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390A - 식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390A
KR20190058390A KR1020190003691A KR20190003691A KR20190058390A KR 20190058390 A KR20190058390 A KR 20190058390A KR 1020190003691 A KR1020190003691 A KR 1020190003691A KR 20190003691 A KR20190003691 A KR 20190003691A KR 20190058390 A KR20190058390 A KR 2019005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lant
unit
spac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9000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390A/ko
Publication of KR2019005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식물이 생장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 제1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1 영양물질이 축적된 제1 배지부; 제2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2 영양물질이 축적된 제2 배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배지수용부; 및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각각 수용되면,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에 매칭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시스템{Plant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생장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교육 자료 및 인테리어 제품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식물의 재배는 일조량이나, 강우 조건 등 자연환경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자연조건에 따라서 재배 식물의 수확량이 결정되어지곤 한다.
이러한 자연환경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고, 도심이나 실내에서도 다량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식물재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장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채소와 같은 식물의 자급뿐만 아니라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식물 재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용 식물 재배 장치는 LED와 같은 인공조명과, 양액과 같은 영양분을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종래의 식물 재배 장치는 소정의 공간 내에서 식물이 재배되도록 하고 있으나, 현재의 식물의 생장 상태를 관찰하여 정상적으로 생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하나의 식물 재배 장치 내에 다양한 식물을 생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다양한 식물 각각에 대한 분류 작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하나의 종류의 식물만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재배를 위한 인공조명이 외부로 발산되어 사용자의 생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반대로, 사용자의 생활 환경이 식물 재배를 위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의 생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확인된 결과를 기초로 관리 방법을 제시토록 하고, 아이들의 교육 교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의 인테리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식물이 생장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 제1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1 영양물질이 축적된 제1 배지부; 제2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2 영양물질이 축적된 제2 배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배지수용부; 및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각각 수용되면,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에 매칭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와 상기 배지수용부와의 전기적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와 상기 배지수용부와의 전기적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상에 삽입되는 상태가 가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배치수용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구현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정보가 표시될 식물이 선택되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배지부,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제1 배지부와 대응되는 식별기호 및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1 입력, 및 상기 제2 배지부,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제2 배지부와 대응되는 식별기호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2 입력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1 식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2 식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2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제1 배지부 내의 상기 제1 식물의 생장 상태를, 상기 제1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 상태와 비교하고, 그 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에 의하면, 식물의 생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확인된 결과를 기초로 관리 방법을 제시토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들의 교육 교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에 제공되는 배지부 및 배지수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다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에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에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에 제공되는 배지부 및 배지수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실내에서 다양한 식물을 최적의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식물 재배를 위한 장치로,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S)을 제공하는 본체부(110),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물질이 축적된 배지부(120), 상기 배지부(120)를 수용하는 배지수용부(130) 및 식물 생장에 필요한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S) 내에서의 식물이 최적화된 환경에서 생장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등은 상기 본체부(110) 내에 구성되는 습도 조절 장치, 온도 조절 장치, 복수의 광원부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습도 조절 장치, 상기 온도 조절 장치, 복수의 광원부 등은 공지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광원부는 상기 내부공간(S)의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광도가 조절 가능한 청색광, 적색광, 백색광의 LED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파장대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조절 장치, 상기 온도 조절 장치, 상기 광원 등을 적절하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지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 물질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배지부(120)의 개수는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형성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으로 한번에 재배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는 최대 4종류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이 4개인 경우 상기 배지부(120)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4개 이내에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배지수용부(130)는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상기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에 수용된 배지부(120)가 어떠한 식물과 대응되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그 식물의 정상 생장 상태, 그 식물의 현재 성장 상태 또는 현재 영양 상태 등을 포함한 현재 생장 상태 및 추후 관리 방법 등을 디스플레이부(D)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4개의 수용공간에 4개의 배지부(120)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에 위치하는 2개의 배지부(122, 124)는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우선, 복수의 배지부(120)를 도면에서의 좌측을 기준으로 제1 배지부(122) 및 제2 배지부(124)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배지부(122)는 제1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1 영양물질이 축적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지부(124)는 제2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2 영양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식물의 모종은 '바질'이고, 상기 제2 식물의 모종은 '적상추'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배지부(122)는 '바질'을 위한 배지이며, 상기 제2 배지부(124)는 '적상추'를 위한 배지이다.
