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931A -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 Google Patents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931A
KR20190056931A KR1020170164015A KR20170164015A KR20190056931A KR 20190056931 A KR20190056931 A KR 20190056931A KR 1020170164015 A KR1020170164015 A KR 1020170164015A KR 20170164015 A KR20170164015 A KR 20170164015A KR 20190056931 A KR20190056931 A KR 2019005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enture base
base resin
resin
ud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721B1 (ko
Inventor
배지명
박다령
신성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764,54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83878A1/en
Priority to PCT/KR2018/014211 priority patent/WO2019098791A1/ko
Publication of KR2019005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6/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91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6/893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14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있어서,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urethane dimethacrylate)를 30%~43%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DENTURE BASE RESIN FOR 3D PRINTING}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 성질이 개선된 특성을 가지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의치상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PMMA 분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 methylmethacrylate)과 MMA 액(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로서 혼합하여 사용하고, 열 중합형과 자가중합형이 오래전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 PMMA 레진은 가시광선의 약 95% 정도를 투과시킴으로써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 외관성 및 유리전이온도가 비교적 높아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리 대용의 성형재료로 응용되고 있으며, 정상 구강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물성도 구강 내 적용이 적합하여 오래 전부터 대부분의 의치상은 PMMA 레진으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의치상용 레진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충격성 및 투명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PMMA 레진은 충격강도가 약하여 낙하충격 같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낮은 표면경도와 마모저항성으로 인하여 표면의 마모나 긁힘이 발생하기 쉬워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3D 프린팅 시장이 커지면서 치의학계에도 3D 프린팅을 도입하고 있다. 현재 치과계에 3D 프린팅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임시 치관, 스플린트, 서지컬 가이드 등으로 구강 내 오래 유지하는 보철물 또는 장치가 아니다. 구강 내에는 타액이 존재하고, 섭취하는 음식에 따라 온도차가 있으며, 저작압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또한, 이갈이와 이악물기(crenching) 같은 비정상적인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를 견딜 수 있는 높은 기계적 성질(강도, 탄성계수, 인성, 피로강도 등)이 필요하며, 세포 독성이 없어야 한다.
의치의 경우 최소한 주간에는 지속적으로 구강 내에 위치하는 보철물로서 위에서 언급된 모든 성질들을 필요로 한다. 3D 프린팅은 재료를 층층히(layer by layer) 적층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대로 만든 치과용 보철물에 비해 기계적 성질이 많이 떨어진다. 기존의 열중합형과 자가중합형 의치상용 레진의 경우 충진재(filler)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현재 3D 프린팅에서는 충진재를 포함한 레진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레진 모노머의 중합도를 높여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킬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레진의 중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레진 모노머의 종류와 함량을 잘 선택해야 하고, 가교제(cross-linking agent)의 첨가, 3D 프린터의 광 파장대에 맞는 광개시제의 종류와 함량이 중요하다.
치과용 레진 기질의 주성분은 다이메타크릴레이트의 조합인데, 중합도를 높여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키면서 중합수축이 적은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치과 수복용 레진의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bis-GMA와 UDMA인데, UDMA는 bis-GMA에 비해 중합수축이 적고, 점도가 낮은 장점이 있다. UDMA의 모노머에 페놀링이 없기 때문에 탄력성과 인성이 크고 중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Bis-GMA는 점도가 매우 높고 기능기가 많아 희석제로 TEGDMA를 함께 사용한다. 메탄올 펜타 메틸렌 테트릴 테트라 크릴레이트와 디(트리메틸로페놀)테크릴레이트는 코모노머(공단량체;co-monomer)로서 가교제(crosslinking agent)와 희석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중합시 가교가 많이 일어나게 해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NexDent(Vertex Dental社) 한 종류뿐이다. 이것은 기계적 성질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 이외에도 심미성의 문제도 있다. 기존의 열중합형과 자가중합형 의치상용 레진의 경우 나이론 섬유로 혈관을 재현해주어 매우 심미적인데 비해, 3D 프린팅용 레진은 섬유의 첨가가 어려워 이러한 혈관재현이 불가능하여 단색으로만 보철물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이 Nexdent 레진 자체의 색도 변하며, 보철물의 색 안정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당한 점도를 가져야 미세부 재현성이 높아져 미세한 부위까지 프린팅이 가능하며 그와 동시에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잔류 모노머의 양, 물 흡수도와 용해도 등도 ISO 20795-1 치과-베이스 폴리머 1부-제1 부: 폴리머(Dentistry ― Base polymers ―Part 1: Denture base polymers)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본 수치를 넘어야 한다. 열중합형 의치상용 레진은 굴곡강도 65MPa 이상, 굴곡계수 2GPa 이상, 자가중합형은 굴곡강도 60MPa 이상, 굴곡계수 1.5GPa 이상이어야 한다.
