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115A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115A
KR20060103115A KR1020060025251A KR20060025251A KR20060103115A KR 20060103115 A KR20060103115 A KR 20060103115A KR 1020060025251 A KR1020060025251 A KR 1020060025251A KR 20060025251 A KR20060025251 A KR 20060025251A KR 20060103115 A KR20060103115 A KR 2006010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slider
base member
slide
slid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674B1 (ko
Inventor
히데오 카토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가능함과 동시에, 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기기를 구성할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고정되고, 상기 직선방향으로 관통할 가이드홈을 1개 또는 2개 이상 지니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그 슬라이더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또는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구비한다.
길이, 두께, 휴대기기, 슬라이드기구, 베이스부재, 힘작용수단

Description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slide mechanism of a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phone}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중간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슬라이드기구 2: 베이스부재
3: 슬라이더 4: 힘작용수단
10: 휴대전화기 11: 제1틀체
12: 제2틀체 11a: 키보드부
12a: 디스플레이부 21: 기판부
22: 장착부 23: 고정공
24: 취부부 25: 고정샤프트
31: 미끄럼운동부 32: 플랜지부
34: 취부부 41: 토션스프링
본 발명은、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때에 이용되기 적합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키보드부와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며, 그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완전하게 중첩시켜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드는, 슬라이드기구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기구를 지니는 휴대전화기로서는, 일본국특개2003-125052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은, 슬라이드커버와 로크플레이트를 중첩시켜 고정시킨 슬라이드케이스를, 제2틀체의 하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케이스 안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납한 슬라이더를 제1틀체의 상면에 설치한 것으로,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구성의 것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상대적 조작, 즉, 슬라이드조작은 전적으로 수동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작성의 점에서 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본 출원인은 이미,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조작을 행하는 슬라이드기구를 제안하였다.
그 슬라이드기구는, 예를 들면, 제1틀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와,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를 베이스부재에 대한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및/또는 개방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더가 베이스부재에 대한 소정의 미끄럼운동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또는 개방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해지므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대적인 소정의 슬라이드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의 양측부에 슬라이더의 양측부를 슬라이드결합시키기 위해, 슬라이더의 길이(슬라이드방향의 길이)가 길게 된다. 즉, 슬라이더의 폭은, 베이스부재의 폭과 같던가 대략 같으므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이, 슬라이더의 길이가 길 게 되면, 베이스부재의 길이(슬라이드방향의 길이)도 길게 되어 전체적으로 길이가 길게 된다.
또, 힘작용수단은,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힘작용수단은,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끼여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가 서로 슬라이드할 때에, 힘작용수단이 베이스부재나 슬라이더에 접촉하지 않도록, 베이스부재와 힘작용수단의 사이 및 슬라이더와 힘작용수단의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많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기구로서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껍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함과 동시에 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로서, 상기 제1틀체과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고정되고, 상기 직선방향으로 관통할 가이드홈을 1개 또는 2개이상 지니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그 슬라이더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또는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와 일방의 틀체의 사이에 힘작용수단을 설치한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와 슬라이더가 서로 슬라이드할 때, 베이스부재와 힘작용수단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2개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홈에, 상기 슬라이더가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는, 가이드홈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폭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슬라이더의 길이(슬라이드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할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힘작용수단이, 토션스프링이고, 그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축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2개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홈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부근방에 배치되며, 이들 가이드홈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결합하고, 상기 힘작용수단이 2개의 토션스프링으로 되고, 이들 토션스프링중의 일방의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일방に축으로 지지되고, 타방의 토션스프링의 일방의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타방에 축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는,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베이스부재의 일방의 틀체측에 힘작용수단을 설치하므로,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와 일방의 틀체의 사이에 힘작용수단을 설치하므로,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더를 가이드홈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도1∼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기를 구성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것이다.