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122A -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03122A KR20060103122A KR1020060025613A KR20060025613A KR20060103122A KR 20060103122 A KR20060103122 A KR 20060103122A KR 1020060025613 A KR1020060025613 A KR 1020060025613A KR 20060025613 A KR20060025613 A KR 20060025613A KR 20060103122 A KR20060103122 A KR 200601031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body
- groove
- frame
- slide
- sli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조작성이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는 휴대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구비하고,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를 사용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에 의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타방의 틀체에 의해 덮여지는 폐쇄위치와, 그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폐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벗어나는 슬라이드대기위치와,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위치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조작성, 개방동작, 슬라이드기구, 슬라이드대기위치, 자동슬라이드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예에 있어서의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예에 있어서의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개폐동작의 일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엔드리스 캠홈의 일예의 하트캠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더에 핀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a)중의 선X-X 단면도, (e)는 (c)중의 선Y-Y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본 발명은,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직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때에 이용되기 적합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키보드부나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며, 이들의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완전하게 중첩시켜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드는, 슬라이드기구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기구를 지니는 휴대전화기로서는, 일본국특개 2003-125052호공개 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은, 슬라이드커버와 로크플레이트를 중첩시켜 고정시킨 슬라이드케이스를 제2틀체의 하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케이스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납한 슬라이더를 제1틀체의 상면에 설치한 것으로,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구성의 것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상대적조작, 즉, 슬라이드조작은 전적으로 수동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에 따라 조작성 면에서 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와 슬라이드케이스의 사이에, 슬라이더를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및 개방방향의 일방의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폐쇄상태의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개방상태로 하는 경우, 처음에는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킬 때에, 탄성수단의 힘에 저항하기 위해 슬라이시킬 수 있는 힘이 필요로 하지만, 제2틀체가 이동의 반분의 위치를 지나면, 탄성수단의 힘에 의해 제2틀체가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개방상태로 된다. 따라서, 반자동으로 개방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휴대전화기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한손으로 물건을 들거나 하여 한 손을 사용할 수 없을 수 있고, 그 경우에는, 한손으로 개방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이동의 도중, 예를 들면 절반까지 이동시키고는, 손의 크기나 손가락의 길이에도 의하지만, 자동적으로 제2틀체가 슬라이드하는 위치까지 제2틀체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하게 되어, 조작성이 나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성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는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구비하고,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 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를 사용하며,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에 의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타방의 틀체에 의해 덮여진 폐쇄위치와, 그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폐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벗어나는 슬라이드대기위치와,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기 개방위치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폐쇄상태의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적어도 일방을 폐쇄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슬라이드대기위치로 되고,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노출하는 개방상태로 되므로, 조작성이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를,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슬라이더가 미끄럼 접촉하는 측에 설치된 하트형상의 엔드리스(endless) 캠홈와, 그 엔드리스 캠홈에 선단을 덮어 누른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가이드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캠홈이, 상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홈부에 위치되여 있는 상태가 상기 폐쇄상태임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핀이 돌출돌출부에 위치되여 있는 상태가 상기 개방상태인 하트캠형상으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캠홈의 상기 돌출부의 깊이가, 그 돌출부에 연통하는 2개의 홈의 깊이보다 깊은 칫수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직선방향으로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단면형상의 가이드부와, 그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힘작용수단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제1힘작용수단설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드 결합하는 대략 U자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힘작용수단의 타단부가 설치되는 제2힘작용수단설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의하면, 폐쇄상태의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적어도 일방을 폐쇄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슬라이드대기위치로 되고,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노출하는 개방상태로 되므로, 조작성이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도1∼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1를 사용하고,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11의 상면을 제1틀체11 및 상기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12로 덮은 폐쇄상태(도1참조)와, 제1틀체1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도2참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휴대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스(상표)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 포켓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휴대전화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1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틀체11는, 휴대전화기10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11a나 마이크부(도시생략됨) 등을 상면에 지닌다. 