사용자는 '바질' 및 '적상추'를 재배하기 위해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를 상기 배지수용부(130)의 수용공간(SS)에 각각 삽입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SS) 중 하나에 각각 수용되면,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S)인 제1 수용공간(SS1)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S)인 제2 수용공간(SS2)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에 매칭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는 그 자체로 각각 '바질'을 위한 배지 및 '적상추'를 위한 배지이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상기 배지수용부(130)의 수용공간(SS)에 각각 수용되기 전에는 제1 수용공간(SS1) 및 상기 제2 수용공간(SS2)이 각각 어느 식물과 관련될지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각각 제1 수용공간(SS1) 및 상기 제2 수용공간(SS2)에 수용되면,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SS1)을 제1 식물인 '바질'에 매칭시키고, 상기 제2 수용공간(SS2)을 제2 식물인 '적상추'에 매칭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상기 제1 수용공간(SS1)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상기 제2 수용공간(SS2)에 수용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SS1)을 제2 식물인 '적상추'에 매칭시키고, 상기 제2 수용공간(SS2)을 상기 제1 식물인 '바질'에 매칭시키는 것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수용공간(SS1)을 상기 제1 식물인 '바질'에 매칭시키고, 상기 제2 수용공간(SS2)을 상기 제2 식물인 '적상추'에 매칭시키는 원리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에 식물의 식별을 위한 바코드 등이 인쇄되어 있고,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의 내면에는 상기 바코드를 리딩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를 상기 수용공간(SS)에 삽입하면, 제어부는 바코드의 식별을 통해 수용된 수용공간(SS)이 어떠한 식물에 대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상기 배지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공간(SS)에 삽입되면, 제어부는 전기적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수용된 수용공간(SS)이 어떠한 식물에 대한 것인지를 알 수도 있으며, 상기 전기적 연결 여부는 전기적 연결 패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가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와 상기 배지수용부(130)와의 전기적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된 제1 수용공간(SS1)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수용된 제2 수용공간(SS2)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로 매칭시키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는 각각 전기적 신호를 발신하는 제1 발신부(1220) 및 제2 발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수용부(130)는 상기 제1 발신부(1220) 또는 상기 제2 발신부로부터 발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신부(1220) 및 상기 제2 발신부는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발신 전극(1221~12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1240)는 복수의 수용공간(SS) 각각을 규정하는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신 전극(1241~124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신부(1220)의 복수의 발신 전극(1221~1228)과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SS1)을 규정하는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신 전극(1241~1248)과의 제1 전기적 연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SS1)을 제1 식물과 매칭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발신부의 복수의 발신 전극과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SS2)을 규정하는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신 전극과의 제2 전기적 연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수용공간(SS2)을 제2 식물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적 연결 결과 및 상기 제2 전기적 연결 결과는 복수의 발신 전극(1221~1228)과 복수의 수신 전극(1241~1248) 간의 전기적 연결 패턴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전기적 연결 패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제1 발신부(1220)의 복수의 발신 전극(1221~1228)은 예를 들어 제1 발신 전극(1221), 제2 발신 전극(1222), 제3 발신 전극(1223), 제4 발신 전극(1224), 제5 발신 전극(1225), 제6 발신 전극(1226), 제7 발신 전극(1227) 및 제8 발신 전극(1228)을 포함한다고 가정하고, 제1 수용공간(SS1)을 규정하는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신 전극(1241~1248)은 예를 들어 제1 수신 전극(1241), 제2 수신 전극(1242), 제3 수신 전극(1243), 제4 수신 전극(1244), 제5 수신 전극(1245), 제6 수신 전극(1246), 제7 수신 전극(1247) 및 제8 수신 전극(1248)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상기 제1 배지부(122)를 상기 제1 수용공간(SS1)에 삽입하면, 제2 발신 전극(1222)과 제2 수신 전극(1242)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의 상태가 되며, 제5 발신 전극(1225)과 제5 수신 전극(124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의 상태가 되고, 제6 발신 전극(1226)과 제6 수신 전극(1246)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의 상태가 되며, 제7 발신 전극(1227)과 제7 수신 전극(1247)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n'의 상태가 된다고 가정하고, 나머지 전극들은 'off' 상태가 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신부(122)의 복수의 발신 전극(1221~1228)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SS1)을 규정하는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신 전극(1241~1248) 각각과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이진법으로 계산한다.
즉,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경우 'on'을 '1'에 매칭시키고 'off'를 '0'에 매칭시켜 이진수 01001110(2)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이진수 01001110(2)를 십진수 78로 변환하고,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식물리스트에서 78을 검색(맵핑)하여 제1 수용공간(SS1)이 '바질'인 제1 식물과 매칭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물리스트는 번호와 그 번호에 해당되는 식물이 각각 매칭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1은 적상추, 2는 배추, 3은 오이 그리고 78은 바질일 수 있다.
