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66B1 -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66B1
KR102370866B1 KR1020200087167A KR20200087167A KR102370866B1 KR 102370866 B1 KR102370866 B1 KR 102370866B1 KR 1020200087167 A KR1020200087167 A KR 1020200087167A KR 20200087167 A KR20200087167 A KR 20200087167A KR 102370866 B1 KR102370866 B1 KR 10237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al
light
zoom control
film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512A (ko
Inventor
유하진
조성무
신성준
Original Assignee
(주)와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플 filed Critical (주)와플
Priority to KR102020008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op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의 LED램프로부터 투광되는 빛이 줌조절통의 줌조절필름을 통과하여 빛의 확산성을 극대화시켜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빛이 비추게 하거나 또는 빛의 직진성을 최대한 살려서 빛을 원거리까지 보낼 수 있고, 또한 줌조절통에 슬라이드 가능한 지향성통의 지향성필름을 통과하도록 하여 지향성필름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가 스크린판에 투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의 조명기기들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을 그룹별로 학습을 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대화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LED램프와 반사경이 형성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판에 조명기기의 빛이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에 있어서, 조명기기(10)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필름(21)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줌조절통(20)이 고정되고, 이 줌조절통(20)에 지향성필름(31)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조명기기(10)의 투광부의 빛이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을 통과하여 빛의 중심축방향으로 확산되고, 이 확산되는 빛은 지향성통(30)의 지향성필름(31)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들이 덧댐형상(40)으로 변환되어 이 덧댐형상(40)이 일정거리의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줌조절통(20)과 지향성통(30)에는, 필름삽입구멍(32)들이 형성되어, 상기 줌조절통(20)의 중앙은 투명(23)하고 둘레면은 불투명(24)한 크기의 줌조절필름(21)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고, 지향성통(30)에는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의 지향성필름(31)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LED램프와 반사경이 형성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판에 조명기기의 빛이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학습자(100)들의 조명기기(10)을 가지며, 상기 조명기기(10)들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필름(21)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줌조절통(20)이 형성되고, 이 줌조절통(20)에는 지향성필름(31)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형상물이 인쇄된 지향성필름(31)을 교재의 선정에 따라서 교체한 후, 그룹을 이루는 학습자(100)들의 조명기기(10)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40)들이,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100)들이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줌조절필름(21)의 중앙은 투명(23)하고 둘레면은 불투명(24)하며, 상기 지향성필름(31)의 형상물은,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이며, 상기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은 지향성필름(31)의 형상물의 밑그림이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학습자(100)들은, 그룹으로 짜여져 학습기 체험자이며, 또한 개개의 조명기기(10)를 가지고 각 조명기기(10)의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과 지향성통(30)들의 지향성필름(31)들을 선택하여 장착하고, 줌조절통(20)으로부터 지향성통(30)을 슬라이드 조절하여, 조명기기(10)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40)이 스크린판(50)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Experiential learning for light directivity education and how to use it}
본 발명은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에서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빛의 퍼짐 없이 직진성을 부여와 함께 도형, 그림 등의 문양, 숫자 및 글씨가 스크린판에 투시될 수 있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의 LED램프로부터 투광되는 빛이 줌조절통의 줌조절필름을 통과하여 빛의 확산성을 극대화시켜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빛이 비추게 하거나 또는 빛의 직진성을 최대한 살려서 빛을 원거리까지 보낼 수 있고, 또한 줌조절통에 슬라이드 가능한 지향성통의 지향성필름을 통과하도록 하여 지향성필름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가 스크린판에 투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의 조명기기들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을 그룹별로 학습을 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대화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는 램프의 점멸기능을 통하여 어두운 장소에서 물체의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사용형태 및 기능에 따라 그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되는 플래시는 야간에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도구이다.