현재 3D 프린팅 의치 제작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의치상과 인공치를 동시에 프린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의치상보다 훨씬 더 기계적 성질이 높아야 되고 전혀 다른 색상과 투명도를 가진 인공치를 동시에 프린팅하는 기술이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3D 프린팅 의치 제작의 경우, 의치상만 따로 프린팅하여 기존의 인공치를 접착시키거나 인공치도 따로 프린팅하여 접착시켜야 한다. 현재 ISO 20795-1과 ISO 22112 치과-치과 보철용 인공치(Dentistry-Artificial teeth for dental prosthesis) 표준에 의하면 결합강도가 얼마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지는 않고 있다. 다만 인공치와 의치상이 계면에서 깨끗하게 떨어지는 접착파절(adhesive failure)이 일어나면 실패로 규정한다. 파절이 인공치 내에서 일어나거나 의치상 내에서만 일어나는 응집파절(cohesive failure)이나 접착파절과 응집파절이 함께 일어나는 혼합파절(mixed failure)의 경우는 합격이다. 차후에는 인공치와 의치상을 동시에 프린팅하여 한번에 의치를 제작하는 방향으로 개발될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노머와 광개시제의 종류와 함량, 색소의 함량을 조절하여 새로운 3D 프린팅용 의치상용 레진을 개발하고, 레진 자체의 기계적인 성질과 세포독성, 인공치와의 결합강도를 시판중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있어서,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urethane dimethacrylate)를 30%~43%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를 시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결합강도를 시험하기 위한 시편의 모양 및 시편을 시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점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굴곡강도 및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결합강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파절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개시는 시판되는 3D 프린터용 의치상 레진과 비교하여 3D 프린터에 적용할 수 있는 의치상 레진을 제작하여 착색제에 따른 점도(Viscosity),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 굴곡계수(Flexural modulus), 결합강도(Bond strength) 및 세포 독성(Cytotoxitity)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urethane dimethacrylate), 비스페놀 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GMA;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R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그리고, 디(트리 메틸 설페로페이트)테트라 크릴레이트(Di-TMPTA; Di(trimethylolpropane)-tetraacrylate) 5 종을 혼합하였다. 디페닐 포스파인 옥사이드(DTPO;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and 에칠 4-(디메틸 아미노 미노)벤조 산(DMAB;Ethyl 4-(dimethylamino) benzoate)이 광개시제와 광증감제로서 첨가되었다. 에리트로신 B(Erythrosin;Erythrosin B)와 티타늄 옥사이드(TiO₂;Titanium Oxide)가 착색제로 사용되었다. UDMA 및 DTPO의 함량은 최고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값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함량(wt%)을 조절하였다. 시판되는 3D 프린터용 의치상 레진인 Nextdent(Base, Vertex Dental社, Netherlands)이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혼합된 모노머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굴곡강도, 탄성계수, 결합 강도 및 세포 독성도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p = 0.05)로 의해 분석하였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을 구성하는 재료(material), 화합물 이름(component name), 두문자어(acronym), 제조사(manufacturer) 등을 나타낸다.
실험용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구성요소는 도 1에 작성된 제조업체로부터 얻은 자료이고, 대조군(T0; control group)으로 선정된 것은 시판되고 있는 제품인 NextDent이다.
모노머(monomer; 단량체)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이하 UDMA), 비스페놀 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이하 Bis-GM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이하 TEGDMA),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이하 PETRA), 그리고, 디(트리 메틸 설페로페이트)테트라 크릴레이트(이하 Di-TMPTA)를 포함한다.
또한, 광개시제는 디페닐 포스파인 옥사이드(이하 DTPO)를 포함한다.
또한, 광증감제는 에칠 4-(디메틸 아미노 미노)벤조 산(이하 DMAB)를 포함한다.
또한, 착색제는 에리트로신 B(Erythrosin;Erythrosin B), 티타늄 옥사이드(이하 TiO₂)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중량비율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모노머는 UDMA, Bis-GMA, TEGDMA, PETRA 그리고, Di-TMPTA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혼합물은 주로 레진 화합물의 농도가 UDMA의 30.6wt% 그리고, 41.9wt%를 기초로하여 DTPO(1.2wt% and 2.6wt%) 및 Erythrosin(0.0015wt% and 0.0012wt%), 광개시제와 착색제로 첨가되고, 레진의 불투명도를 위하여 TiO₂(325 메쉬;0.15wt% and 0.12wt%)를 첨가하였다. 제작된 실험군은 크게 T1 실험군과 T3 실험군의 조성 두가지로 나뉘며, 여기에 각각 색소를 첨가한 군이 T2 실험군과 T4 실험군이다(도 3). 이하 %로 표시한 것은 모두 중량비율을 표시한 것이다.
T1 실험군은 중량비율로 Bis-GMA를 14.7%, UDMA를 30.6%, TEGDMA를 24.5%, PETRA를 12.2%, Di-TMPTA를 14.7%, DTPO를 1.2% 및 DMAB를 2% 포함한다.
T2 실험군은 중량비율로 Bis-GMA를 14.7%, UDMA를 30.6%, TEGDMA를 24.5%, PETRA를 12.2%, Di-TMPTA를 14.7%, DTPO를 1.2%, DMAB를 2%, Erythrosin를 0.15% 및 TiO₂를 0.0012% 포함한다.
