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654A -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 Google Patents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654A
KR20190055654A KR1020170152617A KR20170152617A KR20190055654A KR 20190055654 A KR20190055654 A KR 20190055654A KR 1020170152617 A KR1020170152617 A KR 1020170152617A KR 20170152617 A KR20170152617 A KR 20170152617A KR 20190055654 A KR20190055654 A KR 2019005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plates
vacuum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654A/ko
Publication of KR2019005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진공 단열 패널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에 설치되는 진공 단열 패널은,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밀폐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한 상의 패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SEALING MATERIAL AND VACUMM INSULTION PANEL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예는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환경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업 및 국가의 중요 사안이 되면서 모든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고효율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현재는, 건축물의 시공에서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 에너지효율 등급 인증 등 에너지 절약을 위한 요구 기준이 강화되고 있다.
건축물 내부에 냉난방이 수행될 때, 에너지의 손실의 많은 부분은 건물의 외피부분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부를 단열하는 방법이 에너지 절약에 관련하여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외피를 단열하게 되면,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의 50%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
종래에는 건축물의 단열재로 쓰이는 일반적인 재료로써,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유리섬유 등이 이용되었으며, 이후 더욱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지는 진공 단열 패널(VIP, Vacuum Insulation Panel)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알루미늄박과 비닐을 압착한 외피를 가진 진공단열 패널은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건축영역에 적용이 매우 힘든 상태이다. 이를 보완한 금속이나 프라스틱재질의 패널을 이용한 진공단열이 고안되었다.
금속 및 프라스틱패널을 이용한 진공 단열 패널은, 한 쌍의 패널의 사이에 진공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전도(conduction) 및 대류(convection)을 통한 열 전달을 최소화게 된다. 그런데, 한 쌍의 패널 사이에 진공 공간이 형성되게 되면, 외부 대기압에 의하여 패널이 내측으로 압착되어 단열성능을 가진 진공부분이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진공을 이루는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진공 공간에 심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심재를 통한 열전달이 발생하여 심재의 재료질이나 형태에 따라서는 효과적인 단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단열을 수행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진공 단열 패널의 구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내구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높은 단열성을 확보하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진공 공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이중 실링 구조를 가지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에 설치되는 진공 단열 패널은,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되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착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보강 부재의 둘레를 감싸 밀착되도록, 상기 진공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육각형 기둥이 연속되게 연결되는 허니콤 구조 (honeycomb structure)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서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인접한 보강 플레이트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허니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플레이트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하나의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정육각형 기둥의 모서리는, 인접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정육각형 기둥의 중공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기포콘크리트, 팽창형암, 팽창점토,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무기질 재료로 형성되는, 또한 각종의 PE, PP, PS 등의 다양한 유기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밀폐부재가 끼워지는 외측 부분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 형성된 부분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은, 내구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높은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은, 진공 공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이중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된 진공 단열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은, 건물의 커튼월(curtain wall)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 천장은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슬라브(slab)를 통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슬라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건물의 각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커튼월은 건물의 외부, 예를 들어, 슬라브에 설치됨으로써 건물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커튼월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멀리온(mullion)과, 수평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트랜섬(transom)을 포함하게 되는데, 복수의 멀리온 및 트랜섬은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건물의 와관을 단위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멀리온 및 트랜섬을 통해 구획된 공간에는 패널(panel) 또는 글라스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건물의 단위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패널이 설치되는 단위 외벽은, 빛이 투과하지 않는 논비전 파트(nonvision part)를 형성하게 되고, 투과성 재질의 글라스 부재가 설치되는 단위 외벽은, 빛이 투과하는 비전 파트(vision part)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건물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열전달의 대부분은 건물의 외벽을 통해 수행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은, 상술한 커튼월에 설치됨으로써 건물의 외벽을 구성할 수 있다. 진공 단열 패널(1)은 내부에 진공 공간(103)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은,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 밀폐부재(11) 및 지지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플레이트(12)는, 진공 단열 패널(1)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는 각각 건물의 내부 및 외부를 향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플레이트(12)는, 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는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103)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패널 플레이트(12)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 사이에 하나의 진공 공간(103)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진공 단열 패널(1)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패널 플레이트를 통해 복수의 진공 공간(103)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널 플레이트(12)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진공 공간(103)을 경계로,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는 서로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conduction)현상에 따른 열전달이 방지되고, 추가적으로 진공 상태에 따른 유체의 대류(convection)에 따른 열전달 또한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공 공간(103)을 통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 사이의 열전달 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진공 단열 패널(1)의 높은 단열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 공간(103)의 진공도는 10-3 torr 이하의 진공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공간(103)의 진공압이 10-3 torr 이상인 경우에는, 단열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진공 공간(103)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진공 공간(103)을 완전히 밀폐할 필요성이 있다.
밀폐부재(11)는,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진공 공간(103)을 밀폐할 수 있다. 밀폐부재(11)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 사이에 구비되되,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 부분, 즉, 테두리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11)는 각각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진공 공간(103)을 밀폐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밀폐부재(11)가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의 양 측 테두리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이와 달리, 밀폐부재(11)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의 상하측 테두리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연결됨을 밝힌다.
