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618A -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618A
KR20190054618A KR1020170151402A KR20170151402A KR20190054618A KR 20190054618 A KR20190054618 A KR 20190054618A KR 1020170151402 A KR1020170151402 A KR 1020170151402A KR 20170151402 A KR20170151402 A KR 20170151402A KR 20190054618 A KR20190054618 A KR 2019005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nfc
position information
nfc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537B1 (ko
Inventor
노승엽
정용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5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NFC 통신을 이용한 차량 출입 시, NFC 칩을 장착한 사용자 단말과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차량 근처에 있을 경우, 사용자 인증 절차를 미리 수행하여 도어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앱)을 실행시키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동으로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편리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OPENING DOO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오늘날의 차량은 기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 중의 하나로,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 시동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가 차량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졌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스마트키 제어부(SMK ECU)에서 스마트키로 LF(Low Frequency) 신호를 전송하고, 스마트키로부터 해당 LF 신호에 대한 RF(Radio Frequency)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통신 방식이 아닌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서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 출입 시동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NFC 칩을 장착한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 프로그램(앱)을 실행시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을 차량의 도어 근처에 접근시키면, 사용자 단말과 차량 간의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고, 인증 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정당한 권한을 가졌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현재 NFC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은 사용자 단말과 차량과의 NFC 통신을 하기 전에 반드시 사용자 단말 내부의 인증 프로그램(앱)으로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도어를 개방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NFC 통신을 이용한 차량 출입 시에 사용자 인증 절차를 미리 수행하여 도어 개방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하는 NFC 통신 모듈;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GPS 센서; GPS 센서에서 확인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유닛;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의 출입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전달받아 NFC 통신을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이 차량에 접촉되면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여 도어를 언락 제어한다.
제어부는,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GPS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은, NFC 출입 등록된 스마트 폰이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가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은,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은,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하는 NFC 통신 모듈;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GPS 센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이 차량의 도어에 접촉되면 NFC 통신을 실시하여 도어를 언락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NFC 통신을 준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은, GPS 센서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을 차량에 접촉시켜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고; NFC 통신이 완료되면,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GPS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에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고; 차량에서 인증 신호를 전달받아 NFC 통신을 가능하게 준비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은, 실행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NFC 통신을 실시하는 것은,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을 차량의 도어에 접촉시켜 NFC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 센서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가를 판단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실행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고;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을 차량에 접촉시켜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고; NFC 통신이 완료되면, 차량의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은,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GPS 센서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을 차량에 접촉시켜 차량과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고; NFC 통신이 완료되면,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NFC 통신을 이용한 차량 출입 시, NFC 칩을 장착한 사용자 단말과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차량 근처에 있을 경우, 사용자 인증 절차를 미리 수행하여 도어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앱)을 실행시키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동으로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편리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사용자 단말을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체(1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륜(21, 2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4)는 차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도어 핸들(15)을 이용하여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 핸들(15)의 잠금/해제는 운전자가 차량(1)에 접근하여 도어 핸들(15)의 버튼이나 레버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과 차량(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잠금/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도어 핸들(15)에는 사용자 단말(200)과 NFC 통신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120, 도 4 및 도 6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전면 유리(16)는 차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18)는 차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은 차체(10)의 상면에 안테나(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0)는 텔레매틱스(Telematics)와 DMB, 디지털 TV,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방송/통신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기능 안테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 기능 안테나일 수 있다.
텔레매틱스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 과학(Informatics)이 결합된 용어로서, IT 산업과 자동차 산업의 결합을 통한 차량용 차세대 정보 제공 서비스로 정의된다.
텔레매틱스 기술은 이동 통신 기술과 위치 추적 기술(GPS)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공조 설정 및 원격 시동과, 차량(1)의 사고나 도난 감지, 운전 경로 안내, 차량(1)의 상태 조회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륜(21, 22)은 차체(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체(1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30)는 차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21) 또는 후륜(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3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EV(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와 같은 전기 차량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차량(1)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좌석(51, 52), 탑승자 중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51)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62), 스티어링 휠(62)로부터 차체(10)의 전방을 향해 마련되고, 차량(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61) 및 클러스터(61)와 연결되어 차량(10)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 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시 보드(60)는 전면 유리(16)의 하부로부터 좌석(51, 52)을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60)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운전석(51) 쪽의 대시보드(60)에는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포브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40)이 형성될 수 있다. 키 홈(40)에 차량(1)의 시동을 킬 수 있는 원격 조정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키 홈(40)이 형성된 대시 보드(60)에는 차량(1)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42)이 마련될 수 있다. 키 홈(40)에 원격 조작 장치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와 차량(1)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42) 가압에 의해 차량(1)의 시동이 온 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시 보드(60)에 마련된 각종 기기는 대시 보드(6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AVN 장치(80), AVN 장치(80)의 터치 스크린(81)의 측면에 마련된 공조 장치(미도시)의 통풍구(91) 및 AVN 장치(80)의 하단에 마련된 각종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N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80)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1)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즉 헤드 유닛(Head Unit)과 연결된다.