T3 실험군은 중량비율로 Bis-GMA를 12.0%, UDMA를 41.9%, TEGDMA를 20.0%, PETRA를 10.0%, Di-TMPTA를 12.0%, DTPO를 2.6% 및 DMAB를 1.6% 포함한다.
T4 실험군은 중량비율로 Bis-GMA를 12.0%, UDMA를 41.9%, TEGDMA를 20.0%, PETRA를 10.0%, Di-TMPTA를 12.0%, DTPO를 2.6%, DMAB를 1.6%, Erythrosin를 0.15% 및 TiO₂를 0.0012% 포함한다.
T2 실험군과 T4 실험군은 T1 실험군과 T3 실험군에 치은색에 맞도록 착색제인 Erythrosin 및 TiO₂를 첨가한 것이다.
시편을 제작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물을 얻고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군을 열이 가해지는 교반기(RCH-3, Tokyo Rikakikai Co., LTD., Tokyo, Japan) 위에 비커의 물을 40로 맞추어 240rpm의 오버 헤드 스티어러(over-head stirrer; RW20DZM.n, IKA-WERKE GmbH & Co.KG, Breisgau, Germany)로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모든 시험군의 점도 (η, Pa s)는 점도계(DV2TRVTJ0, No. 8692529, Brookfield Ametek, USA)를 사용하여 25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21 spindle을 사용하였고, 속도는 60~90% 토크(Torque)에서 측정된 점도값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를 시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시험 모식도를 나타내며, 도 3(b)는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시험 사진이다.
모든 레진을 마스크 투영 이미지 경화(DLP;Digital Light Processing)방식의 3D 프린터(Vida Printer, Envisiontec GmbH, Germany)으로 출력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측정을 위해 직사각형 모양(64mm x 10mm x 3.3mm)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3D 프린팅 후 모든 시편을 자외선(UV blue light box Digital Light Processing - UV; LC-3DPrint®, Nextdent, Soesterberg, Netherlands)을 사용하여 20분간 후 중합(post curing)하였고, 굴곡강도와 굴곡계수 시험을 위한 시편은 물에 담가 37℃ 오븐(FO-600M, JEIO TECH, Korea)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하였다.
시편의 굴곡강도는 ISO 20795-1[17]에 따라 시편 파괴까지 만능시험기 (Z020, Zwick, Germany)를 사용하여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head speed) 5mm/min으로 측정하였다. 탄성계수(E, GPa)는 하중-변위 곡선의 초기 선형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계산되었다. σ와 E는 방정식(식 (1) (2))에 따라 각각 계산되었다.
F - 최대 하중(MPa); F1 - 하중-변위 곡선의 굴곡 영역의 선택된 점에서의 하중 (N); L - 지지대 사이의 거리(50mm); b 및 h - 물 저장 직전에 측정 한 시편의 폭과 두께; d - 하중 F1에서 시편의 변형
Figure pat00001
(1)
그리고,
Figure pat00002
(2)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결합강도를 시험하기 위한 시편 및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결합강도 시편의 사진이고, 도 4(b)는 ISO22112:2005에 따라 제작된 결합강도 지그에 시편이 장착된 사진이다.
결합강도 시편은 ISO 22112:2005에 따라 제작하였다. 인공치는 상악 좌우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Biotone, Dentsply, USA)의 6전치를 사용하였고, 의치상용 레진은 굴곡강도 시험에서와 같이 기성품을 대조군(T0)으로 하여 실험군 (T1, T2, T3, T4) 총 5개의 군으로 나누어 총 300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합강도 시편을 위해 인공치의 리지 랩(Ridge lap)영역을 스캔하여 그에 맞게 의치상용 레진을 3D 프린팅 하였는데, 길이 20mm x 폭 6.2mm x 넓이 6.2mm 크기로 프린팅 하였다. 3D 프린팅된 의치상용 레진이 인공치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과 인공치의 리지 랩 부위를 2bar 공기 압력에서 30초 동안 50um 입자크기를 가진 Al203(Aluminum oxide, Danville, Germany)를 사용하여 마모시켜 부착력을 증가시켰다. 모든 샘플을 40kHz의 주파수에서 20분 동안 증류수에서 초음파 세정하여 잔류 입자를 제거 하였다. 샘플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자가접착성 레진 시멘트(Rely XTM U200, 3M ESPE, Deutschland)를 사용하여 인공치와 3D 프린팅된 의치상용 레진 패턴을 접착시켰다. 정하중기로 접착된 인공치와의 의치상용 레진을 누른 상태에서 LED 광중합기(VALO, Ultradent, USA)를 이용하여 모든 면을 모두 40초씩 광중합하였다. 일정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정하중기의 상부에 2kg의 하중을 가하였다. 24시간 후 ISO 22112:2005에서 제안하는 결합강도 지그에 시편을 연결하여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편이 파절시까지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head speed) 5mm/min으로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시험을 위해, 각 그룹의 시편의 크기는 길이 10mm x 폭 10mm x 두께 3.3mm으로 제작하였다. 국제표준규격 ISO10993-5(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에 따라 시편을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넣어 37 건조 오븐에서 RPMI배지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했다. 추출 비율(extraction ratio)은 ISO10993-12(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12: Sample preparation and reference materials)에서 규정한 대로 시편의 표면적과 추출액의 비율이 3cm2/mL 이 되도록 하였다. 산화 알루미늄 세라믹로드를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으로 사용하였고, 1% 페놀을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929세포(NCTC clone 929, CCL 1, ARCC)를 사용하였다.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이 들어있는 RPMI 배지(AB10131148, Hyclone, USA)를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1x104 cells/well가 되도록 0.1㎖씩 분주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각 레진 그룹의 추출액과 RPMI배지를 100ul씩 넣었다. 1mg/ml MTT 용액(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Sigma, USA)을 각 웰(well)에 50?l씩 첨가 하였다. 세포 손상을 피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알루미늄 호일로 덮고 37℃ 오븐에 3시간 동안 놓아두었다. 흡광도는 ELISA reader(Spectra max 250, molecular devices, USA)상에서 57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시험은 각 그룹에 대해 3번씩 독립적으로 반복되었다.
