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107A - 말벌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말벌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107A
KR20190059107A KR1020170156723A KR20170156723A KR20190059107A KR 20190059107 A KR20190059107 A KR 20190059107A KR 1020170156723 A KR1020170156723 A KR 1020170156723A KR 20170156723 A KR20170156723 A KR 20170156723A KR 20190059107 A KR20190059107 A KR 2019005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signal
receiving
inlet
targ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523B1 (ko
Inventor
한성용
Original Assignee
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용 filed Critical 한성용
Priority to KR102017015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5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09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comparison
    • G01N29/4436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comparison with a reference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01V9/005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by thermal methods, e.g. after generation of heat by chemical re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phys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말벌 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 탐지 시스템은 대상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센서 또는 상기 대상 공간의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말벌 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WASP}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말벌 탐지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벌꿀 등을 생성하기 위해 꿀벌을 기르는 양봉원 등에서 말벌에 의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다. 양봉의 천적은 장수말벌이다. 장수말벌의 크기는 꿀벌의 크기보다 3배 정도 크며, 장수말벌은 날카롭고 강력한 턱으로 꿀벌을 물어 죽인다. 따라서, 말벌로 인한 양봉원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벌통 주위에 말벌을 없애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에는 벌통 주위에 말벌을 탐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주로 말벌과 꿀벌의 크기 차이를 이용한 영상 분석을 통해 말벌을 탐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실제 말벌이 없는데도 말벌과 크기가 비슷한 물체의 이동이 탐지되는 경우 말벌이 존재한다고 잘못 판단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이러한 오판 없이 말벌을 탐지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판 없이 말벌을 탐지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센서 또는 상기 대상 공간의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음파 중 설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음파 중 150Hz 이상 200Hz 이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온도가 40°C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구 폐쇄 신호, 경보 알림 신호 또는 말벌 퇴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벌 퇴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퇴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설정시간 동안 폐쇄시키는 폐쇄부; 및 상기 말벌 퇴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퇴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부; 상기 대상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을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파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말벌의 존재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오판 없이 말벌을 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 탐지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예시도
도 3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구성들은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설명 또는 도시되지만, 이는 각각의 기능적인 부분을 나누어 설명하기 위하여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설명 또는 도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은 별개의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은 동일한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각각의 구성은 서로 전기적인 연결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 탐지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 탐지 시스템(100)은 센싱부(110), 판단부(120), 신호생성부(130), 폐쇄부(140), 퇴치부(150), 송신부(160), 촬영부(170) 및 수신부(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설명 또는 도시되지만, 이는 각각의 기능적인 부분을 나누어 설명하기 위하여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설명 또는 도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은 별개의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은 동일한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각각의 구성은 서로 전기적인 연결을 포함한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센싱부(110)는 대상 공간(230)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센서 또는 대상 공간(230)의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음파 센서는 대상 공간(230)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음파 센서는 대상 공간(230)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센서는 벌통(210)의 내부 일측이나 외부 근방에 설치 수도 있다. 또한, 음파 센서는 별도의 음향 차폐 수단을 구비하여 대상 공간(230)에서 발생되는 음파만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음파 센서는 대상 공간(230)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수신하기만 하면 될 뿐이므로, 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 및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파 센서는 실제 산업분야에서 음파 센서로 통칭되는 센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센서가 음파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대상 공간(230)의 온도를 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대상 공간(2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센서는 벌통(210)의 내부 일측이나 외부 근방에 설치 수도 있다. 다만, 음파 센서는 대상 공간(230)의 온도를 측정하기만 하면 될 뿐이므로, 온도 센서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온도 센서는 실제 산업분야에서 온도 센서로 통칭되는 센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가 온도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대상 공간(230)는 도 2에서 벌통(210)의 입구 앞쪽의 작은 공간인 것처럼 묘사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벌통(210) 주위 전체를 포함하는 넓은 공간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벌통(210)의 입구의 크기가 꿀벌들의 크기와 대비할 때 비교적 크게 묘사되었으나, 꿀벌들이 간신히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판단부(120)는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출력 데이터는 음파 센서의 주파수 데이터 또는 온도 센서의 온도 데이터일 수 있다.
날개 달린 곤충들은 곤충의 종류에 따라 크기나 성질 등이 다르기 때문에 곤충의 종류에 따라 날개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말벌의 날갯짓 주파수와 꿀벌의 날갯짓 주파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보통, 말벌의 날갯짓 주파수는 약 150Hz에서 200Hz 범위이며, 꿀벌의 날갯짓 주파수는 약 220Hz에서 300Hz 범위이다.
판단부(120)는 수신된 음파 중 설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공간(230)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수신된 음파 중 150Hz 이상에서 200Hz 이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공간(230)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곤충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곤충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곤충의 종류를 판단함에 있어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동물의 종류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보통, 꿀벌은 52°C 온도에서까지 살아남을 수 있으며, 말벌은 약 46°C 온도에서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 벌통 주변에 말벌이 나타나면 꿀벌들 수십 마리가 말벌을 둘러싸고 날개를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이 약 46°C가 넘어가면 말벌은 죽게 된다. 또한, 꿀벌과 말벌의 평상시 체온은 약 33-36°C이다. 또한, 꿀벌의 습성을 고려하더라도 꿀벌의 온도가 40°C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은 거의 이례적이다.
판단부(120)는 대상 공간(230)의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대상 공간(230)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대상 공간(230)의 온도가 40°C 이상인 경우, 대상 공간(230)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단부(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30)는 대상 공간(230)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구 폐쇄 신호, 경보 알림 신호 또는 말벌 퇴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폐쇄부(140)는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210)의 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폐쇄부(140)는 차폐 장치(220)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구를 폐쇄시키는 방법은 차폐 장치(220)를 움직이게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말벌이 벌통(210)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거나 꿀벌이 벌통(210)의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방법 예를 들어, 입구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차폐 장치(220)는 벌통(210)과 동일한 재질(예: 나무, 플라스틱)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퇴치부(150)는 말벌 퇴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대상 공간(230)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는, 대상 공간(230)에서 말벌의 존재가 탐지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대상 공간(230)이 넓은 경우, 말벌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말벌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송신부(160)는 수신한 경보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송신부(160)로부터 수신한 경보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송신부(16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보 알림 신호를 확인하고, 말벌을 직접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경보 알림 신호의 송수신은 서버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폐쇄부(140)는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설정시간(예: 1분) 동안 폐쇄시키고, 퇴치부(150)는 말벌 퇴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대상 공간(230)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말벌에 레이저가 조사되면, 말벌은 죽거나 다른 곳으로 도망갈 것이기 때문이다.
촬영부(170)는 대상 공간(230)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송신부(160)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송신부(16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송신부(16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감시하다가, 말벌이 없어진 것을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로 입구 개방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부(180) 또는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부(18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180)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폐쇄부(140)는,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 및 입구 개방 신호의 송수신은 서버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송신부(160)는 영상뿐만 아니라 음파 센서의 주파수 데이터 또는 온도 센서의 온도 데이터도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벌 탐지 시스템(100)은 별도의 태양광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태양광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벌 탐지 시스템(100)은 온습도조절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벌통(210) 내부의 온습도를 양봉에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는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말벌 탐지 시스템(예: 판단부(12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말벌 탐지 시스템
110 : 센싱부
120 : 판단부
130 : 신호생성부
140 : 폐쇄부
150 : 퇴치부
160 : 송신부
170 : 촬영부
180 : 수신부
210 : 벌통
220 : 차폐 장치
230 : 대상 공간

