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313A -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313A
KR20190059313A KR1020197012521A KR20197012521A KR20190059313A KR 20190059313 A KR20190059313 A KR 20190059313A KR 1020197012521 A KR1020197012521 A KR 1020197012521A KR 20197012521 A KR20197012521 A KR 20197012521A KR 20190059313 A KR20190059313 A KR 2019005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atisfied
supply
aerosol sourc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713B1 (ko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히로후미 마츠모토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97Heating of fluid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 C23C16/4481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by evaporation using carrier gas in contact with the sourc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향미 흡인기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상기 에어로졸원을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급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발열 소자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에어로졸원을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공급 부재를 가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2015/0117841호 명세서 특허문헌 2 : 미국 특허 2015/0117842호 명세서 특허문헌 3 : 미국 특허 2015/0114409호 명세서
제1 특징은, 향미 흡인기로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상기 에어로졸원을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 소자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다공질 구조를 구성하는 발열 저항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3 특징에 있어서,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종료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3 특징 또는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3 특징 또는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유저의 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흡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흡인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3 특징 또는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유저의 제1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제1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4 특징, 제4 특징을 인용하는 제5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은,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4 특징, 제4 특징을 인용하는 제5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유저의 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흡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은, 상기 흡인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4 특징, 제4 특징을 인용하는 제5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유저의 제2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제2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4 특징, 제4 특징을 인용하는 제5 특징 내지 제1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整數))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가열 개시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4 특징, 제4 특징을 인용하는 제5 특징 내지 제11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n번째 퍼프 동작으로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이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되도록,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8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유저의 퍼프 동작의 종료를 검지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3 특징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가열 개시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3 특징 또는 제14 특징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n번째 퍼프 동작으로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이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되도록,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가 상기 에어로졸원의 비점(沸點) 미만이 되도록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가 상기 에어로졸원의 비점 이상이 되도록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 상에는, 상기 유로의 벽면에 응집하는 에어로졸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특징은, 제4 특징, 제4 특징을 인용하는 제5 특징 내지 제1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기 전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큰 전력이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되도록,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특징은, 무화 유닛으로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상기 에어로졸원을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 소자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회로(3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공급 및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4는, 변경예 1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공급 및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5는, 변경예 2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공급 및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변경예 3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공급 및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도 7은, 변경예 4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공급 및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변경예 5에 따른 공급 부재(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변경예 5에 따른 공급 부재(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변경예 6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변경예 6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변경예 7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공급 및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배경기술에서 기재한 향미 흡인기에서는, 발열 소자 자체는 에어로졸원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발열 소자의 근방에 공급되는 에어로졸원을 유지하는 부재(예를 들면, 네트)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개시의 개요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상기 에어로졸원을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 소자는, 다공질(多孔質)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열 소자 자체가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열 소자가 에어로졸원을 유지할 수 있어, 에어로졸원을 유지하는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원을 무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 소자가 토출구(吐出口)로부터 이간(離間)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공급 부재로부터 발열 소자에 에어로졸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발열 소자측의 에어로졸원으로부터 공급 부재측의 에어로졸원에 대한 열전달이 억제된다.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흡구(吸口) 유닛(10)과, 무화(霧化) 유닛(20)과, 전장(電裝) 유닛(30)을 가진다. 흡구 유닛(10)은, 무화 유닛(2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해도 된다. 무화 유닛(20)은, 전장 유닛(3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해도 된다.
흡구 유닛(10)은, 케이스(10X)와, 아울렛(11)과, 흡수 부재(12)와, 유로 부재(13)를 가진다. 케이스(10X)는, 아울렛(11)과, 흡수 부재(12)와, 유로 부재(13)를 수용한다.
아울렛(11)은, 후술하는 인렛(31)으로부터 아울렛(11)까지 연통하는 공기 유로의 출구(개구)이다. 아울렛(11)은, 향미 흡인기(100)의 근원단(根元端)(흡구단(吸口端))에 마련된다.
흡수 부재(12)는, 무화 유닛(20)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로졸 유로(공기 유로의 일부)의 벽면에 응집하는 에어로졸을 흡수한다. 흡수 부재(12)는, 유로 부재(13)의 내벽면에 마련된다. 흡수 부재(12)는, 응축한 에어로졸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이면 되고, 예를 들면, 스펀지 등의 다공질 부재, 수지(樹脂) 웨브, 유리 섬유 등이어도 된다.
