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123A -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123A
KR20190096123A KR1020180015687A KR20180015687A KR20190096123A KR 20190096123 A KR20190096123 A KR 20190096123A KR 1020180015687 A KR1020180015687 A KR 1020180015687A KR 20180015687 A KR20180015687 A KR 20180015687A KR 20190096123 A KR20190096123 A KR 2019009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osquito
mosquitoes
natur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090B1 (ko
Inventor
장두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에는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 모기의 종류에 따른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를 통해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서 감지된 고유주파수로 모기의 종류 및 퇴치주파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출력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MOSQUITO REPE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mosquito)는 사람과 가축을 공격, 흡혈하고 자상을 입히는 곤충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모기는 저녁부터 새벽에 주로 활동하는 야행성 곤충으로서, 25~30℃의 온도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력을 보이며 대략 6시간 정도 활동한다. 주로 여름철에 많이 활동하나, 요즘에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온도의 전반적인 상승 및 난방의 잘 이루어지므로 인해 겨울 직전인 늦가을까지 활동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모기는 사람에 접근하여 혈관을 찾고 피를 빨아 먹는다. 이때, 자신의 침샘에 혈액이 응고되지 않게 하는 물질을 넣어두고, 사람을 물때 상기 물질을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은 물질이 사람의 면역체계와 반응해 알레르기를 일으키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모기는 상기한 응고방지물질 말고도 각종 병원균을 사람에게 옮겨 말라리아(malaria), 상피병(filaria),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황열(yellow fever), 뎅기열(dengue) 등의 질병을 매개한다.
그에 따라, 모기는 옛날부터 위해 해충으로 알려져있으며, 모기를 퇴치를 위한 방안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제 1 선행문헌 : 공개특허 10-2017-0035452 (2017년 3월 31일 공개), 웨어러블 타입의 초음파 모기 퇴치기
상기 제 1 선행문헌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의 초음파를 출력하여 모기를 퇴치하는 웨어러블 타입의 초음파 모기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모기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 모기가 싫어하는 주파수를 발생시켜 모기를 퇴치시킨다. 또한, 주파수가 아닌 냄새, 물질 등을 발생시켜 모기를 퇴치한다.
이때, 모기는 전세계에 약 3500종이 존재하며, 한국에도 5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모기는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갖지 않으며, 서로 싫어하는 주파수 등이 다르다. 따라서, 특정 주파수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 모기의 종류에 따라 퇴치할 수 없는 종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국과의 활발할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외래 모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모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특정 주파수 등을 발생시키는 것은 모기 퇴치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그를 퇴치시키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모기퇴치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의 소리를 수신 및 증폭시켜 고유주파수를 판별하여 해당 모기의 종류를 알 수 있는 모기퇴치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에는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 모기의 종류에 따른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를 통해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서 감지된 고유주파수로 모기의 종류 및 퇴치주파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출력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출력부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출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는,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입력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소리를 통해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판별하는 판별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는, 제 1 고유주파수 및 제 1 퇴치주파수를 갖는 제 1 모기, 제 2 고유주파수 및 제 2 퇴치주파수를 갖는 제 2 모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퇴치주파수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주파수 출력부는 상기 제 1 퇴치주파수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출력부에는, 상기 제 1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 2 출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고유주파수 및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주파수 감지부는 상기 제 1 고유주파수 및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를 구분하여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에는,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를 퇴치하도록,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리에서 상기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고유주파수에 따른 상기 모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모기의 종류에 따른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이때, 공간 내에 복수의 모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리에서 각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기가 서로 다른 고유주파수를 갖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가 공간 내에 존재함을 판단하고, 각 모기의 종류에 다른 복수의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퇴치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 복수의 퇴치주파수는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여 상기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통해 그 종류 및 퇴치주파수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가 하나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 모기의 종류 및 퇴치주파수를 파악하여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서로 다른 퇴치주파수를 동시에 발생시켜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를 동시에 퇴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기의 종류를 파악함에 따라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 외래 모기의 존재를 알 수 있고, 국내로 유입되는 외래 모기를 차단하여 국내 생태계변화 및 질병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설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100)은 소정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공간 및 공간에 배치되는 물품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때,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휴대 및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에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을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기퇴치모듈(1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에는 소정의 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충전 및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100)에는 주파수 감지부(110), 메모리부(130), 제어부(120) 및 주파수 출력부(14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에는 전원 및 입력을 위한 전원부 및 입력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감지부(110)는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고유주파수란 특정 주파수 영역을 의미한다.
모기는 전세계에 약 3500종이 존재하며, 한국에도 5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모기는 모두 머리, 가슴, 배로 구분되는 곤충의 형태이지만, 날개, 머리, 귀 등이 상이한 형상 및 배치를 가진다.
따라서, 모기의 종류에 따라 고유의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기 소리는 모기가 이동하며 발생되는 모기의 날개짓 소리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모기의 종류에 따라 날개의 형태, 크기 및 배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날개짓 소리가 상이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고유의 날개짓 소리를 '고유주파수'라 한다.
