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031A -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031A
KR20190059031A KR1020170156556A KR20170156556A KR20190059031A KR 20190059031 A KR20190059031 A KR 20190059031A KR 1020170156556 A KR1020170156556 A KR 1020170156556A KR 20170156556 A KR20170156556 A KR 20170156556A KR 20190059031 A KR20190059031 A KR 20190059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eg
backrest
coil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031A/ko
Priority to PCT/KR2018/014049 priority patent/WO2019103402A1/ko
Publication of KR2019005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사자가 앉는 리클라이닝 의자를 포함한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클라이닝 의자는 피검사자가 앉는 시트를 포함하며, 시트는 상기 의자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와, 회동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므로, 다리가 긴 피검사자도 보다 편안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LIMBS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 및 다리와 같은 피검사자의 사지를 촬영하기 위한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CE IMAGE, MRI)장치는 인체에 해가 없는 자기장과 비전리 방사선인 RF를 이용하여 체내의 수소 원자핵에 핵자기 공명 현상을 일으켜 원자핵의 밀도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영상화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공명영상장치는 캐비티 내부에 일정한 자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일정한 주파수와 에너지를 공급하여 원자핵으로부터 방출된 에너지를 영상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캐비티 내부의 피검사체 내부를 영상화한다.
이러한 자기공명영상장치 중에는 피검사자의 팔 및 다리, 즉, 사지에 위치한 관절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검사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은 피검사자가 앉는 리클라이닝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는 피검사자가 앉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검사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상기 시트가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의자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부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시트 레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 레버는 상기 시트부의 하면 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는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팝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암 레스트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그 양측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암 레스트들이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암 레스트들은 상기 한 쌍의 수용부에 팝업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암 레스트부와 상기 제 1 암 레스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암 레스트부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그 후방측 상부에 마련된 핸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상기 핸들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 및 상기 등받이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제 1 틸팅 레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그 후면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 및 상기 등받이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제 2 틸팅 레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피검사자가 다리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레그 레스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그 레스트는 틸팅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그 시트와, 바닥에 안착되며 상기 레그 시트를 지지하는 레그 스탠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그 시트는 피검사자의 다리가 얹혀지는 레그 시트부와, 상기 레그 시트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레스 스탠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시트부는 상기 넥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그 스탠드는 바닥에 안착되는 레그 베이스부와, 상기 레그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넥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그 시트는 그 양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그 시트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한 쌍의 레그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을 촬영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기공명영상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가 수용되는 캐비티가 마련된 코일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일 유닛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전단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환 형상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 상부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코일 유닛이 설치되는 코일 장착공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대응하도록 오목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는 시트부가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검사를 받는 피검사자가 보다 편안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측면도로 시트 및 등받이가 틸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측면도로 시트가 전방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시트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로 암 레스트가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로 암 레스트가 수용부로부터 팝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로 암 레스트가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로 제 2 암 레스트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로 헤드 레스트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리클라이닝 의자의 등받이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레그 레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레그 레스트의 측면도로 레그 시트가 틸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에 적용된 레그 레스트의 측면도로 레그 시트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10)와, 피검사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리클라이닝 의자(20)와, 리클라이닝 의자(20)에 앉은 피검사자가 다리를 얹을 수 있도록 하는 레그 레스트(30)를 포함한다.
자기공명영상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와,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일 유닛(12)을 포함한다.
본체(11)는 코일 유닛(1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일 장착공(11a)과, 본체(11)의 전면에 코일 장착공(11a)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코일 유닛(12)의 안착부(12c)가 안착되는 안착홈(11b)을 포함한다.
코일 유닛(12)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미도시)을 포함한 코일부(12b)와, 코일부(12b)의 전방측에 마련된 코일 유닛(12)이 정확한 각도로 코일 장착공(11a)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12c)와, 안착부(12c)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검사자가 코일 유닛(12)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2d)를 포함한다.
코일부(12b)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이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가 수용되는 캐비티(12a)를 형성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코일부(12b)의 후단 및 코일 장착공(11a) 후단측에는 코일 유닛(12)이 본체(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부가 각각 형성된다.