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11의 상면을 제1틀체11 및 상기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12로 덮는 폐쇄상태(도1참조)와, 제1틀체1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도3참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휴대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스(상표) 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 포켓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휴대전화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1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틀체11는, 휴대전화기10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11a와 마이크부(도시생략됨) 등을 상면에 지니고 있다. 제1틀체11는,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제2틀체12는, 유사하게 휴대전화기10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2a, 스피커부(도시생략됨), 카메라부(도시생략됨) 등을 상면에 지니고 있다. 제2틀체12는, 제1틀체11와 대략 유사하게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는, 도1∼도4에 있어서 어느 것도 상상선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들의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から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그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슬라이드기구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휴대전화기10가 구성되고 있다. 즉, 그 휴대전화기10는, 제1틀체1 1의 상면에 제2틀체12의 하면이 서로 중첩되어 키보드부11a등을 폐쇄함과 동시에, 제1틀체11의 상면으로부터 제2틀체12의 하면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키보드부11a 등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틀체11의 상면의 양측부에는, 선반부11c, 11c가 설치된다. 또, 제2틀체12의 하면의 양측부에는, 선반부11c, 11c에 미끄럼 접촉할 슬라이드부12c, 12c가 설치된다. 이들의 선반부11c, 11c 및 슬라이드부12c, 12c는, 폐쇄상태인 때 선반부11c, 11c의 일방의 단부와 슬라이드부12c, 12c의 일방의 단부가 접촉하고, 개방상태인 때 선반부11c, 11c의 타방의 단부와 슬라이드부12c, 12c의 타방의 단부가 접촉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선반부11c, 11c와 슬라이드부12c, 12c는, 생략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2와,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12에 고정되는 슬라이더3와, 베이스부재2와 제1틀체11의 사이에 설치되는 힘작용수단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2는, 제1틀체11의 상면의 키보드부11a보다 윗방향으로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베이스부재2는,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부21와, 기판부21의 양측부를 기판부21에 대해 직교하여 제1틀체11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또 선단부를 내측에 대략 직각 으로 절곡한 장착부22를 지니고 있다. 즉, 베이스부재2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의 금속플레이트의 양측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프레스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 베이스부재2는, 합성수지 등의 성형품이어도 좋다.
장착부22에는, 베이스부재2를 제1틀체11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공23이 2개 이상, 예를 들면 도시예에서는 3개 설치된다. 이들 고정공23에, 나사홈이 설치된 고정샤프트25가 고정되어 베이스부재2가 제1틀체11에 고정된다. 또, 고정공23의 내벽에는 예를 들면 나사구를 설치하고, 베이스부재2를 제1틀체11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판부21, 즉 베이스부재2의 폭은, 제1틀체11의 폭보다 작게, 예를 들면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고 있다. 기판부21의 양 장착부22, 22의 근방에는, 가이드홈6이 각각 설치된다. 이들 가이드홈6은, 기판부21의 길이방향(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슬라이드하는 직선방향)으로 그 일단부근방으로부터 타단부근방까지의 위치에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 기판부21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힘작용수단4의 일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2개의 취부부24가 설치된다. 또,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이드홈6을 2개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더3는, 가이드홈6에 각각 개별적으로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고, 제2틀체12의 하면의 윗방향으로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슬라이더3는, 가이드홈6을 관통하여 제2틀체12에 설치되는 미끄럼운동부31와, 그 미끄럼운동부31의 제1틀체11측에 설치되는 플랜지부32를 지니고 있다. 슬라이더3는, 예를 들면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플랜지부32는, 가이드홈6의 구멍보다 큰 폭의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플랜지부32의 표면(제1틀체11측의 표면)으로서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표면에는, 힘작용수단4의 타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취부부34가 설치된다.
미끄럼운동부31는, 가이드홈6을 관통하는 대략 긴 원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그 미끄럼운동부31의 제2틀체12에 설치되는 면(취부면이라고도 함)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 취부면의 양단부근방에는, 슬라이더3를 제2틀체12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홈을 지니는 고정공33이 각각 설치되고, 그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의 가이드홈6과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그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폐쇄상태과 개방상태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틀체11의 상면이 제2틀체12로 덮인 상태가 폐쇄상태이다(도1참조). 그 때, 슬라이더3가 베이스부재2의 가이드홈6의 하방의 단부에 위치되고, 그 폐쇄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의 후단부측으로부터 그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슬라이더3를 가이드홈6의 윗방향의 단부에 위치시키며, 제1틀체11의 상면의 키보드부11a 등이 노출한 상태가 개방상태이다(도3참조). 예를 들면, 이들 폐쇄상태와 개방상태의 사이의 중간(대략 중간을 포함함)의 상태가 중립상태이다(도2참조). 또, 베이스부재2를 제1틀체11에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3를 제2틀체12에 설치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하였지만, 베이스부재2를 제 2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더3를 제1틀체에 설치하여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하도 좋다.
