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194A -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 Google Patents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194A
KR20190054194A KR1020170150178A KR20170150178A KR20190054194A KR 20190054194 A KR20190054194 A KR 20190054194A KR 1020170150178 A KR1020170150178 A KR 1020170150178A KR 20170150178 A KR20170150178 A KR 20170150178A KR 20190054194 A KR20190054194 A KR 2019005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hinge
rai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명준
Original Assignee
주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준 filed Critical 주명준
Priority to KR102017015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194A/ko
Publication of KR2019005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47B2001/053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and liftable to the same height as the main table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테이블의 넓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편의성을 한층 도모할 수 있는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제1상판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링크가 같이 움직이게 되며, 그와 동시에 받침몸체의 공간부에 위치한 중간판이 링크의 움직임에 의해 받침몸체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상판과 제2상판 사이에 중간판이 위치하여 테이블의 넓이가 넓어짐으로써 더 많은 물건을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시 넓이를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제1상판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링크의 움직임으로 중간판을 공간부 안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넓이거나 좁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Expandable Variable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테이블의 넓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편의성을 한층 도모할 수 있는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로 식사, 응접, 회의 등에 사용된다. 테이블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판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된다.
테이블은 크기에 따라 식사용 테이블, 응접용 테이블, 티테이블, 회의용 테이블, 사이드 테이블 등으로 분류된다. 테이블의 기본적인 형태는 상판이 있고, 하부에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테이블은 그 크기가 고정된 형태로, 넓이도 고정된 형태로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의 상판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넓히거나 좁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형의 상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의 상단 전 길이에 걸쳐서 레일(120)이 형성된 받침몸체(100)와,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좌측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제1힌지(210)가 형성되며, 전면과 후면의 하단 전 길이에 결쳐서 제1레일홈(220)이 형성되는 제1상판(200)과,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우측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제2힌지(310)가 형성되며, 전면과 후면의 하단 전 길이에 걸쳐서 제2레일홈(320)이 형성되는 제2상판(300)과, 상기 공간부(110)의 내부에 내장되며, 내측에 중간힌지(410)가 형성되는 중간판(400)과, 상기 제1힌지(210)와 상기 제2힌지(310) 및 상기 중간힌지(410)를 연결해주도록 절곡된 링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판(200)은 상기 제1레일홈(220)이 상기 레일(120)에 끼워져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상판(300)은 상기 제2레일홈(320)이 상기 레일(120)에 끼워져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되,
상기 제1상판(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상판(2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하던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상판(30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1상판(200)과 상기 제2상판(300)의 중앙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위치하거나,
상기 제2상판(30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상판(30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하던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상판(20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2상판(300)과 상기 제2상판(300)의 중앙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위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받침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양단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중앙까지 절개되는 절개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링크(500)는 상기 절개홈(130)을 통해 인입한다.
본 발명은 제1상판(200)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300)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링크(500)가 같이 움직이게 되며, 그와 동시에 받침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위치한 중간판(400)이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상판(200)과 제2상판(300) 사이에 중간판(400)이 위치하여 테이블의 넓이가 넓어짐으로써 더 많은 물건을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시 넓이를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제1상판(200)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300)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링크(500)의 움직임으로 중간판(400)을 공간부(110) 안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넓이거나 좁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넓이 가변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넓이가 넓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중공형의 상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의 상단 전 길이에 걸쳐서 레일(120)이 형성된 받침몸체(100)와,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좌측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제1힌지(210)가 형성되며, 전면과 후면의 하단 전 길이에 결쳐서 제1레일홈(220)이 형성되는 제1상판(200)과,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우측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제2힌지(310)가 형성되며, 전면과 후면의 하단 전 길이에 걸쳐서 제2레일홈(320)이 형성되는 제2상판(300)과, 공간부(110)의 내부에 내장되며, 내측에 중간힌지(410)가 형성되는 중간판(400)과, 제1힌지(210)와 제2힌지(310) 및 중간힌지(410)를 연결해주도록 절곡된 링크(500)를 포함하고,
제1상판(200)은 제1레일홈(220)이 레일(120)에 끼워져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며, 제2상판(300)은 제2레일홈(320)이 레일(120)에 끼워져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되,
제1상판(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상판(2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공간부(110)에 위치하던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제2상판(30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제1상판(200)과 제2상판(300)의 중앙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위치하거나,
제2상판(30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상판(30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공간부(110)에 위치하던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제1상판(20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제2상판(300)과 제2상판(300)의 중앙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위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받침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양단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중앙까지 절개되는 절개홈(130)이 형성되되, 링크(500)는 절개홈(130)을 통해 인입한다.
