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788A -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788A
KR20190058788A KR1020170156060A KR20170156060A KR20190058788A KR 20190058788 A KR20190058788 A KR 20190058788A KR 1020170156060 A KR1020170156060 A KR 1020170156060A KR 20170156060 A KR20170156060 A KR 20170156060A KR 20190058788 A KR20190058788 A KR 2019005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jet
workpiece
respect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706B1 (ko
Inventor
김찬모
김덕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경
Priority to KR102017015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1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 B24C3/2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the work being supported by turntables
    • B24C3/22Apparatus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4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07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liqui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원통체 형상의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가로평면에 대한 기울임각과 반경방향에 대한 편위각을 가지는 다수의 통기슬롯을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피가공물을 기울임각과 종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공지지부와, 워터젯분사기와, 워터젯수류를 안내하는 수류가이드부와, 가공지지부 및 워터젯분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이로 인해, 기존에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비해 효율적으로 통기슬롯을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MANUFACTURING MACHINE FOR AIR GUIDE HOLE}
본 발명은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코넬과 같은 니켈을 베이스로 한 고강도 재료로 제작되는 항공 엔진 압축기 케이스의 경우, 케이스 내의 회전체에 의해 특정한 방향의 공기유동이 발생된다. 공기유동은 통기슬롯을 통해 배출되는데, 통기슬롯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원통체의 원통면을 따라 가로평면에 대한 기울임각과 반경방향에 대한 편위각을 가지며 원통면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존에는 엔드밀을 이용하여 통기원통체에 통기슬롯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고강도인 재료특성과 경사면을 갖는 통기슬롯의 형상특성으로 인해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공툴이 빠르게 마모되며, 열변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고 가공정밀도가 높은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기원통체인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가로평면에 대한 기울임각과 반경방향에 대한 편위각을 가지는 다수의 통기슬롯을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항공 엔진 압축기 케이스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기울임각에 대응하여 지지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종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한 지지디스크와, 상기 지지디스크를 상기 피가공물의 종축선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가공지지부와, 워터젯헤드와 상기 워터젯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이송부를 포함하는 워터젯분사기와, 상기 워터젯헤드의 분사축선을 따라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젯헤드의 분사 수류를 안내하는 수류안내공을 가지는 비산방지부재와,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류안내공을 통과한 수류가 충돌하는 수류멈춤부를 포함하는 수류가이드부와, 상기 가공지지부와 상기 워터젯분사기를 제어하여 상기 통기슬롯을 상기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류가이드부는 상기 수류멈춤부로부터의 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류가이드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수류의 힘을 완화시키는 완충수 및 완충수수용부를 가지게 하여 수류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류멈춤부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류멈춤본체와 상기 수류멈춤본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류멈춤본체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완충부재를 갖게 하는 것으로 마모되는 부품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류가이드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통과하는 수류의 진동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측정기와,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통과하는 수류의 주파수가 설정 값 보다 낮을 때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교체를 알리는 알림장치를 통해 수류에 의해 다른 장치들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는 효율적이고 가공정밀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수류멈춤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는 통기슬롯이 형성된 항공 엔진 압축기의 케이스이고, (b)는 통기슬롯으로 인해 절취된 스크랩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10)의 통기슬롯(20) 가공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10)의 통기슬롯(20) 가공장치의 사시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10)의 통기슬롯(20) 가공장치로 가공된 항공 엔진 압축기의 케이스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10)의 통기슬롯(20) 가공장치는 통기슬롯(20)을 가지는 통기원통체(10) 형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프레임과, 가공지지부(100)와, 워터젯분사기(200)와, 수류가이드부(300) 및 제어부를 가진다.
통기슬롯(2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원통체(10) 형상의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치된다. 이러한 통기슬롯(20)은 원통형의 피가공물을 절취하여 생성되는데 통기슬롯(20)으로 인해 절취된 피가공물의 스크랩은 도 5의 (b)와 같다. 이처럼 통기슬롯(20)은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가로평면에 대한 기울임각(a)과 반경방향에 대한 편위각(b)을 가진다.
기울임각(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의 원통면 방향과 일치하는 가로평면을 소정각 기울인 것과 동일한 각도를 말한다. 바꿔말하면, 피가공물은 피가공물을 세운 상태에서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준비되어 수직선을 따라 가공되는데 이때의 수직선과 기울어져 준비되는 각도가 기울임각(a)이다.
