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124A -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124A
KR20190059124A KR1020170156767A KR20170156767A KR20190059124A KR 20190059124 A KR20190059124 A KR 20190059124A KR 1020170156767 A KR1020170156767 A KR 1020170156767A KR 20170156767 A KR20170156767 A KR 20170156767A KR 20190059124 A KR20190059124 A KR 20190059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office equipment
manag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016B1 (ko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0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코드가 부여되어 식별될 수 있으며, 소모품이 장착되어 이용에 따라 상기 소모품이 소모되는 사무기기의 상기 소모품의 사용양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고객단말기;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무기기의 소모품의 소진시기를 체크하여, 상기 소진시기가 기설정된 교체시기와 매칭되면, 상기 기설정된 소모품데이터부에 상기 소모품의 여부 및 소모품 양을 체크하여 소비량에 대한 소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단말기로 방문시기에 대한 정보인 방문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자단말기; 및
기설정된 영역을 분리한 복수의 소영역 중 어느 하나의 소영역에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배정하고, 상기 소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객단말기를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소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모정보가 기설정된 알람영역에 위치되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소모품 구매에 대한 구매정보를 송신하는 메인단말기
를 포함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SYSTEM OF MANAGING BUSINESS MACHINE}
본 기술은 사무기기를 렌탈, 관리하는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관리자는 할당된 영역만을 관리하여,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은 균일화되며, 신속한 사무기기 관리 시스템을 받을 수 있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무직은 지적, 정신적 노동을 수행하도록 고용된 자를 의미한다. 사무직이 지적, 정신적 노동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근무 시간동안 모든 집중력이 부여받은 업무에만 집중되도록 하여야 한다.
사무기기는 이러한 사무직의 업무를 돕기 위하여 사무실에 설치되는 장치로, 노트북, 데스크탑, 네트워크 통신 장비, 디지털복합기, 컬러복합기, 문서세단기, 스캐너, 디스플레이 등 영상장비, 책상, 의자, 정수기, 냉난방 용품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한다.
고용된 사람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되는 사무기기는 다양한 소모품(예를 들면, 복합기의 잉크, 용지 등)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소모품을 제때에 교체되어야 하는데, 이 소모품을 교체하는 시기를 관리하는 것 자체가 또 하나의 업무가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된다.
앞서서 살펴보았듯이, 사무기기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하는데, 이 기기의 관리를 담당하는 사람은 각각 렌탈 업체에 연락을 하여야 하고, 각각의 장치에 소모품의 소비여부를 체크하여야 하는 등 잔업이 발생되어 본인의 주된 업무를 수행하는데 소비하여야 하는 에너지가 상당 부분 낭비될 수밖에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렌탈업체의 경우 정기적으로 정해진 시기에 기기가 설치된 사무실을 방문하기는 하지만 정기적 방문으로 갑작스레 발생되는 문제들을 커버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한편, 사무기기를 렌탈하는 업체의 입장을 살펴보면 대규모의 기업이 아닌 소규모의 사무실로 운영되고 있으며, 업체 각각이 직접 각각의 회사에 사무기기의 납품을 위하여 영업을 하여야 하며, 또한, 사무기기가 비용이 저렴한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사무기기를 소지하고 있지 못하고 특정 영역에 사용되는 사무기기만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무기기를 렌탈하는 업체의 입장, 사무기기를 이용하는 사무실의 입장에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15-0008093" "사무기기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일본 공개특허 출원번호 "2001-365306" "대여 기기 관리 시스템 및 대여 기기"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1999-0028706" "자기카드를 이용한 사무기기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OFFICE MACHINERY TO USING MAGNETIC CARD)"
본 발명은 사무기기 렌탈 업체가 각각 별도의 영업을 하지 않고도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규모 광고비를 지출하면 각각의 사무기기 렌탈 업체의 브랜드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무실에 렌탈된 사무기기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에게 균일화된 사무기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은 코드가 부여되어 식별될 수 있으며, 소모품이 장착되어 이용에 따라 상기 소모품이 소모되는 사무기기의 상기 소모품의 사용양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고객단말기;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무기기의 소모품의 소진시기를 체크하여, 상기 소진시기가 기설정된 교체시기와 매칭되면, 상기 기설정된 소모품데이터부에 상기 소모품의 여부 및 소모품 양을 체크하여 소비량에 대한 소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단말기로 방문시기에 대한 정보인 방문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자단말기; 및 기설정된 영역을 분리한 복수의 소영역 중 어느 하나의 소영역에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배정하고, 상기 소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객단말기를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소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모정보가 