이러한 통상의 휴대용 플래시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통하여 일반 램프 또는 LED램프 등을 점등하게 되고, 램프의 빛은 헤드부의 확장형 반사판을 통해 일정의 광도와 휘도로 조사되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LED램프가 종래의 광원의 램프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광도와 휘도 등의 효율이 우수하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는 통상 사용되는 목적은 어두운 곳에 빛을 조사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어서, 플래시를 다른 목적에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조명기기(10)의 램프(12)와 반사경(13)이 장착되는 투광커버(11)에 전면에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를 끼워맞춤으로 고정하여 반사경을 통하여 투광되는 빛이 변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변환방법으로는 커버에 빨강, 파랑 등의 색상이 있는 커버를 형성하여 조명기기(10)로부터 투광되는 빛이 벽에 또는 유리창 등에 비추었을 때, 빨강, 파랑 등의 색상으로 단순이 빛이 변환하는 방법이 있고, 또한 커버의 투광부에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 등을 인쇄하여 조명기기(10)로부터 투광되는 빛이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 등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은 조명기기(10)의 램프(12)로부터 투광되는 벽 또는 유리창에 비추고자 하는 조명기기(10)의 투광 초점이 맞지 않으면 빛의 퍼짐으로 인하여 원하는 명확한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 등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조명기기(10)에 빛의 조도의 조절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명기기(10)를 들고 벽 또는 유리창과의 거리를 임의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적당한 광도와 휘도로 조사되지 않아 눈을 쉽게 피로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더욱이, 상기 예에서는 그룹 또는 단체적인 학습교육 보다는 개별적으로 조명기기를 벽 또는 유리창에 비추어 그 형상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 등이 없이 단순히 보는 것으로 만족하여야 만하였다.
그로 인하여, 어린이 집 또는 유치원에서 학습자들의 단순교육을 벗어나지 못하고 또한 그룹활동의 협동심과 창의력을 창출? 못하는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참고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등 저연령대 학생들의 체험 학습을 위한 학습기기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71135에서 투광성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카메라 등을 구비하여 체험 학습의 흥미를 배가하고, 공부를 놀이처럼 즐겁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자장치가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면과 벽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단이 개방된 투명 바스켓 및 상기 투명 바스켓이 수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듀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통풍구가 형성된 커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는 투광성 디스플레이; 상기 투광성 디스플레이에 옵티컬 본딩된 터치스크린;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는 강화 유리; 상기 투명 바스켓 내부를 비추는 LED 조명; 상기 투명 바스켓 내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투명 바스켓 내부를 촬영하는 2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본체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외부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 슬롯;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따른 터치 정보,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상기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상기 투광성 디스플레이, 상기 LED 조명, 상기 카메라부, 상기 스피커,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내장 메모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스마트 에듀박스가 본체(100), 구조부(110), 프레임(111), 커버(113), 표시부(120), 투광성 디스플레이(121), 터치스크린(123), 강화유리(125), 반사판(127), LED 조명(129), 센서부(130), 온도 센서(131), 습도 센서(133), 조도 센서(135), 카메라부(140), 제1 카메라(141), 제2 카메라(143), 오디오부(150), 스피커(151) PC부(160), 제어부(161), 통신 모듈(163), 내장 메모리(165), 메모리 카드 슬롯(167) 등의 부속품들에 의하여 원가로 고가로 되고, 또한 그룹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 등이 있다.
공개특허 10-2018-007113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에서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빛의 퍼짐 없이 직진성을 부여하여 적당한 광도와 휘도를 얻을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의 투광부커버에 줌조절통이 고정되고 또한 이 줌조절통에 지향성통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하여 조명기기의 투광부로부터 투광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줌조절통의 줌조절필름을 통과하여 빛의 확산성을 극대화시켜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빛이 비추게 하거나 또는 빛의 직진성을 최대한 살려서 빛을 원거리까지 보낼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의 투광커버에 결합되는 줌조절통에 투광되는 빛의 줌을 조절할 수 있는 줌조정필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기기로부터 투광하고자 하는 거리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줌조절통에 슬라이드 가능한 지향성통의 지향성필름을 통과하도록 하여 지향성필름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가 스크린판에 투시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의 줌조절통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한 지향성통에는 도형, 그림 등의 문양, 숫자 및 글씨 등이 인쇄된 지향성필름을 교재의 선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의 지향성통의 지향성필름의 도형, 