AVN 장치(80)는 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오디오를 온 시켜 CD 또는 USB에 기록된 음악을 재생시킴과 동시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비디오를 온 시켜 DMB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AVN 장치(80)는 터치 스크린(81)을 통해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81)은 차량(1)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8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기능 및 지시나 명령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81)은 AVN 장치(80)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계(OS, operation system), AVN 장치(8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81)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터치 조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터치 스크린(81)이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81)은 상황에 따라서 터치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조작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81)의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저항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학식 터치 스크린 방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81)은 차량(1)에 마련된 AVN 장치(80)와 사용자 간에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 터치 인터렉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터치 스크린(81) 상에 표시되는 문자나 메뉴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다.
여기서, AVN 장치(80)는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지칭될 수 있으며, 텔레매틱스 유닛(140, 도 5 참조)과 통합되어 당업자들에게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8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을 장착하여 스마트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며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대시 보드(60)에서 터치 스크린(81)의 양 측면에는 공조 장치(미도시)의 통풍구(91)가 마련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의 실내/외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조 장치는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9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조 장치는 탑승자가 차량(1)의 탑승 전, 차체(1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내부는 좌석(51, 52) 사이에 위치한 센터 콘솔(110) 및 센터 콘솔(110)과 연결된 트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콘솔(110)은 기어 레버(111) 및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키 타입의 각종 입력 버튼(11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 요소 외에도 NFC 통신 모듈(120), GPS 센서(130), 텔레매틱스 유닛(140), 차량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120)은 차량(1)의 도어 핸들(15)에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지원하는 모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NFC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는 무선 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로서, 통신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 또한 저렴하기 때문에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1)의 도어(14) 근처 즉, 도어 핸들(150)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하기 위한 NFC 통신을 실시한다. 이때 기준 거리는 NFC 통신이 가능한 거리로, 10cm 이내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FC 통신 모듈(120)을 도어 핸들(15)에 마련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구체적으로,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1)에 접근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1) 간의 NFC 통신이 가능한 위치이면 차량(1)의 어느 위치에 마련하여도 제한은 없다.
GPS 센서(1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된 위치 정보는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1)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GPS 센서(130)에서 파악한 차량(1)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차량(1)에 설치되어 텔레매틱스 통신을 통해 이동 기지국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기지국은 2G 또는 3G 통신망뿐만 아니라 LTE와 같은 4G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되어 커넥티비티 기능{Carplay(CP)/ Android Auto(AA)/ MirrorLink(ML)}을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200)와 통신하여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고 정보를 처리한다.
이러한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차량(1)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1) 내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각종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유닛(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뎀은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GPS 신호와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1)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의 신호 강도와 판단 로직 등을 이용하여 텔레매틱스 유닛(130)에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텔레매틱스 유닛(140)은 독립적인 단말로 생산되다가, 최근에는 AVN 장치(8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있다.
