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567A -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567A
KR20190057567A KR1020170154657A KR20170154657A KR20190057567A KR 20190057567 A KR20190057567 A KR 20190057567A KR 1020170154657 A KR1020170154657 A KR 1020170154657A KR 20170154657 A KR20170154657 A KR 20170154657A KR 20190057567 A KR20190057567 A KR 2019005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ver
cover member
base me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23B1 (ko
Inventor
배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프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프로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프로덕
Priority to KR102017015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110, 7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를 기반으로 슬라이딩 되는 커버 부재(120, 720)를 포함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는 상기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10, 910),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330, 920), 및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350, 93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120, 720)는 상기 가이드 레일(350, 930)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380, 960) 및 상기 고정부(330, 920)를 수용하는 잠김홈(360, 9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30, 920)는 상기 커버 부재(120, 720)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 시 소정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잠김홈(360, 9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탄성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CAMERA COVER DEVICE USING ELASTICIT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소정 구조에 의해 카메라의 노출을 제한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등 많은 전자 장치에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 휴대폰의 경우, 많은 사람들은 항시 휴대하면서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을 찍거나 영상 통화를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노트북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경우에도 사람들은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해 화상 회의를 하기도 한다. 이렇듯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어 이제는 필수 구성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가 사생활이 보호되어야 할 곳, 기업의 비밀이 보호되어야 할 곳 등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 동작해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의 동작을 막을 수도 있으나 해킹에 의해 사용자도 모르게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가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었는지 및 동작하는지 각각의 전자 장치마다 확인하는 것도 번거로운 일이다.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의 동작을 막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스티커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용 후 스티커의 끈끈이가 카메라에 남아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카메라를 덮는 기존의 카메라 커버 장치에서는 단순한 슬라이딩 방식의 구조만을 채택하고 있어 상기 장치의 커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카메라 커버 장치가 부착된 카메라가 내장된 노트북을 소지하고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기존의 카메라 커버 장치는 그 구조가 헐거운 경우가 많아서 카메라를 덮도록 고정된 카메라 커버 장치의 커버가 반동 등에 의해 카메라 즉, 카메라의 렌즈가 일부 노출되기도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 렌즈가 일부 노출되었다는 상태를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060호, 2010.09.15 공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탄성을 이용한 구조 방식으로 의도치 않은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는 보다 안정적인 형태의 카메라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110, 7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를 기반으로 슬라이딩되는 커버 부재(120, 720)를 포함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는 상기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10, 910),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330, 920), 및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350, 93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120, 720)는 상기 가이드 레일(350, 930)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380, 960) 및 상기 고정부(330, 920)를 수용하는 잠김홈(360, 9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30, 920)는 상기 커버 부재(120, 720)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 시 소정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잠김홈(360, 9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탄성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는 제1 스토퍼(320) 및 제2 스토퍼(34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120, 720)는 돌출부(3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 상기 가이드 레일(35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 측면 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스토퍼(320) 및 제2 스토퍼(340)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 상기 제1 스토퍼(320) 및 제2 스토퍼(340)는 절곡의 방향이 서로 좌우 대칭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 상기 돌출부(370)의 높이는 상기 커버 부재(120)의 높이보다 낮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 상기 가이드 레일(930)은 상기 베이스 부재(710)의 양 측면의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720)는 잠김홈(940)을 한 개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960)의 양 끝이 폐쇄되어 상기 커버 부재(720)가 상기 베이스 부재(71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 상기 잠김홈(940, 950)과 연결되는 상기 커버 부재(720)의 높이는 서로 달리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자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의 보안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에 의하면 커버 부재의 슬라이딩을 물리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닫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열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커버 부재가 베이스 부재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닫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열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노트북, 휴대폰, 테블릿 컴퓨터 등)에 부착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카메라의 노출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 커버 장치는 특정 구조물(예: 전자 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의 구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닫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어 고정된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기반으로 외부 힘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커버 부재(120)를 포함한다.
