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289A -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289A
KR20190054289A KR1020170150387A KR20170150387A KR20190054289A KR 20190054289 A KR20190054289 A KR 20190054289A KR 1020170150387 A KR1020170150387 A KR 1020170150387A KR 20170150387 A KR20170150387 A KR 20170150387A KR 20190054289 A KR20190054289 A KR 2019005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uoy
damper
flat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490B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4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는, 수면에 떠 있는 부표(20)와 수면에 잠겨 있는 그물망(10) 사이에서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평판댐퍼(120); 및 평판댐퍼(120)와 부표(20) 사이 및 평판댐퍼(120)와 그물망(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표(20)-상하동요 저감장치(100)-그물망(10) 사이의 1자유도 운동 시스템으로 인하여, 파도 등에 의하여 부표(20)가 상하 동요하더라도 이러한 부표(20)의 상하 동요가 그물망(1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그물망(10)의 상하 동요 내지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그물망 내의 어패류가 그물망(10)의 상하 동요 내지 진동에 의해서 스트레스를 받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Apparatus for suppression of vertical motion of net in the fishing farm}
본 발명은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도에 부표가 상하로 동요하더라도 이러한 부표의 동요가 그물망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물망의 상하 동요를 방지할 수 있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양식장에서 부표 및 그물망을 이용하여 어패류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 때 파도 및 조류에 의하여 부표에 상하동요가 발생하고 그에 매달려 있는 그물망에도 상하동요 및 진동이 전달되어 확대됨으로써, 그물망 내의 어패류가 스트레스를 받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양식장 그물망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식장 그물망(10)은 수면 위에 떠 있는 부표(20)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이 때, 도 1b에서와 같이, 파도 및 조류에 의해서 수면에 외란이 발생하면 부표(20)에 상하 동요가 발생하고 이러한 부표(20)의 동요가 그물망(10)에 전달되어 그물망(10)의 상하 동요 및 진동으로 확대된다. 이로 인해, 그물망(10) 내 어패류의 스트레스가 상승하여 양식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0822호(2011.12.06.공개)에 '외해용 양식장치 구조물'이 개시된 바 있으나,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의 구조물은 그물망을 로프로 해저 바닥에 연결하는 구조로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그물망이 부표에 매달리는 구조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66104호(2016.10.13.공고)에 개시된 '동요 저감용 댐퍼가 구비된 부유체'는 부유체 자체의 상하동요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댐퍼를 직접 부유체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부유체의 상하동요를 그물망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유체와 그물망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0822호(2011.12.06.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66104호(2016.10.13.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도 등에 의해 부표가 상하로 동요하더라도 이러한 부표의 동요가 그물망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는,
바다 수면에 떠 있는 부표와 수면에 잠겨 있는 그물망 사이에서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평판댐퍼; 및
상기 평판댐퍼와 상기 부표 사이 및 상기 평판댐퍼와 상기 그물망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댐퍼는 납작한 판 형태를 하면서 상기 수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판댐퍼는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판댐퍼는 상기 바다와의 비중차이가 3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판댐퍼가 수면 아래에서 수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은 상기 평판댐퍼에 복수개로 병렬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도 등에 의하여 부표가 상하 동요하더라도 이러한 부표의 상하 동요가 그물망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그물망의 상하 동요 내지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그물망 내의 어패류가 그물망의 상하 동요 내지 진동에 의해서 스트레스를 받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식장 그물망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스프링(110)이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여러 물질의 비중을 나타낸 표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는 수면에 떠 있는 부표(20)와 수면에 잠겨 있는 그물망(10) 사이에 설치된다.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는 부표(20)의 밑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수면에 잠기게 된다.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는 스프링(110)과 평판댐퍼(plate damper, 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평판댐퍼(120)는 부표(20)와 그물망(10) 사이에서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스프링(110)은 평판댐퍼(120)의 위아래에 설치된다. 즉, 스프링(110)은 평판댐퍼(120)와 부표(20) 사이 및 평판댐퍼(120)와 그물망(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파도에 의해 부표(20)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할 경우 이러한 부표(20)의 움직임에 부응하여 평판댐퍼(120)도 상하 방향으로 요동치려고 할 것이다. 이 때 판 형태를 하는 평판댐퍼(120)가 수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설치된다면 주위의 유체에 의하여 평판댐퍼(120)가 상하 방향으로 압력 저항을 받게 된다. 압력 저항은 평판댐퍼(12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의 제곱과 평판댐퍼(120)의 면적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이러한 압력저항에 의해서 평판댐퍼(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요동에 감쇠력(댐핑)이 발생한다. 스프링(110) 또한 평판댐퍼(120)의 상하 진동을 감소시키는 댐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평판댐퍼(120)의 면적이 클수록 압력저항이 커서 댐핑이 크게 발생되므로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형태에 관계없이 면적이 주된 설계요소가 된다.
평판댐퍼(120)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형태 변형을 통하여 압력저항이 크게 반감되어 버릴 수 있으므로 평판댐퍼(120)는 상하로 잘 휘어지지 않는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딱딱하여 바닷물의 동요에 휘어지지 않는 강체라면 재질이 금속이든 플라스틱이든 상관이 없으나 부식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계열이 바람직하다.
평판댐퍼(120)의 밀도가 바닷물보다 크면 평판댐퍼(120)는 가라앉으려고 하기 때문에 위의 스프링이 계속 늘어나는 힘을 받게 되고, 반대로 평판댐퍼(120)의 밀도가 바닷물보다 크면 평판댐퍼(120)는 물에 뜨려고 하기 때문에 아래의 스프링이 계속 늘어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래서 평판댐퍼(120)의 밀도가 바닷물의 밀도와 너무 많이 차이가 나면 평상시에 평판댐퍼(120)의 위쪽과 아래쪽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이 달라 평판댐퍼(120)에 의한 댐핑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평판댐퍼(120)는 바다와 비교할 때에 비중차이가 3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여러 물질의 비중을 나타낸 표이다.
평판댐퍼(120)는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상하 방향으로의 댐핑 효과가 크게 발현되므로 도 4에서와 같이 평판댐퍼(12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스프링(110)이 평판댐퍼(120)에 복수개로 병렬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도나 조류 등에 의하여 부표(20)에 고진폭 운동이 발생하더라도 평판댐퍼(120) 및 스프링(110)에 의하여 부표(20)의 상하 진동 운동이 흡수되기 때문에 부표(20)의 상하 동요가 그물망(10)으로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그물망(10)이 균형있게 매달리도록 하기 위하여 부표(20)는 그물망(10)에 대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하동요 저감장치(100)는 각 부표(20)에 대하여 설치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표(20)-상하동요 저감장치(100)-그물망(10) 사이의 1자유도 운동 시스템으로 인하여, 파도 등에 의하여 부표(20)가 상하 동요하더라도 이러한 부표(20)의 상하 동요가 그물망(1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그물망(10)의 상하 동요 내지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그물망 내의 어패류가 그물망(10)의 상하 동요 내지 진동에 의해서 스트레스를 받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양식장 그물망 20: 부표
100: 상하동요 저감장치 110: 스프링
120: 평판댐퍼(plate damper)