안착부(12c)는 코일부(12b)의 전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12d)는 안착부(12c) 상부로부터 대략 사다리꼴 형태로 연장된다.
코일 유닛(12)의 전방측 단부는 상술한 안착부(12c)와 손잡이부(12d)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부 및 하부가 비대칭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검사자가 코일 유닛(12)의 상부 및 하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체(11)에 마련된 안착홈(11b)은 안착부(12c) 및 손잡이부(12d)와 대응하도록 대략 원환 형상의 상부에 사다리꼴 형상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안착홈(11b)은 코일 유닛(12)이 정확한 각도로 코일 장착공(11a)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검사자가 보다 빠르게 코일 유닛(12)을 코일 장착공(11a)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 상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12c) 또는 손잡이부(12d)에는 코일 유닛(12)이 본체(11)에 정확하게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가 배치된다.
코일 유닛(12)은 캐비티(12a)의 내경이 다양하게 형성된 복수의 코일 유닛(12)을 포함한다. 이는 검사될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가 캐비티(12a)의 내면과 가능한 인접한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으로, 검사자가 다양한 코일 유닛(12)들 중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직경의 캐비티(12a)를 갖는 코일 유닛(12)을 선택적으로 본체(11)에 장착하여 검사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의자(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사자가 앉는 시트(21)와, 피검사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2)와, 시트(21) 및 등받이(22)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의자 스탠드(23)와, 등받이(22)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24)와, 등받이(22)의 양측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양팔을 지지하는 암 레스트(25)를 포함한다.
시트(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스탠드(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21a)와, 회동부(21a)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사자가 앉는 시트부(21b)를 포함한다.
회동부(21a)는 의자 스탠드(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후방측 단부에 등받이(22)가 설치되어, 시트(21) 및 등받이(22)가 회동부(21a)를 통해 세워지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눕혀질 수 있도록 한다.
시트부(21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 전방측에 마련되어 시트부(21b)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함으로써 검사자가 시트부(21b)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레버(21c)를 포함한다.
자기공명영상장치(10)를 통해 다리가 긴 피검사자를 검사할 경우나, 피검사자의 발목 관절을 검사할 할 경우, 피검사자의 다리 대부분이 시트부(21b)나 캐비티(12a) 내면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므로, 검사 시 시간 경과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트부(21b)는 회동부(21a)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검사자가 시트 레버(21c)를 눌러 시트부(21b)의 락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시트부(21b)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시트부(21b)가 피검사자의 엉덩이뿐만 아니라 허벅지 일부까지 지지하므로, 피검사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등받이(22)는 피검사자의 등을 받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동부(21a)를 통해 의자 스탠드(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등받이(22)는 그 양측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암 레스트(25)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부(22a)와, 등받이(22)의 상부에 마련된 핸들(22b)을 포함한다.
핸들(22b)은 등받이(22)의 상부로부터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검사자가 리클라이닝 의자(20)의 후방측에서 핸들(22b)을 통해 등받이(22)에 힘을 가해 시트(21) 및 등받이(22)를 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22)는 핸들(22b)에 마련되어 검사자가 리클라이닝 의자(20)의 후방측에서 시트(21) 및 등받이(22)를 락킹 및 락킹 해제 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1 틸팅 레버(22c)들과, 등받이(22)의 후면 양측에 마련되어 리클라이닝 의자(20)의 양측에서 검사자가 시트(21) 및 등받이(22)를 락킹 및 락킹 해제 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2 틸팅 레버(22d, 도 12 참조)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검사가 진행되는 환경에 따라 시트(21) 및 등받이(22)의 틸팅 각도를 리클라이닝 의자(20)의 후방과 양측 중 어느 한 곳에서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의자 스탠드(23)는 바닥에 지지되는 의자 베이스부(23a)와, 의자 베이스부(23a)의 전방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의자 스탠드부(23b)를 포함한다.
