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609A -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609A
KR20190059609A KR1020170157384A KR20170157384A KR20190059609A KR 20190059609 A KR20190059609 A KR 20190059609A KR 1020170157384 A KR1020170157384 A KR 1020170157384A KR 20170157384 A KR20170157384 A KR 20170157384A KR 20190059609 A KR20190059609 A KR 20190059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solution
acid gel
crosslinking agent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153B1 (ko
Inventor
장지욱
고현주
김혁
안효석
조성연
홍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Priority to KR102017015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3Two or more independent types of crosslinking for one or more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HYALURONIC ACID GEL THROUGH DOUBLE-CROSSLINK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 성장 및 미용에 대한 관심 고조로 안면미용 시장, 특히, 필러 시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27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히알루론산 필러는 높은 안전성과 낮은 부작용으로 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히알루론산 필러는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히알루론산 겔은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히알루론산은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으나, 낮은 물성과 짧은 체내 분해 기간에 따른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교제를 이용한 가교가 필요하다. 그러나, 높은 함량의 가교제는 히알루론산 겔의 물리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변형시키게 되고, 체내 이식되었을 때 면역 세포 등을 공격하여 염증, 육아종 형성 등 부작용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아지게 되므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 겔은 형태에 따라, 단상성(monophasic) 및 이상성(biphasic)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이라 함은 부드러운 졸 형태의 겔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 및 낮은 탄성을 가지는바, 필러용 조성물로 피부에 적용시, 부드러운 볼륨감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이라 함은 단단한 입자 형태의 겔과 부드러운 졸 형태의 겔의 혼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 및 낮은 점성을 가지는바, 필러용 조성물로 피부에 적용시, 탄탄한 볼륨감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중 가교를 통해 향상된 물성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겔을 제조하고자, (a)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a)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 농도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농도는 12 (w/v)% 내지 70 (w/v)%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제1 가교제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제2 가교제는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및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제1 가교제는 상기 (b) 단계에서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제2 가교제는 상기 (c) 단계에서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1차 가교는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2차 가교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 시간 내지 3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탄성변형률이 1 %·KPa- 1내지 20 %·KP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겔을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손실변형률이 10 % 내지45 %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수직 상승 속도를 0.1 mm/초로 제어한 레오미터를 통해 측정된 축 방향에 대한 점착력(tackiness)이 0.5 N 내지 1.2N일 수 있다.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제1 가교제 및 제2 가교제의 조합에 의하여 가교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은 (a)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종래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 및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탄성 특성 및 점탄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바, 이를 포함하는 필러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에 자연스럽게 점착되어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의 장점을 접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의 이중 가교를 통해 히알루론산 겔을 제조한 경우, 우수한 탄성 특성 및 점탄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점착력을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 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라 함은 아미노산과 우론산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다당류의 하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은 분리, 합성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유산균, 특히, 스트렙토코커스속 균주로부터 유래된 것이 생체 적합성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렙토코커스속 균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제넥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에, 스트렙토코커스 주에피데미쿠르, 스트렙토코커스 이퀴 및 스트렙토코커스 이퀴시밀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겔(gel)”이라 함은 콜로이드 용액이 일정한 농도 이상으로 진해져서 튼튼한 그물조직이 형성되어 굳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단한 입자 형태의 겔과 부드러운 졸 형태의 겔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 내“히알루론산 겔(hyaluronic acid gel)”이라 함은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겔을 의미하는 것으로, 히알루론산 겔은 형태에 따라, 단상성(monophasic) 및 이상성(biphasic)으로 구분된다.
