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702A - 차량용 통신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702A
KR20190059702A KR1020170157573A KR20170157573A KR20190059702A KR 20190059702 A KR20190059702 A KR 20190059702A KR 1020170157573 A KR1020170157573 A KR 1020170157573A KR 20170157573 A KR20170157573 A KR 20170157573A KR 20190059702 A KR20190059702 A KR 2019005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inner housing
vehicle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110B1 (ko
Inventor
김운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운반 및 조립과정에서 쉘 단자와 그라운드 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된 잭 커넥터와, 보드에 실장되는 웨이퍼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잭 커넥터는, 제1 외부 하우징과,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는 쉘 단자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퍼 커넥터는, 제2 외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이 삽입되는 제2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 그라운드 핀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 핀의 선단에는 벤딩된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쉘 단자의 측면에 접촉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통신 커넥터{COMMUNICATION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커넥터의 운반 및 조립과정에서 쉘 단자와 그라운드 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제어기에는 고장 진단 상세 정보, 소모품 관리, 운행 정보, 주행 패턴 등의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으며, 이러한 차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량 정보 표시장치가 필요하다.
차량 정보 표시장치로는, OBD(On Board Diagnostics) 단자를 이용하는 차량 진단 스캐너, 블루투스 동글(차량 제어기에 블루투스 기능 구현) 및 블루투스 지원 휴대용 스캐너 등이 있다.
차량 정보 표시장치에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기능(블루투스, Wi-Fi, WiBro)을 추가할 경우 차량을 무선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느린 속도, 보안 취약성, 타 기기와의 간섭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와 같이 용량이 크고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제어기 내에 임베디드 웹 서버 및 이더넷 포트를 장착하여 차량 제어기의 각종 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함으로써 차량 진단, 관리, 정비 등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더넷을 이용한 차량용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한편, 차량용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Wire To Board(W TO B) 타입 커넥터로서, 보드에 실장되는 웨이퍼 커넥터와,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되는 잭 커넥터로 구성된다(도 5 참조).
웨이퍼 커넥터(10)는, 잭 커넥터(20)가 수용되는 하우징(12)과, 신호 전달을 위한 단자 핀(미도시)과,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핀(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잭 커넥터(20)는 웨이퍼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삽입되는 하우징(22)과, 단자 핀(미도시) 및 그라운드 핀(14)에 접촉되는 쉘 단자(24)로 구성된다. 이때, 쉘 단자(24)의 측면에는 그라운드 핀(14)과의 접촉을 위한 접점부(26)가 돌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웨이퍼 커넥터(10)는 쉘 단자(24)가 별도로 납품되어 하우징(22)에 조립되는 구조로서, 쉘 단자(24)를 운반하거나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돌출된 접점부(26)가 변형될 우려가 있었으며, 접점부(26)의 변형으로 인해 접촉 불량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00003호(2015.03.0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의 운반 및 조립과정에서 쉘 단자와 그라운드 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통신 커넥터는,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된 잭 커넥터와, 보드에 실장되는 웨이퍼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잭 커넥터는, 제1 외부 하우징과,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는 쉘 단자로 구성된다.
상기 웨이퍼 커넥터는, 제2 외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이 삽입되는 제2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 그라운드 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 핀의 선단에는 벤딩된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쉘 단자의 측면에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쉘 단자와 그라운드 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부가 그라운드 핀의 선단에 형성되고, 접점부가 형성된 그라운드 핀이 웨이퍼 커넥터에 조립된 상태로 납품되므로, 커넥터의 운반 및 조립과정에서 상술한 접점부의 변형 및 그로 인한 접촉 불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 중 잭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 중 웨이퍼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 중 웨이퍼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는 Wire To Board(W TO B) 타입의 커넥터로서, 와이어(미도시)의 선단에 설치되는 잭 커넥터(100)와, 보드(미도시)에 실장되는 웨이퍼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잭 커넥터(100)는 커넥터(100,200)의 체결 시 웨이퍼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이다. 또한, 웨이퍼 커넥터(200)는 커넥터(100,200)의 체결 시 잭 커넥터(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암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잭 커넥터(100)와 웨이퍼 커넥터(2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잭 커넥터(10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10,120)과, 제1 커넥터 하우징(110,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쉘 단자(130)로 구성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10,120)은, 잭 커넥터(100)의 외형을 담당하는 제1 외부 하우징(110)과, 제1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내부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외부 하우징(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제1 외부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커넥터(100,200)의 체결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112)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112) 사이에는 커넥터(100,200)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한 레버(114)가 마련된다. 이때, 레버(114)는 일단을 누를 경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제1 내부 하우징(120)은 제1 외부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부 하우징(120)은 제1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제1 외부 하우징(110)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에는 후술할 단자 핀(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내부 하우징(120)의 양 측면에는 쉘 단자(130)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관통공(124)이 형성된다.
쉘 단자(130)는, 단자 핀(미도시)과 결합되는 소켓(미도시)이 내부에 설치된 몸체(132)와, 몸체(132)를 감싸는 쉘(134)로 이루어진다. 쉘(134)의 후단에는 와이어(미도시)가 고정되는 압착부(136)가 형성된다.
웨이퍼 커넥터(20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10,22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10,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 핀(미도시) 및 그라운드 핀(230)으로 구성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10,220)은, 웨이퍼 커넥터(200)의 외형을 담당하는 제2 외부 하우징(210)과, 제2 외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내부 하우징(220)으로 이루어진다.
제2 외부 하우징(2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제2 외부 하우징(210)에는 커넥터(100,200)의 체결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212)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212) 사이에는 커넥터(100,200)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한 걸림돌기(214)가 형성된다.
제2 내부 하우징(220)은 제2 외부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외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제2 외부 하우징(210)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 내부 하우징(220)의 양 측벽에는 그라운드 핀(230)의 접점부(232)가 노출되는 관통공(222)이 형성된다.
단자 핀(미도시)은 커넥터(100,200)의 체결 시 쉘 단자(130)에 삽입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이다. 이러한 단자 핀(미도시)는 잭 커넥터(100)의 삽입공(122)과 대응되는 위치, 즉 제2 내부 하우징(220)의 중앙에 설치된다.
그라운드 핀(230)은 커넥터(100,200)의 체결 시 쉘 단자(130)의 측면에 접촉되어 접지 역할을 하는 단자이다. 그라운드 핀(230)은 제2 내부 하우징(220)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라운드 핀(230)의 선단에는 접점부(232)가 벤딩된다. 접점부(232)는 제2 내부 하우징(220)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222)을 통해 노출되어, 커넥터(100,200)의 체결 시 쉘 단자(130)의 측면에 접촉된다.
상술한 접점부(232)는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벤딩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접점부(232)는 마름모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처럼, 접점부(232)를 마름모 형상으로 벤딩할 경우 굴절된 측면이 관통공(222)을 통해 돌출되어 쉘 단자(13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한 가지 형태의 그라운드 핀(230)으로 제2 내부 하우징(220)의 좌측 및 우측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커넥터(400) 다수의 쉘 단자(330)가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페어(Pair) 증가를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웨이퍼 커넥터(400)의 제2 커넥터 하우징(410,42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제2 외부 하우징(410)과 제2 내부 하우징(420)은 동일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 내부 하우징(420)의 내부 공간은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격벽(440)을 통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격벽(44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쉘 단자(330)가 각각 체결된다.
제2 내부 하우징(42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벽(430) 및 격벽(440)에는 그라운드 핀(450)이 설치된다. 즉, 그라운드 핀(450)은 쉘 단자(33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쉘 단자(330)의 측면에 접촉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잭 커넥터 110: 제1 외부 하우징
120: 제1 내부 하우징 130: 쉘 단자
200: 웨이퍼 커넥터 210: 제2 외부 하우징
220: 제2 내부 하우징 230: 그라운드 핀
232: 접점부