의자 베이스부(23a)는 그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캐스터를 포함하여, 리클라이닝 의자(20)가 검사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의자 스탠드부(23b)에는 상술한 회동부(21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의자 스탠드부(23b) 내부에는 상술한 제 1 틸팅 레버(22c) 및 제 2 틸팅 레버(22d)와 연결되어 회동부(21a)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락킹장치가 포함된다.
헤드 레스트(24)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부(24a)와, 등받이(2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헤드 레스트부(24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헤드 가이드부(24b)와, 헤드 가이드부(24b)에 설치되며, 헤드 가이드부(24b)의 상부에 마련되어 헤드 가이드부(24b)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헤드 레버(24c)를 포함한다.
따라서, 검사자가 헤드 레버(24c)를 눌러 헤드 레스트(24)의 락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헤드 레스트(24)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피검사자의 머리 위치에 맞춰 헤드 레스트부(24a)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암 레스트(2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22)의 두 수용부(22a)에 각각 수용된다.
암 레스트(25)는 수용부(22a)로부터 팝업 가능하게 등받이(22)에 설치되며, 수용부(22a)에 팝업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암 레스트부(25a)와, 제 1 암 레스트부(25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암 레스트부(2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암 레스트(25)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레스트(25)가 수용부(22a)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레스트(25)를 회전 시켜 암 레스트(25)가 등받이(22)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암 레스트부(25b)를 이동시켜 제 2 암 레스트부(25b)가 제 1 암 레스트(25)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암 레스트(25)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암 레스트(25)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의 반대 순서로 암 레스트(25)를 조작하여 암 레스트(25)를 수용부(22a)에 수용할 수 있다.
레그 레스트(30)는 승강 및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다리가 상측에 얹혀지는 레그 시트(31)와, 바닥에 안착되며 레그 시트(31)를 지지하는 레그 스탠드(32)를 포함한다.
레그 시트(3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가 얹혀지는 레그 시트부(31a)와, 레그 시트부(31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레스 스탠드(2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부(31b)를 포함한다. 또한, 레그 시트(31)는 그 양측 하부에 마련되어 레그 시트(31)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레그 레버(31c)를 포함한다.
레그 스탠드(32)는 바닥에 지지되는 레그 베이스부(32a)와, 레그 베이스부(32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넥부(31b)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 가이드부(32b)를 포함한다.
레그 시트부(31a)는 넥부(31b)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며, 넥부(31b)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 스탠드(3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레그 레버(31c)는 레그 시트(31)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여 레그 시트(31)가 선택적으로 승강 및 틸팅하도록 한다.
따라서, 레그 레버(31c)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레그 시트(31)는 락킹되어 승강 및 틸팅되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검사자가 레그 레버(31c)를 누르면 레그 시트(31)는 락킹 해제된다. 이와 같이 레그 시트(31)가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 검사자가 레그 시트(31)에 힘을 가해 레스 시트(21)를 틸팅 및 승강시킴으로써 레그 시트(31)의 높이 및 각도를 피검사자의 다리 위치에 맞게 세밀하게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21) 및 등받이(22)의 틸팅, 헤드 레스트(24)의 높이 조절, 시트부(21b)의 이동은 검사자가 인력(人力)을 통해 진행하도록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리클라이닝 의자 내부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를 배치하고, 상술한 제 1 틸팅 레버, 제 2 틸팅 레버, 헤드 레버 및 시트 레버가 구동장치를 동작시키는 버튼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시트 및 등받이의 틸팅,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절 및 시트부의 이동이 구동장치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트 및 등받이의 틸팅,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절 및 시트부의 이동은 리모컨을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자기공명영상장치 11: 본체
12: 코일 유닛 20: 리클라이닝 의자
21: 시트 22: 등받이
23: 스탠드 24: 헤드 레스트
25: 암 레스트 30: 레그 레스트
31: 레그 시트 32: 레그 베이스

Claims (16)

  1. 피검사자가 앉는 리클라이닝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는 피검사자가 앉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검사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상기 시트가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의자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시트 레버를 더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레버는 상기 시트부의 하면 전방측에 배치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의자는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팝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암 레스트들을 더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그 양측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암 레스트들이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부들을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암 레스트들은 상기 한 쌍의 수용부에 팝업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암 