이때,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monophasic hyaluronic acid gel)”이라 함은, 부드러운 졸 형태의 겔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 및 낮은 탄성을 가진다. 또한,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biphasic hyaluronic acid gel)”이라 함은 단단한 입자 형태의 겔과 부드러운 졸 형태의 겔의 혼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 및 낮은 점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 내 “탄성 특성(elasticity property)”이라 함은 유체에 힘을 가했을 때 탄성 변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G’) 측정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내 “점성 특성(viscocity property)”이라 함은 유체에 힘을 가했을 때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손실탄성률(loss modulus; G”) 측정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내 “점탄성 특성(viscoelasticity property)”이라 함은 탄성 및 점성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으로,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G’)에 대한 손실탄성률(loss modulus; G”)을 의미하는 손실계수(loss tangent; tanδ) 계산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변형률”이라 함은 히알루론산 반복단위(이당류)의 몰수 대비 결합된 가교제의 몰수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변형률은 NMR을 통해 측정되며, 이는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통한 필러용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단위로서, 하기 수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
이때, 변형률이 너무 낮은 경우, 히알루론산 겔의 물성 저하 및 짧은 체내 분해 기간으로 인해 필러용 조성물의 효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변형률이 너무 높은 경우, 히알루론산 겔의 물리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변형시키게 되고, 체내 이식되었을 때 면역 세포 등을 공격하여 염증, 육아종 형성 등 부작용을 발생시킬 확률을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내 “탄성변형률”이라 함은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G’)에 대한 변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탄성 특성 대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통한 필러용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단위로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
또한, 본 명세서 내 “손실변형률”이라 함은 손실계수(loss tangent; tanδ)에 대한 변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점탄성 특성 대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통한 필러용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단위로서,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5
.
본 명세서 내 “필러(filler)”라 함은 주름 또는 패인 흉터 등을 메우기 위해 피부세포로 직접 주입 또는 삽입하는 보완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피부의 굴곡 완화, 수분감 보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상기 필러는 피부 전 부위에 걸쳐서 시술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얼굴, 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a)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한다. 그 다음,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한다. 그 다음, 제1 용액 및 제2용액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한 후,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2차 가교시켜 히알루론산 겔을 제조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은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은 고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구체적으로, 12 (w/v)% 내지 70 (w/v)%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w/v)% 내지 40 (w/v)%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w/v)% 내지 25 (w/v)%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은 고농도를 유지함으로써, 최종 결합된 가교제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변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500,000 내지 3,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의 농도 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너무 낮은 경우, 낮은 물성과 짧은 체내 분해 기간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의 농도 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너무 높은 경우, 히알루론산 겔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은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역시 고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구체적으로, 12 (w/v)% 내지 70 (w/v)%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w/v)% 내지 40 (w/v)%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w/v)% 내지 25 (w/v)%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역시 고농도를 유지함으로써, 최종 결합된 가교제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변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 역시 500,000 내지 3,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의 농도 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너무 낮은 경우, 낮은 물성과 짧은 체내 분해 기간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의 농도 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너무 높은 경우, 히알루론산 겔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 용액은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1 가교제를 이용한 1차 가교로 인해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자체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교제는 1차 가교를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을 서로 1차 가교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교제는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및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가교제는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자체의 물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2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높은 함량의 가교제로 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은 높은 농도인바, 적은 함량의 제1 가교제를 이용하더라도,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자체의 물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1차 가교는 예비 가교로 취급될 수 있는데,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1차 가교가 상기 온도 범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시간 범위 보다 긴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이 완전히 겔화되어 후술하는 제1 용액과의 혼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2차 가교 역시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용액은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중량비는 1:9 내지 9:1일 수 있고, 1:5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 용액 대비 상기 제1 용액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겔을 최종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제2 용액 대비 상기 제1 용액의 함량이 낮아질수록,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겔을 최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교제는 2차 가교를 위한 것으로,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교제는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과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을 서로 2차 가교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가교제 일부는 상기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끼리 서로 2차 가교하여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끼리 서로 2차 가교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교제는 상기 제1 가교제와 종류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및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가교제는 상기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 자체의 물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2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높은 함량의 가교제로 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은 높은 농도인바, 적은 함량의 제2 가교제를 이용하더라도,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 자체의 물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2차 가교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 가교 조건에 비해, 상기 2차 가교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됨으로써, 상기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이 2차 가교된 후, 다시 자체적으로 고온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및 저함량의 가교제를 이용한 이중 가교를 통해 제조된 것으로,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탄성변형률이 1 %·KPa-1내지 20 %·KPa-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6
.