편위각(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이 기울임각(a)을 가지고 준비된 상태에서 기울어진 피가공물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에서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이동된 각도를 말한다. 즉, 피가공물은 편위각(b)에 해당하는 지점의 수직선을 따라 장공형의 통기슬롯(20)이 절취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이처럼, 통기슬롯(20)은 통기원통체(10) 형상의 피가공물이 원통면을 따라 가로평면에 대한 기울임각(a)과, 기울임각(a)을 가지고 준비된 상태에서, 피가공물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의 반경방향에 대한 편위각(b)을 가지는 가공위치에서 수직선을 따라 장공형으로 절취되어야 완벽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통기슬롯(20)은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가공위치를 노출하게 하는 구성와, 가공위치에서 수직선을 따라 가공하기 위한 구성를 가진다.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을 지지하고 있는 부분이며, 본 발명은 워터젯을 이용하기 때문에 프레임은 워터젯에 대한 내마모성이 큰 재질로 준비된다.
가공지지부(100)는 피가공물이 각도를 가지고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가공지지부(100)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110)와 고정지지부재(110)에 대해 피가공물을 기울임각(a)에 대응하여 지지하며 피가공물을 종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한 지지디스크(120) 및 지지디스크(120)를 종축선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30)를 포함한다.
고정지지부재(110)는 워터젯에 의한 피가공물의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로 준비되며, 지지디스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130)가 설치된다.
지지디스크(120)는 회전구동부(130)에 의해 고정지지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지지부재(110)에 대해 소정각도 회동 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피가공물이 기울임각(a)을 가지도록 지지한다. 지지디스크(120)가 고정지지부재(110)에 대해 회동하게 하는 구성은 실린더나 나사회전에 의한 방법 중 다양한 방법 중에서 선택가능한 정도이고, 지지디스크(120)가 아닌 고정지지부재(110)가 지지디스크(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지지디스크(120)는 피가공물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리브(11)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22)와 리브(11)의 측면을 접촉고정하며 피가공물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로 분할 된 고정판(121)을 갖는다. 고정판(121)은 리브(11)를 관통하여 지지디스크(120)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피가공물을 지지디스크(120)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가공지지부(100)는 피가공물이 기울임각(a)을 가지도록 회동시켜 가공위치에서 수직선방향으로 절취했을 때 정확한 통기슬롯(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통기슬롯(20)이 완성된 후 피가공물을 종축선에 대해 회전시켜 다음의 가공위치가 수직선방향에서 절취될 수 있도록 인덱싱한다.
워터젯분사기(200)는 워터젯헤드(210)와 워터젯헤드(210)를 이동시키는 헤드이송부(220)를 가진다. 워터젯헤드(210)에는 물공급관(221)과 연마제공급관(222)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워터젯노즐(211)을 가진다. 물공급관(221)을 통해 고압의 워터젯이 인입되고 연마제공급관(222)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제가 워터젯과 혼합되어 워터젯노즐(211)을 통해 워터젯수류의 형태로 분사된다. 헤드이송부(220)는 워터젯헤드(210)를 X, Y,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워터젯분사기(200)는 피가공물의 우측에 배치된다. 즉, 노출되는 가공위치에 접근가능한 방향에 배치된다.
수류가이드부(300)는 워터젯노즐(211)의 분사축선을 따라 피가공물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가공위치의 수직축선상에 피가공물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류가이드부(300)는 워터젯헤드(210)의 분사 수류를 안내하는 수류안내공(311)을 가지는 비산방지부재(310)와 비산방지부재(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류안내공(311)을 통과한 워터젯수류가 충돌하는 수류멈춤부(320)를 포함한다.
비산방지부재(310)는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준비되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축선을 관통하는 수류안내공(311)을 가진다. 수류안내공(311)은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워터젯수류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져 수류안내공(311)을 통해 워터젯수류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비산방지부재(310)의 하단과 수류멈춤부(320)의 상단은 어느 한 쪽이 숫나사산을 가지고 나머지 한 쪽이 암나사산을 가져 서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수류멈춤부(320) 또한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준비되며, 비산방지부재(310)를 통과한 워터젯수류가 충돌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즉, 수류멈춤부(320)는 워터젯수류에 의해 마모되며 워터젯수류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속되는 마모에 따라 일정 기간 후 교체가 가능하도록 준비된다.