Claims (3)

  1.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된 잭 커넥터와, 보드에 실장되는 웨이퍼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잭 커넥터는, 제1 외부 하우징과,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는 쉘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웨이퍼 커넥터는, 제2 외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이 삽입되는 제2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 그라운드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핀의 선단에는 벤딩된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쉘 단자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탄성을 갖도록 마름모 형상으로 벤딩된 것을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일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되 그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측벽 및 상기 격벽마다 상기 그라운드 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커넥터.
KR1020170157573A 2017-11-23 2017-11-23 차량용 통신 커넥터 KR10249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573A KR102496110B1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통신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573A KR102496110B1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통신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702A true KR20190059702A (ko) 2019-05-31
KR102496110B1 KR102496110B1 (ko) 2023-02-06

Family

ID=6665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573A KR102496110B1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통신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126A (ja) * 2000-11-28 2002-06-07 Jst Mfg Co Ltd モジュラジャック
KR101500003B1 (ko) 2009-10-08 201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더넷을 이용한 차량용 통신 시스템
JP2016100156A (ja) * 2014-11-20 2016-05-30 山一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KR20160126875A (ko) * 2015-04-24 2016-11-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126A (ja) * 2000-11-28 2002-06-07 Jst Mfg Co Ltd モジュラジャック
KR101500003B1 (ko) 2009-10-08 201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더넷을 이용한 차량용 통신 시스템
JP2016100156A (ja) * 2014-11-20 2016-05-30 山一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KR20160126875A (ko) * 2015-04-24 2016-11-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110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261B2 (en) Port connector with capability of dual mating orientation
US8157573B2 (en) Connector
US20130225010A1 (en) Usb connector
KR200485712Y1 (ko) 복합형 연결 소켓
KR2012010554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201904477U (zh) 电连接器组件
US650310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JP2011243332A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US20190190197A1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US6056560A (en) High density plug connector unit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CN102751626B (zh) 连接器部件
KR20160123214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170069996A1 (en) Connector
US8177586B2 (en) Connector system
KR100976325B1 (ko)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KR102496110B1 (ko) 차량용 통신 커넥터
US20050048847A1 (en) Electrical power jack
JP4605591B2 (ja) 電気コネクタ
CN106058577B (zh) 连接器组件
US6676423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electrostatic discharge upon insertion of a mating connector
TW201433020A (zh) 連接器
US9240647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connectable to the same
WO2018078957A1 (ja) コネクタ
US20010002342A1 (en) Input / output connector for a mobile electr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