유로 부재(13)는, 공기 유로의 일부(여기서는, 에어로졸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유로 부재(13)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무화 유닛(20)은, 케이스(20X)와, 공급 부재(21)와, 발열 소자(22)와, 유로 부재(23)를 가진다. 케이스(20X)는, 공급 부재(21)와, 발열 소자(22)와, 유로 부재(23)를 수용한다.
공급 부재(21)는, 에어로졸원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급 부재(21)는, 에어로졸원을 저류(貯留)하는 저류부(21A)와, 에어로졸원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하는 토출구(21B)를 가진다. 토출구(21B)는, 후술하는 제어 회로(34)의 제어에 의해, 에어로졸원의 액적(液滴)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하는 토출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액적의 공급 방식은, 잉크젯 프린터에서 이용되는 방식과 같으며, 초음파 방식이어도 되고, 압전(壓電) 방식이어도 되고, 서멀 방식이어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원은, 에어로졸원은, 향끽미(香喫味) 성분(예를 들면, 니코틴 성분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향끽미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발열 소자(22)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발열 소자(22)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토출구(21B)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다.
발열 소자(22)는, 에어로졸원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발열 소자(22)를 구성하는 부재는, 전기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 소자(22)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발열 저항체여도 된다. 이러한 발열 저항체로서는, 예를 들면, 니켈, 니크롬, 스테인리스(SUS) 등을 포함하는 다공질 금속체를 이용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로서는, 전기 가열에 의해 발열 가능한 도전성(導電性) 재료이면, 실리콘카바이드(SiC) 등의 세라믹을 이용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발열 소자(22)는, 3차원 망목(網目) 구조를 가진다. 3차원 망목 구조는, 공극(空隙)을 포함하는 것이며, 적어도 일부의 공극끼리가 연통한 구조, 즉, 오픈 셀 구조를 가진다. 발열 소자(22)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오픈 셀 구조를 가지는 발열 소자(22)의 일례로서는, 스미토모 전공사(電工社) 제의 셀멧(상품명)을 들 수 있다. 셀멧(상품명)은, 니켈(Ni)을 포함하는 다공질 금속체 또는 니켈 및 크롬(Cr)의 합금을 포함하는 다공질 금속체이다.
유로 부재(23)는, 공기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유로 부재(23)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유로 부재(13)와 연속해 있다. 상술한 흡수 부재(12)는, 유로 부재(13) 및 유로 부재(23)의 쌍방의 내벽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흡수 부재(12)는, 유로 부재(23)의 쌍방에만 내벽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전장 유닛(30)은, 케이스(30X)와, 인렛(31)과, 배터리(32)와, 흡인 센서(33)와, 제어 회로(34)를 가진다. 케이스(30X)는, 인렛(31)과, 배터리(32)와, 흡인 센서(33)와, 제어 회로(34)를 수용한다.
인렛(31)은, 인렛(31)으로부터 아울렛(11)까지 연통하는 공기 유로의 입구(개구)이다. 인렛(31)은, 향미 흡인기(100)의 선단(비(非)흡구단)에 마련되어도 된다. 단, 인렛(31)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미 흡인기(100)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인렛(31)은, 무화 유닛(20)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배터리(32)는, 향미 흡인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축적한다. 배터리(32)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여도 된다. 배터리(32)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여도 된다.
흡인 센서(33)는, 공기 유로에서의 공기류(空氣流)에 의해 변화하는 값(예를 들면,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흡인 센서(33)는, 콘덴서를 가지고 있으며, 공기 유로에서의 공기류에 의해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해도 된다. 흡인 센서(33)는, 공기 유로에서의 공기류에 의해 변화하는 값의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유속값을 출력해도 된다.
제어 회로(34)는, CPU나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34)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회로)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회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회로(3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회로(34)는, 퍼프 검출부(34A)와, 제어부(34B)를 가진다.
퍼프 검출부(34A)는, 흡인 센서(33)에 접속되어 있고, 흡인 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근거하여, 유저의 퍼프 동작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퍼프 검출부(34A)는, 퍼프 동작의 거동을 검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 결과는, 공급 개시 조건의 판정에 이용된다. 검출 결과는, 공급 종료 조건의 판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제어부(34B)는, 공급 부재(21) 및 발열 소자(22)에 접속되어 있고, 퍼프 검출부(34A)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공급 부재(21) 및 발열 소자(22)를 제어한다.