기설정된 알람영역에 위치되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소모품 구매에 대한 구매정보를 송신하는 메인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단말기는 비용을 정산하는 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영역에는 각각에 대한 비용이 산출되어 매칭된 지역관리데이터부를 포함하여서, 관리자단말기가 비용을 입금하면 상기 정산부는 비용을 확인하고, 상기 지역관리데이터부에서 상기 관리자가 입금한 비용에 매칭된 지역에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소영역에 배정된 관리자단말기는 제1사무기기를 관리하는 제1관리자단말기와 제2사무기기를 관리하는 제2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단말기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무기기의 렌탈 및 관리를 요청하는 정보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관리자단말기 송신하면 상기 제1관리자단말기는 상기 제2관리자단말기에 상기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객단말기가 상기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무기기의 렌탈 및 관리를 요청하는 정보인 요청확정정보를 생성하고, 비용을 입금하면, 상기 메인단말기의 정산부는 기설정된 수수료를 연산하여 상기 수수료는 제1관리자단말기로 배당하고, 차액은 상기 제2관리자단말기로 배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메인단말기는, 광고를 수행하는 광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부는 상기 소영역에 배정된 복수의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기설정된 기간에 기설정된 광고비용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메인단말기의 정산부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소모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소영역에 따라 매출비용에 대한 정보인 매출비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역관리데이터부로 송신하고, 상기 지역관리데이터부는 기설정된 영역을 상기 매출비용정보에 따라 재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사무기기를 렌탈하는 업체와 다른 사무기기를 렌탈하는 업체가 고객사를 공유함으로써 영업에 대한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은 각각의 업체를 대표하는 하나의 브랜드를 광고함으로써 각각의 사무기기 렌탈 업체가 광고의 효과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은 설정된 영역을 분할한 소영역마다 어느 하나의 사무기기를 관리, 감독하도록 배정함으로써 고객에게 균일화되며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설정된 영역을 소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일실시예에 의한 소영역에 배정된 관리자단말기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소영역이 재소영역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소모품을 긴급 공수하는 경우 각 단말기관의 신호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은 메인단말기(100), 관리자단말기(200), 고객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메인단말기(100), 관리자단말기(200), 고객단말기(300)는 각각 정보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10, 210, 310)와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220, 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 또는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은 무선 통신으로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WAVE, 지그비(Zigbee)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단말기가 정보를 송신, 수신할 때 송신부와 수신부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도록 하겠다.
메인단말기(100)는 지역관리데이터부(140) 및 정산부(150)를 포함한다. 지역관리데이터부(140)는 관리자데이터부(142) 및 고객데이터부(141)를 포함한다. 관리자데이터부(142)는 관리자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부이고, 고객데이터부(141)는 고객단말기(3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부이다. 메인단말기(100)의 관리자데이터부(142)와 고객데이터부(141)에 각각 저장된 관리자단말기(200)와 고객단말기(300)는 매칭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즉, 제1관리자단말기(200)가 제1고객단말기(300)와 매칭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제1관리자단말기(200)가 어느 하나의 고객단말기(300)와 매칭될 필요는 없으며, 1 : 다(多) 또는 다(多) : 다(多)로 매칭될 수 있다.
도 2a는 설정된 영역을 소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일실시예에 의한 소영역에 배정된 관리자단말기(200)들을 도시한 것이다.
지역관리데이터부(140)는 기설정된 영역을 분리한 복수의 소영역 중 어느 하나의 소영역에 관리자단말기(200)를 매칭하고, 그리고 이 소영역에 위치하는 고객단말기(300)를 관리자단말기(200)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영역은 한반도이고, 복수의 소영역은 각각의 시, 군, 또는 도 등으로 한반도를 구분한 지역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구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분리된 각각의 소영역에는 비용이 산출되어 있다. 사무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200)는 산출된 비용을 지급하고, 소영역에 배정될 수 있다. 메인단말기(100)의 정산부(150)는 관리자단말기(200)가 지급한 비용을 확인한 후, 관리자단말기(200)를 배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소영역에는 비용을 지급하면 복수의 관리자단말기(200)가 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배정되는 복수의 관리자단말기(200)는 같은 종류의 사무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200)는 아니다. 일예시로 A라는 소영역에 배정되는 제1관리자단말기(200)는 복합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경우, A라는 소영역에 배정되는 또 다른 관리자단말기(200)인 제2관리자단말기(200)는 컴퓨터를 렌탈하고, 관리하며, 역시 A라는 소영역에 배정되는 제3관리자는 정수기를 렌탈하고, 관리한다.
