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226B1 - 외장 패널 모듈 - Google Patents

외장 패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226B1
KR101456226B1 KR1020120130184A KR20120130184A KR101456226B1 KR 101456226 B1 KR101456226 B1 KR 101456226B1 KR 1020120130184 A KR1020120130184 A KR 1020120130184A KR 20120130184 A KR20120130184 A KR 20120130184A KR 101456226 B1 KR101456226 B1 KR 10145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ece
steel
join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156A (ko
Inventor
박창근
김형석
윤진호
박계균
김현배
이종인
류성룡
송승영
임재한
구보경
박시현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하나인더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하나인더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2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측에 배치되는 다양한 재질의 패널과 건물 내측에 배치되는 강재 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석고보드, 유리섬유, 허니컴 구조의 보드 등 다양한 중간재를 배치한 후, 이러한 각각의 패널 및 보드를 제1, 2 조인트로써 일정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단열편으로 제1, 2 조인트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건물의 내, 외측에 걸친 열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일체의 구성 부재를 모듈화하여 작업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장 패널 모듈{Exterior panel module}
본 발명은 건물의 내, 외측에 걸친 열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장 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측에는 전체적인 건물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가 설치될 수 있다.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로는 유리나 벽돌 또는 타일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복합 판재와 같은 외장 판재를 널리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장 판재는 일반적으로 외측 판재와 내측 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기본 구조를 하고 있으며, 여기에 외측 판재와 내측 판재 사이에는 난연재 또는 단열재 등이 추가적으로 배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외측 판재와 내측 판재는 각각의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열전달은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단열재 등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단열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8920호 (2009.06.29.) 특허등록공보 제10-0751487호 (2007.08.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건물의 내, 외측에 걸친 열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장 패널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체의 구성 부재를 모듈화하여 작업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패널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강재 패널; 제1 강재 패널에 결합되는 유리섬유 패널; 유리섬유 패널에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패널; 진공 단열재 패널에 결합되고, 제1 강재 패널보다 얇은 제2 강재 패널; 제1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유리섬유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유리섬유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조인트; 제2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진공 단열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을 지지하며, 진공 단열재 패널과 유리섬유 패널의 상호 대향면에 밀착되는 제2 조인트;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유리섬유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배치되고, 건물의 외측과 내측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패널 모듈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외장 패널 모듈은 제1 강재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과, 제2 강재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을 더 구비하며, 제1 조인트는 제1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고, 제2 조인트는 제2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인트는 제1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제1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측으로 절곡되어 유리섬유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연결편과, 제1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쐐기 형상의 제1 말단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조인트는 제2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과, 제2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유리섬유 패널측으로 절곡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과 유리섬유 패널의 상호 대향면에 밀착되게 연장된 제2 지지편과, 제2 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말단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 외측에 배치되는 다양한 재질의 패널과 건물 내측에 배치되는 강재 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석고보드, 유리섬유, 허니컴 구조의 보드 등 다양한 중간재를 배치한 후, 이러한 각각의 패널 및 보드를 제1, 2 조인트로써 일정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단열편으로 제1, 2 조인트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건물의 내, 외측에 걸친 열전달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2 조인트 및 단열편을 포함한 일련의 구성요소가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시공상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석재 패널(500)과 강재 패널(700)이 부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 사이가 제1, 2 조인트(110, 120)로써 간격 유지하면서 지지되어지되, 제1, 2 조인트(110, 120) 상호간은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어 각각의 패널(500, 600, 700)을 통한 열전달 및 건물의 내측(i)과 외측(o)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석재 패널(500)은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감용 외장재로써, 화강암, 대리석 등 건물 외벽면의 미려한 외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은 석재 패널(500)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대면하는 것으로, 단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것을 활용할 수 있다.
