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268A -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 Google Patents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268A
KR20190055268A KR1020197013846A KR20197013846A KR20190055268A KR 20190055268 A KR20190055268 A KR 20190055268A KR 1020197013846 A KR1020197013846 A KR 1020197013846A KR 20197013846 A KR20197013846 A KR 20197013846A KR 20190055268 A KR20190055268 A KR 2019005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ation
dietary supplement
mood
stress
anxi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탈리타 베스트
Original Assignee
마나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유니버시티 오브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나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유니버시티 오브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filed Critical 마나테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3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6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2Compounds having a free or esterified carboxyl group attached, directly or through a carbon chain,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glucuronic acid, neuram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Psychiatry (AREA)
  • Addiction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성인 사람 개체의 인지 수행 및 기분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들 및 방법들이 본원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들은, 혈당 반응과 상관없이 그리고 정신적 피로에도 불구하고, 기억 수행 및 높은 인지 요구 과제에 대해 유익한 효과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식이 보충제 분야, 보다 특히, 중년 성인의 인지 수행(cognitive performance) 및 기분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배경을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이의 식이 보충제를 포함함)의 건강 효과들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미국 특허 제7,157,431호(Mcanalley 등, 2007)에는 양호한 건강의 증진 및 유지를 위한 식이 보충 및 영양 보조용 식물 탄수화물의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영양학적 유효량의, 당영양소인 필수 사카라이드 1종 내지 11종이 각종 발명 조성물들에서 식이 보충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특허문헌에서 식이 조성물은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비타민, 미네랄, 허브 추출물 및 기타 비독성 영양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 당영양소 식이 보충제는 당단백질의 빌딩 블럭인 필수 사카라이드를 제공한다. 이들 조성물은, 경구 또는 국소 투여시, 각종 장애를 앓고 있는 포유동물의 웰빙(well-being)을 향상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식이 보충제들의 유익한 건강 효과들을 기술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식물 폴리사카라이드 함유 식이 보충제를 투여한 후의 중년 성인에서의 향상된 인지 수행 및 기분에 대해 기술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의 향상이 필요하거나,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의 감소가 필요하거나, 행동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필요한 사람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를,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에,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에,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람 개체에서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경구 투여를 위해 조정(adapted)되고, 분말 형태이거나, 액체에 용해되거나, 캡슐화되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은, (i)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기저선 또는 시험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ii)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시험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한 후 하나 이상의 특정 시점에서,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저선 수준과 상기 시험후 수준을 비교하여,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상기 식이 보충제의 투여의 지속, 종료 또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사람 개체는 하나 이상의 심장 병태, 당뇨병, 두부/뇌 손상, 신경학적 병태, 신경퇴행성 병태, 정신 병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앓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스트레스 또는 불안은 하나 이상의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공포증, 심리적 외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기인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중추 신경계 약물, 알코올 남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 효과(adverse effect)를 완화시킨다.
상술된 방법은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및 투여한 후에 혈당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상기 개체에서의 상승된 혈당치를 유발하지 않고, 상기 식이 보충제는 용량형(dosage form)들 중의 하나로서 또는 용량형들의 병용물로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하나 이상의 약물, 비타민, 기타 영양 보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기술된 식이 보충제는, (i)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ii)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혈당치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사람 개체에서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의 향상이 필요하거나,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의 감소가 필요하거나, 행동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필요한 사람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를,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에,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에,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경구 투여를 위해 조정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분말이거나, 액체에 용해되거나, 캡슐화되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및 투여한 후에 혈당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혈당치의 경우 상기 식이 보충제의 투여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된 방법은 추가로, (i)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기저선 또는 시험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ii)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시험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한 후 하나 이상의 특정 시점에서,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저선 수준과 상기 시험후 수준을 비교하여,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상기 식이 보충제의 투여의 지속, 종료 또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사람 개체는 하나 이상의 심장 병태, 당뇨병, 두부/뇌 손상, 신경학적 병태, 신경퇴행성 병태, 정신 병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앓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스트레스 또는 불안은 하나 이상의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공포증, 심리적 외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기인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중추 신경계 약물, 알코올 남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 효과를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식이 보충제는 용량형들 중의 하나로서 또는 용량형들의 병용물로서, 하나 이상의 약물, 비타민, 기타 영양 보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식이 보충제는, (i)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관련된 측면에서, 상기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는 글루코사민 및 람노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의 향상이 필요하거나,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의 감소가 필요하거나, 행동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필요한 사람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를,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에,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에,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치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사람 개체에서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을 기재한다. 본원에 기재된 식이 보충제는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시험일의 실행 순서를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시험 프로토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치료 후 정신적 피로에 대한 참가자들의 주관적 등급을 나타낸 플롯이고;