첫째, 제어부(34B)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에어로졸원의 공급을 개시하도록 공급 부재(21)를 제어한다. 제어부(34B)는,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에어로졸원의 공급을 종료하도록 공급 부재(21)를 제어한다.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흡인 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값, 즉, 퍼프 검출부(34A)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이하, 퍼프 검출부(34A)가 검출하는 물리 파라미터가 유속값인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개시 조건은, 유속값이 임계값(역치) TH1을 초과하는 것이며, 공급 종료 조건은, 유속값이 임계값 TH3을 하회(下回)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임계값 TH1이 임계값 TH3과 같은 값인 케이스가 예시되고 있지만, 임계값 TH1 및 임계값 TH3은 서로 다른 값이어도 된다.
또한, 퍼프 검출부(34A)가 검출하는 물리 파라미터는, 유속값 이외의 파라미터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물리 파라미터로서는, 부압(負壓)값, 압력값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리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수단으로서는, 압력 센서나 마이크로폰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압력 센서나 마이크로폰 센서 등은, 흡인 센서(33)만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흡인 센서(33) 및 퍼프 검출부(34A)의 쌍방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물리 파라미터의 내용에 따라 필요한 대체 적용을 행하는 것에 의해,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둘째, 제어부(34B)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개시해도 된다. 제어부(34B)는,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종료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경과하는 시간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개시 조건은,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1 소정 시간(DSTART)이 경과하는 것이며, 가열 종료 조건은,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2 소정 시간(DEND)이 경과하는 것이다. 제1 소정 시간(DSTART)은, 공급 부재(21)로부터 발열 소자(22)에 충분한 에어로졸원이 공급되도록 정해진다. 제2 소정 시간(DEND)은, 발열 소자(22)에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류 또는 에어로졸 유로에서의 에어로졸의 체류가 억제되도록 정해진다. 단, 제1 소정 시간(DSTART) 및 제2 소정 시간(DEND)은, 같은 값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값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소정 시간(DEND)은 제로여도 된다.
또한, 제1 소정 시간(DSTART) 또는 제2 소정 시간(DEND)은, 통상(通常) 퍼프 동작을 상정하여 정해져도 된다. 통상 퍼프 동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수의 유저의 퍼프 동작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적으로 구해져도 된다.
(작용 및 효과)
실시형태에서는, 발열 소자(22) 자체가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열 소자(22)가 에어로졸원을 유지할 수 있어, 에어로졸원을 유지하는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원을 무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 소자(22)가 토출구(21B)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공급 부재(21)로부터 발열 소자(22)에 에어로졸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발열 소자(22)측의 에어로졸원으로부터 공급 부재(21)측의 에어로졸원에 대한 열전달이 억제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100)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개시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열 소자(22)에 에어로졸원이 충분히 유지되고 나서 가열이 개시되기 때문에, 발열 소자(22)의 대부분을 에어로졸원의 무화에 이용할 수 있어, 발열 소자(22)의 온도의 불균일도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원을 무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 소자(22)에 에어로졸원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발열 소자(22)의 과가열(過加熱)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100)는,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종료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이 종료된 단계에서, 발열 소자(22)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류를 억제할 수 있고, 퍼프 동작이 종료된 단계에서,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 소자(22)의 가열의 개시 및 종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종래형의 향미 흡인기보다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형의 향미 흡인기에서는, 발열 소자가 가열된 채 유지된 상태로 에어로졸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에 비해 소비 전력이 컸던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에어로졸원이 항상 공급되는 윅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에 관해서는, 에어로졸원의 공급을 개시 및 종료하는 제어가 존재하지 않아,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의 비교 대상으로는 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무화 유닛(20)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로졸 유로(공기 유로의 일부)의 벽면에 응집하는 에어로졸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12)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의 응집에 수반하는 부재(예를 들면, 유로 부재(13) 또는 유로 부재(23))의 열화(劣化)가 억제된다.
[변경예 1]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해서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경과하는 시간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이에 대해, 변경예 1에서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흡인 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값, 즉, 퍼프 검출부(34A)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예를 들면, 검출 결과가 유속값인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개시 조건은, 유속값이 임계값 TH1보다 큰 임계값 TH2를 초과하는 것이며, 가열 종료 조건은, 유속값이 임계값 TH3보다 작은 임계값 TH4를 하회하는 것이다. 임계값 TH2는, 공급 부재(21)로부터 발열 소자(22)에 충분한 에어로졸원이 공급되도록 정해진다. 임계값 TH4는, 발열 소자(22)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류 또는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체류가 억제되도록 정해진다. 단, 임계값 TH4는 임계값 TH3과 같아도 된다.
또한, 검출 결과가 유속값 이외의 물리 파라미터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검출 결과의 내용에 따라 필요한 대체 적용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1에서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흡인 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퍼프 동작의 거동에 맞추어 가열이 행해지기 때문에, 공급 제어와 가열 제어를 적절히 동기(同期)시킬 수 있다.
