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576A - 렌즈 및 발광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및 발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576A
KR20190057576A KR1020170154690A KR20170154690A KR20190057576A KR 20190057576 A KR20190057576 A KR 20190057576A KR 1020170154690 A KR1020170154690 A KR 1020170154690A KR 20170154690 A KR20170154690 A KR 20170154690A KR 20190057576 A KR20190057576 A KR 20190057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dent
light
light emitting
emitte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671B1 (ko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및 발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출사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의 후면 방향에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가 렌즈에 형성됨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렌즈의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고 요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렌즈 및 발광 모듈{LENS AND LIGHT EMITTING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및 발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비추는 가로등에 이용되는 렌즈 및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통해 발생하는 광을 방출하는 무기 반도체 소자이다.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램프, 일반 조명 등의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기존 광원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도로 등을 비추기 위한 가로등에도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는 추세에 있다. 가로등은 대체로 사용자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특정 방향으로 광이 발출될 수 있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즉, 가로등은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광범위하게 광이 방출되지만, 그 외의 위치에 광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가로등이 설치된 위치에서 비대칭으로 광이 조사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렌즈를 통해 방출되는 광이 원하는 영역만이 아닌, 다른 위치로 광이 방출되어 요구되는 방향으로만 광이 방출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원하는 방향을 향해 렌즈 외부로 광을 방출시킬 수 있는 렌즈 및 발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출사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사면은 두 개의 볼록 출사면과 상기 두 개의 볼록 출사면 사이를 연결하는 오목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오목 출사면과 두 개의 볼록 출사면의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내부에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홈은 상기 입사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홈의 깊이는 상기 입사면을 형성하는 오목한 형상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홈의 내측면 중 상기 입사면 측에 배치된 면은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반사부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의 상면은 상기 반사부의 상면을 통해 방출되는 광이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방출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면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은 평면, 곡면 및 평면과 곡면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단홈의 일 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단홈이 상기 입사면과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도록 배치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출사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면 및 측면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내부에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홈은 상기 입사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홈의 깊이는 상기 입사면을 형성하는 오목한 형상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홈의 내측면 중 상기 입사면 측에 배치된 면은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반사면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의 상면은 상기 반사부의 상면을 통해 방출되는 광이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방출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은 평면, 곡면, 평면 및 곡면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단홈의 일 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단호이 상기 입사면과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의 후면 방향에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가 렌즈에 형성됨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렌즈의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고 요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절취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영역 B를 취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서 방출되는 광을 종래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의 배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의 배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이 주거지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이 주거지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영역 B를 취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절취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렌즈(130)는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 또는 집중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렌즈(130)는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32), 렌즈(130)에서 외부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134)을 갖는다. 그리고 출사면(134)의 측면 방향에 플랜지(138)를 더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렌즈(130)의 출사면(134)의 후면 방향에 반사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사면(132)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렌즈(130)의 저면도를 보면, 입사면(132)은 일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되, 길이 방향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의 일 측과 반대 측인 타 측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측면도를 참조하면, 입사면(132)의 형상은 렌즈(130)의 전면 방향이 완만한 경사의 곡면을 가지고, 렌즈(130)의 후면 방향이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사의 곡면을 가진다. 이때, 렌즈(130)의 후면 방향에 위치한 입사면(132)은 직선과 곡선이 혼재될 수 있다.
이렇게 입사면(132)은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광이 렌즈(130)의 전면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과 렌즈(130)의 후면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이 서로 다른 각도로 렌즈(130)에 입사되도록 오목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후술하겠지만, 입사면(132)이 형성된 오목한 형상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120)이 오목한 형상 내에 배치됨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은 대부분(또는 전부)이 입사면(132)을 통해 렌즈(130)로 입사될 수 있다.