도 1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닫힌 카메라 커버 장치의 일측면으로 커버 부재(120)가 보여진다.
또한, 도 1의 (b)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닫힌 카메라 커버 장치의 타측면으로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덮은 커버 부재(120)의 일부가 보여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열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린 카메라 커버 장치의 일측면으로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된 커버 부재(120)가 보여진다.
도 2의 (b)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린 카메라 커버 장치의 타측면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커버 부재(120)가 결합된 방식이 보여진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커버 부재(120)의 각 구성 및 결합 구조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자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베이스 부재(110)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고 커버 부재(12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커버 부재(120)와 결합하고 상기 커버 부재(120)의 슬라이딩을 돕기 위한 가이드 레일(35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5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측면 전체에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레일(35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커버 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탈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스토퍼(320)와 제2 스토퍼(340)를 포함한다.
도 3의 (b)는 커버 부재(120)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120)를 기반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단에서 쉽게 슬라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홈(38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380)은 상기 커버 부재(120)의 측면 전체에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홈(380)은 상기 커버 부재(120)의 양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38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기 가이드 레일(350)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 부재(120)가 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커버 부재(120)는 상기 제1 스토퍼(320), 상기 제2 스토퍼(340) 및 상기 고정부(33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기 위한 잠김홈(360)을 포함한다. 상기 잠김홈(360)의 길이는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단을 슬라이딩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또한 상기 잠김홈(360)은 돌출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370)는 상기 고정부(330)가 상기 커버 부재(120)를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 부재(120)는 상기 고정부(330) 및 상기 돌출부(37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370)의 크기는 상기 잠김홈(360)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돌출부(370)는 상기 잠김홈(36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김홈(360)의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370)의 높이는 상기 커버 부재(120)의 높이보다 낮을 경우 상기 커버 부재(120)의 이동 및 고정을 도울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70)의 높이가 낮음으로 인해 상기 커버 부재(120)는 슬라이딩하기 쉬우며, 상기 커버 부재(120)의 높이가 높음으로 인해 상기 고정부(330)에 걸려 상기 커버 부재(120)는 고정이 쉬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커버 부재가 베이스 부재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커버 부재(120)가 베이스 부재(11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부(330)와 제2 스토퍼(3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구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상부에 있고, 상기 커버 부재(120)가 하부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커버 장치의 상태에서 카메라의 렌즈는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고정부(3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버 부재(120)의 이동 즉, 슬라이딩을 소정 위치에서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커버 부재(1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측면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커버 부재(120)의 돌출부(370)가 상기 고정부(330)를 밀어내는 힘이 발생하여 탄성력을 가진 상기 고정부(330)를 변형시킨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330)가 들어올려지게 된다(실제 장착된 구조에서는 하부 즉, 카메라의 렌즈면이 있는 구조물 측으로 내려가게 됨). 이러한 상기 고정부(330)의 변형에 의해 상기 돌출부(37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공간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커버 부재(120)를 이동시킴에 따라 고정홈(360)의 소정 영역(D)이 상기 고정부(330)까지 이동되면, 상기 소정 영역(D)이 상기 고정부(330)를 수용하게 되면서 상기 커버 부재(12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이 경우, 변형 상태의 고정부(330)는 상기 소정 영역(D)에 진입되면서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므로, 원래 상태로 탄성되면서 상기 소정 영역(D)에 끼움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 부재(120)의 슬라이딩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됨으로써 의도치 않게 상기 커버 부재(120)가 슬라이딩되어 카메라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토퍼(320) 및 제2 스토퍼(340)에 의해 추가 고정 수단이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커버 부재(120)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0)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고정부(3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베이스 부재(110) 내에서도 상기 고정부(330)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10) 전체가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카메라 커버 장치의 조립 시 소정 벤딩 