제1틀체11는,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12는, 유사하게 휴대전화기10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2a, 스피커부(도시생략됨), 카메라부(도시생략됨) 등을 상면에 지닌다. 제2틀체12는, 제1틀체11와 대략 유사하게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그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슬라이드기구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휴대전화기10가 구성되어 있다. 즉, 그 휴대전화기10는, 제1틀체11의 상면에 제2틀체12의 하면이 서로 중첩되어 키보드부11a 등을 폐쇄함과 동시에, 제1틀체11의 상면으로부터 제2틀체12의 하면이 슬라이드이동하여 키보드부11a 등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0는, 슬라이드기구1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11의 상면이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12에 의해 덮여지는 폐쇄위치와, 그 폐쇄위치로부터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벗어나는 슬라이드대기위치와,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제1틀체1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위치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1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제2틀체12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2와, 그 베이스부재2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설치되는 슬라이더3와, 그 슬라이더3と베이스부재2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4과, 베이스부재2의 슬라이더3가 미끄럼 접촉하는 측에 설치된 하트형상의 엔드리스 캠홈6과, 그 엔드리스 캠홈6에 선단을 가압시킨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슬라이더3 에 설치된 가이드핀5으로 구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2는, 제2틀체12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그 베이스부재2는, 1개라도 좋고 2개라도 좋다. 즉, 베이스부재2 및 슬라이더3는, 휴대전화기10에 1조 설치되어도 좋으며, 2조이상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도 좋다. 또,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전화기10에 베이스부재2 및 슬라이더3를 1조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재2는, 제2틀체12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예를 들면, 제2틀체12의 선단부근방으로부터 대략 중앙부근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2는, 직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봉형상의 대략 사각단면형상의 가이드부21와, 그 가이드부21의 단부로서 제2틀체12의 대략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제1단부라고 하기도 함)에 설치되고, 힘작용수단4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제1힘작용수단설치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21의 상면에는, 나사 등에 의해 베이스부재2를 제2틀체12의 하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25이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도시예에서는 4개가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21의 양측면의 상단부근방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안내홈23가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부21의 양측면 중의 일방의 면(제1측면라고도 함)에 엔드리스 캠홈6이 설치된다. 제1힘작용수단설치부22는, 가이드부21의 제1단부에 가이드부21와 일체로 설치되고, 가이드부21의 제1측면의 제1단부근방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제1힘작용수단설 치부22의 선단부에 힘작용수단4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는, 베이스부재2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슬라이더3는, 도3, 도4,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와 슬라이드 결합하는 대략 U자 형상의 결합부와, 힘작용수단4의 타단부가 설치되는 제2힘작용수단설치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3는, 베이스부재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직방(直方)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의 일방의 측면의 근방의 상면에는, 그 측면을 따라서 결합부로서의 결합홈31이 설치된다. 결합홈31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합홈31의 양측부의 상부가, 슬라이드안내홈23에 삽입되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3의 타방의 측면은, 베이스부재2의 제1힘작용수단설치부22보다 돌출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의 제1힘작용수단설치부22측의 단부의 타방의 측면근방에, 제2힘작용수단설치부32가 설치된다. 제2힘작용수단설치부32는, 힘작용수단4의 타단부가 설치되도록, 예를 들면, 관통공(도시생략됨)을 지닌다. 슬라이더3의 하면에는, 나사 등에 의해 슬라이더3를 제1틀체11의 상면의 선단부(키보드부11a와는 반대측의 단부)근방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고, 그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와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그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폐쇄상태와 개방상태의 사이에서 슬라이드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틀체11의 상면이 제2틀체12로 덮여진 상태가 폐쇄상태이고, 그 때,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의 제2단부(제1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의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그 위치가 폐쇄위치이고, 그 폐쇄위치로부터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벗어나는 위치가 슬라이드대기위치이다. 즉, 슬라이드대기위치는,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의 제2단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의 후단부측으로부터 그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슬라이더3를 베이스부재2의 후단부에 위치시킨 때, 제1틀체11의 상면이 노출한 상태가 개방상태이다. 그 때,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의 제1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재2를 제2틀체12에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3를 제1틀체11에 설치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하였지만, 베이스부재를 제1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를 제2틀체에 설치하여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힘작용수단4은,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힘작용수단4은,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개방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면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텐션스프링41 등이 사용된다. 텐션스프링41의 일단부가 베이스부재2의 제1힘작용수단설치부22에 설치됨과 함께 그 타단부가 슬라이더3의 제2힘작용수단설치부32에 설치되고,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핀5은, 슬라이더3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핀5은, 그 선단이 엔드 리스 캠홈6의 바닥부에 접촉되도록 엔드리스 캠홈6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이다. 가이드핀5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봇핀51 등이 사용하고된다. 피봇핀51은, 엔드리스 캠홈6과 대향하는 슬라이더3의 결합홈31의 측부(결합측부라고도 함)에 설치된다. 그 결합측부에는, 핀수용요홈부55가 설치된다.