Claims (11)

  1. 대상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센서 또는 상기 대상 공간의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음파 중 설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음파 중 150Hz 이상 200Hz 이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온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온도가 40°C 이상인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공간에 말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구 폐쇄 신호, 경보 알림 신호 또는 말벌 퇴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퇴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퇴치부를 더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설정시간 동안 폐쇄시키는 폐쇄부; 및
    상기 말벌 퇴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상 공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퇴치부를 더 포함하는, 말벌 탐지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벌통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부;
    상기 대상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을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입구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구를 개방시키는, 말벌 탐지 시스템.
KR1020170156723A 2017-11-22 2017-11-22 말벌 탐지 시스템 KR10205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723A KR102056523B1 (ko) 2017-11-22 2017-11-22 말벌 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723A KR102056523B1 (ko) 2017-11-22 2017-11-22 말벌 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107A true KR20190059107A (ko) 2019-05-30
KR102056523B1 KR102056523B1 (ko) 2019-12-17

Family

ID=6667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723A KR102056523B1 (ko) 2017-11-22 2017-11-22 말벌 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5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1415A (zh) * 2021-01-08 2021-04-06 江苏久智环境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古树名木土壤环境监测系统
KR20210136336A (ko) * 2020-05-07 2021-11-17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10142867A (ko) * 2020-05-19 2021-11-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말벌 탐지 시스템 및 말벌 탐지 방법
KR20220007298A (ko) * 2020-07-10 2022-01-18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002A (ko) 2019-12-19 2021-06-29 박종덕 비전 트래킹 및 음파 트래킹 모듈을 적용한 드론
KR20220064807A (ko) * 2020-11-12 2022-05-19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17B1 (ko) *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101736288B1 (ko)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336A (ko) * 2020-05-07 2021-11-17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10142867A (ko) * 2020-05-19 2021-11-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말벌 탐지 시스템 및 말벌 탐지 방법
KR20220007298A (ko) * 2020-07-10 2022-01-18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CN112611415A (zh) * 2021-01-08 2021-04-06 江苏久智环境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古树名木土壤环境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523B1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107A (ko) 말벌 탐지 시스템
AU2014101406B4 (en) A portable aler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1825045B1 (ko) 경보 방법 및 장치
US92410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ehavior detection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US9693181B1 (en) Surveillance detection based on an identification of a carried mobile device
JP6890257B2 (ja) 音響再生システム
US201601109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larm
WO2007126839A3 (en) Security alarm system
JP2011523106A (ja) 対象及び事象を分類する映像センサ及び警報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11083198A (ja) 捕獲装置及び捕獲装置システム
Kumar et al. Sound activated wildlife capturing
Sunehra et al. An intelligent surveillance with cloud storage for home security
CN107979742A (zh) 避免危险
JP723094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u et al. Remote attacks on drones vision sensors: An empirical study
EP3906666A1 (en) A method of using a machine-readable code for instructing camera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objects
KR101928995B1 (ko) 침입 물체 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6976046B2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EP3301656A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larm system
KR20190096123A (ko)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3131010A (ja) 監視装置
US105801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olographic object
JP2007306818A (ja) 動物威嚇装置
EP3729390B1 (en) System comprising alarm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