그림 등의 문양, 숫자 및 글씨가 밑그림이 설정된 스크린판에 투시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조명기기와 밑그림이 형성된 스크린판을 구비하여 그룹 또는 단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밑그림이 형성된 스크린판에 밑그림에 부가해서 덧대어 완성할 수 있는 덧댐형상이 인쇄된 지향성필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밑그림이 형성된 스크린판에 밑그림에 부가해서 덧대어 완성할 수 있는 복수개의 덧댐형상이 인쇄된 지향성필름들을 구비하여, 그룹의 학습자들이 의논하여 지향성필름을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판의 밑그림에 투시되는 덧댐형상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서로 상의하여 완성된 밑그림에 덧댐형상이 조합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들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을 그룹별로 학습을 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대화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램프와 반사경이 형성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LED
스크린판에 조명기기의 빛이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에 있어서, 조명기기 의 투광부커버에 줌조절필름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줌조절통이 고정되고, 이 줌조절통에 지향성필름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지향성통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조명기기의 투광부의 빛이 줌조절통의 줌조절필름을 통과하여 빛의 중심축방향으로 확산되고, 이 확산되는 빛은 지향성통의 지향성필름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들이 덧댐형상으로 변환되어 이 덧댐형상이 일정거리의 스크린판의 형상물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줌조절통과 지향성통에는 필름삽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상기 줌조절통의 중앙은 투명하고 둘레면은 불투명한 크기의 줌조절필름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고, 지향성통에는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의 지향성필름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램프와 반사경이 형성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판에 조명기기의 빛이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학습자들의 조명기기를 가지며, 상기 조명기기들의 투광부커버에 줌조절필름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줌조절통이 형성되고, 이 줌조절통에는 지향성필름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지향성통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형상물이 인쇄된 지향성필름을 교재의 선정에 따라서 교체한 후, 그룹을 이루는 학습자들의 조명기기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들이, 스크린판의 형상물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들이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줌조절필름의 중앙은 투명하고 둘레면은 불투명하며, 상기 지향성필름의 형상물은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이며, 상기 스크린판의 형상물은 지향성필름의 형상물의 밑그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학습자들은, 그룹으로 짜여져 학습기 체험자이며, 또한 개개의 조명기기를 가지고, 각 조명기기의 줌조절통의 줌조절필름과 지향성통들의 지향성필름들을 선택하여 장착하고, 줌조절통으로부터 지향성통을 슬라이드 조절하여, 조명기기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이, 스크린판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의 LED램프로부터 투광되는 빛이 줌조절통의 줌조절필름을 통과하여 빛의 확산성을 극대화시켜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빛이 비추게 하거나 또는 빛의 직진성을 최대한 살려서 빛을 원거리까지 보낼 수 있고, 또한 줌조절통에 슬라이드 가능한 지향성통의 지향성필름을 통과하도록 하여 지향성필름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가 스크린판에 투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의 조명기기들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을 그룹별로 학습을 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대화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조명기기의 일부 단면도,
도 2a,b 는 본 발명의 조명기기의 단면도,
도 3a,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지향성필름과 줌조절필름의 예의 정면도,
도 5,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는 그룹을 이루는 학습자(100)들과 또한 학습자(100)들이 직접 사용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10)와 또한 이 조명기기(10)로부터 방출되는 형상물이 덧대어 비출 수 있는 스크린판(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학습자(100)들은 어린이교실 또는 유치원생들을 지칭하며, 도면에서 왼손과 오른손으로 표기한 부분은 학습자(100)의 한사람의 손을 간략하게 표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기기(10)는, LED램프와 반사경이 장착된 일반 플래시를 이용한다. 상기 LED램프는 점등 또는 소등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작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고, 낮은 소비전력 때문에 친환경 조명이다.
본 발명의 조명기기(10)은, 도 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전지가 장착되는 원통부(번호생략)와 원통부에 결합되며, LED램프와 반사경(도시생략)이 장착되는 투광부커버(11)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명기기(10)의 투광부커버(11)에는 줌조절통(20)이 억지맞춤으로 결합고정되고, 또한 상기 줌조절통(20)에는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투광부커버(11), 줌조절통(20) 및 지향성통(30)들은 단면이 원통형상이며,
조명기기(10)의 투광부커버(11)의 형상에 따라서 사각형상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줌조절통(20)의 원통부의 절반은 필름삽입구멍(22)이 형성되어, 이 필름삽입구멍(22)에 줌조절필름(21)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은 중앙은 투명(23)하고, 둘레면은 불투명(24)한 형상이다. 투명(23)한 쪽으로 투광되는 빛이 통과하고, 불투명(24)한 부분은 빛이 거의 투과되지 않는다.