또한,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손실변형률이 10 %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
또한, 수직 상승 속도를 0.1 mm/초로 제어한 레오미터를 통해 측정된 축 방향에 대한 점착력(tackiness)이 0.5 N 내지 1.2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종래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 및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탄성 특성 및 점탄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바, 이를 포함하는 필러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에 자연스럽게 점착되어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히알루론산 겔
본 발명은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탄성변형률이 1 %·KPa-1내지 20 %·KP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겔을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8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은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데, 상기 가교는 이중 가교인 것으로, 제1 가교제 및 제2 가교제의 조합에 의하여 가교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제1 가교제 및 제2 가교제의 조합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그밖에, 제1 가교제에 의해서만 가교된 히알루론산과 제2 가교제에 의해서만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탄성변형률이 1 %·KPa- 1내지 20 %·KPa-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9
.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탄성변형률이 1 %·KPa- 1내지 15 %·KPa-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변형률이 1% 내지 7%일 수 있고, 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0.1 Hz 내지 10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저장탄성률(G’)이 0.01 KPa 내지 2.0 KPa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탄성변형률을 1 %·KPa- 1내지 20 %·KPa-1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종래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 및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탄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은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손실변형률이 10 %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0
.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변형률이 1% 내지 7%일 수 있고, 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0.1 Hz 내지 10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및 계산된 손실계수(tanδ)가 0.05 내지 1.0 일 수 있고, 0.10 내지 0.50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손실변형률을 10 % 내지 45 %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종래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 및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과 동등한 수준의 점탄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은 회전식 레오미터를 통해 측정되는 피착물에 대한 점착력(tackiness) 이 0.5 N 내지 1.2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겔은 점착력을 0.5 N 내지 1.2N 로 유지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에 자연스럽게 점착되어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히알루론산 겔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필러용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필러용 조성물 내 상기 히알루론산의 총 농도는 1 mg/ml 내지 70 mg/ml(0.1 (w/v)% 내지 7 (w/v)%)일 수 있고, 10 mg/ml 내지 60 mg/ml (1 (w/v)% 내지 6 (w/v)%)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필러용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필러용 조성물 내 국소 마취제의 농도는 상기 필러용 조성물을 주사하는 경우 경험하게 되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양일 수 있다. 상기 필러용 조성물 내 국소 마취제의 농도는 0.1 (w/v)% 내지 5 (w/v)%일 수 있고, 0.2(w/v)% 내지 1.0 (w/v)%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w/v)%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국소 마취제는 암부카인(ambucaine), 아몰라논(amolanone), 아밀로카인(amylocaine), 베녹시네이트(benoxinate), 벤조카인(benzocaine), 베톡시카인(betoxycaine), 비페나민(biphenam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부타카인(butacaine), 부탐벤(butamben), 부타닐리카인(butanilicaine), 부테타민(butethamine), 부톡시카인(butoxycaine), 카르티카인(carticaine), 클로로프로카인(chloroprocaine), 코카에틸렌(cocaethylene), 코카인(cocaine), 사이클로메티카인(cyclomethycaine), 다이부카인(dibucaine), 다이메티소퀸(dimethysoquin), 다이메토카인(dimethocaine), 디페로돈(diperodon), 다이사이클로닌(dycyclonine), 에크고니딘(ecgonidine), 에크고닌(ecgonine), 에틸 클로라이드(ethyl chloride), 에티도카인(etidocaine), 베타-유카인(beta-eucaine), 유프로신(euprocin), 페날코민(fenalcomine), 포르모카인(formocaine), 헥실카인(hexylcaine),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hydroxytetracaine), 아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isobutyl paminobenzoate),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leucinocaine mesylate), 레복사드롤(levoxadrol), 리도카인(lid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메프릴카인(meprylcaine), 메타부톡시카인(metabutoxycaine), 메틸 클로라이드(methyl chloride), 미르테카인(myrtecaine), 나에파인(naepaine), 옥타카인(octacaine), 