Claims (5)

  1. 바다 수면에 떠 있는 부표와 수면에 잠겨 있는 그물망 사이에서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평판댐퍼; 및
    상기 평판댐퍼와 상기 부표 사이 및 상기 평판댐퍼와 상기 그물망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댐퍼가 납작한 판 형태를 하면서 상기 수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댐퍼가 강체(rigid body)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댐퍼는 상기 바다와의 비중차이가 3을 넘을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댐퍼가 수면 아래에서 수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이 상기 평판댐퍼에 복수개로 병렬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KR1020170150387A 2017-11-13 2017-11-13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KR102080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87A KR102080490B1 (ko) 2017-11-13 2017-11-13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87A KR102080490B1 (ko) 2017-11-13 2017-11-13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89A true KR20190054289A (ko) 2019-05-22
KR102080490B1 KR102080490B1 (ko) 2020-02-24

Family

ID=6668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387A KR102080490B1 (ko) 2017-11-13 2017-11-13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741A (zh) * 2019-06-03 2019-07-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冷水性鱼类增殖放流苗种庇护装置
CN114019123A (zh) * 2021-10-29 2022-02-08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水产养殖智能监测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30A (ko) * 1995-06-09 1997-01-21 이길근 쿠션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KR20110130822A (ko) 2010-05-28 2011-12-06 이수용 외해용 양식장치 구조물
JP3181957U (ja) * 2012-12-17 2013-02-28 株式会社東北総合研究社 帆立貝養殖装置
KR101437475B1 (ko) * 2014-05-22 2014-09-16 대한민국 해수면 변동에 따른 로프의 신축기능이 부여된 수하양식장치
KR101666104B1 (ko) 2015-01-29 2016-10-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요 저감용 댐퍼가 구비된 부유체
JP2019118029A (ja) * 2017-12-27 2019-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957B2 (ja) * 1991-12-16 2001-07-03 モーク・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義足用液圧制御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30A (ko) * 1995-06-09 1997-01-21 이길근 쿠션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KR20110130822A (ko) 2010-05-28 2011-12-06 이수용 외해용 양식장치 구조물
JP3181957U (ja) * 2012-12-17 2013-02-28 株式会社東北総合研究社 帆立貝養殖装置
KR101437475B1 (ko) * 2014-05-22 2014-09-16 대한민국 해수면 변동에 따른 로프의 신축기능이 부여된 수하양식장치
KR101666104B1 (ko) 2015-01-29 2016-10-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요 저감용 댐퍼가 구비된 부유체
JP2019118029A (ja) * 2017-12-27 2019-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741A (zh) * 2019-06-03 2019-07-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冷水性鱼类增殖放流苗种庇护装置
CN114019123A (zh) * 2021-10-29 2022-02-08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水产养殖智能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490B1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24B1 (en) Submersible cage for aquacultur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depth of said cage
JPH0697928B2 (ja) 円柱ブイ囲い装置
CN1219431C (zh) 网箱装置及网箱养殖方法
KR100925403B1 (ko)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US20100058991A1 (en) Aquaculture System
KR20190054289A (ko) 양식장 그물망의 상하동요 저감장치
JP4619321B2 (ja) 係留装置
CN106718818A (zh) 一种悬浮式人工藻礁装置
KR20110130822A (ko) 외해용 양식장치 구조물
KR100951177B1 (ko) 어초블록을 가진 부상장치
JP2514487B2 (ja) 脚付き浮体構造物
JP2000342092A (ja) 水生植物栽培マウント
CN107173291B (zh) 一种适用于深水网箱的高刚度单锚腿单点系泊系统
JP6966393B2 (ja) 係留システム
WO2019221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ructure suspended in water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CN106828782B (zh) 单点卸油系统的张紧式锚腿浮筒
CN214420671U (zh) 一种抑制大型浮式海洋结构物大幅振动的摆荡装置
CN205975480U (zh) 园林水岸平波装置
CN104875861A (zh) 隔波稳定浮体
JPH0325136B2 (ko)
KR101085184B1 (ko) 트롤 어구
JP2001178304A (ja) 人工魚礁構造
JP4798573B2 (ja) 浮体構造物の動揺低減装置
CN218002689U (zh) 一种水下噪声测量减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