강재 패널(700)은 진공 단열재 패널(600)에 결합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면서 전체적인 강도 유지를 위한 골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1 조인트(110)는 석재 패널(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석재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고, 석재 패널(50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상호 대향면을 각각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2 조인트(120)는 강재 패널(7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단열편(900)은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20)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배치되고, 건물의 외측과 내측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부재로, 통상 AZON이라 불리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것을 활용할 수 있으며, 여타 단열 성능이 우수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강재 패널(700)은 도 1과 같이 제2 조인트(12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석재 패널(500)측으로 절곡된 강재 고정편(70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조인트(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인트(120)와 상호 단열편(900)으로 연결되고 각 패널(500, 600, 700)의 간격 유지 및 상호 지지를 위한 부재 중 하나로, 제1 고정편(111)과 제1 연결편(112)과 제1 간격 유지편(113) 및 제1 말단 고정편(11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고정편(111)은 석재 패널(500)과 같이 비교적 중량물인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 것으로, 석재 패널(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50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편(112)은 제1 고정편(111)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측으로 연장되어 석재 패널(5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제1 간격 유지편(113)은 석재 패널(50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 각각의 상호 대향면에 대면되어 석재 패널(500) 및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1 간격 유지편(113)은 제1 연결편(112)과 끼움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말단 고정편(114)은 제1 간격 유지편(113)으로부터 강재 패널(700)측으로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한편, 제2 조인트(120)는 이러한 제1 조인트(110)와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고정편(121)과 제2 연결편(122)과 제2 말단 고정편(12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고정편(121)은 강재 패널(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석재 패널(500)측으로 절곡된 강재 고정편(701)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부재이다.
제2 연결편(122)은 제2 고정편(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석재 패널(500)측으로 연장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제2 말단 고정편(123)은 제2 연결편(122)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타단부를 고정하며, 제1 조인트(110)의 제1 말단 고정편(114)과 함께 단열편(900)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20)는 석재 패널(500)의 상단면, 하단면, 좌측면 그리고 우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그러나 석재 패널(500)의 상하단면에 설치되는 제1 조인트(110)와 석재 패널(500)의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제1 조인트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석재 패널(500)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제1 조인트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제1 조인트(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제1 조인트(110)와 동일하다. 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인트(110)는 제1 간격 유지편(113)에서 제1 연결편(112)이 분리된다. 즉, 석재 패널(50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조인트(110)에는 제1 고정편(111) 및 제1 연결편(112)이 생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제1, 2 조인트(110, 120)로 각 패널(500, 600, 700)을 고정 지지하되,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각 패널(500, 600, 70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00) 상호간의 더욱 확실한 체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내부 부재(IM)에 볼트(b)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B, B')에 의하여 제1, 2 조인트(110, 120) 및 각 패널(500, 600, 700)이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미표시된 도면의 부호는 도 1을 참고한다.
즉, 도 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각 패널(500, 600, 70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00)이 제1, 2 조인트(110, 1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브라켓(B)과 인접한 브라켓(B)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석재 패널(500)과 인접한 석재 패널(5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상호 대향하는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편(B1)과, 제1 편(B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석재 패널(50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 상호간의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조인트(110)의 제1 간격 유지편(113)에 밀착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강재 패널(700)과 내부 부재(IM) 상호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편(B2)과 평행을 이루는 제3 편(B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3은 내부 부재(IM) 상에서 각 패널(500, 600, 70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00)이 제1, 2 조인트(110, 1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각 패널(500, 600, 70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0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석재 패널(500)과 인접한 석재 패널(5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의 외면에 볼트(b)로 고정되는 제1 편(B1')과,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재 패널(70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인접한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각각 지지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2 편(B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편(B1')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석재 패널(50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 상호간의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조인트(110)의 제1 간격 유지편(113)에 각각 밀착되는 제3 편(B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조인트(110)의 제1 말단 고정편(114)과 제2 조인트(120)의 제2 말단 고정편(123) 및 각 말단 고정편(114, 123)으로 상호 연결된 단열편(900)은 제2 편(B2')의 양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도 4는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각 패널(500, 600, 70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00)이 제1, 2 조인트(110, 1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석재 패널(500)과 인접한 석재 패널(50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석재 패널(500)과 인접한 석재 패널(5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알루미늄 시트(500')와 진공 단열재 패널(600) 및 강재 패널(700)을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제1, 2 조인트(210, 220)로써 지지하되, 제1, 2 조인트(210, 220)는 각각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알루미늄 시트(500')는 건물의 외측(o)에 배치되는 외장 마감재이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은 알루미늄 시트(50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대면하는 부재이고, 강재 패널(700)은 진공 단열재 패널(600)에 결합되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 건물의 내측(i)에 배치된다.