[변경예 2]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변경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1에서는, 공급 개시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1이 공급 종료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3과 같은 값이다. 이에 대해, 변경예 2에서는, 공급 개시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1이 공급 종료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3과 다른 값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종료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3은, 공급 개시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1보다 작은 값이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2에서는, 공급 종료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3은, 공급 개시 조건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 TH1보다 작은 값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의 공급 개시의 오동작을 억제하면서도, 발열 소자(22)에 대한 에어로졸의 공급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유저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변경예 3]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변경예 3에서는, 이례(異例) 퍼프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례 퍼프 동작이란, 상술한 제2 소정 시간(DEND)을 정할 때에 참조되는 통상 퍼프 동작보다 짧은 시간으로 행해지는 퍼프 동작이다.
이례 퍼프 동작에서는, 발열 소자(11)의 가열을 종료한 단계에서, 유저의 퍼프 동작이 이미 끝나고 있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퍼프 동작이 종료된 단계에서, 에어로졸 유로에서의 에어로졸의 체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변경예 3에서는,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2 소정 시간(DEND)이 경과할 때까지, 유저의 퍼프 동작의 종료를 검지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34B)는, 제2 소정 시간(DEND)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종료한다. 제어부(34B)는, 유저의 퍼프 동작의 종료를 검지한 타이밍에서,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종료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퍼프 동작이 종료된 단계에서, 에어로졸의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어를 행하면, 가열을 종료한 단계에서, 발열 소자(22)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변경예 3에서는,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제2 소정 시간(DEND)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34B)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가열 개시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가열 개시 조건의 완화보다 완화된 조건은,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1 소정 시간(DSTART)보다 짧은 시간이 경과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열 개시 조건의 완화보다 완화된 조건은, 공급 개시 조건과 같아도 되고,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기보다 전에 충족되는 조건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n번째 퍼프 동작에서 발열 소자(22)에 잔류하는 에어로졸원을 n+1번째 퍼프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적절히 무화할 수 있다.
혹은, 변경예 3에서는,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제2 소정 시간(DEND)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34B)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n번째 퍼프 동작으로 발열 소자(22)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이 발열 소자(22)에 공급되도록, 발열 소자(22)에 의한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4B)는, n+1번째 퍼프 동작의 전체에 걸쳐, n번째 퍼프 동작으로 발열 소자(22)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혹은, 제어부(34B)는, n+1번째 퍼프 동작의 전반(前半)에서만, n번째 퍼프 동작으로 발열 소자(22)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n번째 퍼프 동작에서 발열 소자(22)에 잔류하는 에어로졸원을 n+1번째 퍼프 동작으로 적절히 무화할 수 있다.
혹은, 변경예 3에서는, 제어부(34B)는,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동안에서,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기 전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큰 전력이 발열 소자(22)에 공급되도록, 발열 소자(22)에 의한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2 소정 시간(DEND)의 길이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유로에서의 에어로졸의 체류(응집)에 관해서는, 상술한 흡수 부재(12)에 의해서도 억제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변경예 4]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4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변경예 1 또는 변경예 2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1 또는 변경예 2에서는 특별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 변경예 4에서는, 이례 퍼프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례 퍼프 동작이란, 상술한 임계값 TH4를 정할 때에 참조되는 통상 퍼프 동작보다 짧은 시간으로 행해지는 퍼프 동작이다.
이례 퍼프 동작에서 에어로졸원의 공급을 종료하고 나서 가열을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DABNORMAL)은, 통상 퍼프 동작에서 에어로졸원의 공급을 종료하고 나서 가열을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DNORMAL)보다 짧다. 따라서, 가열을 종료한 단계에서, 발열 소자(22)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변경예 4에서는,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시간(DABNORMAL)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통상 퍼프 동작에서 시간(DNORMAL)이 취할 수 있는 값의 하한값 이하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가열 개시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가열 개시 조건의 완화보다 완화된 조건은, 유속값이 임계값 TH2보다 작은 임계값 TH2'를 초과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열 개시 조건의 완화보다 완화된 조건은, 공급 개시 조건과 같아도 되고,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기 전에 충족되는 조건이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임계값 TH2'는, 임계값 TH1과 같은 값이어도 되고, 임계값 TH1보다 작은 값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n번째 퍼프 동작에서 발열 소자(22)에 잔류하는 에어로졸원을 n+1번째 퍼프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적절히 무화할 수 있다.