또, 슬라이더3는, 가이드홈6에 직접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지만, 가이드홈6에 가이드부재9를 설치하여 그 가이드부재9에 슬라이더3를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가이드부재9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지만, 내구성의 관점에서 기타의 재료, 예를 들면, 소결금속품, 프레스가공품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그와 같이, 가이드홈6에 베이스부재2와는 별체의 가이드부재9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3의 동작감의 개선, 및 진동의 흡수를 용이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힘작용수단4은,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를 서로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것이다. 그 힘작용수단4은, 베이스부재2와 제1틀체11의 사이에 설치된다. 힘작용수단4으로서는,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를 서로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을 갈 수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41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션스프링41은, 슬라이더3에 2개 설치된다. 이들의 토션스프링41은, 예를 들면, 항상 권취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것, 즉 양단부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일방의 토션스프링41의 일단부는, 베이스부재2의 2개의 취부부의 임의의 일방의 취부부24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는, 일방의 슬라이더3의 취부부34에 축으로 지지되고 있다. 또, 타방의 토션스프링41의 일단부는, 베이스부재2의 타방의 취부부24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는, 타방의 슬라이더3의 취부부34에 축으로 지지되고 있다.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의 축으로 지지하는 것은,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스프링축으로 지지샤프트45, 46등을 用いても좋다. 즉,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를 각각 엔형상や만곡상, 또는 엔호상에 형성し하고, 스프링축으로 지지샤프트45, 46を베이스부재2의 취부부24 및 슬라이더3의 취부부34에 각각 설치, 이들 스프링 축으로 지지샤프트45, 46의 외주에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감싸도록 하여도 좋다. 또,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를 각각 토션스프링41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들 양단부를 베이스부재2의 취부부24 및 슬라이더3의 취부부34에 각각 삽입하여 축으로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토션스프링41은,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를 서로 개폐위치에 따라서 권취부41a가 이동하고,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가 중립상태로부터 폐쇄상태인 때에는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를 폐쇄방향(개방상태으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을 가하고,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가 중립상태에서 개방상태인 때에는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를 개방방향(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힘을 가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1 및 휴대전화기10의 작용을 설명하다.
휴대전화기1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이다. 그 때, 2개의 토션스프링41의 힘에 의하고, 베이스부재2와 슬라이더3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 또, 그 폐쇄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휴대전화기10로 통화 등을 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손으로 잡고, 그 왼손의 엄지로 제2틀체12의 후단부를 선단부측으로 누르거나, 또는, 제1틀체11를 왼손으로 잡음과 동시에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고 그 제2틀체12를 후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누르거나 한다(즉, 제1틀체11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틀체12를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사이의 길이가 짧게 된다. 즉, 슬라이드시키는 때의 힘이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를 개재하여 권취부41a에 걸리고 그 권취부41a가 하중을 받아 그 힘에 저항하여 수축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사이의 길이가 최소로 되면, 토션스프링41의 권취부41a는 최소로 수축한다. 그 상태가 중립상태이고, 그 중립상태를 지나면, 토션스프링41의 타단부는, 가이드홈6의 중앙부에서 선단부측으로 이동하다. 그 때, 토션스프링41은, 권취부41a가 이동하여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개방상태으로 되며, 그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1틀체11의 상면에 설치한 키보드부11a가 노출하므로, 통화 및 키보드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휴대전화기10를 이용하여 통화 등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より확실에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한 바와 같이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기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제2틀체12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 손으로 잡고, 그 왼손의 엄지로 제2틀체12의 선단부를 후단부측으로 누르거나, 또는, 제1틀체11를 왼손으로 잡음과 동시에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고 그 제2틀체12를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으로 누르거나 한다(즉, 제1틀체11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틀체12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사이의 길이가 짧게 되고, 중립상태를 지나면, 토션스프링41의 타단부가 가이드홈6의 중앙부에서 후단부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권취부41a가 이동하여 토션스프링41의 양단부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이 하개지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폐쇄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이동하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상태에서 유지된다. 이에 따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기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와 같이, 슬라이더3는, 가이드홈6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슬라이더3의 폭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개의 슬라이더를 베이스부재의 2개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슬라이더의 폭은 베이스부재의 폭과 같던가 대략 유사하게 되므로, 강도의 관점에서 슬라이더의 길이가 길게 된다. 이것에 대해, 가이드홈6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더3를 설치하는 것으로, 슬라이더3의 폭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슬라이더3의 길이(슬라이드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토션스프링41은, 베이스부재2와 제1틀체11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개의 슬라이더를 베이스부재의 2개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시켜, 이들 슬라이더와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힘작용수단을 설치하면, 베이스부재와 힘작용수단의 사이 및 슬라이더와 힘작용수단의 2개의 클리어런스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두께가 두껍게 된다. 