출사면(13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134)의 중심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 출사면이 배치되고, 오목 출사면의 양측에 각각 볼록 출사면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사면(134)의 볼록 출사면을 통해 광이 방출되어 상대적으로 렌즈(130)의 전면 방향 및 양 측면 방향으로 넓게 퍼져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입사면(132)의 오목한 형상의 일부는 도 2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134)의 영역보다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반사부(141)는 출사면(134) 중 일부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1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134)의 후면 방향에 육면체 형상이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부(141)는 출사면(134)이 가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듯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1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렌즈(130)의 저면으로 차단홈(H)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141)의 형상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사부(141)는 출사면(134)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며, 출사면(134)에서 렌즈(130)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141)의 반사부 상면(141b)이 출사면(134)에서 연장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 상면(141b)이 수평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게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 상면(141b)과 일 측에 맞닿도록 반사부(141)의 지지외면(141ca)이 렌즈(130)의 플랜지(138) 측으로 꺾여 형성된다. 지지외면(141ca)은 플랜지(138)를 향해 연장되며, 수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 상면(141b) 및 지지외면(141ca)이 단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반사부 상면(141b) 및 지지외면(141ca)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곡선 또는 곡선과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부(141)의 내측에 차단홈(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홈(H)의 내측면 중 입사면(132)측에 위치한 면은 반사면(141a)이고, 반사면(141a)의 맞은편의 면은 지지내면(141cb)일 수 있다. 지지내면(141c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외면(141ca)과 평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면(141a)은 입사면(132)을 통해 렌즈(130) 내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면(134) 또는 반사부 상면(141b)을 통해 광이 방출되도록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면(141a)은 측면도 상 두 개의 직선으로 형성되고, 차단홈(H)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이때, 반사면(141a)의 형상은 차단홈(H)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면(141a)의 형상은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면(134)이나 반사부 상면(141b)을 향해 반사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반사면(141a)의 형상은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광을 출사면(134) 또는 반사부 상면(141b)으로 전반사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사면(132)의 후면 방향의 형상과 반사면(141a)의 형상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반사면(141a)은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하기 위해 입사면(132)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홈(H)의 깊이는 입사면(132)을 형성하는 오목한 형상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광이 반사부(141a)를 거치지 않고, 렌즈(130)의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렌즈(130)는 전면 방향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된 일체의 형상을 가지며, 렌즈(130)의 하면에서 입사면(132)과 차단홈(H)이 차례로 배치되고, 출사면(134)과 반사부 상면(141b)이 연장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은 공기, 렌즈, 공기 및 렌즈의 불연속적인 매질을 거칠 수 있으며, 광의 진행 방향에서 차단홈(H)의 앞쪽에 매질의 굴절율이 높아 반사면(141a)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서 방출되는 광을 종래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종래의 발광 모듈(10)에서 방출되는 광 중 발광 모듈(10)의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에서 방출되는 광 중 발광 모듈(100)의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모듈(100)은 기판, 발광 다이오드 칩(120) 렌즈(130)를 포함한다.
기판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발광 다이오드 칩(120)을 실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기판은 절연성 기판, 도전성 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파이어 기판, 질화갈륨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실리콘 기판, 금속 기판 및 세라믹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판 상부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거나 내부에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기판 상에 배치되고,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된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상면뿐만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도 광을 방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하부에 외부 전극과 전원이 연결되기 위한 전극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청색광 또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백색광으로 파장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형광체층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의 상면 및 측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등의 폴리머 수지나 유리 또는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형광체층은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을 파장 변환하기 위한 한 종류 이상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칩(120)은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광이 방출되므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렌즈(30)가 발광 다이오드 칩(120)(20)의 상부에 배치되면, 발광 모듈(10)의 후면 방향으로 상당한 양의 광이 방출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의 발광 모듈(10)의 경우도, 발광 모듈(10)의 전면 방향보다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은 적은 양이 방출될 수 있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은 발광 모듈(100)의 후면 방향으로 광이 거의 방출되지 않는다. 발광 다이오드 칩(120)에서 방출된 광이 발광 모듈(100)의 후면 방향으로 입사면(132)을 통해 렌즈(130)에 입사되면, 반사면(141a)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져 렌즈(130)의 반사부 상면(141b)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있다. 이때, 렌즈(130)의 반사부 상면(141b)이 수평선과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발광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광이 더 굴절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130)의 반사면(141a)의 후방에 차단홈(H)이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면(141a)에서 전반사 성능이 높아질 수 있는데, 렌즈(130)의 매질이 차단홈(H)의 매질인 공기보다 높기 때문에 반사면(141a)에서의 전반사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반사면(141a)에서 반사되지 않고, 반사면(141a)을 투과하여 차단홈(H)으로 광이 방출되더라도 차단홈(H)의 후방에 지지부(141c)가 배치되어, 지지내면(141cb) 및 지지외면(141ca)에서의 굴절 또는 반사가 이루어져 렌즈(130)의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광 모듈(100)의 후면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의 배광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의 배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비교하면,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된 종래의 발광 모듈(10)과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에서 방출되는 측면광과 후사광을 비교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그래프 중 그래프의 양 측으로 높은 값을 가지는 그래프는 각각 종래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 100)의 측면광을 나타낸 것으로, 측면광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에 