혹은, 변경예 4에서는,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시간(DABNORMAL)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통상 퍼프 동작에서 시간(DNORMAL)이 취할 수 있는 값의 하한값 이하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n번째 퍼프 동작으로 발열 소자(22)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이 발열 소자(22)에 공급되도록, 발열 소자(22)에 의한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4B)는, n+1번째 퍼프 동작의 전체에 걸쳐, n번째 퍼프 동작으로 발열 소자(22)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혹은, 제어부(34B)는, n+1번째 퍼프 동작의 전반에서만, n번째 퍼프 동작으로 발열 소자(22)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을 발열 소자(22)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n번째 퍼프 동작에서 발열 소자(22)에 잔류하는 에어로졸원을 n+1번째 퍼프 동작으로 적절히 무화할 수 있다.
[변경예 5]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5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부재(21)는, 잉크젯 프린터에서 이용되는 방식과 동일한 액적 공급 방식으로 에어로졸원을 공급하는 부재이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공급 부재(21)는, 토출구(21B)와는 다른 부재로서, 토출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토출 수단은, 피스톤 방식으로 에어로졸원을 공급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부재(21)는, 저류부(21A) 및 토출구(21B)에 더해, 액추에이터(21C) 및 피스톤(21D)을 가진다. 액추에이터(21C)는, 콘 로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21D)의 왕복 운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에어로졸원이 토출구(21B)로부터 발열 소자(22)에 공급된다.
혹은, 공급 부재(21)가 토출구(21B)와는 다른 부재로서 토출 수단을 구비하는 다른 예로서, 토출 수단은, 공기 유로 내에서의 차압(差壓)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공급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부재(21)는, 저류부(21A) 및 토출구(21B)를 가지고 있고, 저류부(21A)는, 가요성(可撓性) 백에 의해 구성된다. 유저의 퍼프 동작에 의해 공기 유로(21S) 내의 차압이 변화하고, 공기 유로(21S) 내의 차압의 변화에 의해 가요성 백에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에어로졸원이 토출구(21B)로부터 발열 소자(22)에 공급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을 공급 부재(21)가 가지는 경우에는, 퍼프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을 트리거로 하여 에어로졸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에어로졸원의 공급에 있어서 제어 회로(34)의 제어가 불필요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변경예 6]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6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변경예 1, 2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변경예 1, 2에서는, 향미 흡인기(100)는, 흡인 센서(33)를 가진다. 흡인 센서(33)는,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된다. 혹은, 흡인 센서(33)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된다.
이에 대해, 변경예 6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누름 버튼(41) 및 압하(押下) 센서(42)를 가진다. 누름 버튼(41)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누름 버튼(41)은, 향미 흡인기(100)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누름 버튼(41)은, 향미 흡인기(100)의 선단(비흡구단)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압하 센서(42)는, 누름 버튼(41)의 압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압하 센서(42)는, 유저의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의 일례이다.
압하 센서(42)의 검출 결과는,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압하 센서(42)의 검출 결과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공급 개시 조건 또는 가열 개시 조건은, 압하 센서(42)가 누름 버튼(41)이 압하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공급 종료 조건 또는 가열 종료 조건은, 압하 센서(42)가 누름 버튼(41)이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공급 개시 조건 또는 가열 개시 조건은, 공급 또는 가열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하 센서(42)가 누름 버튼(41)의 압하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공급 종료 조건 또는 가열 종료 조건은, 공급 또는 가열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압하 센서(42)가 누름 버튼(41)의 압하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혹은, 변경예 6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누름 버튼(41) 및 입술 센서(43)를 가진다. 입술 센서(43)는, 흡구 유닛(10)으로의 유저의 입술의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입술 센서(43)는, 유저의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의 일례이다.
입술 센서(43)의 검출 결과는,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입술 센서(43)의 검출 결과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공급 개시 조건 또는 가열 개시 조건은, 입술이 접촉한 상태를 입술 센서(43)가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공급 종료 조건 또는 가열 종료 조건은, 입술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입술 센서(43)가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변경예 6에서, 「조작」은, 상술한 「퍼프 동작」과는 다른 것이다. 「조작」은, 예를 들면, 접촉이나 압하 등과 같이, 에어로졸의 흡인을 직접적으로는 수반하지 않는 것이다.