제1 조인트(210)는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대면하는 알루미늄 시트(500')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밀착되어 알루미늄 시트(500')를 지지하고, 알루미늄 시트(500')와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상호 대향면을 각각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2 조인트(220)는 강재 패널(7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단열편(900)은 제1 조인트(210)와 제2 조인트(220)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배치되고, 건물의 외측과 내측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강재 패널(700)은 제2 조인트(2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알루미늄 시트(500')측으로 절곡된 강재 고정편(70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조인트(210)는 제1 고정편(211)과 제1 간격 유지편(212)과 제1 밀착편(213)과 제1 말단 고정편(21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고정편(211)은 알루미늄 시트(5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되는 부재이며, 제1 간격 유지편(212)은 제1 고정편(211)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측으로 연장되어 알루미늄 시트(500') 및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밀착편(213)은 제1 간격 유지편(2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 고정되고, 제1 말단 고정편(214)은 제1 밀착편(213)으로부터 강재 패널(700)측으로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제2 조인트(220)는 이러한 제1 조인트(210)와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고정편(221)과 제2 연결편(222)과 제2 말단 고정편(22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고정편(221)은 강재 패널(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알루미늄 시트(500')측으로 절곡된 강재 고정편(701)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부재이다.
제2 연결편(222)은 제2 고정편(2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알루미늄 시트(500')측으로 연장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제2 말단 고정편(223)은 제2 연결편(222)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쐐기 형상의 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제1, 2 조인트(210, 220)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을 고정 지지하되,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과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 상호간의 더욱 확실한 체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내부 부재(IM)에 볼트(b)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B, B')에 의하여 제1, 2 조인트(210, 220)와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이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서 미표시된 도면의 부호는 도 5를 참고한다.
즉, 도 6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과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이 제1, 2 조인트(210, 2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브라켓(B)과 인접한 브라켓(B)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알루미늄 시트(500')와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상호 대향하는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편(B1)과, 제1 편(B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알루미늄 시트(500')와 진공 단열재 패널(600) 상호간의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조인트(210)의 제1 간격 유지편(212)에 밀착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강재 패널(700)과 내부 부재(IM) 상호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편(B2)과 평행을 이루는 제3 편(B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은 내부 부재(IM) 상에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과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이 제1, 2 조인트(210, 2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과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석재 패널(500)과 인접한 석재 패널(5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의 외면에 볼트(b)로 고정되는 제1 편(B1')과,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강재 패널(70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인접한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각각 지지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2 편(B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편(B1')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알루미늄 시트(500')와 진공 단열재 패널(600) 상호간의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조인트(210)의 제1 간격 유지편(212)에 각각 밀착되는 제3 편(B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조인트(210)의 제1 말단 고정편(214)과 제2 조인트(220)의 제2 말단 고정편(223) 및 각 말단 고정편(214, 223)으로 상호 연결된 단열편(900)은 제2 편(B2')의 양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도 8은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과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 및 각 패널(600, 700)이 제1, 2 조인트(210, 2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알루미늄 시트(500')와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는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알루미늄 시트(500')와 인접한 알루미늄 시트(5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제1 강재 패널(710)과, 제2 강재 패널(72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 사이에 중간재 패널(500")을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제1, 2 조인트(310, 320)로써 지지하되, 제1, 2 조인트(310, 320)는 각각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강재 패널(710)은 건물의 외측(o)에 배치되는 외장 마감재이며, 중간재 패널(500")은 제1 강재 패널(710)과 이격되어 대면하는 부재이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은 중간재 패널(500")과 대면하는 부재이며, 제2 강재 패널(720)은 건물의 내측(i)에 배치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에 결합되고, 제1 강재 패널(710)보다 얇은 부재이다.
*여기서, 중간재 패널(500")은 석고보드 또는 허니컴 구조의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조적 강도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조인트(310)는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대면하는 제1 강재 패널(710)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밀착되어 제1 강재 패널(710)을 지지하고, 중간재 패널(5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제1 강재 패널(710)과 중간재 패널(500") 사이 및 중간재 패널(50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을 상호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2 조인트(320)는 제2 강재 패널(7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단열편(900)은 제1 조인트(310)와 제2 조인트(320)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배치되고, 건물의 외측과 내측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2 강재 패널(720)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강재 패널(710)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721)을 더 구비하며, 제2 조인트(320)는 제2 강재 고정편(72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1 강재 패널(710)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강재 패널(720)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711)을 더 구비하여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제1 강재 고정편(711) 외측면이 상호 실란트(S, 도 10 내지 도 12 참고) 시공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조인트(310)는 크게 제1 고정편(311)과 제1 간격 유지편(312)과 제1 밀착편(313) 및 제1 말단 고정편(31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고정편(311)은 제1 강재 패널(71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되는 부재이며, 제1 간격 유지편(312)은 제1 고정편(311)으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측으로 연장되어 제1 강재 패널(710) 및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재이다.