핀수용요홈부55의 슬라이드방향의 폭은, 예를 들면 피봇핀5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봇핀51이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던가, 또는 거의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핀수용요홈부55의 높이방향에는, 각각 테이퍼홈이 설치된다. 즉, 핀수용요홈부55는,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봇핀51이 높이방향으로 기울어 넘어질 수 있도록 수용되어, 결합홈31내로 돌출하는 피봇핀51의 선단의 위치가 임의로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봇핀51의 중간의 외주에 있어서, 핀수용요홈부55에 수용된 때에 그 개구부 근처에는, 피봇핀51보다 큰 직경의 링형상의 플랜지부51a가 설치된다. 그 플랜지부51a와 핀수용요홈부55의 가장 깊은 부분과의 사이에서 피봇핀51의 외주에는, 피봇핀51을 핀수용요홈부55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핀힘작용수단인 예를 들면 압축스프압축스프링57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피봇핀51은, 그 선단이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에 가압되도록 엔드리스 캠홈6에 확실하게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엔드리스 캠홈6은, 피봇핀51과 결합하여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유지함과 동시에, 폐쇄위치의 제1틀체11 및 제2틀 체12의 적어도 일방을 개방위치와는 반대방향(폐쇄방향라고도 함)으로 약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대기위치에 위치시킨 때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자동적으로 서로 슬라이드시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엔드리스 캠홈6은, 특히 한정되지는 아니하지만, 하트캠형상으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엔드리스 캠홈6은, 가이드부21의 제1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홈부61가 제2단부근방에 위치됨과 동시에 돌출부62가 제1단부근방에 위치되여 있는 하트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하트캠형상으로 있어서의 홈부61이라함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홈과 D홈의 경계부분에서 구체적으로는 도6에서는 D홈의 단부의 위치를 말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하트캠형상으로 있어서의 돌출부62라 함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홈의 위치를 말한다.
엔드리스 캠홈6의 홈부61의 깊이(바닥부의 위치)는, 가능한 한 얇은 것이 좋지만, 너무 얇으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적어도 일방에 외력이 작용하여 오동작하므로, 오동작하기 어려운 칫수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하트캠형상의 엔드리스 캠홈6은,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에 방향성 있는 단차를 설치하고 있다. 즉, 피봇핀51의 선단부가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그 바닥부의 단차를 따라 피봇핀51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의 단차를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엔드리스 캠홈6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홈, B홈, C홈, D홈 및 E홈의 5개로 되게 하면, 개방위치인 때에는, 피봇핀51이 A홈에 위치되는 것으로 된다. 그 A홈은, 인접하는 E홈 및 B홈보다 깊게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홈와 E홈의 경계 및 A홈과 B홈의 경계에는 각각 단차가 설치되고, 이들의 단차의 높이는, A홈과 B홈의 경계의 단차(AB단차라고도 함)의 편이 작게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홈의 깊이>B홈의 깊이>E홈의 깊이). 또, 그 AB단차는 없더라도 또는 거의 없더라도 좋다. 결국, A홈에 피봇핀51이 위치되여 있는 때에, 피봇핀51이 A홈으로부터 B홈에 안내될 수 있도록 AB단차를 설치하거나 AB단차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 A홈과 E홈의 단차(AE단차라고도 함)는 피봇핀51이 E홈에 안내되지 않도록 하는 높이의 칫수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홈과 C홈의 경계에는 단차(BC단차라고도 함)가 설치되고, 그 BC단차는, B홈의 편이 C홈보다 위에 위치되어, B홈으로부터 C홈으로 피봇핀51이 안내되지만, 그 역으로 C홈으로부터 B홈으로 피봇핀51이 안내되지 않던가 또는 안내되기 어렵도록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홈과 D홈의 경계에는 단차(CD단차라고도 함)가 설치되고, 그 CD단차는, C홈의 편이 D홈보다 위에 위치되어, C홈에서 D홈으로 피봇핀51이 안내되지만 그 역으로 D홈에서 C홈으로 피봇핀51이 안내되지 않던가 또는 안내되기 어렵도록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D홈의 CD단차의 근방의 단부가 홈부이고, 그 홈부에 피봇핀51d; 위치된 때가 폐쇄위치로 된다.