[변경예 7]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7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7에서는, 제어부(34B)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대해, 변경예 7에서는, 제어부(34B)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기 전에,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개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4B)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발열 소자(22)의 온도가 에어로졸원의 비점 미만이 되도록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한다. 제어부(34B)는,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발열 소자(22)의 온도가 에어로졸원의 비점 이상이 되도록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시각 TSTART(S)에서 개시하고,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시각 TEND(S)에서 종료하는 케이스에 관해서 생각한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시각 TSTART(H)에서 개시하고, 발열 소자(22)의 가열을 시각 TEND(H)에서 종료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시각 TSTART(H) 전에 있어서 발열 소자(22)의 온도가 온도 Temp0(상온)이며, 시각 TSTART(H) 후에 있어서 발열 소자(22)의 온도가 상승하여, 시각 TKEEP(H)에서 발열 소자(22)의 온도가 온도 Temp1(비점)보다 높은 온도에 달하고, 시각 TEND(H)에서 발열 소자(22)의 온도가 온도 Temp0(상온)으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발열 소자(22)의 온도는, 시각 TSTART(S)보다 전에 있어서 온도 Temp1(비점) 미만의 온도로 제어되고, 시각 TSTART(S)보다 후에 있어서 온도 Temp1(비점) 이상의 온도로 제어된다. 또한, 발열 소자(22)의 온도는, 발열 소자(22)에 유지되는 에어로졸원의 온도로 대체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쌍방이,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경과하는 시간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 중 어느 하나가,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경과하는 시간에 근거하여 판정되어도 된다.
변경예 1에서는,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쌍방은, 흡인 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값, 즉, 퍼프 검출부(34A)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그러나 변경예 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 중 어느 하나가, 흡인 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값, 즉, 퍼프 검출부(34A)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판정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변경예 1-7에 관해서는, 서로 조합해도 된다. 흡인 센서(33)(도 1), 압하 센서(42)(도 10) 및 입술 센서(43)(도 11) 중, 2 이상의 센서를 향미 흡인기(100)가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각 조건(공급 개시 조건, 공급 종료 조건, 가열 개시 조건,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임의의 2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공급 개시 조건 및 공급 종료 조건(이하, 공급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공급 부재(21)로서 공기 유로 내에서의 차압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공급하는 수단이 이용되는 케이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가요성 백이 이용되는 케이스)와 같이 판정되지 않아도 된다. 단, 도 9에 나타내는 가요성 백이 이용되는 케이스여도, 에어로졸원의 공급 개시 또는 공급 종료를 제어 회로(34)가 검출 가능해도 된다. 즉, 제어 회로(34)는, 에어로졸원의 공급 개시의 검출에 의해,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것을 검출하고, 에어로졸원의 공급 종료의 검출에 의해,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것을 검출해도 된다. 공급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흡인 센서(33)(도 1)를 이용해서 판정해도 되고, 압하 센서(42)(도 10)를 이용해서 판정해도 되고, 입술 센서(43)(도 11)를 이용해서 판정해도 된다.
혹은, 가열 개시 조건 및 가열 종료 조건(이하, 가열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과 시간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 가열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는, 흡인 센서(33)(도 1)를 이용해서 판정해도 되고, 압하 센서(42)(도 10)를 이용해서 판정해도 되고, 입술 센서(43)(도 11)를 이용해서 판정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센서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가요성 백이 이용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가열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가 흡인 센서(33)(도 1), 경과 시간(도 3) 또는 압하 센서(42)(도 10)를 이용해서 판정되어도 된다. 혹은, 공급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가 압하 센서(42)(도 10)를 이용해서 판정되고, 가열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가 흡인 센서(33)(도 1), 경과 시간(도 3) 또는 입술 센서(43)(도 11)를 이용해서 판정되어도 된다. 혹은, 공급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가 입술 센서(43)(도 11)를 이용해서 판정되고, 가열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지 아닌지가 흡인 센서(33)(도 1), 경과 시간(도 3) 또는 압하 센서(42)(도 10)를 이용해서 판정되어도 된다. 이들 센서의 조합은 예시로서, 다른 조합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전력은, 듀티 비로 제어되어도 되고, 발열 소자(22)에 인가되는 전압값에 의해 제어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유지하는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상기 에어로졸원을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 소자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다공질 구조를 구성하는 발열 저항체인,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하는,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종료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된 후에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하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인,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유저의 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흡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흡인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되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유저의 제1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제1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인,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4, 청구항 4를 인용하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은,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인,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4, 청구항 4를 인용하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의 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흡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은, 상기 흡인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근거하여 판정되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4, 청구항 4를 인용하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의 제2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개시 조건은, 상기 제2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인,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4, 청구항 4를 인용하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가열 개시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하는,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4, 청구항 4를 인용하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n번째 퍼프 동작으로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이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되도록,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유저의 퍼프 동작의 종료를 검지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하는,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가열 개시 조건보다 완화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개시하는,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n(n은 1 이상의 정수)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가열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1번째 퍼프 동작에서, 상기 n번째 퍼프 동작으로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한 전력보다 큰 전력이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되도록,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공급이 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가 상기 에어로졸원의 비점 미만이 되도록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개시 조건이 충족된 후에,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가 상기 에어로졸원의 비점 이상이 되도록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 상에는, 상기 유로의 벽면에 응집하는 에어로졸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가 마련되는, 향미 흡인기.