이는 조명기기(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중심축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줌조절필름(21)의 중앙의 투명(23)부분이 크면 방출되는 빛이 중심축방향으로 넓게 투광되고, 중앙의 투명(23)부분이 작으면 방출되는 빛이 중심축방향으로 좁게 투광되어, 결국 방출되는 빛이 중심축방향으로 넓으면 짧은 거리를 초점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방출되는 빛이 중심축방향으로 좁으면 긴 거리를 초점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판(50)과 학습자(100)간의 거리의 간격에 따라서 학습자(100)가 직접 필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을 통과하여 빛의 확산성을 극대화시켜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빛이 비추게 하거나 또는 빛의 직진성을 최대한 살려서 빛을 원거리까지 보낼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향성통(30)의 원통부의 절반은 필름삽입구멍(32)이 형성되어, 이 필름삽입구멍(32)에 지향성필름(31)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향성통(30)의 지향성필름(31)들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숫자 기구 : 1, 2, 3, 4, 5 ... +, -, x, =........... , 글씨 기구 : 영어 A,B,C, a,b,c ........... , 한글기초 : ㄱ ㄴ ㄷ ㄹ........... , 한글 : 유치원 어린이집, 생일............ , 과일모양, 동물모양, 나뭇잎모양, 하트모양, 별모양, 꽃모양, 열매모양 및 태극모양 등을 준비하여 학습자(100)들에게 나누어 주어 학습자(100) 들이 선생님이나 학부모의 지도아래 학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100)들은 조명기기(10)에 줌조절통(20)과 지향성통(30)들을 결합 한 상태에서, 선생님이나 학부모의 지도아래 줌조절통(20)과 지향성통(30)들의 필름삽입구멍(32)들에 도 4a,b의 줌조절필름(21)과 지향성필름(31)들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100)들은 도 2a,b 및 도 5,6,7의 상태와 같이 조명기기(10)의 줌조절통(20)으부터 지향성통(30)을 전 후방으로 이동하여 초점의 이동과 함께 스크린판(50)에 비추어진 변환된 덧댐형상(40)의 형상물의 광도 및 휘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조명기기(10)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통(20)이 고정되고, 또한 이 줌조절통(20)에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하여 조명기기(10)의 투광부로부터 투광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숫자, 글씨, 모양 등이 컬러 투명체를 통과하게 함으로서 컬러색을 갖는 덧댐형상(40)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10)의 투광부의 빛이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을 통과하여 빛의 중심축방향으로 확산되고, 이 확산되는 빛은 지향성통(30)의 지향성필름(31)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들이 덧댐형상(40)으로 변환되어, 이 덧댐형상(40)이 일정거리의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학습자(100)들은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수의 학습자(100)들의 조명기기(10)을 가지며, 상기 조명기기(10)들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필름(21)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줌조절통(20)이 형성되고, 이 줌조절통(30)에는 지향성필름(31)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상물이 인쇄된 지향성필름(31)을 교재의 선정에 따라서 교체한 후 실시할 수 있다.
그래서, 복수개의 조명기기(10)과 밑그림이 형성된 형상물(51)의 스크린판(50)을 구비하여 그룹 또는 단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을 이루는 학습자들의 조명기기(10)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40)들이,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100)들이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은, 지향성필름(31)의 형상물을 구성하는 밑그림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판(50)에 나무모양의 형상물(51)을 구비하고 학습자(100)들의 지향성필름(31)은 나뭇잎 등의 지향성필름을 구비하여 덧댐형상(40)이 스크린판(50)의 나무모양의 형상물(51)의 가지들에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스크린판(50)에 큰 하트모양의 형상물(51)을 구비하고, 학습자(100)들의 지향성필름(31)은 작은 하트의 지향성필름을 구비하여 덧댐형상(40)이 스크린판(50)의 큰 하트내에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스크린판(50)에 별위치 모양의 형상물(51)을 구비하고, 학습자(100)들의 지향성필름(31)은 별모양의 지향성필름을 구비하여 덧댐형상(40)이 스크린판(50)의 별위치 모양에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판(50)의 밑그림의 형상물(51)에 투시되는 덧댐형상(40)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서로 상의하여 완성된 밑그림에 덧댐형상이 조합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기기(10)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통(20)을 생략하고 대신 지향성통(30)을 길게 형성한 예로써, 이 길게 형성한 지향성통(30)에 복수개의 필름삽입구멍(22,32)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줌조절필름(21)과 지향성필름(31)의 간격을 유지하며 투광되는 빛의 초점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삽입구멍(22,32) 쪽에 숫자나 한글을 표시하여 학습자(100)들이 선생님 또는 학부모의 지도아래 선택하여 필름들을 설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학습자(100)들이 숫자 기구, 글씨 기구, 모양 기구를 나누어 갖은 후, 학습 교사 및 부모의 지도하에 특정한 문양 만들기, 숫자, 계산하기, 영문 단어 만들기 등을 하도록 함으로서, 창의력과, 기억력 그리고 협동심을 가질 수 있다.