또한, 상기 주파수 감지부(110)에는, 수신부(112), 증폭부(114) 및 판별부(116)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분류한 것으로, 물리적으로 구분과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12)는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입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부(114)는 상기 수신부(112)에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모기 소리는 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되나, 20~40dB정도의 작은 소리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증폭부(114)는 감지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증폭시켜 상기 판별부(116)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수신부(112) 및 상기 증폭부(114)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MP와 같은 증폭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별부(116)는 상기 증폭부(114)에서 출력된 소리를 통해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판별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증폭부(114)에서 출력된 소리에 해당되는 주파수 영역을 판별한다.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모기의 종류에 따른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저장된다. 이때, 퇴치주파수는 상기 고유주파수와 같이 특정 주파수 영역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많은 종류의 모기가 존재하고, 각 모기의 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기의 귀는 머리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더듬이형상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A 모기는 양쪽 귀가 비교적 가까운 위치되고, B 모기는 양쪽 귀가 비교적 멀리 위치된다.
이와 같은 귀의 형상, 배치 등의 차이로 모기의 종류에 따라 모기가 싫어하는 주파수가 상이하다. 따라서, '퇴치주파수'는 모기가 싫어하는 고유의 주파수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모기의 종류에 따라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모기의 종류와 함께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제 1 고유주파수 및 제 1 퇴치주파수를 갖는 제 1 모기, 제 2 고유주파수 및 제 2 퇴치주파수를 갖는 제 2 모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는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의해 밝혀진 외래 모기의 데이터도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모기에 대한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래 모기가 유입되는 배나 비행기 등에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을 설치하여 국내로 유입되는 외래 모기를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국내 생태계변화 및 질병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30)를 통해 상기 주파수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고유주파수로 모기의 종류 및 퇴치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판별부(116)를 통해 고유주파수에 해당되는 소정의 주파수 영역의 정보가 전달된다. 이와 같은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기의 종류에 따른 모기가 싫어하는 소정의 주파수 영역, 즉, 퇴치주파수를 알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판단된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주파수 출력부(140)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출력부(142, 144)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출력부만을 도시하였으나 출력부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출력부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물리적인 구분을 의미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주파수 출력부(140)는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의 주파수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출력부(142)와 제 2 출력부(144)에서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된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퇴치모듈(100)이 ON되고(S10),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된다(S20). 이때,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되고 모기퇴치모듈이 ON될 수 있다. 즉, 모기퇴치모듈은 ON되어 대기상태로 있거나, 모기퇴치신호에 따라 ON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기퇴치신호는 전원입력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될 때부터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 소리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의 절약 등을 위해 상기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되면,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의 소리를 수신한다(S30). 이때, 소리의 수신 및 증폭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모기의 소리에서 고유주파수를 판별한다(S40).
또한, 판별된 고유주파수를 통해 모기의 종류를 파악하고(S50), 그에 대응되는 퇴치주파수를 파악하여 발생시킨다(S60). 그에 따라, 해당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모기가 하나의 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서로 다른 종류에 해당되는 A 모기와 B 모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A 모기는 제 1 고유주파수 및 제 1 퇴치주파수를 갖고, B 모기는 제 2 고유주파수 및 제 2 퇴치주파수를 갖는다.
또한, A 모기와 B 모기는 서로 다른 종류에 해당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고유주파수와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 1 퇴치주파수와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해당된다.
물론, 서로 다른 종류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고유주파수 또는 퇴치주파수가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는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상이한 종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모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S30), 상기 수신된 소리에서 각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S40). 즉, A 모기 및 B 모기의 소리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여 각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주파수 감지부(110)는 상기 제 1 고유주파수 및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유주파수 및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를 통해 A 모기 및 B 모기가 공간 내에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다(S50). 즉, 상기 복수의 모기가 서로 다른 고유주파수를 갖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가 공간 내에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모기의 종류에 다른 복수의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킨다(S60). 상기와 같이, A 모기 및 B 모기가 공간 내에 존재함을 판단하고, 제 1 퇴치주파수 및 제 2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주파수 출력부(140)는 상기 제 1 퇴치주파수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출력부(140)에는, 상기 제 1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 1 출력부(142)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 2 출력부(14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출력부(140)에서 복수의 퇴치주파수는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출력부(142) 및 상기 제 2 출력부(144)가 동시에 제 1 퇴치주파수 및 제 2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를 동시에 퇴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100)은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휴대 및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에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을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100)은 다른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의 설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모기퇴치모듈(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공공장소에 설치되거나, 각 가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나사 등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접착제 등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분리가능한 상태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100)은 다른 