  18. 청구항 4, 청구항 4를 인용하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상기 가열 종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상기 공급 종료 조건이 충족되기 전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큰 전력이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되도록,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제어하는, 향미 흡인기.
  19.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발열 소자와,
    상기 에어로졸원을 상기 발열 소자에 공급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 소자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는, 무화 유닛.
KR1020197012521A 2016-10-05 2016-10-05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KR102343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9615 WO2018066088A1 (ja) 2016-10-05 2016-10-05 香味吸引器及び霧化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13A true KR20190059313A (ko) 2019-05-30
KR102343713B1 KR102343713B1 (ko) 2021-12-24

Family

ID=6183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521A KR102343713B1 (ko) 2016-10-05 2016-10-05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12065B2 (ko)
EP (1) EP3520633A4 (ko)
JP (1) JP6829727B2 (ko)
KR (1) KR102343713B1 (ko)
CN (1) CN109788798B (ko)
CA (1) CA3039146C (ko)
EA (1) EA201990871A1 (ko)
TW (1) TWI731154B (ko)
WO (1) WO2018066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266A (ko)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961B1 (en) 2018-09-28 2023-05-1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providing preferential evaporation of nicotine
JP6609687B1 (ja) * 2018-12-27 2019-1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73151B1 (ko) * 2019-04-30 2021-07-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148672A1 (en) * 2019-10-31 2023-05-18 Jt International Sa Vapor Genera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Cigarette
GB201917454D0 (en) * 2019-11-29 2020-01-15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US20230337731A1 (en) 2020-05-18 2023-10-26 Philip Morris Products S.A. Mouthpie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DE102020212952A1 (de) 2020-10-14 2022-04-1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nhalato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Inhalators
WO2023112219A1 (ja) * 2021-12-15 2023-06-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661A (ko) * 1996-06-17 1999-05-25 미즈노 마사루 향미생성물품
KR20140037270A (ko) * 2011-08-19 2014-03-26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흡인기
EP1412829B1 (en) * 2001-07-31 2014-03-26 Philip Morris Products S.a.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olatilized liquid
US20140238422A1 (en) * 2013-02-22 2014-08-28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20150117842A1 (en) 2013-10-31 2015-04-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Positive Displacement Aerosol Delivery Mechanism
KR20150114409A (ko) 2014-03-28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햅틱 피드백 시스템 및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는 방법
WO2015167000A1 (ja) * 2014-05-02 2015-11-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67079Y (zh) *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JP5041550B2 (ja) * 2006-08-01 2012-10-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
JP2009246168A (ja) * 2008-03-31 2009-10-22 Tokyo Electron Ltd 液体原料気化器及びそれを用いた成膜装置
AT509046B1 (de) * 2010-03-10 2011-06-15 Helmut Dr Buchberger Flächiger verdampfer
ES2543045T3 (es) * 2010-08-24 2015-08-14 Eli Alelov Dispositivo de inhalación que incluye los controles de uso de sustancias
CA2864832A1 (en) * 2012-02-22 2013-08-29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10004259B2 (en) * 2012-06-28 2018-06-26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servoir and heater system for controllable delivery of multiple aerosolizable materials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10098381B2 (en) * 2013-03-15 2018-10-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20140261488A1 (en) * 2013-03-15 2014-09-18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JP2014191932A (ja) * 2013-03-26 2014-10-06 Sharp Corp 加熱装置
GB201320834D0 (en) * 2013-11-26 2014-01-08 Guise Andrew Pulmonary delivery devices
GB201401524D0 (en) * 2014-01-29 2014-03-12 Batmark Ltd Aerosol-forming member
CN106659237B (zh) * 2014-04-23 2020-03-31 富特姆控股第一有限公司 具有非线圈雾化器的电子烟
GB201410171D0 (en) * 2014-06-09 2014-07-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EA033136B1 (ru) * 2014-11-10 2019-08-3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изир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без горения
PL3066941T3 (pl) * 2015-03-13 2019-12-31 Fontem Holdings 1 B.V. Podzespół generujący aerozol do elektronicznego urządzenia do palenia, elektroniczne urządzenie do palenia i sposób generowania środka wziewnego
US9936737B2 (en) * 2015-10-28 2018-04-10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dual function vapor device
ES2960621T3 (es) * 2015-11-19 2024-03-05 Fontem Ventures B V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fumar con elementos de calentamiento operados de manera no simultánea