제1 밀착편(313)은 제1 간격 유지편(3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 고정되는 부재이며, 제1 말단 고정편(314)은 제1 밀착편(313)으로부터 제2 강재 패널(720)측으로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여기서, 중간재 패널(500")의 가장자리는 제1 간격 유지편(312)에 밀착되는 것임을 도 9 내지 도 12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2 조인트(320)는 이러한 제1 조인트(310)와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고정편(321)과 제2 연결편(322)과 제2 말단 고정편(32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고정편(321)은 제2 강재 패널(7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강재 패널(710)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721)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부재이다.
제2 연결편(322)은 제2 고정편(32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강재 패널(710)측으로 연장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제2 말단 고정편(323)은 제2 연결편(322)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쐐기 형상의 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제1, 2 조인트(310, 320)로 각 패널(500", 600, 710, 720)을 고정 지지하되,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각 패널(500", 600, 710, 72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10, 720) 상호간의 더욱 확실한 체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내부 부재(IM)에 볼트(b)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B, B')에 의하여 제1, 2 조인트(310, 320)와 각 패널(500", 600, 710, 720)이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0 내지 도 12에서 미표시된 도면의 부호는 도 9를 참고한다.
즉, 도 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각 패널(500", 600, 710, 72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10, 720)이 제1, 2 조인트(310, 3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브라켓(B)과 인접한 브라켓(B)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와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외측 가장자리, 즉 제1 강재 고정편(711) 각각의 외측면은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상호 대향하는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편(B1)과, 제1 편(B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중간재 패널(50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상호간의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조인트(310)의 제1 간격 유지편(312)에 밀착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2 강재 패널(720)과 내부 부재(IM) 상호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편(B2)과 평행을 이루는 제3 편(B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11은 내부 부재(IM) 상에서 각 패널(500", 600, 710, 72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10, 720)이 제1, 2 조인트(310, 3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각 패널(500", 600, 710, 72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10, 72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와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외측 가장자리, 즉 제1 강재 고정편(711) 각각의 외측면은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의 외면에 볼트(b)로 고정되는 제1 편(B1')과,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강재 패널(72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인접한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각각 지지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2 편(B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편(B1')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제1 강재 패널(710)과 진공 단열재 패널(600) 상호간의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중간에 개재된 중간재 패널(50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조인트(310)의 제1 간격 유지편(312)에 각각 밀착되는 제3 편(B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조인트(310)의 제1 말단 고정편(314)과 제2 조인트(320)의 제2 말단 고정편(323) 및 각 말단 고정편(314, 323)으로 상호 연결된 단열편(900)은 제2 편(B2')의 양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도 12는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각 패널(500", 600, 710, 720)과 인접한 각 패널(500", 600, 710, 720)이 제1, 2 조인트(310, 3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제1 강재 패널(710)과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와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외측 가장자리, 즉 제1 강재 고정편(711) 각각의 외측면은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유리섬유 패널(800)이 결합된 제1 강재 패널(710)과 제2 강재 패널(72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이 상호 결합되어지되, 제1, 2 조인트(410, 420)로써 지지되고, 제1, 2 조인트(410, 420)는 각각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강재 패널(710)은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장 마감재이며, 유리섬유 패널(800)은 제1 강재 패널(710)에 결합되는 부재이며, 유리섬유 패널(800)에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패널(600)은 유리섬유 패널(800)과 함께 이중으로 단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강재 패널(720)은 진공 단열재 패널(600)에 결합되고, 제1 강재 패널(710)보다 얇은 부재이다.