장치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이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며 다른 장치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치가 상기 모기퇴치모듈(100)의 기능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 전원버튼(320)을 포함한 각종 버튼, 충전을 위한 충전연결부(330), 카메라(340) 및 각종 센서(3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는, 오디오 수신부(360) 및 오디오 출력부(3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수신부(360)는 주파수 감지부로, 상기 오디오 출력부(370)는 주파수 출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오디오 수신부(360)를 통해 모기의 소리를 수신하여 고유주파수를 판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370)를 통해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내부에는 제어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한 회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모기퇴치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0)를 통해 감지된 모기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기퇴치모듈은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거나, 다른 장치와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100 : 모기퇴치모듈 110 : 주파수 감지부
112 : 수신부 114 : 증폭부
116 : 판별부 120 :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40 : 주파수 출력부

Claims (12)

  1.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
    모기의 종류에 따른 고유주파수 및 퇴치주파수가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를 통해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서 감지된 고유주파수로 모기의 종류 및 퇴치주파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출력부;
    가 포함되는 모기퇴치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출력부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출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는,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입력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입력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소리를 통해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판별하는 판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제 1 고유주파수 및 제 1 퇴치주파수를 갖는 제 1 모기;
    제 2 고유주파수 및 제 2 퇴치주파수를 갖는 제 2 모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퇴치주파수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주파수 출력부는 상기 제 1 퇴치주파수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출력부에는,
    상기 제 1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제 2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 2 출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유주파수 및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주파수 감지부는 상기 제 1 고유주파수 및 상기 제 2 고유주파수를 구분하여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
  8.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기를 퇴치하도록,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모기퇴치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리에서 상기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고유주파수에 따른 상기 모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모기의 종류에 따른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공간 내에 복수의 모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리에서 각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기가 서로 다른 고유주파수를 갖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모기가 공간 내에 존재함을 판단하고,
    각 모기의 종류에 다른 복수의 퇴치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퇴치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 복수의 퇴치주파수는 동시에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여 상기 모기의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퇴치모듈의 제어방법.
KR1020180015687A 2018-02-08 2018-02-08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6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87A KR102069090B1 (ko) 2018-02-08 2018-02-08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87A KR102069090B1 (ko) 2018-02-08 2018-02-08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23A true KR20190096123A (ko) 2019-08-19
KR102069090B1 KR102069090B1 (ko) 2020-01-22

Family

ID=6780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87A KR102069090B1 (ko) 2018-02-08 2018-02-08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002B1 (ko) * 2020-08-04 2020-12-16 주식회사 굿링크 해충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44B1 (ko) 2020-06-07 2022-03-18 주식회사 더엘스타 모기 퇴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76A (ko) * 2001-08-25 2001-11-09 유경민 무선인터넷단말기에 모기쫓는 소리를 서비스하는 방법
KR20020015876A (ko) * 2000-08-23 2002-03-02 서평원 해충 퇴치용 통신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060118805A (ko) * 2005-05-17 2006-11-24 재능대학산학협력단 다중 주파수 교환출력방식을 이용한 모기퇴치장치
JP2008301747A (ja) * 2007-06-06 200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端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76A (ko) * 2000-08-23 2002-03-02 서평원 해충 퇴치용 통신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010099076A (ko) * 2001-08-25 2001-11-09 유경민 무선인터넷단말기에 모기쫓는 소리를 서비스하는 방법
KR20060118805A (ko) * 2005-05-17 2006-11-24 재능대학산학협력단 다중 주파수 교환출력방식을 이용한 모기퇴치장치
JP2008301747A (ja) * 2007-06-06 200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002B1 (ko) * 2020-08-04 2020-12-16 주식회사 굿링크 해충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90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0391B2 (en) Gunshot detection system with forensic data retention, live audio monitoring, and two-way communication
US8831232B2 (en) Anti-noise earmuff device with Bluetooth module and audio signal processor
KR102069090B1 (ko) 모기퇴치모듈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56523B1 (ko) 말벌 탐지 시스템
ATE424016T1 (de) Autonomes überwachungssystem
WO2014145978A3 (en) Speaker and light source responsive to states
WO2020003211A3 (en) Pest control system having event monitoring
EP3435870A1 (en) Sonar-based contactless vit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TE441910T1 (de) Alarmeinheit
US9922635B2 (en) Minimizing nuisance audio in an interior space
ATE393722T1 (de) Seitenspiegeleinheit und -stellantrieb
NO20004370D0 (no) Íreterminal for støykontroll
US10210726B2 (en)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20033032A3 (en) Hearing protection and noise recording systems and methods
US11354997B2 (en) Proximity warning assembly
US10775232B2 (en) Environmental sensor
EP4061103A1 (en) Neck-worn device
US20150142432A1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Processing of Incoming Audible Commands Followed by Speech Recognition
KR101807701B1 (ko) 스피커 제어 시스템
Bernstein et al. Augmented warning sound detection for hearing protectors
Espinosa-Duró et al. Beyond cognitive signals
KR20210081012A (ko) 전자발찌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5154401A1 (zh) 一种模式判断装置与方法、听力保护装置与方法及终端
US10225665B2 (en) Hearing aid system
CN214338122U (zh) 一种采用tof感应控制的定向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