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490A -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490A
KR20190054490A KR1020170150819A KR20170150819A KR20190054490A KR 20190054490 A KR20190054490 A KR 20190054490A KR 1020170150819 A KR1020170150819 A KR 1020170150819A KR 20170150819 A KR20170150819 A KR 20170150819A KR 20190054490 A KR20190054490 A KR 20190054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structure
curved portion
mask
rear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052B1 (ko
Inventor
이진호
문정철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17015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52B1/ko
Priority to JP2018213290A priority patent/JP2019108649A/ja
Priority to US16/188,360 priority patent/US20190143153A1/en
Publication of KR2019005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52B1/ko
Priority to JP2024010384A priority patent/JP202404533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는 마스크의 형상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주연부의 내측에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된 아치형 곡부;를 포함하고, 곡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곡부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어 곡부는 홈부를 중심선으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SHELL STRUCTURE AND MASK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불순물 또는 오염물이 사용자의 호흡경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와 마스크 본체 자체가 필터로서 기능하는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구조, 즉, 편평 절첩식(fold-flat) 마스크와 형상화된 마스크로 분류될 수 있다. 편평 절첩식 마스크는 편평하게 보관되지만, 마스크가 사용되는 경우 컵 형상으로 펼쳐져서 사용되는 구조에 속하고, 형상화된 마스크는 안면-정합(face-fitting) 구성으로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컵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 중에 그러한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에 속한다.
종래의 컵 형상으로 제작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의 사용이 종료되거나 보관을 위해 마스크를 접어야 하는 경우, 마스크 자체의 강성으로 인해 마스크가 용이하게 접히지 않을 수 있으며, 일단 접히게 된 후에는 외력을 제거하여도 본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접철 가능하되 외력이 제거된 후에는 본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회복될 수 있는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는 마스크의 형상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주연부의 내측에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된 아치형 곡부;를 포함하고, 곡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곡부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어 곡부는 홈부를 중심선으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쉘 구조체; 및 쉘 구조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공기의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여과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외력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된 후에는 본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회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 중에 해당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마스크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1)는 외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스크(1)는 마스크(1)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쉘 구조체(200) 및 쉘 구조체(200)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여과 구조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 구조물(100)은 여과 구조물(100)을 통과하는 공기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마스크(1)의 전면(front surface)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과 구조물(100)의 주연부(100a)는 후술할 쉘 구조체(200)의 주연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여과 구조물(100)의 주연부(100a)와 쉘 구조체(200)의 주연부(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과 구조물(100)은 복수 개의 시트가 적층된 멀티 레이어(multilayer)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구조물(100)은 공기의 여과를 위해 구비되는 필터층(110), 필터층(110)의 전면(front surface)에 결합되는 커버 웨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층(110)은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여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섬유 소재의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층(110)은 접착제 또는 임의의 결합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다수의 섬유 소재의 필터가 적층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필터층(110)에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제1 통기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웨브(120)는 필터층(110)의 전면(front surface)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부직포 등의 통기성 섬유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터층(110)을 보호하고 필터층(110)이 쉘 구조체(20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웨브(120)에는 후술할 밸브(140)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제2 통기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호기 시 공기는 후술할 제3 통기공(221), 제1 통기공(111) 및 제2 통기공(1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밸브(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원활하게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더하여, 커버 웨브(120)는 필터층(110)의 전면(front surface) 뿐만 아니라, 후면(rear surface)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 웨브(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여과 구조물(100)에는 별도의 스트랩(13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트랩(130)을 귀에 거는 방식으로 마스크(1)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여과 구조물(100)의 전면에는 밸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140)는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하는 경우, 원활한 호흡을 보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밸브(140)는 일 방향으로만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원웨이(one-way)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140)는 사용자의 흡기시 폐쇄되고, 사용자의 호기 시엔 개방되는 원웨이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여과 구조물(10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마스크(1)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쉘 구조체(2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쉘 구조체(200)는 비통기성 재질의 발포 성형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쉘 구조체(200)는 발포된 폴리올레핀(polyolefine)을 진공 성형하거나 열 성형한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쉘 구조체(200)는 전체적으로 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쉘 구조체(20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210) 및 주연부(210) 내측에 아치형으로 형성된 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연부(210)는 쉘 구조체(20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연부(210)의 전면(front surface)은 여과 구조물(100)의 후면(rear surface)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연부(210)는 여과 구조물(100)의 후면(rear surface)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주연부(21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안착부(211)가 돌출 형성될수 있다. 