제1 조인트(410)는 제1 강재 패널(71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유리섬유 패널(8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유리섬유 패널(80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2 조인트(420)는 제2 강재 패널(7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을 지지하며,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유리섬유 패널(800)의 상호 대향면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단열편(900)은 제1 조인트(410)와 제2 조인트(420)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유리섬유 패널(8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배치되고, 건물의 외측과 내측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제1 강재 패널(7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강재 패널(720)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711)과, 제2 강재 패널(72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강재 패널(710)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72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조인트(410)는 제1 강재 고정편(711)에 고정되고, 제2 조인트(420)는 제2 강재 고정편(721)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조인트(410)는 크게 제1 고정편(411)과 제1 연결편(412) 및 제1 말단 고정편(41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고정편(411)은 제1 강재 패널(7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강재 패널(720)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711)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제1 연결편(412)은 제1 고정편(411)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측으로 절곡되어 유리섬유 패널(8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제1 말단 고정편(413)은 제1 연결편(412)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쐐기 형상의 부재이다.
제2 조인트(420)는 이러한 제1 조인트(410)와 단열편(900)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제2 고정편(421)과 제2 연결편(422)과 제2 지지편(423) 및 제2 말단 고정편(42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고정편(421)은 제2 강재 패널(7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강재 패널(710)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721)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제2 연결편(422)은 제2 고정편(421)의 단부로부터 유리섬유 패널(800)측으로 절곡되어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제2 지지편(423)은 제2 연결편(422)의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유리섬유 패널(800)의 상호 대향면에 밀착되게 연장된 부재이며, 제2 말단 고정편(424)은 제2 지지편(423)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열편(90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 모듈은 제1, 2 조인트(410, 420)로 각 패널(600, 710, 720, 800)을 고정 지지하되,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각 패널(600, 710, 720, 800)과 인접한 각 패널(600, 710, 720, 800) 상호간의 더욱 확실한 체결 상태 유지를 위하여 내부 부재(IM)에 볼트(b)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B, B')에 의하여 제1, 2 조인트(410, 420)와 각 패널(600, 710, 720, 800)이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4 내지 도 16에서 미표시된 도면의 부호는 도 13을 참고한다.
즉, 도 14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각 패널(600, 710, 720, 800)과 인접한 각 패널(600, 710, 720, 800)이 제1, 2 조인트(410, 4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브라켓(B)과 인접한 브라켓(B)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와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외측 가장자리, 즉 제1 강재 고정편(711) 각각의 외측면은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상호 대향하는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 편(B1)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1 편(B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 강재 패널(710)과 대면되는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대향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유리섬유 패널(800) 사이에 개재된 제2 조인트(420)의 제2 지지편(423)에 밀착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2 강재 패널(720)과 내부 부재(IM) 상호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편(B2)과 평행을 이루는 제3 편(B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15는 내부 부재(IM) 상에서 각 패널(600, 710, 720, 800)과 인접한 각 패널(600, 710, 720, 800)이 제1, 2 조인트(410, 4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브라켓(B')으로 상호 지지되고, 각 패널(600, 710, 720, 800)과 인접한 각 패널(600, 710, 720, 80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와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외측 가장자리, 즉 제1 강재 고정편(711) 각각의 외측면은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브라켓(B')은 내부 부재(IM)의 외면에 볼트(b)로 고정되는 제1 편(B1')과, 제1 편(B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강재 패널(72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인접한 진공 단열재 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각각 지지하는 제2 편(B2')을 포함한다.
그리고, 브라켓(B')은 제2 편(B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편(B1')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진공 단열재 패널(600)과 유리섬유 패널(800) 사이에 개재된 제2 조인트(420)의 제2 지지편(423)에 밀착되는 제3 편(B3')을 포함한다.