10 : 조명기기 11 : 투광부커버
12 : 램프 13 : 반사경
20 : 줌조절통 21 : 줌조절필름
22 : 필름삽입구멍 23 :투명
24 : 불투명 30 : 지향성통
31 : 지향성필름 32 :필름삽입구멍
40 : 덧댐형상 50 : 스크린판
51 : 형상물

Claims (5)

  1. LED램프와 반사경이 형성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판에 조명기기의 빛이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에 있어서,
    조명기기(10)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필름(21)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줌조절통(20)이 고정되고, 이 줌조절통(20)에 지향성필름(31)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조명기기(10)의 투광부의 빛이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을 통과하여 빛의 중심축방향으로 확산되고, 이 확산되는 빛은 지향성통(30)의 지향성필름(31)의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들이 덧댐형상(40)으로 변환되어 이 덧댐형상(40)이 일정거리의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줌조절통(20)과 지향성통(30)에는, 필름삽입구멍(32)들이 형성되어, 상기 줌조절통(20)의 중앙은 투명(23)하고 둘레면은 불투명(24)한 크기의 줌조절필름(21)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고, 지향성통(30)에는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의 지향성필름(31)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
  2. 삭제
  3. LED램프와 반사경이 형성되는 플래시 등의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판에 조명기기의 빛이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학습자(100)들의 조명기기(10)을 가지며, 상기 조명기기(10)들의 투광부커버(11)에 줌조절필름(21)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줌조절통(20)이 형성되고, 이 줌조절통(20)에는 지향성필름(31)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지향성통(3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형상물이 인쇄된 지향성필름(31)을 교재의 선정에 따라서 교체한 후, 그룹을 이루는 학습자(100)들의 조명기기(10)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40)들이,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100)들이 형상물의 변화라던가 또는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줌조절필름(21)의 중앙은 투명(23)하고 둘레면은 불투명(24)하며, 상기 지향성필름(31)의 형상물은, 도형, 문양, 숫자 및 글씨이며, 상기 스크린판(50)의 형상물(51)은 지향성필름(31)의 형상물의 밑그림임을 특징으로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방법.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100)들은, 그룹으로 짜인 학습기 체험자이며, 또한 개개의 조명기기(10)를 가지고 각 조명기기(10)의 줌조절통(20)의 줌조절필름(21)과 지향성통(30)들의 지향성필름(31)들을 선택하여 장착하고, 줌조절통(20)으로부터 지향성통(30)을 슬라이드 조절하여, 조명기기(10)들부터 방출되는 덧댐형상(40)이 스크린판(50)에 복수개 덧대어 형성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의 사용방법.
KR1020200087167A 2020-07-15 2020-07-15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KR10237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67A KR102370866B1 (ko) 2020-07-15 2020-07-15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67A KR102370866B1 (ko) 2020-07-15 2020-07-15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12A KR20220009512A (ko) 2022-01-25
KR102370866B1 true KR102370866B1 (ko) 2022-03-11

Family

ID=8004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167A KR102370866B1 (ko) 2020-07-15 2020-07-15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94Y1 (ko) * 2001-05-03 2001-10-12 권형철 조명 달시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245A (ko) * 2000-02-11 2001-08-29 구창환 교육용 영사장치
KR102012283B1 (ko) 2016-12-19 2019-08-21 (주)댐코씨에스아이 체험 학습용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94Y1 (ko) * 2001-05-03 2001-10-12 권형철 조명 달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12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305A (en) Light image generating system
JP7023560B2 (ja) 星空再現装置
US5030100A (en) Environmental display system
CN104321810A (zh) 侧光式扁平面板重复点灯设备
US9675901B2 (en) Slides projector book device
Torres et al. Illumination aesthetics: Light as a creative material within computational design
KR102370866B1 (ko)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US7249431B1 (en) Light-activated illuminating device
US5385473A (en) Display polyhedra having marked and unmarked paired opposing faces
US6000803A (en)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077847B1 (ko) 광고 또는 인테리어용 간접조명 표시매체
KR200404911Y1 (ko) 엘이디기판이 매설된 학습용 투명칠판
KR101574756B1 (ko) 모듈형 조립구조를 갖는 영유아 교육 체험구조물
US3789521A (en) Fiber optic teaching aid display
JP6654784B2 (ja) 星座早見盤
CN205247743U (zh) 便携式多光源牛顿环演示仪
CN215868192U (zh) 教学用具
JPS5865468A (ja) 宇宙天体表示具
US8161672B2 (en) Apparatus of generating messages
CN220895072U (zh) 一种物理实验用光学演示装置
CN210819629U (zh) 机器人头部
Cavicchi et al. Playing with light
CN210223297U (zh) 一种多功能地球仪教具
Steele A model for watching live theatre
US3486243A (en) Light ray education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