측정값은 일원 분산 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 및 포스트 훅 터키(Post hoc Tukey)의 HSD 쌍(HSD pairwise) 다중 비교를 사용하여 유의 수준 P <0.05에서 분석되었다. 모든 계산은 IBM SPSS Statistic 22 소프트웨어(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점도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 편차는 도 5에 나타내었다. 그룹 간의 모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대조군(T0)은 다른 실험군보다 점성이 2배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UDMA를 기초로 한 그룹의 점도는 UDMA 농도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다. 또한, T2 실험군과 T4 실험군은 착색제와 TiO₂의 첨가로 T1 실험군 및 T3 실험군보다 더 높은 점도 값을 나타냈다.
점도는 대조군(T0; Nextdent)이 가장 높았으며, 제작한 실험군에서는 T1 실험군의 점도가 유의성있게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게다가 착색제와 TiO₂를 첨가한 T2 실험군과 T4 실험군은 더 높은 T1 실험군과 T3 실험군보다 점도 값이 높게 나타났다. 착색제의 유무에 따라서 점도가 변하고, UDMA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D 프린터는 일정한 두께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상을 제작하므로 3D 프린팅용 레진의 점도는 프린팅 결과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점도가 높을수록 중합 후 많은 슬러리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조군(T0; 877.7 ± 1.5)의 점도는 제작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인 T1 내지 T4 실험군보다 약 3배 정도의 높은 점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대조군(TO)의 시료보다 흐름성이 좋도록 제작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T2, T4 실험군 보다 T1, T3 실험군이 프린팅시 보다 적은 양의 슬러리를 남기고 좀 더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내어 미세부재현상이 더 뛰어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굴곡강도 및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굴곡강도는 점도와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8). T3 실험군(41.9 % UDMA)은 138.23 MPa으로 유의성있게 가장 높은 굴곡강도 값을 보였고(p<0.05), T1 실험군(30.6 % UDMA)은 121.71 MPa로 다음으로 높은 굴곡강도를 나타냈다(p<0.05). 레진에 혼합되는 UDMA가 증가시 더 높은 굴곡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착색제와 TiO₂를 첨가한 T2와 T4 실험군은 각각 107.62 MPa와 100.65 MPa로 굴곡강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두 그룹간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p> 0.05).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높은 굴곡강도 값을 보인 군은 굴곡계수 역시 높았다. 착색제와 TiO₂를 첨가하지 않은 군(T1 및 T3 실험군)이 가장 높은 굴곡계수를 나타내었으나(p<0.05)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착색제와 TiO₂를 첨가한 T2와 T4 실험군은 탄성계수가 감소하였지만(p<0.05),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 0.05). 또한, 대조군(T0)의 굴곡계수는 모든 그룹 중 가장 유의성있게 낮았다(p<0.05).