안착부(211)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1)는 주연부(210)를 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11)의 전면(front surface)에는 안착부(2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주연부(210)의 내측에는 아치형상의 곡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부(220)는 주연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연부(210) 및 곡부(220)는 발포된 폴리올레핀(polyolefine)을 진공 성형하거나 열 성형한 비통기성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곡부(220)에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21)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221)의 형상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곡부(220)의 후면에는 개구(221)의 테두리를 따라 돌기부(222)가 연속적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222)는 곡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222)는 개구(221)를 형성하는 곡부(220)의 강성을 강화시켜 개구(2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곡부(22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따라 홈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3)에 의해 마스크(1)는 용이하게 접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마스크(1)의 양측을 파지하여 마스크(1)를 접기 위해 외력을 가하는 경우, 가해진 외력은 홈부(223)에 집중되기 때문에 마스크(1)는 홈부(223)를 기준선으로 하여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마스크(1)는 곡부(2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곡부(220)의 후면(rear surface)에 홈부(223)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용이하게 접철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 될 수 있다.
또한, 곡부(22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보조 리브(2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리브(224)는 곡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22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리브(224)는 곡부(220)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마스크가 홈부(223)와 어긋난 기준선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곡부(220)의 전면(front surface)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곡부(220)의 전면(front surface)에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따라 첨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첨단은 홈부(2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홈부(223)는 곡부(220)의 후면(rear surface)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곡부(220)의 전면 역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부(220)는 곡부(220)의 양측부를 규정하는 제1 바디(220a) 및 제1 바디(220a)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절곡된 제2 바디(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부(223) 및 보조 리브(224)는 제2 바디(220b)의 후면(rear surface)에 형성될 수 있다.
쉘 구조체(20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섬유 시트(300)가 결합될 수 있다. 섬유 시트(300)는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섬유 시트(300)는 스판덱스(spandex)로 제작될 수 있다. 섬유 시트(30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직접 접촉하여 마스크(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쉘 구조체(200)가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쉘 구조체(200)를 통기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쉘 구조체(200)를 통기성 재질로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쉘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쉘 구조체(20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마스크(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의 쉘 구조체(200)는 통기성 재질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쉘 구조체(200)의 주연부(210) 및 곡부(220)는 통기성 재질의 부직포를 압착 성형하여 단일 부재로 제작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쉘 구조체(200)를 통기성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공기는 쉘 구조체(200)를 통과하여 출입할 수 있다.
쉘 구조체(20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210) 및 주연부(210) 내측에 아치형으로 형성된 컵 형상의 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연부(210)는 쉘 구조체(20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연부(210)의 전면(front surface)은 여과 구조물(100)의 후면(rear surface)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연부(210)는 여과 구조물(100)의 후면(rear surface)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주연부(210)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안착부(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1)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1)는 주연부(210)를 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11)의 전면(front surface)에는 안착부(2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곡부(220)는 주연부(2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주연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곡부(22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따라 홈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곡부(220)의 전면(front surface)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곡부(220)의 전면(front surface)에는 곡부(220)의 세로 방향 중심선(L1)을 따라 첨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첨단은 홈부(2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홈부(223)는 곡부(220)의 후면(rear surface)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곡부(220)의 전면 역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또한, 곡부(220)에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제3 통기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호기 시 공기는 후술할 제3 통기공(221), 제1 통기공(111) 및 제2 통기공(1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밸브(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테두리를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및 주연부의 내측에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된 아치형 곡부를 포함하고, 곡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곡부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어, 곡부는 홈부를 중심선으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쉘 구조체이다..