받침몸체(100)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몸체(100)의 내부는 비어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받침몸체(100)의 전면과 후면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전 길이에 걸쳐서 레일(120)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전후 양단에는 절개홈(130)이 두 개씩 형성된다. 절개홈(130)은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중앙까지 절개되어 형성된다. 절개홈(130)은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1상판(200)은 장방형의 판으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제1상판(200)은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좌측 절반 면적을 차지하도록 위치한다.
제1상판(200)에서 좌측편의 내측 양단에는 제1힌지(210)가 형성된다. 제1힌지(210)는 제1상판(200)의 내측 일부가 원형으로 파여져 형성된다.
제1상판(200)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전 길이에 걸쳐서 제1레일홈(220)이 파여져 형성된다. 제1레일홈(220)은 레일(120)에 끼워진다.
제1상판(200)은 레일(120)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2상판(300)은 장방형의 판으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제2상판(300)은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우측 절반 면적을 차지하도록 위치한다. 제2상판(300)은 제1상판(200)과 함께 받침몸체(100)의 상단 전체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제2상판(300)에서 우측편의 내측 양단에는 제2힌지(310)가 형성된다. 제2힌지(310)는 제2상판(300)의 내측 일부가 원형으로 파여져 형성된다.
제2상판(300)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전 길이에 걸쳐서 제2레일홈(320)이 파여져 형성된다. 제2레일홈(320)은 레일(120)에 끼워진다.
제2상판(300)은 레일(120)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중간판(400)은 장방형의 판으로 테이블의 넓이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판(400)도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중간판(400)은 공간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중간판(400)의 중앙의 내측 양단에는 2개 씩 중간힌지(410)가 형성된다. 중간힌지(410)는 중간판(400)의 내측 일부가 원형으로 파여져 형성된다.
링크(500)는 제1상판(200)과 중간판(400) 그리고 제2상판(300)과 중간판(4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링크(500)는 총 두 쌍으로 설치된다. 링크(500)의 한 쌍은 중간판(400)의 중간힌지(410)와 제1상판(200)의 제1힌지(210)를 연결해준다. 링크(500)의 다른 한 쌍은 중간판(400)의 중간힌지(410)와 제2상판(300)의 제2힌지(310)를 연결해준다.
링크(500)는 하부에 시작단이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510)가 형성되고, 수평부(510)로부터 대각선을 향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5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넓이 가변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테이블의 넓이를 확장하고자 할 경우 제1상판(200)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300)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여준다.
제1상판(200)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1상판(200)의 제1레일홈(220)이 레일(120)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링크(500)도 제1힌지(210)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500)와 연결된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2상판(300)은 링크(500)가 제1상판(200)과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상판(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상판(300)은 링크(50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상판(200)과 제2상판(300)의 사이 중앙은 비어 있는 공간이 되며, 제1상판(200)과 제2상판(300)의 사이에 중간판(400)이 위치하게 된다.