즉, 식물리스트는 무수히 많은 식물의 종류가 각각 하나의 번호와 매칭된 데이터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복수의 발신 전극(1221~1228)과 복수의 수신 전극(1241~1248)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SS) 상에 삽입되는 상태가 가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배치수용부(130)와의 전기적 연결이 구현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수용부(130)는 상기 가이드부(121)와 대응되는 피가이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배지부(122) 및 제2 배지부(124)를 제1 수용공간(SS1) 및 제2 수용공간(SS2)에 삽입하는 경우, 식별표시인 가이드부(121)를 식별표시인 피가이드부(131)에 ?추어 삽입하면, 안정적인 전극 간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1) 및 상기 피가이드부(131)은 홈과 돌기 또는 그 반대로 구현되어 제1 배지부(122) 및 제2 배지부(124)가 각각 제1 수용공간(SS1) 및 제2 수용공간(SS2)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이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각종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D) 및 소정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I)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D) 및 입력부(I)를 터치가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로 가정하여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입력부(I)는 기계식 입력 버튼 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D)는 제1 식물 및 제2 식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I)는 상기 디스플레이부(D) 상에 정보가 표시될 식물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D) 상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I)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I)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으로 표시된 버튼이 4개, 즉, 1번 터치버튼(I1), 2번 터치버튼(I2), 3번 터치버튼(I3) 및 4번 터치버튼(I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터치버튼은 특정의 구성요소와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번 터치버튼(I1)은 상기 제1 배지부(122),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S), 상기 제1 배지부(122)와 대응되는 식별기호 및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S)과 대응되는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1 입력(①)일 수 있으며, 2번 터치버튼(I2)은 상기 제2 배지부(124),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S), 상기 제2 배지부(124)와 대응되는 식별기호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S)과 대응되는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2 입력(②)일 수 있다.
그리고, 3번 터치버튼(I3) 및 4번 터치버튼(I4)도 상기 제1 터치버튼(I1) 및 상기 제2 터치버튼(I2)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1번 터치버튼(I1)을 클릭하면, 제어부는 제1 입력(①)이 입력부(I)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 제1 입력(①)과 대응되는 제1 식물(바질)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D)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2번 터치버튼(I2)을 클릭하면, 제어부는 제2 입력(②)이 입력부(I)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 제2 입력(②)과 대응되는 제2 식물(적상추)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D)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식물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식물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라 함은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제1 수용공간(SS1)에 수용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제1 입력(①)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라 함은 상기 제2 배지부(124)가 제2 수용공간(SS2)에 수용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제2 입력(②)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2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배지부(122)를 제1 수용공간(SS1)에 수용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제1 입력(①)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가 7일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D) 상에 7일이 되는 시점에서의 정상적인 제1 식물의 생장 상태 사진 등과 그 때의 색상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입력부(I)를 통해 제2 입력(②)이 입력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지부(122) 및 상기 제2 배지부(124)가 각각 상기 제1 수용공간(SS1) 및 상기 제2 수용공간(SS2)에 수용된 시점을 카운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센서 등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차 또는 상기 제2 시간차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I)를 통해 제1 입력(①)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간차에 기초한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 상태 사진과 함께 현재의 제1 식물의 생장 상태 사진 및 현재의 재1 식물의 성장 상태 또는 영양 상태 등을 함께 디스플레이부(D)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입력부(I)를 통해 제2 입력(②)이 입력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한편, 입력부(I)를 통해 제1 입력(①)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입력(①)이 입력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제1 배지부(122) 내의 상기 제1 식물의 생장 상태를, 상기 제1 배지부(122)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SS)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상기 제1 입력(①)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 상태와 비교하고, 그 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D)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의 제1 식물에 대한 추후 관리 방법, 예를 들면, 광원,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여, 보다 최적화된 환경에서 상기 제1 식물의 재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에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에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식물 재배 시스템의 구성 등을 모두 포함하거나 일부의 구성이 제거되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6에 동일한 구성요소가 도시화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S)을 제공하며, 식물이 생장되도록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10),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생장하는 상기 식물의 생장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일종의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촬영장치로,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생장하는 식물을 촬영하여 영상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식물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가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물의 윤곽, 상기 윤곽의 내부 및 상기 윤곽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 상에서 가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는 본체부(110)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생장하는 상기 식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부에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 상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선, 일점 쇄선, 이점 쇄선 및 화살표 등 다양한 종류의 선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TD) 상에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식물의 윤곽, 상기 윤곽의 내부 및 상기 윤곽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가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윤곽의 내부에 색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은 아이들에게 색칠 공부를 통한 미술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식물의 영상,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표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 상에서 가공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제1 시점 및 상기 제1 시점 보다 늦은 제2 시점에서의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식물의 영상,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표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 상에서 가공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과 대응되는 영상 및 상기 제2 시점과 대응되는 영상이 시간차를 