190307394A1 (en) Biofeedback System with Body Mapping Clothing for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EP360057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lvic floor training
JP2015509751A (ja) 双方向型セッティ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神経運動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の方法および装置
JP6483180B2 (ja) 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提示システム、及び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提示プログラム
KR101899708B1 (ko) 저작근운동기구를 이용한 보행 균형 분석 시스템
Ha et al. Comparison of the electromyographic recruitment of the posterior oblique sling muscles during prone hip extension among three different shoulder positions
Bruyneel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runk position sense and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s in individuals after stroke
US20160331280A1 (en) A system intended for measuring, evaluating and/or giving feedback on the sitting posture of a user
Puranik et al. Wearable device for yogic breathing
US729111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skeletal condition
CN108852585B (zh) 一种异常姿态矫正评估训练系统
KR102223908B1 (ko) 비대면 실시간 건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KR20200055222A (ko)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KR102271565B1 (ko) 자세교정 및 운동정보 제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5337008A (zh) 人体肌骨健康分析方法和系统、运动指导方法和系统及存储介质
CN110136799B (zh) 一种低强度阻抗运动的评价指导方法和装置
CN106859923A (zh) 一种金属三d打印自平衡智能下肢康复穿戴装备
de Aquino Nava et al. The trunk muscles behavior in women with low back pain in the test of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tru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