레스트부와 상기 제 1 암 레스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암 레스트부를 각각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그 후방측 상부에 마련된 핸들을 더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핸들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 및 상기 등받이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제 1 틸팅 레버를 더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그 후면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 및 상기 등받이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제 2 틸팅 레버를 더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피검사자가 다리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레그 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레스트는 틸팅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그 시트와, 바닥에 안착되며 상기 레그 시트를 지지하는 레그 스탠드를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시트는 피검사자의 다리가 얹혀지는 레그 시트부와, 상기 레그 시트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레스 스탠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시트부는 상기 넥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스탠드는 바닥에 안착되는 레그 베이스부와, 상기 레그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넥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시트는 그 양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그 시트를 락킹 및 락킹 해제하는 한 쌍의 레그 레버를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기공명영상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가 수용되는 캐비티가 마련된 코일 유닛을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전단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환 형상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 상부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코일 유닛이 설치되는 코일 장착공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대응하도록 오목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KR1020170156556A 2017-11-22 2017-11-22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KR20190059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56A KR20190059031A (ko) 2017-11-22 2017-11-22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PCT/KR2018/014049 WO2019103402A1 (ko) 2017-11-22 2018-11-16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56A KR20190059031A (ko) 2017-11-22 2017-11-22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31A true KR20190059031A (ko) 2019-05-30

Family

ID=6663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556A KR20190059031A (ko) 2017-11-22 2017-11-22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59031A (ko)
WO (1) WO20191034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5935A (zh) * 2020-11-13 2020-12-15 山东奥新医疗科技有限公司 肢体超导磁共振成像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6313B (zh) * 2021-10-19 2024-05-14 江苏麦格思频仪器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前置放大器的肢体磁共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038A (ja) * 1988-07-06 1990-01-22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4248434B2 (ja) * 2004-03-25 2009-04-02 学校法人金沢工業大学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10307320B2 (en) * 2013-03-11 2019-06-04 Backlife Ltd. Device for relieving or preventing lower back pain
CN203254996U (zh) * 2013-05-22 2013-10-30 成都蓝天实业总公司 一种带隐蔽式扶手的硅胶汽车座椅
KR101791106B1 (ko) * 2016-06-21 2017-10-27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5935A (zh) * 2020-11-13 2020-12-15 山东奥新医疗科技有限公司 肢体超导磁共振成像系统
CN112075935B (zh) * 2020-11-13 2021-02-19 山东奥新医疗科技有限公司 肢体超导磁共振成像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02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329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EP1894528B1 (en) Wheelchair
US5050899A (en) Medical crash-chair and treatment table
US7196519B2 (en) Stand-up vertical field MRI apparatus
WO1991007131A1 (en) Examination unit including positionable patient chair, examination device and support system
US5007679A (en) Reclining chair
KR20190059031A (ko) 사지 촬영용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JP2005246057A (ja) 断層撮影装置
KR101496587B1 (ko)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JP2019202626A (ja) 乗物用シート装置
US2613725A (en) Neurosurgical operating chair
JPS62109568A (ja) 治療用椅子
US8055325B1 (en) Seated patient support and use thereof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GB2113086A (en) Mobile chair
US4896917A (en) Chair for X-ray table
US7030612B1 (en) Body rest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EP2740388A1 (en) Outdoor reclining chair
KR102242796B1 (ko) 두부 전용 자기공명영상장치
JP2021074221A (ja) 歯科治療椅子
CN220069575U (zh) 一种旋转式洗澡椅
JPH07213358A (ja) 机と椅子との組合わせ
JP2007089613A (ja) 起立補助装置と起立補助椅子
EP1689286B1 (en) Stand-up vertical field mri apparatus
JP2017086480A (ja) 脊椎撮影用椅子
JPH08299387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