이처럼, 어느 하나의 소영역에는 적어도 동일한 사무기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업체가 없도록 하여 사업권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소영역에 배정을 원하는 동일업종의 관리자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단말기(100)는 조정부(18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종의 사무기기를 렌탈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를 각각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는 각각 입력부(230)를 통하여 A라는 소영역에 배정되기를 원하는 신호를 메인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메인단말기(100)의 조정부(180)는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에 각각 동일한 소영역에 배정되고자 하는 관리자가 있음을 인지하도록 조정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조정부(180)는 제1A관리자단말기(200)와 제1B관리자단말기(200)가 송신하는 회신조정신호에 따라 조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A관리자단말기(200)와 제1B관리자단말기(200)의 회신조정신호가 일치하면 수신되는 회신조정신호에 따라 해당 회신조정신호에 매칭되는 기설정된 조정동작을 수행한다.
조정부(180)에 제1회신조정신호가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면 조정부(180)는 소영역에는 산출된 비용을 일정비율로 증액한다. 여기서,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가 증액된 산출 비용을 지급하면 비용을 지급한 관리자단말기(200)를 배정한다.
도 3은 소영역이 재소영역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조정부(180)에 제2회신조정신호가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면 조정부(180)는 소영역을 재소영역으로 분할한다. 즉, 설정된 영역을 분할하여 형성된 소영역은 다시 분할되어 재소영역으로 분할된다. 재소영에는 각각 제1A관리자단말기(200)와 제1B관리자단말기(200)가 배정된다. 이 경우 제1A관리자단말기(200)는 소영역 중 재소영역으로 분할된 한 영역의 영업권을 보장받고 제1B관리자단말기(200)는 나머지 영역에서 영업권을 보장받는다. 여기서, 제1A관리자단말기(200) 및 제1B관리자단말기(200)와 동종이 아니지만 소영역에 배정된 다른 사무기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200)는 재소영역이 아닌 소영역에 대한 영업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일예시로,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가 복합기를 렌탈하고, 관리하고, 제2관리자단말기(200)가 컴퓨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경우, 제2관리자단말기(200)는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가 영업을 보장받은 재소영역을 모두 합친 영역에서 영업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
조정부(180)에 제3회신조정신호가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면 조정부(180)는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소영역에 배정되는 것을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후 조정부(180)는 제1A관리자단말기(200), 제1B관리자단말기(200) 중 산출된 비용을 지급하는 관리자단말기(200)가 해당 소영역에 배정되는 것으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소영역 또는 재소영역에 각각 다른 종류의 사무기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200)가 배정됨으로써 각각의 관리자단말기(200)는 영업권을 공유할 수 있다. 일예시적으로 고객에 복합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관리자가 고객이 컴퓨터의 렌탈 및 관리를 하는 관리자가 있는지 문의를 하면, 동일한 소영역에 배정된 컴퓨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관리자를 소개하여 주는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사무기기(복합기)를 관리하는 제1관리자단말기(200)에 고객단말기(300)가 입력부(330)를 이용하여 제2사무기기(컴퓨터)의 렌탈 및 관리를 요청하는 정보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면 제1관리자단말기(200)는 제2사무기기를 관리하는 제2관리자단말기(200)에 해당 요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사무실에 렌탈되는 사무기기는 복수인 것에 착안하여 각 소영역에 배정된 관리자단말기(200)간의 영업권을 공유하면 상부상조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위와 같은 경우 제1사무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고객을 제2사무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소개한 대가로, 수수료에 해당되는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즉, 고객단말기(300)가 입력부(330)를 이용하여 제2사무기기의 렌탈 및 관리를 요청하는 정보인 요청확정정보를 생성하고, 비용을 입금하면 정산부(150)는 기설정된 수수료를 연산하여 수수료를 제1관리자단말기(200)로 배당하고, 제1관리자단말기(200)에 배당된 나머지 차액은 제2관리자단말기(200)로 배당한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사무용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영업권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은 단일한 브랜드를 가지게 된다. 일예시로 단일한 브랜드가 "K"인 경우, 제1사무기기(복합기)에도 "K"라는 브랜드가 부여되고, 제2사무기기(컴퓨터)에도 "K"라는 브랜드가 부여된다.