오르소카인(orthocaine), 옥세타자인(oxethazaine), 파레톡시카인(parethoxycaine), 페나카인(phenacaine), 페놀(phenol), 피페로카인(piperocaine), 피리도카인(piridocaine), 폴리도카놀(polidocanol), 프라목신(pramoxine), 프릴로카인(prilocaine), 프로카인(procaine), 프로파노카인(propanocaine), 프로파라카인(proparacaine), 프로피오카인(propipocaine), 프로록시카인(propoxycaine), 슈도코카인(psuedococaine), 피로카인(pyrro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살리실 알코올(salicyl alcohol), 테트라카인(tetracaine), 톨릴카인(tolycaine), 트리메카인(trimecaine), 졸라민(zolamine),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고, 리도카인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도카인 HC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밖에, 상기 필러용 조성물은 완충제, 항산화제,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용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조직 수복을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투여는 경구 투여가 아닌 비경구 투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비경구 투여는 피하 또는 피내 투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투여빈도는 1일 1회이거나,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실시예 1: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1)의 제조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10 g 및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55 g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10 g,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55 g 및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0.2 g을 혼합한 다음, 25℃ 에서 약 1시간 동안 1차 가교시켜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약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0.2 g을 추가 혼합한 다음, 37℃에서 약 24시간 동안 2차 가교시킨 다음, 동몰의 HCl로 중화시킨 후 PBS로 세척하여 히알루론산 겔을 최종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2)의 제조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16 g 및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90 g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4 g,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25 g 및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0.1 g을 혼합한 다음, 25℃ 에서 약 1시간 동안 1차 가교시켜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약 4:1 중량비로 혼합한 후,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0. 4 g을 추가 혼합한 다음, 37℃에서 약 24시간 동안 2차 가교시킨 다음, 동몰의 HCl로 중화시킨 후 PBS로 세척하여 히알루론산 겔을 최종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3)의 제조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16 g 및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70 g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4 g,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25 g 및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0.05 g을 혼합한 다음, 25℃ 에서 약 1시간 동안 1차 가교시켜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약 4:1 중량비로 혼합한 후,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0. 1 g을 추가 혼합한 다음, 37℃에서 약 24시간 동안 2차 가교시킨 다음, 동몰의 HCl로 중화시킨 후 PBS로 세척하여 히알루론산 겔을 최종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단일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의 준비
히알루론산(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 20 g을 0.24N 수산화나트륨 용액 105 g 및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2 g을 혼합한 용액을 제조한 다음, 50℃ 에서 약 3시간 가교시켰다. 이후, 동몰의 HCl로 중화시킨 후 PBS로 세척하여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을 최종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의 준비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로서, 상용화된 엘러간 社의 쥬비덤 볼류마 제품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의 준비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로서, 상용화된 갈더마 社의 레스틸렌 서브큐 제품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점성 및 탄성 특성, 변형률 및 점착력 평가
먼저,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의 점성 및 탄성 특성과 변형률을 측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탄성변형률 및 손실변형률을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을 대상으로, 1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레오미터(제품명: Kinexus Lab+, Malven)를 이용하여 저장탄성률(G’) 및 손실탄성률(G”)을 측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손실계수(tanδ)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을 시료로 하여, 37℃ 조건 하에서 Hdase(500 IU/ml, Sigma-aldrich, USA) 효소를 이용하여, 시료를 10 mg/ml 농도로 분해시켰다. 이때, 결합되지 않은 가교제는 0.22 ㎛ 필터를 이용한 여과를 통해 분해 전에 세정하여 제거하였다. 그 다음, NMR을 통해 히알루론산 반복단위의 몰수 및 결합된 가교제의 몰수를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변형률을 계산하였고, 이를 토대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탄성변형률 및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손실변형률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1
,
[수학식 2]
Figure pat00012
,
[수학식 3]
Figure pat00013
.