US10455863B2 (en) * 2016-03-03 2019-10-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0368580B2 (en) * 2016-03-08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ombined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0368581B2 (en) * 2016-03-11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Multiple dispersion generator e-vaping device
US10028534B2 (en) * 2016-04-20 2018-07-24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CN109310157A (zh) * 2016-04-22 2019-02-05 尤尔实验室有限公司 具有间隔材料的气雾剂装置
US10306927B2 (en) * 2016-07-28 2019-06-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Venturi effect-driven formulation delivery in e-vaping devices
CN113662278A (zh) * 2016-08-05 2021-11-19 尤尔实验室有限公司 蒸发器的风速辅助控制
US10842188B2 (en) * 2016-12-14 2020-11-24 Rai Strategic Holdings, Inc. Smoking article for selective delivery of an aerosol precursor composition, a cartridge, and a related method
GB201702206D0 (en) * 2017-02-10 2017-03-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CA3047689A1 (en) * 2017-03-16 2018-09-2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US11596179B2 (en) * 2017-04-11 2023-03-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devices
US10792443B2 (en) * 2017-06-30 2020-10-06 Blackship Technologies Development Llc Composite micro-vaporizer wicks
GB201716735D0 (en) * 2017-10-12 2017-11-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0786010B2 (en) * 2017-12-15 2020-09-2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multiple aerosol delivery pathways
US11206864B2 (en) * 2018-03-26 2021-12-28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providing flavor control
US20200068949A1 (en) * 2018-08-28 2020-03-05 Fontem Holdings 1 B.V. Dual-tank electronic cigarett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661A (ko) * 1996-06-17 1999-05-25 미즈노 마사루 향미생성물품
EP1412829B1 (en) * 2001-07-31 2014-03-26 Philip Morris Products S.a.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olatilized liquid
KR20140037270A (ko) * 2011-08-19 2014-03-26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흡인기
US20140238422A1 (en) * 2013-02-22 2014-08-28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20150117842A1 (en) 2013-10-31 2015-04-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Positive Displacement Aerosol Delivery Mechanism
US20150117841A1 (en) 2013-10-31 2015-04-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Pressure-Based Aerosol Delivery Mechanism
KR20150114409A (ko) 2014-03-28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햅틱 피드백 시스템 및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는 방법
WO2015167000A1 (ja) * 2014-05-02 2015-11-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266A (ko)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88798B (zh) 2022-05-17
EP3520633A1 (en) 2019-08-07
TWI731154B (zh) 2021-06-21
CN109788798A (zh) 2019-05-21
EP3520633A4 (en) 2020-05-27
KR102343713B1 (ko) 2021-12-24
US20190223512A1 (en) 2019-07-25
JPWO2018066088A1 (ja) 2019-06-24
CA3039146A1 (en) 2018-04-12
JP6829727B2 (ja) 2021-02-10
TW201813528A (zh) 2018-04-16
US11712065B2 (en) 2023-08-01
CA3039146C (en) 2021-07-13
EA201990871A1 (ru) 2019-08-30
WO2018066088A1 (ja)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313A (ko)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US10966465B2 (en)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543334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US20210169148A1 (en) Suction component generator, method for controlling suction component generator, and program therefor
JP6539245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RU27584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JP6325047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制御方法
JP5717218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
JP7434301B2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そのための加熱チャンバ
CN109393580B (zh) 具有改良的气溶胶生成的气溶胶产生系统
CN103945716A (zh) 具有气溶胶生成控制装置的电操作的气溶胶产生系统
WO2017108268A1 (en) An electrically oper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 liquid pump
JP6909358B2 (ja) 香味生成装置、電源ユニット、香味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2000051A (zh) 電源單元、香味產生裝置、方法及程式
KR20220119110A (ko) 표면 탄성파 무화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기
JP6919088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549747A (ja) 超音波基盤エアゾール発生装置およびそのカートリッジ認識方法
EA041374B1 (ru)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и распыляющий модуль
TWI656848B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及包裝體
JP7411100B2 (ja) 超音波振動式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装置を制御する方法
RU279152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озданием аэрозоля в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е,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хема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ы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ля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CN118044646A (zh) 电子雾化装置及电子雾化装置的雾化控制方法
CN116763009A (zh) 电子雾化装置及电子雾化装置的控制方法
EA043642B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не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