수류가이드부(300)는 비산방지부재(310)와 수류멈춤부(320) 사이에 워터젯수류의 힘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321)와 완충수(321)를 수용하는 완충수수용부(322)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비산방지부재(310)를 통과한 워터젯수류는 수류멈춤부(320)에 충돌하기 전 완충수(321)에 의해 힘이 완화되므로 수류멈춤부(320)가 마모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수수용부(322)에는 완화된 워터젯수류의 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323)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워터젯분사기(200)는 피가공물의 가공위치에 워터젯수류를 수직선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고, 분사된 워터젯수류는 통기슬롯(20)을 형성한 뒤 수류가이드부(300)에 수용된다.
제어부는 가공지지부(100)와 워터젯분사기(200)를 제어하여 통기슬롯(20)을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원통체(10)의 통기슬롯(20) 가공장치의 작동 및 작동순서와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피가공물의 리브(11)를 지지디스크(120)의 지지리브(122)에 끼워 피가공물이 지지디스크(120)의 판면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고정판(121)을 피가공물의 둘레를 따라 리브(11)에 접촉되도록 배치한 후 나사 고정한다.
다음으로, 피가공물의 가공위치가 기울임각(a)을 가지도록 지지디스크(120)를 고정지지부재(110)로부터 회동시킨다. 이때, 고정지지부재(110)가 기울임각(a)에 대응하도록 준비된 경우 지지디스크(120)의 회동은 생략가능하다.
피가공물이 고정되면, 회전구동부(130)를 이용하여 지지디스크(120)를 회전시킨다. 이때, 가공위치가 정확한 통기슬롯(20)을 형성하는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지점을 초기위치로 설정한다.
피가공물이 기울임각(a)을 가지고 회동되면, 워터젯헤드(210)의 워터젯노즐(211)을 통해 워터젯수류를 분사하여 워터젯수류가 올바르게 분사되는지 확인한 후, 헤드이송부(220)를 통해 워터젯노즐(211)이 가공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워터젯노즐(211)과 가공위치와의 간격을 5㎜ 이하가 되도록 하여 워터젯노즐(211)을 가공위치에 최대한 근접시킨다. 워터젯노즐(211)이 가공위치로 이동되면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가공위치와 초기위치의 이동 값을 설정한다.
워터젯노즐(211)이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통기슬롯(20)을 생성하기 위한 헤드이송부(220)의 가공 이동값을 설정한다. 가공 이동값은 가공위치에 수직한 방향에서 워터젯수류가 분사되었을때 통기슬롯(20)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값이다. 즉, 가공이동값은 통기슬롯(20)의 형상을 가공위치와 동일한 가로평면 상에 투사하였을 때 생성되는 투사체의 중심과 장공형의 외형에 따른 좌표를 이동하는 값이며, 헤드이송부(220)는 워터젯수류가 투사체의 중심에 위치하여 피가공물을 관통하게 하고 그 후 중심에서 가장 근접한 외형선에 해당하는 좌표로 이동하게 한 후 투사체의 외형선 좌표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공이동값을 설정한다. 이때의 투사체는 장공의 형상을 가지고, 이로인해 절취된 형상은 도 5의 (b)와 같다.
다음으로, 비산방지부재(310)의 수류안내공(311)이 워터젯노즐(211)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조절하고, 완충수수용부(322)에 완충수(321)가 충분히 수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피가공물에 통기슬롯(20)을 가공할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부를 통해 가공지지부(100)와 워터젯분사기(200)를 제어하여 가공을 실시한다.
워터젯헤드(210)는 가공위치로 이동된 후 워터젯수류를 분사시킨다. 워터젯수류는 투사체의 중심에 분사되어 피가공물에 구멍을 낸다. 그 후 투사체의 외형선을 따라 이동하며 통기슬롯(20)을 완성한다. 워터젯헤드(210)가 가공이동값에 따라 하나의 통기슬롯(20)을 완성하면 워터젯헤드(210)는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하나의 통기슬롯(20)이 가공되면, 제어부는 회전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지지디스크(120)를 소정간격 회전시킨다. 이때, 다음의 통기슬롯(20)에 생성되어야 하는 부분이 가공위치로 이동되고, 다시 워터젯헤드(210)가 가공위치로 이동하여 다음의 통기슬롯(20)을 가공하게 된다.