저장탄성률
(G’)(KPa)
손실탄성률
(G”) (KPa)
손실계수
(tanδ)
변형률
(MoD)(%)
탄성변형률
(%·KPa -1 )
점탄성
변형률
(%)
실시예 1 0.430 0.069 0.16 4.4 10.23 27.5
실시예 2 0.382 0.033 0.10 4.4 11.51 44
실시예 3 0.610 0.060 0.10 2.9 4.75 29.48
비교예 1 0.177 0.033 0.18 8.2 21.58 45.55
비교예 2 0.347 0.028 0.08 9.1 26.22 113.75
비교예 3 0.949 0.088 0.09 9.1 109.58 101.1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및 저함량의 가교제를 이용한 이중 가교를 통해 제조된 것으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 및 비교예 1 및 3에서 제조된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에 비해, 탄성변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에 비해, 보다 높은 농도의 히알루론산과 보다 낮은 함량의 가교제를 이용함으로써, 탄성변형률을 더욱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우수한 탄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종 결합된 가교제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고농도의 히알루론산의 이중 가교와 가교제의 높은 함량으로 인하여,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에 비해, 손실변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때,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 역시 손실변형률이 낮은 편인데, 이는 높은 농도의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을 시료로 하여, 레오미터(제품명: Kinexus Lab+, Malven)를 통해 축 방향에 대한 점착력(tackiness)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를 측정 플레이트에 올린 후 콘(cone)을 0.5 mm 높이까지 내린 후, 콘 외부로 빠져나오는 시료를 제거한 다음, 콘의 수식 상승 속도를 0.1 mm/초로 제어한 경우, 축 방향에 대한 최대 힘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착력(tackiness)(N)
실시예 1 0.75
실시예 2 0.80
실시예 3 0.60
비교예 1 0.10
비교예 2 0.60
비교예 3 0.09
상기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겔은 비교예 1 및 3에서 제조된 이상성 히알루론산 겔에 비해 축 방향에 대한 점착력이 월등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단상성 히알루론산 겔에 비해서도 축 방향에 대한 점착력이 동등하거나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바, 이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에 자연스럽게 점착되어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a) 비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1 가교제에 의하여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의 혼합 용액에 제2 가교제를 투입한 후, 상기 비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상기 1차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2차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1 용액 내 히알루론산 농도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농도는 12 (w/v)% 내지 70 (w/v)%인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제1 가교제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제2 가교제는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및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제1 가교제는 상기 (b) 단계에서 제2 용액 내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2 가교제는 상기 (c) 단계에서 혼합 용액 내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1차 가교는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2차 가교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 시간 내지 30 시간 동안 수행되는
    히알루론산 겔의 제조방법.
  8.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탄성변형률이 1 %·KPa- 1내지 20 %·KP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겔:
    [수학식 1]
    Figure pat00014
    .
  9. 제8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손실변형률이 10 %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겔:
    [수학식 2]
    Figure pat00015
    .
  10. 제8항에 있어서,
    수직 상승 속도를 0.1 mm/초로 제어한 레오미터를 통해 측정된 축 방향에 대한 점착력(tackiness)이 0.5 N 내지 1.2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겔: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제1 가교제 및 제2 가교제의 조합에 의하여 가교된 것인
    히알루론산 겔.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한 항에 따른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국소 마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
KR1020170157384A 2017-11-23 2017-11-23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84A KR102320153B1 (ko) 2017-11-23 2017-11-23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84A KR102320153B1 (ko) 2017-11-23 2017-11-23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609A true KR20190059609A (ko) 2019-05-31
KR102320153B1 KR102320153B1 (ko) 2021-11-02

Family

ID=6665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84A KR102320153B1 (ko) 2017-11-23 2017-11-23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2126A (zh) * 2019-12-25 2020-04-10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透明质酸盐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78334A (ko)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글로원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KR20210114284A (ko) * 2020-03-10 2021-09-23 (주)메디톡스 단일상도 아니고 이성상도 아닌 히알루론산 가교체, 및 이의 용도
KR102373295B1 (ko) * 2021-08-24 2022-03-11 이도경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글리콜라이드(ga)를 가교제로 사용한 히알루론산(ha)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2095A (ko) * 2020-11-24 2022-06-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분리를 이용한 미소구체의 제조 방법