작업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가이드 레일(350)을 상기 커버 부재(120)의 가이드 홈(380)에 용이하게 끼움 조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고정부(3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상기 고정부(330)는 제1 마디(331), 제2 마디(333) 및 제3 마디(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디(331)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구성하는 평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마디(331)와 상기 제2 마디(333)는 제1 R값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디(333)와 상기 제3 마디(335)는 제2 R값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마디(333)와 상기 제3 마디(335)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 부분은 상기 제1 마디(331)와 상기 제2 마디(333)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 부분보다 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R 값은 상기 제1 R값보다 더 큰 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마디(333)와 상기 제3 마디(335)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이 더 넓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330)가 상기 돌출부(370)와 만나게 될 때 상기 고정부(330)를 더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마디(335) 중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는 제1 마디(331)보다 더 높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 카메라 커버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경우 즉,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커버 부재(120)의 위치가 반전된 경우라면, 상기 제3 마디(335)의 가장 낮은 부분은 상기 제1 마디(331)보다 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부(330)가 상기 돌출부(370)와 만나게 될 때 상기 고정부(330)를 더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카메라 커버 장치에서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거나 고정 구조가 헐거운 상태로 구성되어 의도치 않은 슬라이딩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카메라 커버 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카메라 커버 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스토퍼(32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상기 제1 스토퍼(320)의 모양은 ‘┗’자 형태로 굽어 커버 부재(120)가 잠김홈(360)의 일측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고정부(33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330)의 모양은 대략‘∨’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잠김홈(360)의 일측에서 돌출부(370)에 걸려 상기 커버 부재(120)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상기 커버 부재(120)에 부가하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타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커버 부재(120)의 손상을 막고 상기 커버 부재(120)의 고정 및 이동을 돕기 위해 상기 고정부(330)의 탄성력은 상기 커버 부재(120)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부재(120)의 재질은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작은 플라스틱, 세라믹, 스테인리스 스틸 등 비교적 탄성력이 작은 것이 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재질은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큰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고정부(330)의 재질만 탄성력이 작고, 상기 커버 부재(12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재질은 탄성력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30)의 고정을 돕기 위해 상기 돌출부(370)의 높이는 상기 커버 부재(12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잠김홈(360)과 닿아있는 상기 커버 부재(120)의 높이가 높아 상기 고정부(33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6의 (c)는 상기 카메라 커버 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스토퍼(34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 스토퍼(340)의 모양은 상기 제1 스토퍼(320)의 모양과 좌우 대칭인 ‘┛’자 형태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제2 스토퍼(340)는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잠김홈(360)의 타측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닫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닫힌 카메라 커버 장치의 일측면으로 커버 부재(720)가 보여진다.
또한 도 7의 (b)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닫힌 카메라 커버 장치의 타측면으로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710)와 상기 베이스 부재(710)를 덮은 커버 부재(720)의 일부가 보여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열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린 카메라 커버 장치의 일측면으로 베이스 부재(710)와 상기 베이스 부재(710)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커버 부재(720)가 보여진다.
도 8의 (b)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린 카메라 커버 장치의 타측면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710)와 상기 커버 부재(720)가 결합된 방식이 보여진다.
상기 베이스 부재(710)와 상기 커버 부재(720)의 각 구성은 이하의 도 9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베이스 부재(710)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710)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고 커버 부재(72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710)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9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710)는 상기 커버 부재(720)와 결합하고 상기 커버 부재(720)의 이동을 돕기 위한 가이드 레일(9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930)은 상기 베이스 부재(710)의 측면 일부에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레일(930)은 상기 베이스 부재(710)의 양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710)는 상기 커버 부재(7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920)를 포함한다.