제어부는 위의 동작을 반복하여 통기슬롯(20)이 원통면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엔진 압축기 케이스의 통기슬롯(20) 가공장치는 원통형의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피가공물이 기울임각(a)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워터젯분사기(200)를 통해 통기슬롯(20)의 편위각(b)에 해당하는 가공위치에 수직하게 워터젯수류를 분사하는 것으로 정확한 통기슬롯(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공이 어려운 인코넬 소재의 피가공물을 워터젯을 이용하여 가공하기 때문에 열 변형에 따른 품질저하의 우려가 없고, 기존의 가공장치에 비해 절삭공구를 자주 교체해야할 필요가 없다. 이는 경사면에 엔드밀과 같은 공구로 장공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공구의 파손우려와 강한 기계적 성질에 따른 공구의 마모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소재나 공구의 열을 식히기 위한 시간이나 공구교체에 필요한 시간 등을 따져보면, 기존에 비해 약 5배정도의 작업효율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슬롯(20) 가공장치로 압축기 케이스에 통기슬롯(20)을 가공하다보면, 지속적인 워터젯수류로 인해 비산방지부재(310)의 수류안내공(311)이 점차 확장되고, 비산방지부재(310)의 상측 또한 지속적으로 마모되어 워터젯수류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산방지부재(310)는 수류멈춤부(3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비산방지부재(310)의 마모가 심할 경우 교체하여 워터젯수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수류멈춤부(3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멈춤부(320)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류멈춤본체(410)와 수류멈춤본체(4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수류멈춤본체(4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완충부재(420)를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42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류안내공(311)이 형성되어 있어 워터젯수류가 수류안내공(311)을 따라 완충부재(420)를 통과하게 된다.
수류멈춤부(320)와 수류멈춤본체(410)는 비산방지부재(310)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비산방지부재(310)에서 잦은 마모가 발생되는 영역을 수류멈춤부(320)로 하고, 워터젯수류를 수용하기만 하는 영역을 수류멈춤본체(410)로 하여 수류멈춤부(320)만 교체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수류멈춤부(320)는 수류멈춤본체(410)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어 교환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비산방지부재(310)를 사용할 때보다 워터젯수류에 의한 내마모성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교환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가이드부(300)는 비산방지부재(310)를 통과하는 워터젯수류의 진동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측정기와 비산방지부재(310)를 통과하는 워터젯수류의 주파수가 설정 값 보다 낮을 때 비산방지부재의 교체를 알리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산방지부재(310)가 워터젯수류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지 못할 경우, 워터젯수류는 비산방지부재(310)의 상면에 충돌 빛 반사되어 피가공물의 하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비산방지부재(310)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정도로 마모될 경우 교체를 해주어야 하지만, 압축기 케이스에 통기슬롯(20)을 가공하는데 걸리는 가공시간이 최소 반나절을 넘어가기 때문에 작업자는 비산방지부재(310)를 적절히 교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주파수측정기는 워터젯수류가 비산방지부재(310)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진동주파수가 설정값보다 낮을 경우 비산방지부재(310)가 온전한 기능을 하지 못할 정도로 마모되었다고 판단하여 알림장치를 통해 비산방지부재(310)의 교체의 필요성을 알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를 통해 비산방지부재(310)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가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 기울임각 b : 편위각
10 : 통기원통체 11 : 리브
20 : 통기슬롯 100 가공지지부
110 고정지지부재 120 지지디스크
121 고정판 122 지지리브
130 : 회전구동부 200 워터젯분사기
210 워터젯헤드 220 헤드이송부
221 물공급관 222연마제공급관
211워터젯노즐 300 수류가이드부
310 비산방지부재 311 수류안내공
320 수류멈춤부 321 완충수
322 완충수수용부 323 배출가이드
410 수류멈춤본체 420 완충부재

Claims (5)

  1. 통기원통체인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가로평면에 대한 기울임각과 반경방향에 대한 편위각을 가지는 다수의 통기슬롯을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기울임각에 대응하여 지지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종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한 지지디스크와, 상기 지지디스크를 상기 피가공물의 종축선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가공지지부와,
    워터젯헤드와 상기 워터젯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이송부를 포함하는 워터젯분사기와,
    상기 워터젯헤드의 분사축선을 따라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젯헤드의 분사 수류를 안내하는 수류안내공을 가지는 비산방지부재와,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류안내공을 통과한 수류가 충돌하는 수류멈춤부를 포함하는 수류가이드부와,