도 3은 혈당치에 대한 폴리사카라이드, 위약 및 수크로스의 효과를 나타낸 플롯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의 창작 및 사용이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지만, 본 발명은 광범위한 특정 맥락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수의 적용가능한 발명 개념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특정 양태들은 본 발명을 창작하고 사용하는 특정 방식의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용어들을 아래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들을 갖는다. 단수 형태의 용어들은 단일 개체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할 수 있는 일반적 부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의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들의 사용은 특허청구범위에 개략화된 바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탄수화물"은 "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당"이란 용어들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이들의 정의는 탄수화물 화학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이 11개의 필수 사카라이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하더라도, 상기 사카라이드는 모노-, 올리고- 및/또는 폴리사카라이드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검 트라가칸트 및 구아 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갈락투론산, 푸코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람노스, 만노스 및 갈락토스를 함유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이 보충제 내의 특정 검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식이 보충제 내의 각각의 사카라이드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11종의 필수 사카라이드를 포함하지만, 기타 사카라이드, 영양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불활성 화합물이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기타 영양 화합물에는 파이토뉴트리언트, 디오스코레아 복합물(dioscorea complex), 식물 추출물, 허브 추출물, 식물 부분, 허브 성분, 비타민 또는 미네랄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포함된다. 이들 영양 화합물은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첨가될 수 있거나, 이들은 상기 식이 보충제가 투여되는 포유동물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혼입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는 영양학적 가치가 예상되거나 입증된 다수의 식물 및 허브 추출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식물 및 허브 추출물은, 식물 또는 허브로부터의 물질, 화합물 또는 제제의 추출을 위해 익히 공지된 공정들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타입의 비타민 및 미네랄이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첨가될 수 있다. 합성 기원의 몇몇 비타민 및 미네랄은 영양학적 가치가 있지만, 본원의 식이 보충제의 특정 양태들은, 주로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되는 영양학적 유효량의 비독성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영양학적 유효량"은 포유동물에서 유익한 영양학적 효과 또는 반응을 제공하는 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비타민- 및 미네랄-함유 식이 보충제에 대한 영양학적 반응은 포유동물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의 영양학적 유효량은 각각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포유동물은 한정된 양으로 존재하는 특정 프로파일의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필요로 할 수 있는 반면, 또 다른 포유동물은 상이한 한정된 양으로 존재하는 동일한 특정 프로파일의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기타 화합물, 제제 및 영양소, 예를 들면, 셀룰로스, 탄산칼슘, 콜라 너트(kola nut), 콜라 너트 추출물, 컨트리 맬로우(country mallow), 아틀랜틱 켈프(Atlantic kelp), 카옌 페퍼(cayenne pepper), 실리카, 스테아르산, 아미노산, 글리신, 리신, 글루탐산, 아르기닌, 탄산칼슘, 정력 물질(essential orchic substances), 시트르산붕소, 피콜린산크롬, 필수 섬유, 필수 오일, 필수 식물제제(botanical), 필수 장내 생태 및 플로라 성장 촉진제(essential enteric ecology and flora growth promoter), 필수 지방산, 생 프로바이오틱 플로라(live probiotic flora), 단백질 및 효소가 또한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분말, 재구성가능한 분말, 액체-고체 현탁액, 액체, 캡슐제, 정제, 당의정제, 로션제 및 크림제 용량형으로 제조되고 포유동물에 투여되어 왔다. 제형화 과학분야의 통상의 숙련가는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가 또한 관류, 안구, 귀, 직장, 설하, 경피, 협측, 질 또는 피부 투여에 적합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씹을 수 있는 캔디 바, 농축물, 점안액, 엘릭시르, 유화액, 필름, 겔, 과립, 츄잉 검, 젤리, 오일, 페이스트, 향정, 펠릿, 샴푸, 린스, 비누, 스폰지, 좌제, 스왑(swab), 시럽, 씹을 수 있는 젤라틴 형태 또는 씹을 수 있는 정제와 같은 기타 용량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사람마다 다른 식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광범위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광범위한 용량 단위 함량(dosage unit strength)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1종의 필수 사카라이드 중의 9종이 식이로부터 결손된 사람들의 경우, 영양학적 유효량의 이들 9종의 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식이 보충제를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필수 사카라이드의 생체흡수가 매우 효율적인 사람들의 경우, 감소된 양의 필수 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식이 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이 보충제의 용량은 또한 상기 보충제를 섭취할 때 포유동물이 앓고 있는 특정 질병 또는 장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만성 피로 증후군 또는 섬유근육통을 앓고 있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영양학적 이익을 얻기 위해 알코올 섭취를 중단하고자 하는 알코올 중독자와는 상이한 용량을 필요로 할 것이다. 상기 식이 보충제의 적절한 용량은 상기 보충제의 특정 용량에 대한 환자의 반응, 즉 일반적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파이토뉴트리언트, 식물 추출물, 허브 추출물 및/또는 디오스코레아 복합물과 같은 또 다른 제제가 본 발명의 당 영양소 식이 보충제와 함께 포유동물에 투여되는 경우, 상기 보충제 및 각각의 제제의 적절한 용량은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의 특정 용량에 대한 환자의 반응, 즉 일반적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식이 보충제는 용량형들 중의 하나로서 또는 용량형들의 병용물로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즉각적인 전체 건강 이익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고 심지어 그러할 확률이 크지만, 이러한 이익은 구체화되는 데에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 걸릴 수 있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당 영양소 식이 보충제는 이것을 소비하는 포유동물에서 유익한 영양학적 반응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중년 성인의 인지 수행 및 기분에 대한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유익한 효과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45세 내지 60세 성인에서의 기억 과제, 고도 인지 요구 연속 감산 과제(high cognitive demand serial subtraction task)(3 연속 감산 및 7 연속 감산) 및 고속 시각 정보 처리(RVIP: Rapi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과제에 대한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독특한 병용물의 급성 효과들을 연구하기 위해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설계를 사용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억 수행 및 고도 인지 요구 과제에 대한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소비의 유익한 효과들을 나타낸다. 중요하게는, 이들 증진 효과들은 혈당 반응들과 무관하였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견들은 폴리사카라이드가 기억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는 필수 사카라이드이고, 글루코사민 및 람노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아세틸화 만노스 및 상기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는 단량체, 올리고머 및/또는 중합체 형태로 제공되고, 분말화된 형태로 입수가능하거나, 액체에 용해될 수 있거나, 캡슐화될 수 있다.