도 9의 (b)는 커버 부재(720)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 부재(720)는 상기 베이스 부재(710)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단에서 쉽게 이동을 하기 위한 가이드 홈(96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960)은 상기 커버 부재(720)의 측면 전체에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홈(960)은 상기 커버 부재(720)의 양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960)은 상기 베이스 부재(710)의 상기 가이드 레일(930)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930)이 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가이드 레일(960)의 끝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720)가 상기 베이스 부재(7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720)는 상기 고정부(9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잠김홈(940, 9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920)가 상기 두 개의 잠김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되면 상기 커버 부재(720)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920)를 효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잠김홈(940, 950)의 내부와 연결되는 상기 커버 부재(720)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그 외의 상기 고정부(920)의 구성 및 고정 원리는 상기 도 4, 도 5, 및 도 6의(b)에서 설명한 바 고정부(330)의 구성 및 고정 원리와 동일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710: 베이스 부재 120, 720: 커버 부재
310, 910: 개구부 320: 제1 스토퍼
330, 920: 고정부 340: 제2 스토퍼
350, 930: 가이드 레일 360, 940, 950: 잠김홈
370: 돌출부 380, 960: 가이드 홈

Claims (7)

  1.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110, 7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를 기반으로 슬라이딩되는 커버 부재(120, 720)를 포함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는 상기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10, 910),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330, 920), 및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350, 93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120, 720)는 상기 가이드 레일(350, 930)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380, 960) 및 상기 고정부(330, 920)를 수용하는 잠김홈(360, 9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30, 920)는 상기 커버 부재(120, 720)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 시 소정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잠김홈(360, 9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탄성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120, 7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 710)는 제1 스토퍼(320) 및 제2 스토퍼(34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120, 720)는 돌출부(37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35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 측면 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스토퍼(320) 및 상기 제2 스토퍼(340)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320) 및 상기 제2 스토퍼(340)는 절곡의 방향이 서로 좌우 대칭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70)의 높이는 상기 커버 부재(120)의 높이보다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930)은 상기 베이스 부재(710)의 양 측면의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720)는 잠김홈(940)을 한 개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960)의 양 끝이 폐쇄되어 상기 커버 부재(720)가 상기 베이스 부재(71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홈(940, 950)과 연결되는 상기 커버 부재(720)의 높이는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 장치.
KR1020170154657A 2017-11-20 2017-11-20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KR10204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57A KR102042623B1 (ko) 2017-11-20 2017-11-20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57A KR102042623B1 (ko) 2017-11-20 2017-11-20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67A true KR20190057567A (ko) 2019-05-29
KR102042623B1 KR102042623B1 (ko) 2019-11-12

Family

ID=6667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57A KR102042623B1 (ko) 2017-11-20 2017-11-20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925Y1 (ko) * 2004-10-27 2005-01-21 주식회사 미디언 슬라이드식 usb커넥터 고정수단
KR20090126003A (ko) * 2008-06-03 2009-12-0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KR20100009060U (ko) 2009-03-06 2010-09-15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카메라 렌즈 커버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925Y1 (ko) * 2004-10-27 2005-01-21 주식회사 미디언 슬라이드식 usb커넥터 고정수단
KR20090126003A (ko) * 2008-06-03 2009-12-0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KR20100009060U (ko) 2009-03-06 2010-09-15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카메라 렌즈 커버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23B1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04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7754982B2 (en) Lock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KR10212126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8251409B2 (en) Cover latch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8126519B2 (en)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KR1014426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JP2009088366A (ja) ストラップが取付け可能な携帯機器
TWI749101B (zh) 夾具
KR10234599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20100009247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314853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2887139B1 (en) Device for covering the lens of a digital camera built into an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similar apparatus having multimedia transmission capabilities
KR20190057567A (ko)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TWI510167B (zh) 固定裝置及其應用之電腦裝置
KR200395863Y1 (ko)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73053A (ko)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KR20034661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60103122A (ko) 휴대기기
JP2006220184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144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007312A (ko) 프로젝터의 포커스 유니트 체결 장치
US8554290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asings
TW201311092A (zh) 固定結構與掀蓋式電子裝置
KR20090109656A (ko)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장치에 사용되는슬라이드 장치
KR200375908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수동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