이것에 대해, 베이스부재2와 제1틀체11의 사이에 토션스프링41을 설치하는 것으로, 베이스부재2와 토션스프링41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는, 베이스부재2와 제1틀체11의 사이에 토션스프링41을 설치하고, 가이드홈6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더3를 설치한 것에 의해,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베이스부재와 일방의 틀체의 사이에 힘작용수단을 설치하므로,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더를 가이드홈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휴대단말기 중에서도 특히 휴대전화기의 슬라이드기구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함과 동시에 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고정되고, 상기 직선방향으로 관통할 가이드홈을 1개 또는 2개 이상 지니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며, 그 슬라이더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폐쇄방향 또는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2개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홈에, 상기 슬라이더가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할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힘작용수단이, 토션스프링이고, 그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축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2개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홈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부근방에 배치되며, 이들 가이드홈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힘작용수단이 2개의 토션스프링으로 되며, 이들 토션스프링중의 일방의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일방에 축으로 지지되고, 타방의 토션스프링의 일방의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축으로 지지됨과 동시에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타방에 축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6. 상기 청구항1에 기재된 구성의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1020060025251A 2005-03-25 2006-03-20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94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8845 2005-03-25
JP2005088845A JP2006270804A (ja) 2005-03-25 2005-03-25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115A true KR20060103115A (ko) 2006-09-28
KR100694674B1 KR100694674B1 (ko) 2007-03-14

Family

ID=3701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251A KR100694674B1 (ko) 2005-03-25 2006-03-20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270804A (ko)
KR (1) KR100694674B1 (ko)
CN (1) CN1838686A (ko)
TW (1) TW2006424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48B1 (ko) * 2006-01-24 2008-06-12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그에 이용 가능한 슬라이딩 개폐모듈및 그 부품
WO2009104883A2 (ko) * 2008-02-18 2009-08-27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갖는 휴대장치용 개폐장치
CN108512961A (zh) * 2018-04-03 2018-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动机构、滑动框架组件及滑动式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4064A4 (en) * 2007-03-30 2017-03-15 NE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CN101647262A (zh) 2007-03-30 2010-02-10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设备的滑动结构及移动设备
JP4717032B2 (ja) * 2007-06-07 2011-07-06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842223B2 (ja) 2007-07-27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スライドモジュール
KR101033133B1 (ko) * 2008-02-18 2011-05-11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갖는 휴대장치용 개폐장치
JP5019229B2 (ja) * 2008-03-18 2012-09-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ライド機構及び電子機器
US8452355B2 (en) 2008-10-16 2013-05-28 Nec Corporation Slide device
JP5405849B2 (ja) * 2009-02-16 2014-02-05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及びレンズバリア装置
TWI394901B (zh) * 2009-03-17 2013-05-01 Htc Corp 手持電子裝置及其滑動機構及其彈性模組
JP5257199B2 (ja) 2009-03-30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JP5375578B2 (ja) * 2009-12-15 2013-12-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1797673U (zh) * 2010-08-24 2011-04-13 新日兴股份有限公司 滑盖式枢纽器及滑盖式可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526A (ja) * 2003-02-19 2004-09-09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94258B1 (ko) *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75240B1 (ko) * 2004-05-03 2006-04-28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이를 채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48B1 (ko) * 2006-01-24 2008-06-12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그에 이용 가능한 슬라이딩 개폐모듈및 그 부품
WO2009104883A2 (ko) * 2008-02-18 2009-08-27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갖는 휴대장치용 개폐장치
WO2009104883A3 (ko) * 2008-02-18 2009-11-05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갖는 휴대장치용 개폐장치
CN108512961A (zh) * 2018-04-03 2018-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动机构、滑动框架组件及滑动式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674B1 (ko) 2007-03-14
CN1838686A (zh) 2006-09-27
JP2006270804A (ja) 2006-10-05
TWI306712B (ko) 2009-02-21
TW200642418A (en)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674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61059B1 (ko) 휴대단말기슬라이드기구
EP1703705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681893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US8320111B2 (en) Slide/rotation attachment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08534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KR100742289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US20100004038A1 (en) Side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US20060154703A1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60050470A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EP1720326A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662869B1 (ko) 단말기
JP2003125052A (ja) スライド機構
US20100033910A1 (en) Slide mechanism and slide-typ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JP2007104144A (ja) 開閉装置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3098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JP473819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100693180B1 (ko) 휴대기기
KR100829995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827740B1 (ko)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JP4223418B2 (ja) 携帯製品用スライドユニット
KR101469969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100813635B1 (ko) 슬라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