상기 아세틸화 만노스 및 상기 사카라이드는 다양한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은 이해할 것이다. 상기 아세틸화 만노스 공급원의 비제한적 예는 알로에 베라 및 아세틸화 폴리만노스로 이루어진 그룹이고, 상기 사카라이드는 트라가칸트 검, 구아 검, 곡물가루, 쌀가루, 사탕수수, 사탕무, 감자, 우유, 한천, 알긴, 로쿠스트빈 검, 사일륨(psyllium), 카라야 검, 시드 검, 이깔 나무(Larch tree) 추출물, 가티 검, 전분, 셀룰로스, 변성 셀룰로스, 프럭토스, 높은 프럭토스 옥수수 시럽, 펙틴, 키틴, 아카시아, 아라비아 검, 알긴산, 카라기난, 덱스트란, 크산탄 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수크로스, 말토스, 글루칸, 렌티난, 만난, 레반, 헤미-셀룰로스, 이눌린, 프럭탄 및 락토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인지 수행 및 기분의 향상 이외에도, 본 발명자들은, 영양학적 유효량의 아세틸화 만노스, 가티 검, 트라가칸트 검, 글루코사민, 옥수수 전분 및 아라비노갈락탄의 천연 및/또는 합성 단량체, 올리고머 및/또는 중합체 형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는 알코올 의존성 포유동물에서의 행동 수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식이 보충제는 상기 보충제를 투여받고 있는 알코올 의존성 포유동물에서 알코올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우울 및 분노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거나, 인지, 에너지 및 긍정적 사고 중의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킴으로써, 알코올 의존성 포유동물의 총체적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식이 보충제는 원치않는 부작용들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유효 제제들을 투여받고 있는 포유동물에서 상기 부작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식이 보충제는 영양학적 유효량의 아세틸화 만노스, 가티 검, 트라가칸트 검, 글루코사민, 옥수수 전분 및 아라비노갈락탄의 천연 및/또는 합성 단량체, 올리고머 및/또는 중합체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식이 보충제는 중추 신경계 약물들의 원치않는 부작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병행군 설계를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식물 폴리사카라이드 혼합물, 또는 달리, 수크로스 또는 전분 위약을 투여받도록 무작위 배정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지원자들은 애들레이드 및 멜버른 내의 지역 도시 공동체들로부터 구두, 텔레비젼 및 인쇄 매체를 통해 모집되었다. 표본은 45세 내지 60세의 건강한 중년 남성 및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포함 기준은 영어 숙달자, 주요 심장 수술, 당뇨병, 또는 두부/뇌 손상을 위한 약물 치료, 또는 인지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경학적 또는 정신 병태의 이력이 없는 자를 포함하였다.
본원에 제시된 연구는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공포증, 심리적 외상, 알코올 남용, 및 하나 이상의 중추 신경계(CNS) 약물에 대한 유해 반응들 중의 하나 이상의 이력을 갖는 지원자는 배제시켰다. 그러나, 상술된 식이 보충제는 본 연구의 하나 이상의 배제 조건들을 가진 개체들의 인지 및 기분에 대해 유익한 효과들을 가질 것으로 예상됨을 이해할 것이다.
본 연구에 등재된 개체는 93명이었다: 19명의 개체는 작업 책무, 약속 방문 시간 불이행 및 동시적인 생활/가족 요구로 인해 이들의 첫회 방문 이전에 제외되었고; 더이상 활동 완료를 원치 않은 1명의 개체는 동의하에 평가를 통해 중도 하차시켰다. 급성 중재 연구를 완료한 지원자는 73명이었다.
참가 전, 지원자들은 서면 정보 동의서를 제공받았고, 연령, 체질량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신장 및 체중, 교육 연수, 주당 근무 시간수, 자가-등급 건강상태(self-rated health)(1 = 불량, 5 = 우수 척도로 등급 매김), 사용하는 식이 보충제의 수, 사용하는 약제의 수, 주당 운동 시간수, 1일 흡연 담배 수, 및 알코올 소비(통상적으로 하루에 소비하는 표준 음료 수)를 측정하기 위한 배경(background) 건강상태 설문지 검사를 마쳤다. 3개의 치료군에 대한 기술 통계가 표 1에 제시된다. 또한, 참가자들은 또한 배경(background) 기분 및 웰빙을 측정하기 위해 기분 상태 프로파일(POMS: Profile of Mood state) 설문지 검사 및 단문식 건강상태 조사(Short-form health survey)(SF-36)를 마쳤다. 본 연구는 남호주 대학교(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및 인간 연구 윤리 위원회의 스윈번 대학교(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에 의해 승인되었다.
절차: 각각의 참가자는 연구 기관에 하루 참석하여 3.5시간 동안 2개의 시험 세션, 즉, 1개의 기저선 시험 및 1개의 치료후 시험을 완료하였다. 모든 시험은 08:00 - 12:00 및 13:00 - 18:00에 수행되었다. 시험일에, 참가자들은 이들의 방문 전 2시간 동안 어떠한 자극물질(즉, 차, 커피, 기타 카페인 함유 제품들)에 대해서도 소비가 금지되었다. 모든 지원자들은 이들의 방문 전 2시간 동안 금식하였다. 각각의 연구일은 실행 모듈, 기분 및 인지 측정에 대한 치료전 기저선 시험 세션(이 직후 치료전 혈당 측정이 이어진다), 및 치료제의 투여로 구성되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 번호 생성기 무작위화 코드를 사용하여 3개의 치료 조건, 즉, 수크로스(가루 설탕), 위약(쌀가루) 및 식물 사카라이드(Ambrotose® Complex) 중의 하나에 배정되었다. 3가지 보충제 조건의 상이한 밀도를 고려하여, 각각의 치료제를 칭량하고, 동등한 4g 용량을 제공하는 양을 스쿠프로 측정하였다. 상기 보충제 1 테이블스푼을 물 100㎖와 함께 각각의 참가자에게 공급하였다. 각각의 참가자는, 상기 분말을 흡입하지 않고서, 조심스럽게 상기 분말을 입에 넣고 5분 이내에 제공된 물로 이것을 헹구어 내려보냄으로써 소비하도록 본 발명자들에 의해 지시되었다. 필요한 경우 추가의 물이 제공되었다. 이어서, 참가자들은 흡수를 위해 30분 동안 휴식하도록 지시되었다. 30분의 흡수 시간 후, 손가락-모세관 혈당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치료후 시험 세션은 RAVLT 및 인지 요구 배터리(Cognitive demand battery)의 또 다른 형태들로 시작되었다. 상기 시험 세션을 마친 후, 최종 혈당 측정을 수행하였다. 도 1은 연구일 동안의 실행 순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측정: 학습 및 기억 및 인지 측정
학습 및 기억: 즉각 회상, 지연 회상, 학습 및 재인 기억(recognition memory)을 평가하기 위해 레이 청각-구두 학습 시험(RAVLT: Rey Auditory-Verbal Learning Test)[1]이 사용되었다. 조사원은 15개의 명사(목록 A)를 5회 시도에 걸쳐 소리내어 읽고, 각각의 시도 후, 참가자들에게 15개의 단어 중 가능한 한 많이 임의의 순서로 회상하도록 요청한다. 5회 시도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즉각 회상의 측정값을 생성하고, 시도 5와 1 사이의 차이를 학습의 측정값으로 사용한다. 15개의 상이한 단어(목록 B)로 구성된 6번째 시도 후, 참가자들에게 목록 A에서 제시되었던 단어들을 다시 회상하도록 요구하고(시도 7), 이어서 60분의 간격 후에 다시 실시한다(시도 8). 시도 7과 시도 8의 점수는 지연 회상의 측정값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고, 시도 8과 시도 7에서 회상된 단어의 차이는 망각의 측정값으로 사용되며, 시도 7과 시도 5 사이의 차이는 간섭 점수로서 사용된다. 시도 8 후, 참가자들은 20개의 오답 단어를 포함하고 목록 A 및 B로부터의 단어들을 포함하는 50개 단어의 시트를 제공받는다. 참가자들은 목록 A 및 B로부터의 단어를 재인하고 이들이 어느 목록으로부터 왔는지 표시하도록 요청받는다. 올바르게 식별된 각각의 단어에 점수 1을 부여하여 재인 측정값을 생성한다.