착색제와 TiO₂를 첨가한 T2 와 T4 실험군의 굴곡강도와 굴곡계수는 T1 실험군과 T3 실험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이는 레진 혼합시 착색제와 TiO₂의 입자 때문에 레진의 색상이 어두워지고 투명도가 감소하여 DLP type의 3D 프린터에서는 레진의 중합도가 감소하게 되어 굴곡강도와 굴곡계수가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표준규격 제20795-1호(ISO 20795-1:2008)에서는 의치상용 열중합 레진의 굴곡강도 기준값은 65MPa 이상, 자가중합 레진의 굴곡강도 기준값은 60MPa 이상이며, 탄성계수의 열중합 레진의 기준값은 2GPa 이상, 자가중합 레진의 기준값은 1.5GPa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는 T1 내지 T4 실험군이 국제표준규격의 열중합 레진의 굴곡강도와 열중합 레진의 탄성계수 기준을 넘는 결과를 보였다. 그 중에서 UDMA 41.19%를 함유한 T3 실험군(138.23 ± 10.12 MPa)의 굴곡강도가 가장 높았다(p<0.05). 탄성계수 또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인 T1 실험군(3.12 ± 0.1GPa)과 T3 실험군(3.19 ± 0.11 GPa)의 결과값이 가장 높았다(p<0.05). 따라서 UDMA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굴곡강도와 탄성계수가 증가하며, 착색제가 함유되면 굴곡강도와 탄성계수가 떨어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1과 T3 실험군의 굴곡강도가 대조군(T0)의 굴곡강도보다 유의성있게 높았고, 모든 실험군의 굴곡계수가 대조군(T0)보다 높은 결과가 나왔다. 모든 실험군이 국제표준규격(ISO)의 65MPa 이상인 굴곡강도 기준과 2GPa 이상인 굴곡계수 기준을 넘는 결과를 보였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결합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합강도는 각 실험별로 6전치의 평균을 비교해보면 T1 실험군과 T3 실험군이 유의성있게 다른 실험군들보다 높았다(P<0.05). 이는 착색제와 TiO₂가 강도 자체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시멘트와의 결합에도 영향을 미쳐 결합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치에 따라(6전치 중 어느 치아인지에 따라)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인공치아에 따라 비교시 23번 치아(303.31 ± 89.38 N)가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이는 치아의 크기가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인공치아와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레진을 시멘트로 결합시 표면적이 넓은 치아일수록 결합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파절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편의 파절양상(Failure aspect)은 도 13과 같다. 모든 실험군에서는 응집파절(cohesive failure)과 혼합파절(mixed failure) 양상만 관찰되었다. 그 중 응집파절은 인공치아 내에서의 파절과 의치상 베이스 레진(denture base resin) 내에서의 파절로 나누어져 나타났다. 국제표준규격 제22112호(ISO22112:2009)에 따르면 파절양상이 인공치 또는 의치상용 레진 내에서의 응집파절이나 혼합파절이 나타나야 한다. 혼합파절이란 인공치아의 잔여물이 레진에 접착되어 남아있거나 반대로 레진의 잔여물이 인공치아에 접착되어 남아있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ISO 22112의 기준에 따르면 100% 접착파절만 일어난 시편은 불합격인데, 이에 해당하는 시편은 없었다. 치아와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을 시멘트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므로 파절양상이 중요하다. 이는 접착성이 높은 경우, 치아나 의치상용 레진 내 응집파절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된 양상으로 파절이 일어나고, 접착성이 낮은 경우 치아와 의치상용 레진 사이의 계면에서 접착파절이 일어난다.
따라서, 도 13과 같이 T1 내지 T4 실험군은 모두 응집파절과 혼합파절의 양상을 보이므로 ISO 규격 내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작한 레진을 24시간 동안 용출시킨 후 세포의 활성도 측정값은 도 14와 같다. 모든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보다 높은 세포활성도를 나타내었다(p<0.05). ISO 10993-5:2009(E)에서 MTT 시험 결과 세포활성도가 70% 이상이면 해당 재료는 독성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본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시험군이 70% 이상의 세포활성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음성대조군보다도 높은 세포활성도를 보여 독성이 없음을 물론 생체친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의치상용 레진의 T1 실험군의 각 화합물에 대한 중량비율의 범위를 나타나는 예시이다.
T1 실험군은 Bis-GMA를 14.4~15%, UDMA를 30.2~30.9%, TEGDMA를 24.2~25%, PETRA를 10.2~12.5%, Di-TMPTA를 14.7~15%, DTPO를 0.5~2%, DMAB를 1.6~2.1% 포함할 수 있다.
T2 실험군은 Bis-GMA를 14.4~15%, UDMA를 30.2~30.9%, TEGDMA를 24.2~25%, PETRA를 10.2~12.5%, Di-TMPTA를 14.7~15%, DTPO를 0.5~2.7%, DMAB를 1.6~2.1%, Erythrosin를 0.0012~0.006% TiO₂를 0.12~0.15% 포함할 수 있다.
T3 실험군은 Bis-GMA를 11.8~12.2%, UDMA를 41.3~43%, TEGDMA를 19.7~20.4%, PETRA를 9.8~10.2%, Di-TMPTA를 11.8~12.2%, DTPO를 0.4~4%, DMAB를 1.6~2.1% 포함할 수 있다.
T4 실험군은 Bis-GMA를 11.8~12.2%, UDMA를 41.3~43%, TEGDMA를 19.7~20.4%, PETRA를 9.8~10.2%, Di-TMPTA를 11.8~12.2%, DTPO를 0.4~4%, DMAB를 1.6~2.1% Erythrosin를 0.0012~0.006% TiO₂를 0.12~0.15%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3D 프린터에 적용할 수 있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을 제작하여 기계적인 성질과 생물학적 성질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제작한 3D 프린팅용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의 기계적 성질과 생물학적 성질은 ISO 규격에 적합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T3 실험군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3D 프린팅용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인 대조군(T0) 보다 굴곡강도, 탄성계수, 결합강도 및 MTT test를 측정한 결과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치아와 치은에 대한 실물같은 색상과 질감을 재현할 수 있도록 실험군에 첨가하는 착색제와 불투명도의 입자를 조절하여 좀 더 심미적이고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개시는 3D 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을 제작하여 기계적인 성질과 생물학적 성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굴곡강도와 탄성계수 모두 제작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중 T3 실험군이 모든 실험군 중 가장 유의성있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MTT test 결과, 모든 실험군이 세포 독성 7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T3 실험군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보다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생물학적 성질 또한 국제표준규격(ISO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T0)에 비해서 T1, T3 실험군은 점도가 낮으면서 굴곡강도 및 탄성계수가 높았다.