    상기 가공지지부와 상기 워터젯분사기를 제어하여 상기 통기슬롯을 상기 피가공물의 원통면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가이드부는 상기 수류멈춤부로부터의 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가이드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수류의 힘을 완화시키는 완충수 및 완충수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멈춤부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류멈춤본체와 상기 수류멈춤본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류멈춤본체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완충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가이드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통과하는 수류의 진동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측정기와,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통과하는 수류의 주파수가 설정 값 보다 낮을 때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교체를 알리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KR1020170156060A 2017-11-22 2017-11-22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KR10199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060A KR101995706B1 (ko) 2017-11-22 2017-11-22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060A KR101995706B1 (ko) 2017-11-22 2017-11-22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788A true KR20190058788A (ko) 2019-05-30
KR101995706B1 KR101995706B1 (ko) 2019-07-03

Family

ID=6667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060A KR101995706B1 (ko) 2017-11-22 2017-11-22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01Y1 (ko) * 2002-12-23 2003-07-22 주식회사 보람아이티티 급속수위 조절에 의해 다수의 가공소재를 수중 절단하는워터젯 컷팅기
JP2009154268A (ja) * 2007-12-27 2009-07-16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の処理方法
JP2011045906A (ja) * 2009-08-26 2011-03-10 Denso Corp 機構部品における微細加工部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01Y1 (ko) * 2002-12-23 2003-07-22 주식회사 보람아이티티 급속수위 조절에 의해 다수의 가공소재를 수중 절단하는워터젯 컷팅기
JP2009154268A (ja) * 2007-12-27 2009-07-16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の処理方法
JP2011045906A (ja) * 2009-08-26 2011-03-10 Denso Corp 機構部品における微細加工部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706B1 (ko)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041B1 (ko) 플랫 제트 노즐 및 플랫 제트 노즐의 이용 방법
US6531682B1 (en) Processing head for a laser engraving or cutting device
US11858066B2 (en) Laser processing machine with fluid flow nozzle cleaning device
US20130306748A1 (en) Fluid jet receptacle with rotatable inlet feed component and related fluid jet cutting system and method
US10343259B2 (en) Water-jet operating head for cutting materials with a hydro-abrasive high pressure jet
US20100210186A1 (en) Multi-head fluid jet cutting system
KR101191653B1 (ko) 절삭가공장치
US20220001505A1 (en) Fluid nozzle device for machine tool
KR101995706B1 (ko) 통기원통체의 통기슬롯 가공장치
JP2005519785A (ja) マテリアルプレートの加工のための装置
KR20150074044A (ko) 냉각제 통로를 구비한 클램핑 디바이스,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갖는 선반을 위한 공구 홀더 플레이트
US9217228B2 (en) Self-propelled construction machine for working roadways or surfaces and method for cooling the milling tools of a milling drum of a self-propelled construction machine
JP5609500B2 (ja) レーザ溶接装置
CN110434767B (zh) Blisk翼型件的双面喷丸
CN108284398A (zh) 用于抛光的多射流工具及包括该工具的抛光系统
EP2098322A1 (en) Flushing device and method for a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CN109070248A (zh) 起切削加工作用的工具
CN105711328A (zh) 工件仿旧系统
KR101231227B1 (ko) 이동형 가스벤트 가공장치
JP2020138250A (ja) 切断装置
CN209533102U (zh) 一种全自动砂轮修整机
KR20160041545A (ko) 표면조도 개선을 위한 도트 펀칭 가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패턴 가공 방법 및 그 패턴이 구비된 압축기용 밸브플레이트
US5983763A (en) Deflector mechanism for liquid-jet cutter
JP7444632B2 (ja) 水噴射装置および水ノズル
US565644A (en) Grind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