또한, 도 16은 내부 부재(IM)와 인접한 내부 부재(IM)의 가장자리에 맞춰 각 패널(600, 710, 720, 800)과 인접한 각 패널(600, 710, 720, 800)이 제1, 2 조인트(410, 420)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지되, 제1 강재 패널(710)과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은 지지 로드(R)로써 간격 유지가 되도록 하면서 제1 강재 패널(710)와 인접한 제1 강재 패널(710)의 외측 가장자리, 즉 제1 강재 고정편(711) 각각의 외측면은 실란트(S)로 마감처리되는 구조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내, 외측에 걸친 열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일체의 구성 부재를 모듈화하여 작업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패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210, 310, 410 : 제1 조인트
120, 220, 320, 420 : 제2 조인트
500 : 석재 패널 500 : 알루미늄 시트
500 : 중간재 패널 600 : 진공 단열재 패널
700 : 강재 패널 710 : 제1 강재 패널
720 : 제2 강재 패널 800 : 유리섬유 패널
900 : 단열편

Claims (4)

  1.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강재 패널;
    상기 제1 강재 패널에 결합되는 유리섬유 패널;
    상기 유리섬유 패널에 밀착되는 진공 단열재 패널;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강재 패널보다 얇은 제2 강재 패널;
    상기 제1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유리섬유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유리섬유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조인트;
    상기 제2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과 상기 유리섬유 패널의 상호 대향면에 밀착되는 제2 조인트;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유리섬유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외측과 내측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편;
    상기 제1 강재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 및
    상기 제2 강재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제1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제2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패널 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제1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1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리섬유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연결편과,
    상기 제1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편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쐐기 형상의 제1 말단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패널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제2 강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강재 패널측으로 절곡된 제2 강재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과,
    상기 제2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유리섬유 패널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진공 단열재 패널과 상기 유리섬유 패널의 상호 대향면에 밀착되게 연장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편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말단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패널 모듈.
KR1020120130184A 2012-11-16 2012-11-16 외장 패널 모듈 KR10145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184A KR101456226B1 (ko) 2012-11-16 2012-11-16 외장 패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184A KR101456226B1 (ko) 2012-11-16 2012-11-16 외장 패널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66 Division 2012-04-13 2012-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56A KR20130116156A (ko) 2013-10-23
KR101456226B1 true KR101456226B1 (ko) 2014-11-07

Family

ID=4963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184A KR101456226B1 (ko) 2012-11-16 2012-11-16 외장 패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75B1 (ko) * 2020-12-22 2021-12-31 이걸주 건축용 단열 패널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876Y2 (ja) * 1991-05-24 1997-05-07 松下電工株式会社 外装材の見切構造
KR200403456Y1 (ko) 2005-09-14 2005-12-09 유영흥 건축용 금속외장판넬의 단열 몰딩구조
JP2008095465A (ja) * 2006-10-16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断熱パネル
KR100936934B1 (ko) * 2009-07-01 2010-01-14 남정무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876Y2 (ja) * 1991-05-24 1997-05-07 松下電工株式会社 外装材の見切構造
KR200403456Y1 (ko) 2005-09-14 2005-12-09 유영흥 건축용 금속외장판넬의 단열 몰딩구조
JP2008095465A (ja) * 2006-10-16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断熱パネル
KR100936934B1 (ko) * 2009-07-01 2010-01-14 남정무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75B1 (ko) * 2020-12-22 2021-12-31 이걸주 건축용 단열 패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56A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864B1 (ko) 외장 패널 모듈
KR101016820B1 (ko) 실내 설치가 가능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및 프레임 본체
KR101016878B1 (ko)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의 적층을 이용한 건물벽의 외단열 구조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JP5239603B2 (ja) 内壁構造
CN102472042A (zh) 用于一隔离建筑系统的具有拐角轮廓的建筑组件
KR101061030B1 (ko) 건물의 벽체 구조물
KR101456226B1 (ko) 외장 패널 모듈
KR102039324B1 (ko)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36647A (ko) 점 지지 방식의 유리 커튼 월 시스템
KR101935349B1 (ko)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에이엘씨(alc)패널) 외벽체 및 이 외벽체의 시공방법
KR20100114258A (ko) 건축물용 단열재의 결합구조
RU143009U1 (ru) Навесная панель огражд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RU2548626C2 (ru) Гибкое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эндвич-панель и участок стены, их содержащий
KR20100070509A (ko) 스틸 석고보드 및 방화 석고보드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내화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927987B1 (ko) 철골 조립식 중공벽 패널구조
KR102474848B1 (ko) 건축물 외장금속패널 시공구조
KR101339730B1 (ko) 외장 패널
CN218091600U (zh) 轻钢结构复合有肋轻质墙板
KR101390692B1 (ko) 밀착형 알루미늄 커튼월
CN111502078B (zh) 一种装配式混凝土复合墙及其构建方法
KR101536475B1 (ko) 세라믹 화이버 블랭킷을 활용한 건식벽체시스템
KR10103690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내화시공시스템
RU129535U1 (ru) Укрупне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каркасно-блоч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для строительного блока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JP7040755B2 (ja) 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