모든 변수는 UDMA와 DTPO 함량에 결정되었다. 점도는 UDMA 농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착색제 혼합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를 보였다(p< 0.05). 굴곡 강도, 탄성 계수 및 접착 강도는 착색되기 전에 높은 값을 보였고(p< 0.05),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 0.05). 착색제를 첨가한 후에는 굴곡 강도와 탄성계수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다(p< 0.05).
착색제가 3D 프린터용 의치상 수지의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세포 독성을 갖는 모노머인 UDMA의 적절한 증가와 광개시제인 DTPO의 조합으로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DTPO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3D 프린터용 광개시제이며, 사용한 3D 프린터와 가장 근접한 광파장대를 갖는 광개시제로서 사용하였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있어서, 비스페놀 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GMA;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urethane dimeth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A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TR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그리고, 디(트리 메틸 설페로페이트)테트라 크릴레이트(Di-TMPTA; Di(trimethylolpropane)-tetraacrylate)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2) 중량비율로 비스페놀 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12~15%,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를 0~31%,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20%~25%,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를 10~13%, 그리고, 디(트리 메틸 설페로페이트)테트라 크릴레이트를 12~15%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 광개시제(photoinitiator)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5) 광개시제는 DTPO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6) 중량비율로 DTPO을 0~1.2%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7) 중량비율로 DTPO을 1.2~3%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8) 광증감제(co-initiator)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9) 광증감제는 DMAB인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0) 중량비율로 DMAB을 0~1.6%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1) 중량비율로 DMAB을 1.6~2%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2) 착색제(pigment)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3) 착색제(pigment)는 Erythrosin, 그리고 TiO₂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4) 중량비율로 Erythrosin를 0~0.0012%, 그리고 TiO₂를 0.12~0.2%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5) 중량비율로 Erythrosin를 0~0.0012%, 그리고 TiO₂를 0~0.12%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6)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있어서,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urethane dimethacrylate)를 30%~43%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UDMA는 30%이하를 포함하면 강도가 낮고, 43% 이상이면 마찬가지로 강도가 감소하는 점이 좋지 않다. UDMA가 41.3%~43% 사이에서는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점이 좋다.
(17)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30.2~30.9%, DTPO를 0.5~2.6%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UDMA는 30.2%이하, 30.9% 이상이면 강도가 감소하여 좋지 않다. UDMA가 30.2%~30.9% 사이에서는 적당한 점도로 인하여 프린팅 시 형태가 매끄럽게 나오며 높은 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DTPO는 0.2%이하를 포함하면 중합이 잘되지 않고, 2.6% 이상이면 중합도가 너무 높아 프린팅시 형태가 나타나기도 전에 먼저 중합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생기는 점이 좋지 않다. DTPO가 0.2%~2.6% 사이에서는 가장 적합한 중합도를 나타낸다.
(18)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30.2~30.9%, DTPO를 0.5~2.6%, Erythrosin을 0.0012~0.006%, TiO₂를 0.12~0.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UDMA는 30.2%이하, 30.9% 이상이면 강도가 감소하여 좋지 않다. UDMA가 30.2%~30.9% 사이에서는 적당한 점도로 인하여 프린팅 시 형태가 매끄럽게 나오며 높은 강도를 나타내어 좋다.
또한, DTPO는 0.2%이하를 포함하면, 중합이 잘되지 않고, 2.6% 이상이면 중합도가 너무 높아 프린팅시 형태가 나타나기도 전에 먼저 중합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생겨 좋지 않다. DTPO가 0.2%~2.6% 사이에서는 가장 적합한 중합도를 나타낸다.
또한, Erythrosin은 0.0012%이하를 포함하면, 색상이 심미적이지 않은 점이 좋지 않고, 0.006% 이상이면 너무 붉은 색을 띄며 색소가 많아지면 중합도가 감소하여 강도도 감소하는 점이 좋지 않다. Erythrosin은 0.0012%~0.006% 사이에서는 가장 자연스러운 색상을 재현하는 점이 좋다.
또한, TiO₂는 0.12%이하를 포함하면 불투명도가 낮아 레진이 투명성을 띄게 되어 심미적이지 못하는 점이 좋지 않고, 0.15% 이상이면 입자의 양이 많아 지므로 강도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불투명도가 높아져 심미성에도 영향을 주므로 좋지 않다.
(19)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41.3~43%, DTPO를 0.4~4%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UDMA는 41.3%이하를 포함하거나 43% 이상이면 강도가 감소하므로 좋지 않다. UDMA가 41.3%~43% 사이에서는 적당한 점도와 유동성으로 인해 프린팅 시 높은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또한, DTPO는 0.4%이하를 포함하면 중합도가 낮아 좋지 않고, 4% 이상이면 너무 높은 중합도를 나타내어 프린팅 시 형태가 나타나기도 전에 먼저 중합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생기는 점이 좋지 않다. DTPO가 0.4%~4% 사이에서는 충분한 중합도를 나타낸다는 점이 좋다.