밀폐부재(11)는 러버(rubber)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2)의 내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밀폐부재(11)는 접착제를 통해 패널 플레이트(1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플레이트(12)와 접촉되는 밀폐부재(11)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를 진공 공간(103)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21, 122) 및 밀폐부재(11)가 완전히 밀착되어, 진공 공간(103)이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1, 122)의 테두리 부분이 직접 결합되지 않고, 밀폐부재(11)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진공 공간(103)의 진공압을 확보하면서도, 시공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의 외면에 결합되어 패널 플레이트(1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패널 플레이트(12)의 폭 및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2)가 벤딩(bending)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플레이트(12)는, 대기압에 의해 진공 공간(103)으로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데, 지지부재(140)는 패널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패널 플레이트가 진공 공간(103)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지지부재(14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부재(140)는 패널 플레이트(12)의 외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지지부재(140)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은, 패널 플레이트(10), 밀폐부재(11), 결합부(12) 및 보강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부재(15)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2) 사이의 진공 공간(103)에 삽입됨으로써, 패널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15)는, 패널 플레이트(12)에 내면에 접촉하여 패널 플레이트(12)를 지지함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2)가 진공 공간(103)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부재(15)는, 서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는, 도 4와 같이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육각형 기둥이 연속되게 연결되는 허니콤 구조(honeycomb structur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니콤 구조는, 내각의 크기가 120°인 정육각형의 꼭지점이 3개씩 모이는 단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허니콤 구조는, 복수의 정육각기둥이 연속되게 연결되기 때문에, 일정한 옆면의 넓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최대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허니콤 구조는 동일한 양의 재료를 통해서 가장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이면서도 높은 공간 확보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허니콤 구조는 수직방향에 대한 내구도가 높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보강 부재(15)는 대기압에 의해 플레이트 패널(101, 102)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는 높은 지지 보강력을 가질 수 있다.
보강 부재(15)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15)는 도 3과 같이 2개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를 적층시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실제적으로는 3층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연속적으로 적층됨으로써 보강 부재(15)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각각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허니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는 인접한 보강 플레이트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허니콤 패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패널 플레이트(12)의 면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15a)에 형성된 정육각형의 모서리는, 인접한 다른 보강 플레이트(15b)의 형성된 정육각형의 중공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의 허니콤 형상이 나란히 겹쳐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술한 구조는 인접한 보강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보강 부재(15) 자체를 통한 열전도의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진공 공간(103) 내에서의 보강 부재(15)를 통한 열전달이 감소하기 때문에, 진공 단열 패널(1)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보강 부재(15)는, 기포콘크리트, 팽창형암, 팽창점토,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무기질 재료로 형성되는, 또한 각종의 PE, PP, PS 등의 다양한 유기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15)는, 유리 섬유를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15)는, 접착제로 사용되는 페놀수지가 없는 순수 유리섬유를 다발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15)가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15b)만이 순수 유리섬유의 다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섬유는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강 플레이트 간의 접촉을 통한 열전도율을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허니콤 구조는 동일한 양의 재료를 통해서 가장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보강 부재(15)를 통한 열전도 면적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된 상태의 진공 단열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은, 밀폐부재(11)를 통해 진공 공간(103)을 밀폐하는 동시에, 보강 부재(15)의 외면을 지지함으로써, 진공 단열 패널(1)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높은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밀폐부재(11)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01, 102)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01, 102)에 연결되, 진공 공간(203)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재(11)는, 보강 부재(15)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밀폐부재(11)의 두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5a, 15b, 15c)의 총 두께보다 넓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밀폐부재(11)가 패널 플레이트(101, 102) 사이에 설치되게 되면, 밀폐부재(11)는 보강 부재(15)와의 사이에서 틈이 생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5와 같이, 패널 플레이트(101, 102)가 진공 공간 방향으로 압축되게 되면, 밀폐부재(11)는 압력을 받아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밀폐부재(11)의 압축에 따라 보강 부재(15) 방향으로의 밀폐부재(11)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밀폐부재(11)는, 보강 부재(15)의 둘레를 감싸 밀착할 수 있다.
밀폐부재(11)가, 폐루프를 형성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게 되면, 밀폐부재(11)는 패널 플레이트(10)의 압축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강 부재(15)의 외측에 밀착하게 되면서, 진공 공간을 실링하는 동시에, 패널 플레이트(10)의 보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밀폐부재(11)를 통해 진공 공간(103)을 실링하는 동시에, 밀폐부재(11) 자체의 탄성력을 통해, 패널 플레이트(10) 및 보강 부재(15)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1)의 탄성력을 통해, 보강 부재(15)와 함께 진공 단열 패널(1)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0)가 진공 공간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3)은,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 밀폐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는, 외측 부분이 내측, 다시 말해 진공 공간(303)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 형성된 부분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의 절곡된 부위에는 밀폐부재(31)가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재(31)는, 연결부재(311), 내부 밀폐부재(312) 및 외부 밀폐부재(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1)는 일단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의 단부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 밀폐부재(312)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부재(311)로부터 돌출 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밀폐부재(312)는, 각각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의 외면 각각에 접촉하도록 한 쌍이 서로 이격 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밀폐부재(312)는 한 쌍의 외부 밀폐부재(3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밀폐부재(312)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의 내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밀폐부재(312)는, 진공 공간(303)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밀폐부재(31)의 내부 밀폐부재(312)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301, 302) 사이 공간에 끼워지고, 외부 밀폐부재(312)는, 상기 절곡된 공간에 안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진공 단열 패널은, 진공 공간을 통해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면서도, 진공 공간 내에 배치되는 허니콤 구조의 보강 부재를 통해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공 공간을 밀폐부를 통해 이중 실링함으로써, 진공 공간의 진공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진공 단열 패널
101, 102: 패널 플레이트
103: 진공 공간
11: 밀폐부재
12: 결합부