각각의 사무기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관리자는 영세인 경우가 많으므로 광고를 하는데 비용적 부담을 가지게 된다. 이 비용적 부담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브랜드를 부여하고 이 브랜드를 광고하면 각종 사무기기를 렌탈하고, 관리하는 영세 관리자 각각이 광고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메인단말기(100)는 광고부(130)를 포함한다. 광고부(130)는 SNS, 쇼설네트워크, 인터넷, TV, 모바일 등 다양한 매체에 브랜드 "K"를 광고한다.
광고부(130)의 광고를 위한 비용은 복수의 관리자가 작은 광고비용을 지급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광고부(130)는 광고에 필요한 비용을 설정된 기간 등 설정된 조건에 따라 소영역에 각각 배정된 각각의 관리자단말기(200)에 광고비용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것이다. 관리자단말기(200)는 광고비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비용을 입금하면 정산부(150)는 해당 비용의 입금을 확인한다. 이렇게 모집된 광고비용은 더 큰 광고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인단말기(100)는 광고비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비용을 입금하지 않은 관리자단말기(200)에는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도록 패널티부(160)를 포함하는데, 패널티부(1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메인단말기(100)는 메인소모품데이터부(170)를 포함하고, 관리자단말기(200)는 알림연산부,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250)를 포함한다.
고객의 사무실에 배치된 사무기기에는 각각 다른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각각 다른 코드를 통하여 사무기기는 식별되어 인식될 수 있다. 사무기기에는 소모품이 장착되어 있다. 사무기기는 동작되는 경우 소모품 사용양을 포함하는 사용정보 및 사무기기의 동작의 원활한 동작 유무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송신한다. 고객단말기(300)는 사용정보,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관리자단말기(200)는 사용정보,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사무기기의 소모품의 소진시기를 체크한다. 여기서, 사무기기는 코드가 부여되어 식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관리자단말기(200)의 연산알림부는 사용정보를 수신하고 연산된 소진시기가 기설정된 교체시기와 매칭되는지를 체크하여, 교체시기와 매칭되면 알림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관리자는 알림을 통하여 사무기기의 소모품 교체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고, 관리자단말기(200)는 입력부(230)를 통하여 방문일정에 대한 방문신호를 고객단말기(300)로 송신하고, 고객단말기(300)가 이를 허여하는 응답신호를 관리자단말기(200)로 송신하면 관리자는 고객의 사무실로 방문하여 사무기기의 소모품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기(200)의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250)에서 소모품의 여부 및 소모품 양을 체크하여 소비량에 대한 소모정보를 생성한다.
소모정보는 메인단말기(100)로 송신된다. 메인단말기(100)는 수신된 소모정보를 기설정된 알람영역과 매칭시킨다. 이를 통하여 소영역에 배정된 관리자의 소모품의 수량을 체크할 수 있다. 만약 관리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수신된 소모정보가 알람영역에 매칭되는 경우, 메인단말기(100)는 메인소모품데이터부(170)에 소모품의 수량을 체크하고, 충분한 양의 소모품이 존재하면 관리자단말기(200)로 소모품의 구매에 대한 정보인 구매정보를 송신한다. 관리자단말기(200)가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구매를 요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면 메인단말기(100)는 해당 소모품을 소영역으로 배송업체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기(300)와 관리자단말기(200)는 GPS수신부(260, 340)를 포함한다. 배송업체는 GPS부(240)를 통하여 해당 위치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고객과 관리자는 소모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은 관리자가 소모품을 교체하러 이동하는 경우, 고객단말기(300)의 GPS수신부(340)를 통하여 관리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4는 소모품을 긴급 공수하는 경우 각 단말기관의 신호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고객이 긴급으로 소모품을 교체를 요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200)는 연산알림부를 통하여 긴급공수신호를 송신한다. 긴급공수신호를 수신한 메인단말기(100)는 지역관리데이터부(140), 메인소모품데이터부(170)를 이용하여 긴급공수신호를 송신한 관리자단말기(200)와 동종의 사무기기를 렌탈, 관리하며 긴급 공수를 요하는 소모품을 가지고 있는 회사로 해당 긴급공수신호를 송신한다. 긴급공수신호를 수신한 관리자단말기(200)의 업체는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250)를 통하여 소진되는 소모품에 대한 소모정보를 메인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소모품을 인접한 긴급공수신호를 송신한 관리자단말기(200)가 위치한 위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긴급공수신호에 고객단말기(3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사무기기가 설치된 고객으로 곧바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단말기(200), 고객단말기(300)의 GPS수신부(260, 340)를 통하여 소모품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관리자단말기(200)의 연산알림부는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사무기기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한 후, 오작동되는 경우 알림 동작을 수행한다.