차량 제어부(150)는 차량(1)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ECU; Electronic Controller Unit)로서, 차량(1)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50)는 차량(1) 내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차량(1)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부(150)는 차량(1)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CAN 네트워크는 차량(1)의 ECU 간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AN 네트워크는 꼬여 있거나 또는 피복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2가닥 데이터 배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CAN은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다수의 ECU가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마스터(multi-master)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외에도 제어부(150)는 차량(1)의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등과 같은 차량 내 유선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망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제어부(150)는 차량(1)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GPS 센서(130)를 통해 차량(1)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1)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제어부(150)는 NFC 통신 모듈(1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ID와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NFC 인증 제어기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1)의 출입 시동을 제어하기 위해 도어(14)를 언락 제어하는 SMK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SMK 제어기는 차량(1) 내에 마련되어 기본적으로 차량(1)의 도어(14)를 개폐하기 위해 포브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후 도어(14)를 언락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준비되었다는 정보를 전달받아 차량(1)이 NFC 통신을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SMK 제어기의 도어 언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NFC 통신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운전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실행된 사용자 단말(200)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에 사용자 인증(지문 인식 또는 비밀 번호 입력)을 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차량 제어부(150)가 제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저장부(160)에는 차량(1)의 운행 일정이나 NFC 출입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캐쉬(Cache),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60)는 차량 제어부(15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과 NFC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1)의 소유자 또는 차량(1)에 대해 권한을 행사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서,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차량(1)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장치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300)은 앞서 서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NFC 기능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200)은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NFC 등록 단말로, NFC 통신 모듈(210), NFC 앱(220), 사용자 인증부(230) 및 단말 제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210)은 차량(1)과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지원하는 모듈로, NFC 통신 모듈(2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차량(1)의 NFC 통신 모듈(12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NFC 앱(220)은 텔레매틱스 통신을 통해 차량(1)으로부터 전송된 차량(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차량(1)으로부터 일정 거리(약, 10m) 이내일 경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NFC 앱(220)은 사용자 인증부(230)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동작인 가능하다. NFC 앱(220)은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30)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실행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에 사용자 인증(지문 인식 또는 비밀 번호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1)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통신할 수 있으며, 차량(1)에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1)은 이동 기지국을 통해 원거리 접속 후, NFC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각 단말에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차량(1)으로부터 트리거된 와이파이(WiFi) 페어링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차량(1)과 페어링되어 차량(1)의 커넥티비티 기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USB, 단일의 외부 장치와 일-대-일로 통신하거나 소수의 외부 장치와 일-대-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 모듈 및 위성 등으로부터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GPS 위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현재 차량(1)의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송수신하거나,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페어링 명령이 입력되면, 텔레매틱스 유닛(140)에 차량(1) 내 장치들을 제어하는 동작 명령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동작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사용자 단말을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운전자)는 NFC 출입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사용자가 차량(1)을 주차 후 시동을 오프하면(400), 차량(1)에 마련된 GPS 센서(130)에서 차량(1)이 주차된 위치 정보(GPS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402).
따라서, 차량 제어부(150)는 GPS 센서(130)를 통해 확인된 차량(1)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NFC 출입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404).
차량(1)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200)은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406).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확인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차량(1)이 주차된 위치 정보(GPS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1)의 위치와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일정 거리(약, 10m) 이내인가를 판단한다(408).
단계 408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위치와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일정 거리(약, 10m)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은 NFC 앱(220)을 통해 NFC 출입 시동 인증 프로그램(앱)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410).
이어서, 사용자 단말(200)은 NFC 출입 프로그램이 준비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차량(1)으로 전송할 수 있다(412).
따라서, 차량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NFC 출입 프로그램이 준비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전달받아 차량(1)에서도 NFC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414). 즉, 차량 제어부(150)는 도어 언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NFC 통신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실행된 사용자 단말(200)의 NFC 출입 프로그램에 사용자 인증(지문 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 등)을 할 수 있다(416).
이어서, 사용자가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200)을 NFC 통신 가능한 차량(1)의 도어(14) 구체적으로, 도어 핸들(15)에 접촉시키면(418, 도 6 참조), 차량(1)과 사용자 단말(200) 간의 NFC 통신이 실시될 수 있다(420).
차량(1)과 사용자 단말(200) 간의 NFC 통신이 실시되면, 차량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등록된 단말인지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22).