표시된 영역이 종래 및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 100)의 후사광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발광 모듈(10)은 표시된 영역의 값이 표시된 영역의 우측 값과 거의 유사거나 조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발광 모듈(10)에서 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이 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과 비교하여 조금 감소하지만,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은, 표시된 영역의 값이 표시된 영역의 우측 값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에서 방출된 광 중 후사광의 전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차이로 적은 양의 광이 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이 주거지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서 방출된 광이 주거지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은 가로등에 이용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는데, 가로등은 도로를 향해 광이 조사될 필요가 있고, 도로 이외의 위치인 가로등의 후면 방향으로는 거의 조사되지 않는 것이 좋은데, 이는 가로등이 배치된 위치의 후면 방향에 주거지역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야간에 주거지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0 및 도 11에 표시된 영역은 각각 주거지역에 조사되는 광의 양을 도시한 것이며, 우측의 값이 높을수록 많은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 및 도 11을 비교하면, 종래의 발광 모듈(10)에서 방출된 광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에서 방출된 광보다 상대적으로 주거지역에 많은 광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 모듈
120: 발광 다이오드 칩
130: 렌즈
132: 입사면 134: 출사면
138: 플랜지
141: 반사부 141a: 반사면
141b: 반사부 상면 141c: 지지부
141ca: 지지외면 141cb: 지지내면
H: 차단홈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출사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반사하는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두 개의 볼록 출사면과 상기 두 개의 볼록 출사면 사이를 연결하는 오목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오목 출사면과 두 개의 볼록 출사면의 일부에 걸쳐 형성된 렌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내부에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홈은 상기 입사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렌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의 깊이는 상기 입사면을 형성하는 오목한 형상의 깊이보다 깊은 렌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의 내측면 중 상기 입사면 측에 배치된 면은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인 렌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반사부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렌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상면은 상기 반사부의 상면을 통해 방출되는 광이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방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렌즈.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반사하는 렌즈.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평면, 곡면 및 평면과 곡면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렌즈.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단홈의 일 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단홈이 상기 입사면과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된 렌즈.
  12.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도록 배치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덮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출사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반사하는 발광 모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은 상면 및 측면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내부에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홈은 상기 입사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홈의 깊이는 상기 입사면을 형성하는 오목한 형상의 깊이보다 깊은 발광 모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의 내측면 중 상기 입사면 측에 배치된 면은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인 발광 모듈.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반사면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 모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상면은 상기 반사부의 상면을 통해 방출되는 광이 상기 출사면 측으로 방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렌즈.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평면, 곡면, 평면 및 곡면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발광 모듈.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단홈의 일 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단호이 상기 입사면과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된 발광 모듈.
KR1020170154690A 2017-11-20 2017-11-20 렌즈 및 발광 모듈 KR10254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90A KR102540671B1 (ko) 2017-11-20 2017-11-20 렌즈 및 발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90A KR102540671B1 (ko) 2017-11-20 2017-11-20 렌즈 및 발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76A true KR20190057576A (ko) 2019-05-29
KR102540671B1 KR102540671B1 (ko) 2023-06-08

Family

ID=6667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90A KR102540671B1 (ko) 2017-11-20 2017-11-20 렌즈 및 발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3201A (ja) * 2011-10-25 2013-05-16 Sharp Corp 照明デバイスおよび照明ユニット、ならびに照明装置
JP2014078385A (ja) * 2012-10-10 2014-05-01 Koito Mfg Co Ltd レンズおよび道路照明装置
KR101394476B1 (ko) * 2013-01-31 2014-05-13 (주)애니캐스팅 광고판 투광등용 엘이디 렌즈
JP2014093233A (ja) * 2012-11-05 2014-05-19 Iwasaki Electric Co Ltd 光学素子、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3201A (ja) * 2011-10-25 2013-05-16 Sharp Corp 照明デバイスおよび照明ユニット、ならびに照明装置
JP2014078385A (ja) * 2012-10-10 2014-05-01 Koito Mfg Co Ltd レンズおよび道路照明装置
JP2014093233A (ja) * 2012-11-05 2014-05-19 Iwasaki Electric Co Ltd 光学素子、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394476B1 (ko) * 2013-01-31 2014-05-13 (주)애니캐스팅 광고판 투광등용 엘이디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671B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695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6974069B2 (ja) 発光モジュ−ル及びレンズ
US9217553B2 (en) LED lighting systems including luminescent layers on remote reflectors
US7520647B2 (en) Light source and vehicle lamp
CN108700731B (zh) 光学透镜和具有该光学透镜的灯单元
US20090073710A1 (en) Illumination system and vehicular headlamp
US20090279311A1 (en) Illumination device
KR102099439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80065661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2006278309A (ja) 照明装置
KR102018267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CN108511585A (zh) 发光模块和透镜
JP2006324036A (ja) 車両用灯具用ledバルブ
KR100845041B1 (ko) 조명 장치용 렌즈와 이를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및 조명장치
US20120008306A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amp unit
US10955113B2 (en) Light-emitting module
KR20190057576A (ko) 렌즈 및 발광 모듈
JP2022539405A (ja) 照明モジュール、照明装置及びランプ
KR101304875B1 (ko) 조명 장치
KR20200126290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200099262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KR20180137841A (ko) 반도체 소자 패키지
JP201304592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CN110131683B (zh) 发光模块
KR100757828B1 (ko) 전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