인지 요구 배터리: 컴퓨터화된 배터리는 연속적 인지 요구 과제 동안 수행의 속도, 정확성 및 정신적 피로를 측정하는 10분 평가의 6회 반복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의 각각의 10분 주기는 2개의 연속 감산 과제(3 연속 감산 - 2분 및 7 연속 감산 - 2분), 고속 시각 정보 처리 과제(RVIP - 5분) 및 시각 상사 정신적 피로 척도(Visual analogue mental fatigue scale)(1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내의 과제들은 파낙스 진생(Panax ginseng) 및 코코아와 같은 기타 영양학적 중재물들의 효과들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난다[2, 3]. 개별 과제들이 아래에 기술된다.
a) 3 연속 감산 과제 (2분): 참가자들은 컴퓨터 스크린에 제시된 800 내지 999의 무작위 출발 숫자로부터 역으로 3씩 건너뛰어 세도록 요구된다. 참가자들은 컴퓨터 키보드 상단의 선형 숫자 키들을 사용하여 가능한 한 빠르고 정확하게 이들의 답을 입력하도록 지시된다. 상기 출발 숫자는 참가자들이 이들의 첫번째 응답을 입력하자마자 스크린으로부터 지워진다. 참가자들에 의한 각각의 후속 3자리 응답은 별표로서 스크린 위에 표시된다. 참가자들은 엔터 키를 눌러 각각의 응답 종료를 표시하고 스크린으로부터 상기 3개의 별표를 지운다. 상기 과제는 올바른 응답과 올바르지 않은 응답의 횟수, 평균 반응 시간, 및 주어진 평균 반응 시간에 달성된 올바른 응답의 비율(정확성 대 속도)에 대해 점수 매겨진다.
b) 7 연속 감산 과제 (2분): 이 과제는 참가자들이 7씩 감산하도록 요구된 것을 제외하고는 3 연속 감산 과제와 동일하다.
c) 고속 시각 정보 처리 과제 (RVIP - 5분): 참가자들은 3개의 연속 홀수 또는 3개의 연속 짝수의 표적 문자열에 대한 일련의 연속 숫자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된다. 상기 숫자들은 분당 100개의 속도로 스크린 위에 제시된다. 참가자는 이들이 숫자들의 표적 문자열을 간파했을 때 가능한 한 신속하게 스페이스 바를 누름으로써 응답한다. 상기 과제는 올바르게 간파된 표적 문자열의 횟수, 올바른 답의 비율, 오류 경보의 횟수, 올바른 간파에 대한 평균 반응 시간, 및 주어진 평균 반응 시간에 달성된 올바른 응답의 비율(정확성 대 속도)에 대해 점수 매겨진다.
d) '정신적 피로' 시각 상사 척도 (1분): 참가자들은 이들의 주관적인 정신적 피로감을 "전혀 없음" 및 "매우 그러함"의 기준점(anchor)을 갖는 100㎜ 시각 상사 척도로 등급 매긴다.
기분 및 웰빙 측정: 배경 일반 기분 및 웰빙을 기분 상태 프로파일(POMS) 및 Sf-36 건강상태 조사로 평가하여, 그룹들 간의 임의의 배경 차이를 측정하였다. 치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험일의 주관적 기분 상태를, 1개의 지필 상태-특성 불안 설문지 검사(paper-pencil State-trait anxiety questionnaire), 및 3가지 기분 상태인, 정신적 기민성(alertness), 차분함 및 만족스러움(contentedness)을 측정하는 1개의 시각 상사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i) POMS[4]는 6가지 기분 상태: 긴장-불안, 우울-낙담, 분노-적대감, 열의-활기, 피로-무력 및 혼란-당혹함에 관련한 65개의 문항을 포함하는 자가-보고 설문지 조사이다. 참가자들은 금일을 포함하여 지난 주 동안 이들이 어떻게 느꼈는지를 나타내는 5점 척도(0 = 전혀 그렇지 않음에서부터 4 = 매우 그러함)로 상기 문항들을 등급 매기도록 요구된다.
(ii) SF-36 건강상태 조사[5]는 7가지 건강 및 웰빙 개념들: 1) 건강 문제로 인한 신체 활동의 제약; 2) 신체적 또는 감정적 문제로 인한 사회 활동의 제약; 3) 신체적 건강 문제로 인한 일상적 역할 활동의 제약; 4) 일반적 정신 건강(심리적 고통 및 웰빙); 5) 감정적 문제로 인한 일상적 역할 활동의 제약; 6) 활력(에너지 및 피로); 및 7) 일반적 건강 자각에 대해, 기능적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상태의 측정을 제공한다.
(iii) 상태-특성 불안 설문지 조사[6]는 불안 증상의 존재(예를 들면, '나는 긴장된다') 및 부재(예를 들면, '나는 편안하다')를 기록하는 20개의 문항들을 포함한다. 참가자들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느끼는지에 따라 각각의 문항을 '전혀 그렇지 않다' 또는 '거의 그렇지 않다' 내지 '매우 그러하다' 또는 '거의 항상 그러하다'의 4점 척도로 등급을 매기도록 요구된다. 이들을 합하여 20 내지 80의 합계 점수를 제공한다(점수가 낮을수록 더 낮은 불안을 나타낸다).