D홈과 E홈의 경계에는 단차(DE단차라고도 함)가 설치되고, 그 DE단차는, D홈의 편이 E홈보다 위에 위치되어, D홈에서 E홈으로 피봇핀51이 안내되지만 그 역으로 E홈으로부터 D홈으로 피봇핀51이 안내되지 않던가 또는 안내되 기 어렵도록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E홈의 DE단차의 근방의 단부(대기부63라고도 함)에 피봇핀51이 위치된 때가 슬라이드대기위치로 된다. 그 때문에, D홈의 각도나 길이를 임의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위치로부터 슬라이드대기위치로의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이동량이 가능한 만큼 적게 되도록 D홈의 각도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폐쇄위치로부터 슬라이드대기위치에로의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이동량이 가능한 한 적게 되도록 D홈의 각도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D홈의 각도나 길이를 설정하는 때에는,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적어도 일방에 외력이 작용하여 폐쇄위치로부터 슬라이드대기위치로 이동하여 오동작하지 않거나 또는 오동작하기 어렵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과 같이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에 단차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개방상태의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서로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피봇핀51이 A홈으로부터 B홈에 안내이동되고, 그리고, B홈으로부터 C홈에 이동하다. 그와 같이 피봇핀51이 C홈에 이동한 때가,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폐쇄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의 한계이고, 그 슬라이드를 멈추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는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피봇핀51이 C홈으로 이동하여 CD단차포부터 홈부61인 D홈의 단부에 이르르며,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폐쇄위치의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서로 폐쇄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키면, 피봇핀51이 D홈으로부터 E홈으로 이동하여 슬라이 드대기위치로 된다.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는, 텐션스프링41의 힘에 의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피봇핀51이 E홈을 A홈방향으로 이동하다. 그리고, 피봇핀51이 A홈으로 이동하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이동이 정지하여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위치에서 유지된다. 즉, 1회의 개폐동작에 의해 피봇핀51가 하트캠형상의 엔드리스 캠홈6을 일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B홈, C홈, D홈 및 E홈의 바닥부는, 피봇핀51이 B홈, C홈, D홈 및 E홈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떻게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경사진 평면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1 및 휴대전화기10의 작용을 설명하다.
휴대전화기1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1 및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이다. 그 때, 피봇핀51이 하트캠형상의 엔드리스 캠홈6의 홈부61에 위치됨과 동시에, 텐션스프링41의 힘에 의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 휴대전화기10로 통화를 행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폐쇄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피봇핀51의 선단부가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그 엔드리스 캠홈6의 바닥부의 CD단차에 의해 피봇핀51이 D홈을 이동하고 또, D홈으로부터 E홈에 이동하여 슬라이드대기위치로 된다.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는, 텐션스프링41 의 힘에 의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므로, 제2틀체12의 슬라이드를 멈추면, 즉, 예를 들면, 제2틀체12로부터 손을 놓는다. 그 결과, 텐션스프링41의 힘에 의해 제2틀체12가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피봇핀51이 E홈을 A홈방향으로 이동하다.
그리고, 피봇핀51이 A홈에 이동하면, 도2 및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틀체12의 이동이 정지하여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그 때, 엔드리스 캠홈6의 돌출부인 A홈은, 인접하는 E홈 및 B홈보다 깊게 형성되여 있기 때문에, 피봇핀51이 A홈으로부터 이탈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방상태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그 제1틀체11의 상면의 키보드부11a가 노출되어 그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휴대전화기10를 사용하여 통화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제2틀체12를 원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손으로 잡고 동시에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아, 그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에 대해 제1틀체11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힘을 작용시킨다(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피봇핀51이 AE단차에 의해 A홈으로부터 B홈으로 이동하여 B홈을 이동하면서, 제2틀체12가 제1틀체11에 대해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위치를 약간 지나면, 피봇핀51이 B홈으로부터 C홈으로 이동하고, 제2틀체12의 슬라이드가 한계로 되어 멈춘다. 그 상태에서 제2틀체12로부터 손을 떼면, 제2틀체12는, 텐션스프링41의 힘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고, 도1 및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핀51이 C홈을 이동하고 나서 홈부인 D홈의 단부에 이르르며,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폐쇄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1 및 휴대전화기10는, 폐쇄위치의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적어도 일방을 폐쇄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자동적으로 개방하므로, 조작성이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손의 크기나 손가락의 길이에 얽매이는 일없이,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한손에 물건을 든 경우 등으로 한손으로만 개방동작을 할 수 없을 때에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0는 유용한 것이다.