두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표시하여, 애니메이션 영상물 또는 연속 이미지를 아이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은 교육적인 효과를 극대화한 식물 재배 시스템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터치 디스플레이부(TD)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아닌 상기 본체부(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추출된 상기 식물의 윤곽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식물의 윤곽, 상기 윤곽의 내부 및 상기 윤곽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가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색상을 제어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외부에서의 광원부에 의한 영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의 환경에 의해 내부공간(S) 내의 식물의 생장이 영향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식물이 생장되도록 상기 내부공간(S)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10), 상기 내부공간(S)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공간(S)의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광원부(미도시),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생장하는 상기 식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TD)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외부에서의 상기 광원부에 의한 영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TD)는 상기 내부공간(S)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최적의 생장 환경을 위해 적절한 광을 발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색광 또는 청색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투명한 터치 디스플레이부(TD)는 상기 적색광 또는 청색광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는 상기 적색광 또는 청색광의 영향이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는 불가피하게 청색광 또는 적색광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는 블라인드나 커튼 등의 암막 구조물을 설치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가 투명한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색상을 제어하여, 예를 들면, 암막 혹은 선글라스와 같은 효과를 부여하여 상기 내부공간(S) 내의 광원부의 노출을 차단하거나, 필요에 따라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블라인드나 커튼 등의 암막 구조물이 필요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제어부가 투명한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색상을 제어하게 되면, 외부의 환경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 내의 상기 식물의 생장이 영향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외부의 광이 상기 내부공간(S)으로 투과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생장 환경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표시되는 영상의 배경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TD)에 예술 작품 등이 표시되는 경우, 예술 작품의 배경 색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실내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식물 재배 시스템
110: 본체부
120: 배지부
130: 배지수용부

Claims (8)

  1.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식물이 생장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 온도, 조도, 광도 및 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
    제1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1 영양물질이 축적된 제1 배지부;
    제2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제2 영양물질이 축적된 제2 배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배지수용부; 및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각각 수용되면,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에 매칭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와 상기 배지수용부와의 전기적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와 상기 배지수용부와의 전기적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된 수용공간을 각각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지부 및 상기 제2 배지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상에 삽입되는 상태가 가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배치수용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구현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물 및 상기 제2 식물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정보가 표시될 식물이 선택되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배지부,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제1 배지부와 대응되는 식별기호 및 상기 제1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1 입력, 및 상기 제2 배지부,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제2 배지부와 대응되는 식별기호 및 상기 제2 배지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식별기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2 입력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1 식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제2 식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2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제1 배지부 내의 상기 제1 식물의 생장 상태를, 상기 제1 배지부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중 하나에 수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물의 정상적인 생장 상태와 비교하고, 그 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0190003691A 2019-01-11 2019-01-11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90058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91A KR20190058390A (ko) 2019-01-11 2019-01-11 식물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91A KR20190058390A (ko) 2019-01-11 2019-01-11 식물 재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564 Division 2017-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90A true KR20190058390A (ko) 2019-05-29

Family

ID=6667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691A KR20190058390A (ko) 2019-01-11 2019-01-11 식물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83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574A (ko) 2019-11-12 2021-05-21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모듈형 식물 재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574A (ko) 2019-11-12 2021-05-21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모듈형 식물 재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1993A1 (en) Ultraviolet plant illumination system
CN101400207B (zh) 自动调光系统与控制亮度的方法
KR20100067638A (ko) Rgb 발광 모듈 설정
KR100946202B1 (ko) 감성 조명 시스템
US7540644B1 (en) LCD optic shutter
WO2005009085B1 (en) Control system for an illumination device incorporating discrete light sources
KR102127516B1 (ko)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90058390A (ko)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90058391A (ko)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90058392A (ko) 식물 생장 영상 가공 시스템
KR20180071135A (ko) 체험 학습용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6437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어항 시스템
CN206498713U (zh) 植物补光人工气候箱
CN101866587A (zh) 一种基于红外控制的无线电子桌牌装置
GB2425271A (en) Transparent toy building blocks and illuminated transparent base.
CN109903662A (zh) 智慧生态物联网套件教具
CN108876681A (zh) 一种智能管控植物生长教育平台
CN107221003A (zh) 一种活植物体编码艺术画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CN108184300B (zh) 一种植物生长的照明频闪方法和装置
JP2001204260A (ja) 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植木鉢
WO2019130590A1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方法
KR101029238B1 (ko) 자유롭게 배치된 led 램프를 이용한 영상 표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223468B (zh) 带有指示器的显微镜
KR20080040648A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70866B1 (ko)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