(iv) 본드-래더(Bond-Lader) 시각 상사 척도(VAS)[7]는 16×100㎜ 시각 상사 척도들로 이루어진다. 참가자들은, 컴퓨터 마우스를 사용하여 이들의 기분 수준을 반영하는 위치의 선에 대해 클릭함으로써, 16쌍의 연결된 반의어(예를 들면, 집중함-몽롱함, 괴로움-평온함, 행복함-슬픔, 정신적으로 기민함-나른함)에 대한 이들의 현재의 주관적 기분 상태를 표시한다. 생성된 점수들을 합하여, 자가-등급 정신적 기민성, 차분함 및 만족스러움의 척도들을 제공한다.
혈당 측정: 혈당 샘플은 자동화 분석기(Accu-check, 최적 혈당 모니터 및 시험 스트립)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혈액 샘플은 자가 투입식 일회용-캐필러리, 일회용 혈액 샘플링 란셋 팁(lancet tip)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샘플링 전 멸균에는 알코올에 침지된 세척 면봉을 사용하였다. 3개의 시험 시점: 치료 전, 치료 후 및 인지 시험 후에 혈당 판독값을 평가하고 기록하였다.
통계적 분석: 일차 결과는 기억 수행, 기분 및 인지 요구 배터리(CDB)에 대한 수행 및 정신적 피로의 주관적 등급이었다. 모든 데이터는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하여 "용량 전 기저선 점수로부터의 변화(change from pre dose baseline score)"로서 SPSS 17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기저선 점수로부터의 편향된 변화를 가질 수 있는 우연 기저선 변화(chance baseline change)에 대해 시험하기 위해, 일차 통계 분석 전에, 본페로니(Bonferroni) 보정을 갖는 원-웨이(one-way) ANOVA를 모든 기저선 인구통계, 일반적 기분 및 웰빙 측정 및 모든 용량 전 기저선 측정에 대해 실행하여, 결과들에서의 임의의 잠재적 공변량들을 측정하였다.
기저선 건강상태 및 웰빙: 배경 인구통계 측정에 대한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표 1). 표 2에 나타낸 불안의 POMS 척도에 대한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F (3, 68) = 3.25, p = .044). 사후 비교(post hoc comparison)는 어떠한 그룹도 서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드러냈지만, 평균의 동향은 위약 그룹이 폴리사카라이드 및 수크로스 그룹(각각 p = .06 및 .08) 내의 개체들에 비해 덜 불안해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POMS로부터의 불안 하위척도(sub-scale)는 기억, 인지 요구 과제 및 주관적 기분 등급의 기저선 및 치료후 측정치들에 대한 그룹들 간의 임의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공변량(covariate)으로서 사용되었다.
기저선에서의 기억 또는 주관적 기분 등급의 측정치들에 대한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 요구 배터리로부터의 고속 시각 정보 처리 과제에 대한 올바른 비율 및 올바른 횟수에 대해 그룹들 간에 경계 수준에서 무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각각 p = .052 및 p = .053). 무의미하더라도,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개체들은 위약 조건의 개체들에 비해 더 높은 평균 수행을 나타냈지만(p = .08), 수크로스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다(p = .14). 따라서, RVIP 과제에서 기저선 점수로부터의 치료후 변화의 분석에서, 기저선 수행이 공변량으로서 사용되었다.
Figure pat00002
급성 보충 효과: 기억: 용량 후(post-dose) '기저선으로부터의 변화' 점수가 표 3에 제시된다. 기저선 수행으로부터의 변화에서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재인 기억 과제(F (3,68) = 5.89, p = .004), 목록 A 과제(F (3,68) = 3.17, p = .044) 및 목록 B 과제(F (3,68) = 5.17, p =.009)로 각각 존재하였다. 사후 분석은,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개체들은 치료 후에 수크로스 그룹 내의 개체들에 비해서만 전체적으로 훨씬 더 많은 단어들을 재인하였다는 것을 나타냈다(p = .004). 상세하게는, 폴리사카라이드 조건의 개체들은 수크로스 그룹 내의 개체들에 비해 목록 B로부터 훨씬 더 많은 단어들을 재인하였다(p = 0. 007). 폴리사카라이드 조건의 개체들은 수크로스에 비해 목록 A로부터 더 많은 단어들을 재인하였으나(p= .083), 위약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다.
인지 요구: 3 연속 감산: 올바른 답의 횟수에 대한 시간의 유의한 주요 효과(F (5, 340) = 2.16, p = .05), 및 치료의 주요 효과에 대한 경향(F (2, 68) = 2.70, p = .07)이 존재하였고, 평균의 동향은,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올바른 응답의 횟수가 수크로스 그룹 내의 개체들에 비해 더 높지만(p = .07) 위약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나타냈다.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유의한 시간은 존재하지 않았다(F (10, 340) = .94, p = .48).
주어진 평균 반응 시간에서 올바른 답의 비율에 대한 시간의 유의한 주요 효과(F (5, 340) = 3.94, p = .002), 및 치료의 주요 효과에 대한 경향(F (2, 70) = 2.96, p = .058)이 존재하였고, 평균의 동향은,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주어진 평균 반응 시간에서의 올바른 응답의 비율이 수크로스 그룹 내의 개체들에 비해 더 높지만(p = .058) 위약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나타냈다.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유의한 시간은 존재하지 않았다(F (10, 340) = 0.898, p = 0.54).
작성된 올바르지 않은 응답의 횟수 또는 평균 반응에 대한, 시간, 치료, 또는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시간과 관련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들은 존재하지 않았다.
7 연속 감산: 작성된 올바른 답의 횟수에 대한 시간의 유의한 주요 효과는 존재하였지만(F(5, 340) = 2.52, p = .02), 치료의 유의한 주요 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F (2, 68) = .547, p = .58).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유의한 시간은 존재하였다(F (10, 340) = 2.53, p = .006). 쌍별 비교(pairwise comparison)는 20분에서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개체들은 위약 그룹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올바른 응답을 작성하였고(p = .02), 수크로스 그룹 내의 개체들은 위약 그룹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올바른 응답을 작성하였다(p = .04).