연산알림부에는 사무기기의 오작동이 유형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유형에 따라 대응되는 유형별신호를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250)로 출력한다.
유형별신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무기기가 컴퓨터인 경우, 전원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메인보드, 전원단자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체크를 위하여 제1유형별신호를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250)로 출력한다.
또 다른 예로는 컴퓨터가 네트워크 접속이 안되는 경우 메인보드, 랜카드 등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체크를 위하여 제2유형별신호를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250)로 출력한다.
이를 통하여 사무기기가 오작동 시 필요한 소모품을 체크하고, 소모품이 존재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200)는 입력부(230)를 통하여 방문일정에 대한 방문신호를 고객단말기(300)로 송신하고, 고객단말기(300)가 이를 허여하는 응답신호를 관리자단말기(200)로 송신하면 관리자는 고객의 사무실로 방문하여 오작동 되는 사무기기를 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소모품을 체크한 경우, 소모품이 부존재하거나 수량이 부족하면 전술한 사용정보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통하여 소모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고객이 위치한 소영역을 기반으로 인근에 관리자가 배정됨으로 사무기기에 문제가 발생 시 재빠른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단말기(100)는 패널티부(160)를 포함한다. 고객은 고객단말기(300)의 입력부(330)를 통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한 평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메인단말기(100)의 패널티부(160)는 평가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며, 문제점을 시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단말기(100)의 패널티부(160)는 전술하여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광고비용을 입금하지 않은 관리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하여 비용입금을 하도록 독촉할 수 있다.
메인단말기(100)의 지역관리데이터부(140)는 재설정될 수 있다.
메인단말기(100)의 정산부(150)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소모정보를 연산하여 각각의 소영역에 따라 매출비용에 대한 매출비용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매출비용정보는 각각의 사무기기를 렌탈하는 종류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메인단말기(100)는 매출비용정보를 수신하고, 지역관리데이터부(140)를 수정하여 소영역을 재편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소영역 간의 매출의 불균형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메인단말기 110 : (메인단말기의) 송신부
120 : (메인단말기의)수신부 130 : 광고부
140 : 지역관리데이터부 141 : 고객데이터부
142 : 관리자데이터부 150 : 정산부
160 : 패널티부 170 : 메인소모품데이터부
180 : 조정부 200 : 관리자단말기
210 : (관리자단말기의)송신부 220 : (관리자단말기의)수신부
230 : (관리자단말기의)입력부 240 : GPS부
250 : 관리자소모품데이터부
260 : (관리자단말기의)GPS수신부
300 : 고객단말기 310 : (고객단말기의)송신부
320 : (고객단말기의)수신부 330 : (고객단말기의입력부
340 : (고객단말기의)GPS수신부

Claims (6)

  1. 코드가 부여되어 식별될 수 있으며, 소모품이 장착되어 이용에 따라 상기 소모품이 소모되는 사무기기의 상기 소모품의 사용양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고객단말기;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무기기의 소모품의 소진시기를 체크하여, 상기 소진시기가 기설정된 교체시기와 매칭되면, 상기 기설정된 소모품데이터부에 상기 소모품의 여부 및 소모품 양을 체크하여 소비량에 대한 소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단말기로 방문시기에 대한 정보인 방문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자단말기; 및
    기설정된 영역을 분리한 복수의 소영역 중 어느 하나의 소영역에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배정하고, 상기 소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객단말기를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소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모정보가 기설정된 알람영역에 위치되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소모품 구매에 대한 구매정보를 송신하는 메인단말기
    를 포함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는
    비용을 정산하는 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영역에는 각각에 대한 비용이 산출되어 매칭된 지역관리데이터부를 포함하여서,
    관리자단말기가 비용을 입금하면 상기 정산부는 비용을 확인하고, 상기 지역관리데이터부에서 상기 관리자가 입금한 비용에 매칭된 지역에 상기 관리자단말기를 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영역에 배정된 관리자단말기는 제1사무기기를 관리하는 제1관리자단말기와 제2사무기기를 관리하는 제2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단말기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무기기의 렌탈 및 관리를 요청하는 정보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관리자단말기 송신하면 상기 제1관리자단말기는 상기 제2관리자단말기에 상기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가 상기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무기기의 렌탈 및 관리를 요청하는 정보인 요청확정정보를 생성하고, 비용을 입금하면,