항목 2는 주연부 및 곡부는 발포된 폴리올레핀(polyolefine)을 진공 성형 또는 열 성형한 비통기성 단일 부재로 형성되고, 곡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 쉘 구조체이다.
항목 3은 곡부는, 곡부의 양측부를 규정하는 제1 바디 및 제1 바디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세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제2 바디의 후면(rear surface)에는 홈부가 형성된 쉘 구조체이다.
항목 4는 곡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쉘 구조체이다.
항목 5는 쉘 구조체는 통기성 재질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쉘 구조체이다.
항목 6은 곡부의 전면(front surface)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쉘 구조체이다.
항목 7은 홈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쉘 구조체이다.
항목 8은 홈부의 양측에는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곡부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쉘 구조체이다.
항목 9는 주연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된 쉘 구조체이다.
항목 10은 안착부의 전면에는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홈이 형성된 쉘 구조체이다.
항목 11은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쉘 구조체 및 쉘 구조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공기의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여과 구조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이상 본 발명의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마스크 100: 여과 구조물
110: 필터층 120: 커버 웨브
200: 쉘 구조체 210: 주연부
220: 곡부 221: 개구
222: 돌기부 223: 홈부
224; 보조 리브

Claims (11)

  1. 마스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쉘 구조체에 있어서,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의 내측에 상기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된 아치형 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상기 곡부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곡부는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쉘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 및 상기 곡부는 발포된 폴리올레핀(polyolefine)을 진공 성형 또는 열 성형한 비통기성 단일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곡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 쉘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부는,
    상기 곡부의 양측부를 규정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상기 홈부가 형성된 쉘 구조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쉘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쉘 구조체는 통기성 재질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쉘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부의 전면(front surface)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쉘 구조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쉘 구조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양측에는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기 곡부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쉘 구조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된 쉘 구조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는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홈이 형성된 쉘 구조체.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쉘 구조체; 및
    상기 쉘 구조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공기의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여과 구조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170150819A 2017-11-13 2017-11-13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59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19A KR102593052B1 (ko) 2017-11-13 2017-11-13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JP2018213290A JP2019108649A (ja) 2017-11-13 2018-11-13 シェル構造及びシェル構造を含むマスク
US16/188,360 US20190143153A1 (en) 2017-11-13 2018-11-13 Shell Structure And Mask Including Same
JP2024010384A JP2024045338A (ja) 2017-11-13 2024-01-26 シェル構造及びシェル構造を含むマス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19A KR102593052B1 (ko) 2017-11-13 2017-11-13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90A true KR20190054490A (ko) 2019-05-22
KR102593052B1 KR102593052B1 (ko) 2023-10-25

Family