주어진 평균 반응 시간에서 올바른 답의 비율에 대한 시간의 유의한 주요 효과도 존재하지 않았고(F (5, 340) = 1.66, p = 0.14), 치료의 주요 효과도 존재하지 않았다(F (2,68) =0.93, p = 0.39).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유의한 시간은 존재하였다(F (10, 340) = 1.91, p = 0.04). 쌍별 비교는 20분에서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개체들은 위약 그룹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올바른 응답을 작성하였으나(p = .03), 수크로스는 그렇지 않았다.
작성된 올바르지 않은 응답의 횟수 또는 평균 반응에 대한, 시간, 치료, 또는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시간과 관련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들은 존재하지 않았다.
RVIP: 총 응답 횟수, 작성된 올바르거나 올바르지 않은 응답 횟수에 대한, 시간, 치료, 또는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시간과 관련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들은 존재하지 않았다.
정신적 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피로가 증가함에 따라, 정식적 피로의 주관적 등급 매김에 대한 시간의 주요 효과가 존재하였다(F (5, 340) = 75.44, p <.001). 치료의 유의한 주요 효과가 존재하지 않았고(F (2, 68) = 2.04, p = .13) 또는 치료 상호작용에 의한 시간의 유의한 주요 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F (10, 340) = 1.39, p = .18). 쌍별 비교는 10분에서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F (2, 70) = 4.27, p = .018), 폴리사카라이드 그룹 내의 개체들에 대해서는 수크로스 그룹 내의 개체들에 비해, 소비 후 대략 40분에서 피로감의 유의한 감소가 보고되었다(p = .01)
기분: 상태-특성 설문지 조사에 의해 측정된 불안의 주관적 수준에 대한, 또는 정신적 기민성, 차분함 및 만족스러움의 본드-래더 척도에 대한, 기저선 점수로부터의 변화로서의, 치료와 관련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들은 존재하지 않았다.
혈당 측정: 시간의 유의한 주요 효과가 존재하였고(F (2, 140) = 37.28, p <.001), 시간과 치료 조건의 유의한 상호작용의 유의한 주요 효과가 존재하였다(F (4,140) = 8.39, p = <.001). 치료 조건의 유의한 주요 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F(2, 70) = 2.41, p = .09). 쌍별 비교는, 보충제 소화 후 30분에서, 폴리사카라이드 보충제를 소비한 개체들은 위약 및 수크로스를 소비한 개체들에 비해 훨씬 더 낮은 혈당 반응을 가짐을 위약(p = .038) 및 수크로스(p<.001)로 나타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크로스 및 위약을 소비한 개체들에서의 혈당 반응에 비해 폴리사카라이드 섭취 후의 혈당 반응에서 상승이 없었다.
Figure pat00003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인지 및 기분에 대한 식물-사카라이드들(Ambrotose® Complex)의 급성 효과들을 기술한다. 본원에 제시된 연구는 사카라이드가 기억, 인지, 웰빙 및 기분에 대한 긍정적 급성 효과들을 갖는지, 또한 임의의 효과들이 혈당 효과들, 예를 들면 대사 기질로서의 글루코스의 공급을 통해 설명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된 방법론은 매우 힘들고 정신적으로 피로한 상태에 대한 개체들 간의 치료(사카라이드, 수크로스 및 위약) 효과들을 조사하기 위한 신규한 설계를 제공하였다.
상기 제시된 결과들은, 수크로스 소비에 비해, 재인 기억 수행에 대한 식물 폴리사카라이드 소비의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정신적 피로의 주관적 등급이 높아지더라도, 이전에 학습된 단어의 재인은, 식물-폴리사카라이드를 소비한 개체들의 경우에 수크로스에 비해 현저하게 더 높았다. 재인 기억 수행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 효과는, 식물-폴리사카라이드를 투여받은 개체들이, 제시된 정보를 인코딩하는 데에 도움을 받고, 상기 단어들이 단서로서 제시되었을 때 상기 정보를 더 용이하게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지 요구 배터리에서의 과제에 대한 수행과 관련하여, 작성된 3 연속 감산의 횟수 및 비율에 대한 폴리사카라이드의 치료 효과에 대한 경향이 존재하였다(각각 p = .07 및 .058). 그러나, 7 연속 감산에 대해서는 유의한 시간 및 치료 상호작용만이 얻어졌다. 상세하게는, 치료 조건과 작성된 올바른 응답 횟수 사이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중요하게는, 쌍별 비교는 위약 조건의 개체들에 비해 폴리사카라이드 조건의 개체들의 경우 인지 요구 배터리의 2번째 주기(소비 후 대략 1시간)에서 유의적으로 더 많은 올바른 응답 횟수가 달성된다는 것을 나타냈다.