Claims (8)

  1. 건축물에 설치되는 진공 단열 패널에 있어서,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되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착되게 연결되는, 진공 단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보강 부재의 둘레를 감싸 밀착되도록, 상기 진공 공간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육각형 기둥이 연속되게 연결되는 허니콤 구조 (honeycomb structure)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서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인접한 보강 플레이트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허니콤 구조를 가지는, 진공 단열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플레이트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하나의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정육각형 기둥의 모서리는, 인접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정육각형 기둥의 중공을 겹치도록 배치되는, 진공 단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기포콘크리트, 팽창형암, 팽창점토,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무기질 재료로 형성되는, 또한 각종의 PE, PP, PS 등의 다양한 유기질 재료로 형성되는, 진공 단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밀폐부재가 끼워지는 외측 부분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 형성된 부분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진공 단열 패널.

KR1020170152617A 2017-11-15 2017-11-15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KR20190055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17A KR20190055654A (ko) 2017-11-15 2017-11-15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17A KR20190055654A (ko) 2017-11-15 2017-11-15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54A true KR20190055654A (ko) 2019-05-23

Family

ID=6668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617A KR20190055654A (ko) 2017-11-15 2017-11-15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1632A (zh) * 2020-08-25 2020-11-17 重庆君秀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自保温预制墙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1632A (zh) * 2020-08-25 2020-11-17 重庆君秀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自保温预制墙体
CN111941632B (zh) * 2020-08-25 2022-08-26 郴州市长信住工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自保温预制墙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864B1 (ko) 외장 패널 모듈
KR101572823B1 (ko) 진공단열패널
CN102304956A (zh) 真空保温隔热彩钢板
KR100701332B1 (ko) 슈퍼창용 이중단열 프레임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KR20190055654A (ko) 밀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TWI666376B (zh) 強化絕熱玻璃單元
KR101918863B1 (ko) 허니콤 구조의 보강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허니콤 구조의 보강 심재 제조방법
US9376805B2 (en) Vacuum insulation panel
CN105155764A (zh) 真空保温彩钢板及其制备方法
JP2014177821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KR100754726B1 (ko) 2차방벽 부착형 단열상자 또는 단열판으로 구성된 심벗형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용 단열시스템
KR101978605B1 (ko) 절판 구조를 이용한 진공 단열 패널
CN215630872U (zh) 一种断桥式复合保温墙体
KR101186356B1 (ko) 차음 및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물 벽체용 패널
CN215716793U (zh) 一种卫浴用瓷砖复合壁板
CN212898101U (zh) 一种被动式隔热门窗的外挂式钢副框
CN216840038U (zh) 一种装配式ecp墙板
KR102643297B1 (ko) 이중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 월
US20170298679A1 (en) Vacuum Insulated Glass Units with Ring Shaped Pillars
CN213980492U (zh) 一种龙骨填充门
CN219491352U (zh) 一种装配式建筑保温装置
KR101456226B1 (ko) 외장 패널 모듈
RU205372U1 (ru)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я 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с воздушной ячеистой кавер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