CN115572396A (zh) * 2022-12-08 2023-01-06 四川兴泰普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梯度降解的透明质酸钠凝胶及其制备方法
KR20230069466A (ko)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유영제약 히알루론산 가교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379A (ja) * 2004-08-20 2006-03-30 Meiwa Kasei Kk 球状シクロデキストリン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が含まれた吸着剤
KR101356320B1 (ko) * 2013-01-31 2014-01-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루란 아세테이트 미립구를 이용하여 특성을 향상시킨 히알루론산 피부 충진재
KR20160031465A (ko) * 2013-06-11 2016-03-22 앙테이스 에스.아. 하이알루론산의 가교 방법, 주사용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수득한 하이드로젤 및 수득한 하이드로젤의 용도
KR101695564B1 (ko) * 2015-09-04 2017-01-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의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구조 확인을 위한 이미징 및 이의 전처리 방법
KR20170090965A (ko) * 2016-01-29 2017-08-08 한미약품 주식회사 복합 히알루론산 가교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0746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히알루론산 피부 충진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379A (ja) * 2004-08-20 2006-03-30 Meiwa Kasei Kk 球状シクロデキストリン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が含まれた吸着剤
KR101356320B1 (ko) * 2013-01-31 2014-01-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루란 아세테이트 미립구를 이용하여 특성을 향상시킨 히알루론산 피부 충진재
KR20160031465A (ko) * 2013-06-11 2016-03-22 앙테이스 에스.아. 하이알루론산의 가교 방법, 주사용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수득한 하이드로젤 및 수득한 하이드로젤의 용도
KR101695564B1 (ko) * 2015-09-04 2017-01-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의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구조 확인을 위한 이미징 및 이의 전처리 방법
KR20170090965A (ko) * 2016-01-29 2017-08-08 한미약품 주식회사 복합 히알루론산 가교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0746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히알루론산 피부 충진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34A (ko)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글로원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CN110982126A (zh) * 2019-12-25 2020-04-10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透明质酸盐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114284A (ko) * 2020-03-10 2021-09-23 (주)메디톡스 단일상도 아니고 이성상도 아닌 히알루론산 가교체, 및 이의 용도
KR20220072095A (ko) * 2020-11-24 2022-06-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분리를 이용한 미소구체의 제조 방법
KR102373295B1 (ko) * 2021-08-24 2022-03-11 이도경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글리콜라이드(ga)를 가교제로 사용한 히알루론산(ha)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3027330A1 (ko) * 2021-08-24 2023-03-02 이도경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글리콜라이드(ga)를 가교제로 사용한 히알루론산(ha)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69466A (ko)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유영제약 히알루론산 가교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5572396A (zh) * 2022-12-08 2023-01-06 四川兴泰普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梯度降解的透明质酸钠凝胶及其制备方法
CN115572396B (zh) * 2022-12-08 2023-03-24 四川兴泰普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梯度降解的透明质酸钠凝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153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153B1 (ko)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EP3302591B1 (en) Mixed hydrogels of hyaluronic acid and dextran
AU2018228300B2 (en) Composition For Dermal Injection
KR102392812B1 (ko) 높은 점탄성 및 응집성을 동시에 갖는 히알루론산 필러
KR20200077449A (ko) 우수한 필러 특성을 갖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필러
KR102107700B1 (ko) 피부 주입용 조성물
KR20170026377A (ko) 덱스트란과 그래프트된 가교된 히알루론산
US11382853B2 (en)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s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method for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2107698B1 (ko) 피부 주입용 조성물
TW202019496A (zh) 具有高提拉能力及低注射力的玻尿酸填料
KR102369261B1 (ko) 이중 가교를 통한 코어-쉘 구조의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96920A1 (en) Process for preparing hydrogels
US11857682B2 (en) Hyaluronate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fillers
WO2014055895A1 (en) Injectable device and method for sculpting, augmenting or correcting facial features such as the chin
US11324672B2 (en) Method for preparing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s, dermal fillers obtained thereby and their use
EP2994090B1 (en) Hyaluronic acid gels crosslinked by sodium trimetaphosphate
KR102336680B1 (ko) 자극의 강도에 따라 변화하는 물성을 가지는 코어-쉘 구조의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EP3166652B1 (en) Hyaluronic acid gels crosslinked by sodium trimetaphosphate
JP2024521484A (ja) ヒアルロン酸架橋体、及びそれを含む充填剤組成物
KR20190044240A (ko) 히알루론산 필러용 조성물로 인한 석회화 평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비트로 평가하는 방법
KR20220099922A (ko) 가교제 및 폴리올을 사용하여 가교된 가교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