7 연속 감산 과제에 대한 수행은, 3 연속 감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많은 노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등급이 매겨지고(참조: Kennedy and Scholey, 2000),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및 집행 자원(executive resource)에 더 크게 의존한다. 본 발명의 결과들은,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소비가 정신적 피로 상태에도 불구하고 작업 기억 수행을 유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흥미롭게도, 3 연속 감산 과제 및 7 연속 감산 과제 둘 다에 대한 수행이 주의집중 요소들을 갖기 때문에, 식물-폴리사카라이드 섭취 후 3 연속 감산에 대한 향상된 수행의 경향은, 잠재적인 작업 기억 및 주의집중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기분과 관련해서는, 치료 조건과, 불안, 정신적 기민성, 만족스러움 또는 차분함의 주관적 등급 변화와의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은 존재하지 않았다. 중요하게는, 재인 기억 및 작업 기억 효과들이, 혈당 반응에 상관없이, 식물-폴리사카라이드 섭취 후에 관찰되었다. 식물-폴리사카라이드 섭취 후의 상승된 혈당의 부재는, 상기 기억 효과들이 혈당치의 조절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혈당 반응과 상관없이, 건강한 중년 성인에서 식물-폴리사카라이드 소비와 관련한 인지 기능에 대한 급성 이익에 대한 첫번째 종류의 연구이다. 이러한 발견들은, 식물 폴리사카라이드 4g의 소비는, 매우 과중하고 정신적으로 피로한 상태 동안 작업 기억 및 집행 기능을 반영하는 재인 기억 수행 및 인지 과제에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결과들은, 바쁘고 고단한 생활방식이 인지 자원에 부과하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기억력 '증진(boost)'을 필요로 하는 개체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임의의 양태는 본 발명의 임의의 방법, 키트, 시약 또는 조성물에 대해 실시될 수 있고, 이의 역도 성립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본 발명의 방법들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특정 양태들은 예시로써 나타내어지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종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은 단지 통상적 실험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술된 특정 과정들에 대한 다수의 동등물을 인식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발행물 및 특허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숙련가들의 수준을 나타낸다. 모든 발행물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출판물 또는 특허 출원이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지시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된다.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에서 "포함하는"이란 용어와 함께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하나"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것은 또한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 및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의미와 일치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유일하게 대체물을 나타내도록 명백하게 지시되거나 상기 대체물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본원 명세서의 기재 내용은 유일한 대체물과 "및/또는"을 나타내는 정의를 지지한다. 본 출원 전체에 걸쳐, 용어 "약"은, 어떠한 값이 상기 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방법에 대한 오차의 내재적 변동, 또는 연구 개체들 간에 존재하는 변동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및 "포함하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comprise" 및 "comprises"), "갖는(having)"(및 "갖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have" 및 "has"), "포함하는(including)"(및 "포함하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includes" 및 "include") 또는 "함유하는(containing)"(및 "함유하는"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contains" 및 "contain")는 포함적(inclusive)이거나 비제한적(non-ended)이고,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을 배제시키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 이들의 병용물 또는 조합"은 이 용어 앞에 열거된 항목들의 모든 순열 및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A, B, C 또는 이들의 병용물 또는 조합"은 A, B, C, AB, AC, BC 또는 ABC, 또한 특정 맥락에서 순서가 중요하다면, BA, CA, CB, CBA, BCA, ACB, BAC 또는 CA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예를 계속하여, BB, AAA, MB, BBC, AAABCCCC, CBBAAA, CABABB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항목 또는 용어의 반복을 함유하는 조합들이 명확하게 포함된다. 문맥으로부터 달리 명백하지 않은 한, 통상적으로 임의의 조합의 항목 또는 용어의 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라면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되고 특허청구된 모든 조성물들 및/또는 방법들은 본원 명세서의 기재 내용에 비추어서 과도한 실험 없이 제조 및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 및 방법들을 바람직한 양태에 의해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조성물들 및/또는 방법들 및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의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순서에서 변화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은 명백히 알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한 이러한 모든 유사한 대체물들 및 변형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범위 및 개념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6)

  1.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의 향상이 필요하거나,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의 감소가 필요하거나, 행동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필요한 사람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를,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에,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에,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람 개체에서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경구 투여를 위해 조정(adapted)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분말이거나, 액체에 용해되거나, 캡슐화되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기저선 또는 시험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시험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한 후 하나 이상의 특정 시점에서,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선 수준과 상기 시험후 수준을 비교하여,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상기 식이 보충제의 투여의 지속, 종료 또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개체가 하나 이상의 심장 병태, 당뇨병, 두부/뇌 손상, 신경학적 병태, 신경퇴행성 병태, 정신 병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앓고 있을 수 있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또는 상기 불안이 하나 이상의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공포증, 심리적 외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중추 신경계 약물, 알코올 남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 효과를 완화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및 투여한 후에 혈당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상기 개체의 상승된 혈당치를 유발하지 않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용량형(dosage form)들 중의 하나로서 또는 용량형들의 병용물로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하나 이상의 약물, 비타민, 기타 영양 보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
    를 포함하는, 방법.
  13.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의 향상이 필요하거나,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의 감소가 필요하거나, 행동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필요한 사람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를,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에,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에,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당치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사람 개체에서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경구 투여를 위해 조정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분말이거나, 액체에 용해되거나, 캡슐화되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및 투여한 후에 혈당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혈당치의 경우, 상기 식이 보충제의 투여를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기저선 또는 시험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하기 전,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람 개체에 대한 시험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식이 보충제를 투여한 후 하나 이상의 특정 시점에서,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인지, 기억, 기분,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선 수준과 상기 시험후 수준을 비교하여, 상기 사람 개체에서의 상기 식이 보충제의 투여의 지속, 종료 또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개체가 하나 이상의 심장 병태, 당뇨병, 두부/뇌 손상, 신경학적 병태, 신경퇴행성 병태, 정신 병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앓고 있을 수 있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또는 상기 불안이 하나 이상의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공포증, 심리적 외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중추 신경계 약물, 알코올 남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 효과를 완화시키는,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용량형들 중의 하나로서 또는 용량형들의 병용물로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하나 이상의 약물, 비타민, 기타 영양 보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가 글루코사민 및 람노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의 향상이 필요하거나,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의 감소가 필요하거나, 행동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필요한 사람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를,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에,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에,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당치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사람 개체에서 인지, 기분, 학습,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 불안,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영양학적 유효량의 단리되고 정제된 아세틸화 만노스; 및
    영양학적 유효량의,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크실로스, N-아세틸뉴라민산, 푸코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이두론산 및 아라비노갈락탄으로부터 선택되는 5개 이상의 단리되고 정제된 사카라이드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13846A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KR20190055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8790A KR102516683B1 (ko) 2011-04-27 2012-04-24 사람 개체의 인지 성능 및 기분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9632P 2011-04-27 2011-04-27
US61/479,632 2011-04-27
US13/453,540 US20120276208A1 (en) 2011-04-27 2012-04-23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US13/453,540 2012-04-23
PCT/US2012/034752 WO2012148887A2 (en) 2011-04-27 2012-04-24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974A Division KR20180073718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790A Division KR102516683B1 (ko) 2011-04-27 2012-04-24 사람 개체의 인지 성능 및 기분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268A true KR20190055268A (ko) 2019-05-22

Family

ID=4706808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790A KR102516683B1 (ko) 2011-04-27 2012-04-24 사람 개체의 인지 성능 및 기분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
KR1020197013846A KR20190055268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KR1020137031566A KR20140041503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KR1020167008979A KR20160043140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KR1020187017974A KR20180073718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790A KR102516683B1 (ko) 2011-04-27 2012-04-24 사람 개체의 인지 성능 및 기분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 식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566A KR20140041503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KR1020167008979A KR20160043140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KR1020187017974A KR20180073718A (ko) 2011-04-27 2012-04-24 성인 사람 개체에서의 식물 폴리사카라이드의 급성 인지 및 기분 효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20276208A1 (ko)
EP (1) EP2701711B1 (ko)
JP (3) JP6254937B2 (ko)
KR (5) KR102516683B1 (ko)
AU (2) AU2012249967A1 (ko)
CA (1) CA2834042C (ko)
ES (1) ES2833081T3 (ko)
MX (1) MX2013012449A (ko)
PE (2) PE20140869A1 (ko)
SG (2) SG10201913704RA (ko)
UA (1) UA112433C2 (ko)
WO (1) WO20121488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6208A1 (en) * 2011-04-27 2012-11-01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GB201305708D0 (en) * 2013-03-28 2013-05-15 Clasado Inc Novel use
EP3328392A4 (en) * 2015-07-31 2018-08-01 Sivanaray, In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and lipid-related conditions
MX2019000881A (es) 2016-07-28 2019-07-01 Fonterra Cooperative Group Ltd Producto lacteo y proceso.