또, 피봇핀51이 하트캠형상의 엔드리스 캠홈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에 유지시키기 때문에, 특히 개방동작을 행하는 때에 조작을 짧게, 또한, 조작력을 가볍게 하여도, 오동작하기 어려우므로, 확실히 조작성이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폐쇄위치의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적어도 일방을 폐쇄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슬라이드대기위치로 되고,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노출하는 개방상태로 되므로, 조작성이 좋게 개방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기기의 중에서도 특히 휴대전화기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구비하고,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를 사용하며,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에 의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타방의 틀체에 의해 덮여진 폐쇄위치와, 그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폐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벗어나는 슬라이드대기위치와, 그 슬라이드대기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기 개방위치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를,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슬라이더가 미끄럼 접촉하는 측에 설치된 하트형상의 엔드리스(endless) 캠홈와, 그 엔드리스 캠홈에 선단을 덮어 누른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가이드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캠홈이, 상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홈부에 위치되여 있는 상태가 상기 폐쇄상태임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핀이 돌출돌출부에 위치되여 있는 상태가 상기 개방상태인 하트캠형상으로 형성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캠홈의 상기 돌출부의 깊이가, 그 돌출부에 연통하는 2개의 홈의 깊이보다 깊은 칫수로 형성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직선방향으로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 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단면형상의 가이드부와, 그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힘작용수단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제1힘작용수단설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드 결합하는 대략 U자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힘작용수단의 타단부가 설치되는 제2힘작용수단설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088876 | 2005-03-25 | ||
JP2005088876A JP2006270811A (ja) | 2005-03-25 | 2005-03-25 | 携帯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3122A true KR20060103122A (ko) | 2006-09-28 |
KR100693180B1 KR100693180B1 (ko) | 2007-03-14 |
Family
ID=3701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5613A KR100693180B1 (ko) | 2005-03-25 | 2006-03-21 | 휴대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6270811A (ko) |
KR (1) | KR100693180B1 (ko) |
CN (1) | CN1838688A (ko) |
TW (1) | TW20070412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942B1 (ko) | 2007-04-06 | 2008-09-02 | 주식회사 다이아벨 | 자동 슬라이드 힌지 장치 |
JP5431892B2 (ja) * | 2009-12-04 | 2014-03-05 | 加藤電機株式会社 |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
JP5578250B2 (ja) * | 2013-03-11 | 2014-08-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ヘッドキャップ、吸引装置および液滴吐出装置 |
WO2022219620A1 (en) * | 2021-04-16 | 2022-10-20 | Gp Electronics (Hk) Limited | Electrical apparatuses |
-
2005
- 2005-03-25 JP JP2005088876A patent/JP2006270811A/ja active Pending
-
2006
- 2006-03-08 TW TW095107792A patent/TW200704120A/zh unknown
- 2006-03-21 KR KR1020060025613A patent/KR1006931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3-24 CN CNA2006100661141A patent/CN1838688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270811A (ja) | 2006-10-05 |
KR100693180B1 (ko) | 2007-03-14 |
TW200704120A (en) | 2007-01-16 |
CN1838688A (zh) | 2006-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1059B1 (ko) | 휴대단말기슬라이드기구 | |
KR100640165B1 (ko) | 휴대단말용 연결장치 | |
KR20060103115A (ko)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 |
US20090146537A1 (en) |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s | |
JP2009032098A (ja) | スライド機構、電子機器及び携帯装置 | |
KR100693180B1 (ko) | 휴대기기 | |
KR101487470B1 (ko) | 전자기기용 슬라이드 장치 | |
KR100650695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 |
KR20070056782A (ko) |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 |
EP2359580B1 (en) | Bi-stable sliding assembly for mobile terminals | |
JP4429935B2 (ja) | 携帯機器用スライド機構 | |
KR200346618Y1 (ko) |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 |
US20080259535A1 (en) | Sliding open/closed device | |
KR100907446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슬라이드 힌지장치 | |
KR101094164B1 (ko) | 단말기 | |
JP2009105867A (ja) | 移動通信端末機のスライドヒンジ装置 | |
KR20070034371A (ko) |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 |
KR100939195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 |
KR20090109656A (ko) |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장치에 사용되는슬라이드 장치 | |
KR100660940B1 (ko) | 레일을 따라 가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
TWI418201B (zh) | 滑蓋結構及應用該滑蓋結構之攜帶式電子裝置 | |
KR200376816Y1 (ko) |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 |
KR100997747B1 (ko) | 슬라이드 틸팅 힌지장치 | |
KR20060102975A (ko) |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 |
KR100975664B1 (ko) | 슬라이드 힌지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