(20)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41.3~43%, DTPO를 0.4~4%, Erythrosin을 0.0012~0.006%, TiO₂를 0.12~0.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UDMA는 41.3%이하 이거나 43% 이상이면 강도가 감소하므로 좋지 않다. UDMA가 41.3%~43% 사이에서는 적당한 점도와 유동성으로 인해 프린팅 시 높은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또한, DTPO는 0.4%이하를 포함하면 중합도가 낮아 좋지 않고, 4% 이상이면 너무 높은 중합도를 나타내어 프린팅 시 형태가 나타나기도 전에 먼저 중합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생기는 점이 좋지 않다. DTPO가 0.4%~4% 사이에서는 충분한 중합도를 나타낸다는 점이 좋다. 또한, Erythrosin은 0.0012%이하를 포함하면, 색상이 심미적이지 않은 점이 좋지 않고, 0.006% 이상이면 너무 붉은 색을 띄며 입자의 양에 의해 강도도 감소하는 점이 좋지 않다. Erythrosin은 0.0012%~0.006% 사이에서는 가장 자연스러운 색상을 재현하는 점이 좋다.
또한, TiO₂는 0.12%이하를 포함하면, 불투명도가 낮아 레진이 투명성을 띄게 되어 심미적이지 않은 점이 좋지 않고, 0.15% 이상이면 입자의 양이 많아 지므로 강도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불투명도가 너무 높아져도 심미성에 영향을 주므로 좋지 않다.
(21) DMAB를 1.6~2.1%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DMAB는 1.6%이하를 포함하면 광증감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중합도가 낮아지는 점이 좋지 않고, 2.1% 이상이면 너무 많은 광흡수로 인해 광중합이 많이 일어나는 점이 좋지 않고, DMAB는 1.6%~2.1% 사이에서는 광개시제와 더불어 적당한 중합도를 가질수 있도록 하는 점이 좋다.
(22) TEGDMA를 19.2~25%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TEGDMA는 19.2%이하를 포함하면, 흐름성이 낮아 레진 성분들이 잘 섞이지 않는다는 점이 좋지 않고, 25% 이상이면 희석제의 양이 많으므로 레진이 묽게 되어 강도가 감소한다 점이 좋지 않고, 19.2%~25% 사이에서는 모든 재료들이 잘 혼합되고 충분한 유동성을 갖게 해준다는 점이 좋다.
(23) Bis-GMA를 11.5~15%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Bis-GMA는 19.2%이하를 포함하면 보다 낮은 강도를 나타낸다는 점이 좋지 않고, 15% 이상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 레진 프린팅 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19.2%~15% 사이에서는 적절한 점도와 높은 강도를 나타낸다는 점이 좋다.
(24) PENTRA를 10%~14.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PENTRA는 10%이하를 포함하면, 강도가 감소하는 점이 좋지 않고, 14.5% 이상이면 점도가 높아져 프린팅 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좋지 않고, 10%~14.5% 사이에서는 3D 프린팅 시 적당한 강도와 적당한 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좋다.
(25) Di-TMPTA를 11.5%~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Di-TMPTA는 11.5%이하를 포함하면, 강도가 감소한다는 점이 좋지 않고, 15% 이상이면 점도가 높아져 프린팅 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좋지 않고, 11.5%~15% 사이에서는 3D 프린팅 시 적당한 강도와 적당한 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3D 프린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ISO 표준 20795-1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독성이 없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굴곡강도, 탄성계수, 결합강도 및 MTT를 측정한 결과 모든 부분에서 우수하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종래의 재료보다 점도가 낮아서 적은 양의 슬러리를 남기고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세포 독성 70% 이하의 세포 독성이 나타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결합강도는 T2, T4 실험군을 제외한 T1 내지 T4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인공치아에 따라 비교시 12번과 21번 치아를 제외한 T1 내지 T4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특히, T3 실험군의 23번 치아(303.31 ± 89.38 N)가 가장 우수한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시편의 파절양상 관찰 시 T1 내지 T4 실험군에서 점착성 및 혼합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의하면, T1과 T3 실험군은 시중의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보다 굴곡강도와 굴곡계수가 우수하고, 점도가 낮으며, 인공치와의 결합강도 또한 우수하다. 생물학적 특징 또한 ISO 규격에 적합하다.