EP3568139A4 (en) * 2017-01-13 2020-10-28 Sivanaray, Inc. COMPOUNDS, COMPOSITIONS AND PROCEDURE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AND LIPID RELATED DISEASES
EP3585396A4 (en) * 2017-02-21 2020-11-25 Sivanaray, In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LIPID, AND GLUCOSE RELATED DISEASES
WO2020033502A1 (en) * 2018-08-08 2020-02-13 Neuro Biofuels Limited Methods for treatment of brain injury and brain dysfunction
WO2023080650A1 (ko)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83457B1 (en) * 2022-09-06 2024-01-30 Optigenex Inc. Method of enhancing cognition in individuals with at least normal cognition
CN115317507A (zh) * 2022-09-19 2022-11-11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低分子量褐藻多糖硫酸酯在制备抗多动症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807B1 (en) 1996-08-09 2005-08-16 Mannatech, Inc. Compositions of plant carbohydrates as dietary supplements
NZ334021A (en) * 1996-08-09 2001-01-26 Mannatech Inc Dietary supplement containing at least two saccharides being the building blocks of glycoproteins
US20120276208A1 (en) * 2011-04-27 2012-11-01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12433C2 (uk) 2016-09-12
PE20140869A1 (es) 2014-08-01
KR20160043140A (ko) 2016-04-20
AU2012249967A1 (en) 2013-11-07
EP2701711A2 (en) 2014-03-05
KR20210149215A (ko) 2021-12-08
EP2701711B1 (en) 2020-09-30
WO2012148887A2 (en) 2012-11-01
MX2013012449A (es) 2014-04-16
CA2834042C (en) 2018-12-11
KR20140041503A (ko) 2014-04-04
KR102516683B1 (ko) 2023-04-03
CA2834042A1 (en) 2012-11-01
WO2012148887A9 (en) 2012-12-27
KR20180073718A (ko) 2018-07-02
EP2701711A4 (en) 2014-11-05
SG10201913704RA (en) 2020-03-30
JP7311114B2 (ja) 2023-07-19
PE20181047A1 (es) 2018-07-03
SG194608A1 (en) 2013-12-30
NZ616789A (en) 2016-05-27
JP2018030860A (ja) 2018-03-01
ES2833081T3 (es) 2021-06-14
US20120276208A1 (en) 2012-11-01
AU2016201764A1 (en) 2016-04-07
JP2020125312A (ja) 2020-08-20
JP2014522389A (ja) 2014-09-04
JP6254937B2 (ja)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1114B2 (ja) 成人対象における認知及び気分に対する植物ポリサッカライドの急性効果
Bui et al. Pre-germinated brown rice reduced both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body weight in Vietnamese wom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Ossoukhova et al. Improved working memory performance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 single dose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to healthy middle‐age adults
Mirmiran et al.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ehranian adults and their relation to serum lipid and lipoproteins: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CN103238840A (zh) 银杏叶提取物鱼油软胶囊及其制备方法
US20140275233A1 (en) Activated soy pod fiber
EP2694051B1 (en) Use of l-carnitine and salts thereof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tigue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aldas et al. Effects of high-oleic peanuts within a hypoenergetic diet on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atus of overweight me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rins et al. Low and high carbohydrate isocaloric diets on performance, fat oxidation, glucose and cardiometabolic health in middle age males
EP3468670A1 (en) Methods of inducing weight loss, treating obesity and preventing weight gain
Tsuchiya et al. Safety evaluation of the excessive intake of ceramide-containing acetic acid bacteria-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ver a 4-week period
Wika et al. Astaxanthin Reduces Heart Rate and Carbohydrate Oxidation Rates During Exercise in Overweight Individuals
Jensen et al. Caffein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endurance capacity in elderly subjects who had abstained from caffeine-containing nutrition for 8 hours
Mobarake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Quality and Anxiety among Young Couples in Shiraz: A Cross-sectional Study
WO2024034424A1 (ja) やる気増加用組成物
Taherkhani et al. The effect of 8 weeks aerobic training and consuming green tea on Lipid Profile and the blood sugar of overweight men
NZ705719B2 (en)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WO2017213961A1 (en) Methods of inducing weight loss, treating obesity and preventing weight gain
Southward Effect of caffeine ingestion on aspects of endurance performance and cognition in CYP1A2 hetrozygous A/C male recreational athletes: a thesis presented in partial fulfilment for the requirements of a Master of Science in Sport and Exercise Science at Massey University, Albany, New Zealand
Ross Acute Effects of New Zealand Blackcurrant Extract on Exercis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and Use Under Simulated Altitude
NZ705719A (en)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NZ616789B2 (en)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Lotfi et al. Separate and Combined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and Cucumber (Cucumis sativus) Juice Consumption on the Diabetic Indicators and Lipid Profile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Wilkins et al. OPEN ACCESS EDITED AND REVIEWED BY
Gomes et al. Physical Activity, Sedentariness And Metabolic Risk In Portuguese Children: 2174 Board# 93 May 28 2: 00 PM-3: 30 P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