    상기 메인단말기의 정산부는 기설정된 수수료를 연산하여 상기 수수료는 제1관리자단말기로 배당하고, 차액은 상기 제2관리자단말기로 배당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는,
    광고를 수행하는 광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부는 상기 소영역에 배정된 복수의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기설정된 기간에 기설정된 광고비용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의 정산부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소모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소영역에 따라 매출비용에 대한 정보인 매출비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역관리데이터부로 송신하고, 상기 지역관리데이터부는 기설정된 영역을 상기 매출비용정보에 따라 재분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56767A 2017-11-22 2017-11-22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767A KR102020016B1 (ko) 2017-11-22 2017-11-22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767A KR102020016B1 (ko) 2017-11-22 2017-11-22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124A true KR20190059124A (ko) 2019-05-30
KR102020016B1 KR102020016B1 (ko) 2019-11-04

Family

ID=6667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767A KR102020016B1 (ko) 2017-11-22 2017-11-22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71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커피머신 렌탈관리 시스템
KR102602745B1 (ko) * 2022-07-05 2023-11-16 성민오 통합 렌탈 정기점검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601A (ko) * 2002-05-16 2002-06-05 김종영 컴퓨터 유지보수 전문점의 비즈니스 모델
KR20140010597A (ko) * 2012-07-16 2014-01-27 심익보 판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1379A (ko) * 2014-01-03 2015-07-14 이영우 사무기기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601A (ko) * 2002-05-16 2002-06-05 김종영 컴퓨터 유지보수 전문점의 비즈니스 모델
KR20140010597A (ko) * 2012-07-16 2014-01-27 심익보 판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1379A (ko) * 2014-01-03 2015-07-14 이영우 사무기기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1999-0028706" "자기카드를 이용한 사무기기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OFFICE MACHINERY TO USING MAGNETIC CARD)"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15-0008093" "사무기기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71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커피머신 렌탈관리 시스템
KR102602745B1 (ko) * 2022-07-05 2023-11-16 성민오 통합 렌탈 정기점검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016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54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llocate unmanned aircraft systems
CA2469699C (en) Delivery of goods to electronic storage lockers
US20020055883A1 (en) Collecting method by information processor, and ordering method or sale method
US20180349835A1 (en) Server and system
US20070088613A1 (en)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maging supply items for an organization
JP2002297969A (ja) 機器管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機器、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並びに機器管理プログラム
CN104219326A (zh) 保洁服务信息管理系统中的资源共享装置和方法
CN107015772B (zh) 中间设备及方法
KR20190059124A (ko) 통합 사무기기 서비스 시스템
JP2022119152A (ja) 物品の注文が可能であるかどうかに対する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911291B2 (ja) 消耗品管理サーバーおよび消耗品管理システム
Ch et al.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JP4746779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情報送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8292255A (zh) 管理系统、管理装置、设备、信息管理方法和程序
US11715065B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irtual distribution center inventory for localized fulfilment
JP2004203531A (ja) 商品の適正在庫管理
JP2006209673A (ja) 分散出力集配システム、管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08964A (ko) 온라인 쇼핑몰에 있어서의 고객 전화번호 처리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한 임시 전화번호 관리 시스템
JP2006206304A (ja) 分散出力集配システム、管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01497B1 (ko) 사무기기 관리시스템
JP2021082178A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90037859A (ko) 사무기기 사용정보 수집장치
JP2020091569A (ja) 提供装置及び処理システム
JP4429283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20230107004A (ko) Erp로 운영하는 라이브커머스 통합 서비스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