ID=6643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819A KR102593052B1 (ko) 2017-11-13 2017-11-13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43153A1 (ko)
JP (2) JP2019108649A (ko)
KR (1) KR102593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58A (ko) * 2021-01-28 2022-08-04 허경숙 필터 교체형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64161A1 (en) * 2018-05-11 2018-09-20 Gerry M. Welch Ultraviolet Light Germicidal Facemask Apparatus and Method
US20210113863A1 (en) * 2019-10-21 2021-04-22 Airgle Corporation Nasal mask
USD945078S1 (en) 2020-04-03 2022-03-01 Savage Brands, Inc. Face mask
US11253051B2 (en) 2020-06-26 2022-02-22 Savage Brands, Inc. Protective case for face mask
IT202000007402A1 (it) * 2020-04-07 2021-10-07 Lucchese Ind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delle vie respiratorie
US11027157B1 (en) * 2020-04-08 2021-06-08 John S. Mortimer Face 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102020111774A1 (de) 2020-04-30 2021-11-04 Happ, Kunststoffspritzgußwerk und Formenbau GmbH Filterelemen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Atemschutzmaske
US20220125134A1 (en) * 2020-10-28 2022-04-28 Jesua Law Face mask operable of resisting damage to facial cosmetics
CA3207845A1 (en) * 2021-02-10 2022-08-18 Amine MILED A facial mask assembly dispensing a protective laminar airflow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0409A (en) * 1961-03-28 1965-11-30 Johnson & Johnson Face mask
JP3094406U (ja) * 2002-11-29 2003-06-20 安隆 藤井 ペットボトルや缶詰缶の製造加工課程で施す潰し用クラッシュライン。
US20080223370A1 (en) * 2007-03-13 2008-09-18 Jong-Hwa Kim Dustproof mask
KR20120055443A (ko) * 2010-11-22 2012-05-31 박기수 환상의 패드부와 필터부 고정체를 갖는 방진마스크
KR20160062808A (ko) * 2014-11-25 2016-06-03 (주)씨앤투스성진 휴대용 마스크
KR20170078539A (ko) * 2015-12-29 2017-07-07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06B2 (ja) 1994-06-15 2000-10-03 株式会社石垣 汚泥等の濃縮装置
JP2003320041A (ja) * 2002-05-02 2003-11-11 Shigematsu Works Co Ltd マスク
JP2009247735A (ja) * 2008-04-09 2009-10-29 Jong Wha Kim 防塵マス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0409A (en) * 1961-03-28 1965-11-30 Johnson & Johnson Face mask
JP3094406U (ja) * 2002-11-29 2003-06-20 安隆 藤井 ペットボトルや缶詰缶の製造加工課程で施す潰し用クラッシュライン。
US20080223370A1 (en) * 2007-03-13 2008-09-18 Jong-Hwa Kim Dustproof mask
KR20120055443A (ko) * 2010-11-22 2012-05-31 박기수 환상의 패드부와 필터부 고정체를 갖는 방진마스크
KR20160062808A (ko) * 2014-11-25 2016-06-03 (주)씨앤투스성진 휴대용 마스크
KR20170078539A (ko) * 2015-12-29 2017-07-07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58A (ko) * 2021-01-28 2022-08-04 허경숙 필터 교체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52B1 (ko) 2023-10-25
JP2024045338A (ja) 2024-04-02
US20190143153A1 (en) 2019-05-16
JP2019108649A (ja)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490A (ko) 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US11219786B2 (en) Inner shell and mask including same
US9314056B2 (en) Breathing mask
JP4594182B2 (ja) 立体マスク
JP3129053U (ja) 多層式マスク
JP2007021031A5 (ko)
KR101918084B1 (ko) 공기챔버 확보형 주름 마스크
US9750289B2 (en) Gauze mask which can be worn with one hand
KR102561877B1 (ko) 마스크 및 마스크 제작 방법
JP6780150B1 (ja) マスク用補助具
CN109152433A (zh) 具有由向内折叠的突片提供的整体鼻垫的模制呼吸器
WO2011116173A2 (en) Mask with leak preventing section
CN213247013U (zh) 平折式个人呼吸装置
KR102113556B1 (ko) 측면용 날숨배출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KR20200067779A (ko) 마스크
KR20140050132A (ko) 분리 가능한 흡착 여재를 구비한 마스크
KR101933874B1 (ko) 방진 마스크
JP4041847B2 (ja) 防じんマスク
KR20150107037A (ko) 방진 마스크
KR20170069058A (ko) 마스크 및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180054008A (ko) 마스크
JP3226830U (ja) マスクの耳掛け構造及びマスク
JP3228837U (ja) フェイスマスク
KR20210002592U (ko) 메쉬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KR20200129974A (ko)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