Claims (10)

  1.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에 있어서,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urethane dimethacrylate)를 30%~43%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2. 청구항 1에 있어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30.2~30.9%, DTPO를 0.5~2.6%을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3. 청구항 1에 있어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30.2~30.9%, DTPO를 0.5~2.6%, Erythrosin을 0.0012~0.006%, TiO₂를 0.12~0.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4. 청구항 1에 있어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41.3~43%, DTPO를 0.4~4%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5. 청구항 1에 있어서,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은 중량비율로 UDMA를 41.3~43%, DTPO를 0.4~4%, Erythrosin을 0.0012~0.006%, TiO₂를 0.12~0.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6. 청구항 1에 있어서,
    DMAB를 1.6~2.1%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7. 청구항 1에 있어서,
    TEGDMA를 19.2~2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8. 청구항 1에 있어서,
    Bis-GMA를 11.5~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9. 청구항 1에 있어서,
    PENTRA를 10%~14.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Di-TMPTA를 11.5%~15%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KR1020170164015A 2017-11-17 2017-12-01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KR10208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64,544 US20200383878A1 (en) 2017-11-17 2018-11-19 Denture base resin for 3d printing
PCT/KR2018/014211 WO2019098791A1 (ko) 2017-11-17 2018-11-19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4268 2017-11-17
KR1020170154268 2017-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31A true KR20190056931A (ko) 2019-05-27
KR102080721B1 KR102080721B1 (ko) 2020-04-28

Family

ID=6667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15A KR102080721B1 (ko) 2017-11-17 2017-12-01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383878A1 (ko)
KR (1) KR102080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333B1 (ko) 2022-11-03 2023-02-13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 표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치아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915A1 (ja) * 2021-09-17 2023-03-23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光造形用有床義歯作製キット、及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CN114853943A (zh) * 2022-04-29 2022-08-05 浙江迅实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用低生物毒性光敏树脂及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8387A1 (en) * 2002-08-21 2005-12-29 Li Feng Acrylate dent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viscosity and storage odor
US20090148813A1 (en) * 2007-08-31 2009-06-11 Sun Benjamin J Three-dimensional prin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making dental products
KR20090085501A (ko) * 2008-02-04 2009-08-07 이펀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중합반응형 광조성물, 광시트 및 광시트의 제조방법
KR101385759B1 (ko) * 2005-10-04 2014-04-17 산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치과용 조성물
KR20160055727A (ko) * 2013-04-18 2016-05-18 덴카, 인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인공 치아 및 의치상 제조를 위한 3차원 인쇄에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658079B1 (ko) * 2014-12-11 2016-09-20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도재수복물 제조방법
WO2016182444A1 (en) * 2015-05-12 2016-11-17 Rijksuniversiteit Groningen 3d-printable antimicrobial composite resins,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8387A1 (en) * 2002-08-21 2005-12-29 Li Feng Acrylate dent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viscosity and storage odor
KR101385759B1 (ko) * 2005-10-04 2014-04-17 산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치과용 조성물
US20090148813A1 (en) * 2007-08-31 2009-06-11 Sun Benjamin J Three-dimensional prin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making dental products
KR20090085501A (ko) * 2008-02-04 2009-08-07 이펀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중합반응형 광조성물, 광시트 및 광시트의 제조방법
KR20160055727A (ko) * 2013-04-18 2016-05-18 덴카, 인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인공 치아 및 의치상 제조를 위한 3차원 인쇄에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658079B1 (ko) * 2014-12-11 2016-09-20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도재수복물 제조방법
WO2016182444A1 (en) * 2015-05-12 2016-11-17 Rijksuniversiteit Groningen 3d-printable antimicrobial composite resins,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333B1 (ko) 2022-11-03 2023-02-13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 표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치아교정장치
KR102513046B1 (ko) 2022-11-03 2023-03-23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 표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치아교정장치
KR102513047B1 (ko) 2022-11-03 2023-03-23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 표면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치아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3878A1 (en) 2020-12-10
KR102080721B1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maselli et al. Influence of pre-heating regular resin composites and flowable composites on luting ceramic veneers with different thicknesses
AU2016340522B2 (en) Curable composition and dental filling restorative material
KR102606720B1 (ko) 치과용 복합재 크라운을 제조하기 위한 경화성 조성물 및 제조 방법
JP7102356B2 (ja) 多層状義歯ブロックおよび/またはディスク
EP2561014B1 (en) Use of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and method and kits utilising the same
Ural et al. The effect of amine-free initiator system and the polymerization type on color stability of resin cements
JP7174721B2 (ja) 積層造形プロセス用の放射線硬化性組成物
KR102491300B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수복 충전 재료
US9381140B2 (en) Radically polymerisable dental material, cured product and usage
US11219505B2 (en) Dental composite material and mill blanks consisting of said composite material
KR20190056931A (ko)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US11458076B2 (en) Dental composite material with adapted ratio of flexural strength to elastic modulus, and mill blanks made of said composite material
US8222315B2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s that can be used in dentistry
JP2010519257A (ja) 二相光硬化材料を用いる歯科修復物の製造方法
US11576759B2 (en) Dental shaped bodies with continuous shade gradient
JPS5936602B2 (ja) 歯牙用加工材料
AU2006290842A1 (en) Composite paste for dental prostheses
KR20180138025A (ko) 광중합형 치과용 수복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98791A1 (ko)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
JPS63303906A (ja) 人工歯材料
Kim et al. In Vitro Study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3D-Printed Resin and Resin Cement for Pediatric Crown Restoration
KR101228290B1 (ko) 요변성과 주형성이 우수한 치과용 복합체 조성물
CN112689646A (zh) 用于快速原型制造或快速制造方法的辐射可固化组合物
KR102668433B1 (ko) 고강도 및 고심미성의 치아 수복용 강화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Podariu et al. Evaluation of impact of technological factors on dental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