단계 422의 판단 결과, 인증 완료가 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200)은 단계 416으로 피드백되어 사용자 인증을 다시 하면서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422의 판단 결과, 인증 완료가 되면, 차량 제어부(150)는 도어(14)를 언락 제어하여 차량(1)의 도어(14)를 개방시킬 수 있다(4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14 : 도어
15 : 도어 핸들 42 : 시동 버튼
120 : NFC 통신 모듈 130 : GPS 센서
140 : 텔레매틱스 유닛 150 : 차량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 210 : NFC 통신 모듈
220 : NFC 앱 230 : 사용자 인증부
240 : 단말 제어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하는 NFC 통신 모듈;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GPS 센서;
    상기 GPS 센서에서 확인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유닛;
    상기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출입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NFC 통신을 준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에 접촉되면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기 NFC 통신을 실시하여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상기 GPS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NFC 출입 등록된 스마트 폰인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통신하는 NFC 통신 모듈;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GPS 센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의 도어에 접촉되면 상기 NFC 통신을 실시하여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NFC 통신을 준비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9. GPS 센서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차량에 접촉시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NFC 통신이 완료되면,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상기 GPS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NFC 출입 등록된 스마트 폰인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는 인증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에서 인증 신호를 전달받아 NFC 통신을 가능하게 준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NFC 통신을 실시하는 것은,
    인증 완료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차량의 도어에 접촉시켜 상기 NFC 통신을 실시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6.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상기 실행된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고;
    인증 완료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차량에 접촉시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NFC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상기 GPS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NFC 출입 등록된 스마트 폰인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19. 차량을 주차 후 시동 오프하면, GPS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텔레매틱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준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차량에 접촉시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NFC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NFC 통신이 완료되면, 도어를 언락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출입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개방 방법.
KR1020170151402A 2017-11-14 2017-11-14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02A KR102459537B1 (ko) 2017-11-14 2017-11-14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02A KR102459537B1 (ko) 2017-11-14 2017-11-14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18A true KR20190054618A (ko) 2019-05-22
KR102459537B1 KR102459537B1 (ko) 2022-10-27

Family

ID=6667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402A KR102459537B1 (ko) 2017-11-14 2017-11-14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5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1739A (zh) * 2019-07-11 2021-01-2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WiFi联机方法、系统、介质及T-BOX
KR20210082675A (ko) * 2019-12-26 2021-07-06 위너콤 주식회사 터치센서와 nfc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개폐시스템
US20210310295A1 (en) * 2020-04-06 2021-10-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vehicle door opening/clo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door opening/closing program
KR20230172097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아모텍 차량용 부스터 안테나 시트
KR20230172098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아모텍 휴대 단말용 부스터 안테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10A (ko) * 2013-12-04 2015-06-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09887A (ko) * 2015-03-13 2016-09-21 박지만 모바일 연동 엔에프씨 자물쇠 및 이의 오픈 방법
KR20170111559A (ko) * 2016-03-28 2017-10-12 김상희 전자인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10A (ko) * 2013-12-04 2015-06-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09887A (ko) * 2015-03-13 2016-09-21 박지만 모바일 연동 엔에프씨 자물쇠 및 이의 오픈 방법
KR20170111559A (ko) * 2016-03-28 2017-10-12 김상희 전자인증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1739A (zh) * 2019-07-11 2021-01-2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WiFi联机方法、系统、介质及T-BOX
KR20210082675A (ko) * 2019-12-26 2021-07-06 위너콤 주식회사 터치센서와 nfc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개폐시스템
US20210310295A1 (en) * 2020-04-06 2021-10-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vehicle door opening/clo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door opening/closing program
KR20230172097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아모텍 차량용 부스터 안테나 시트
KR20230172098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아모텍 휴대 단말용 부스터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537B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JP6857920B2 (ja) 車両及び携帯情報端末
CN106921647B (zh) 汽车管理系统和方法
US9110772B2 (en) Mobile device-activated vehicle functions
US9499173B2 (en) Vehicle comfort system for using and/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with the assistance of a mobile device
JP6065977B2 (ja) 携帯機器を用いた車両操作システム
CN111800448B (zh) 车辆、服务器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20180326947A1 (en) Operating a key fob in a car sharing system
CN107054290B (zh) 用于安全功能访问的个人装置位置认证
US10525933B2 (en) Vehic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8600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CN107454551A (zh) 用于电话密钥范围扩展的系统和方法
US20210061226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39296B2 (en) Vehicle smart connection
CN109703516B (zh) 车辆及车辆系统
US11804979B2 (en)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JP2007238058A (ja) 車両用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CN112804187A (zh) 利用用于多个用户的识别装置控制移动物体的方法及装置
US20190272484A1 (en) In-vehicle system and getting-on-and-off authentication system
US107138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83693B1 (en) In-vehicl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ccessory integration
US20190118773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US10434986B1 (en) System and method to securely activate a vehicle
JP7051213B2 (ja) 車載システム、設定変更システム、及び、設定変更方法
CN111770127A (zh) 车辆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