제2상판(300)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상판(300)의 제2레일홈(320)이 레일(120)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링크(500)도 제2힌지(310)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500)와 연결된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즉 제1상판(200)과 제2상판(300) 중 어느 하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중간판(400)을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시켜 테이블의 넓이를 넓힐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의 넓이가 넓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테이블 상부 전체 넓이가 넓어져서 더 많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
테이블의 넓이를 다시 원래대로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제1상판(20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상판(300)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상판(200)이나 제2상판(300)의 이동에 따라 링크(500)도 움직이게 되고, 중간판(400)이 받침몸체(100)의 공간부(110)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 상부 넓이를 필요에 따라 넓혀서 사용하거나, 좁혀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100 : 받침몸체
110 : 공간부 120 : 레일 130 : 절개홈
200 : 제1상판
210 : 제1힌지 220 : 제1레일홈
300 : 제2상판
310 : 제2힌지 320 : 제2레일홈
400 : 중간판
410 : 중간힌지
500 : 링크
510 : 수평부 520 : 경사부

Claims (2)

  1. 중공형의 상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의 상단 전 길이에 걸쳐서 레일(120)이 형성된 받침몸체(100)와,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좌측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제1힌지(210)가 형성되며, 전면과 후면의 하단 전 길이에 결쳐서 제1레일홈(220)이 형성되는 제1상판(200)과,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우측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제2힌지(310)가 형성되며, 전면과 후면의 하단 전 길이에 걸쳐서 제2레일홈(320)이 형성되는 제2상판(300)과, 상기 공간부(110)의 내부에 내장되며, 내측에 중간힌지(410)가 형성되는 중간판(400)과, 상기 제1힌지(210)와 상기 제2힌지(310) 및 상기 중간힌지(410)를 연결해주도록 절곡된 링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판(200)은 상기 제1레일홈(220)이 상기 레일(120)에 끼워져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상판(300)은 상기 제2레일홈(320)이 상기 레일(120)에 끼워져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되,
    상기 제1상판(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상판(2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하던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상판(30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1상판(200)과 상기 제2상판(300)의 중앙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위치하거나,
    상기 제2상판(30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상판(30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50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하던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상판(20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간판(400)이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2상판(300)과 상기 제2상판(300)의 중앙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위치하는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양단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중앙까지 절개되는 절개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링크(500)는 상기 절개홈(130)을 통해 인입하는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KR1020170150178A 2017-11-12 2017-11-12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KR20190054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178A KR20190054194A (ko) 2017-11-12 2017-11-12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178A KR20190054194A (ko) 2017-11-12 2017-11-12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94A true KR20190054194A (ko) 2019-05-22

Family

ID=6667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178A KR20190054194A (ko) 2017-11-12 2017-11-12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19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476A (zh) * 2020-10-20 2021-01-22 上海豪钰不锈钢有限公司 一种具有高存放空间的桌子
KR102241928B1 (ko) * 2020-07-31 2021-04-19 최진구 인출식 빨래 건조대
KR20210136440A (ko) 2020-05-07 2021-11-17 준 혁 박 수납형 테이블
KR20220049231A (ko) 2020-10-14 2022-04-21 김인호 가변형 테이블
KR102489439B1 (ko) * 2021-08-13 2023-01-19 대일공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백의 풋레스트
KR20230001118U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상부 정비용 가변 작업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440A (ko) 2020-05-07 2021-11-17 준 혁 박 수납형 테이블
KR102241928B1 (ko) * 2020-07-31 2021-04-19 최진구 인출식 빨래 건조대
KR20220049231A (ko) 2020-10-14 2022-04-21 김인호 가변형 테이블
CN112244476A (zh) * 2020-10-20 2021-01-22 上海豪钰不锈钢有限公司 一种具有高存放空间的桌子
CN112244476B (zh) * 2020-10-20 2022-08-19 上海豪钰不锈钢有限公司 一种具有高存放空间的桌子
KR102489439B1 (ko) * 2021-08-13 2023-01-19 대일공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백의 풋레스트
KR20230001118U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상부 정비용 가변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194A (ko)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KR101803436B1 (ko) 기능성 확장 테이블
US9167893B2 (en) Folding table
USD837543S1 (en) Rocker stool
US8544124B2 (en) Turning apparatus for multipurpose space utilization furniture
KR101247040B1 (ko) 무한확장 가능한 칸막이
KR101902549B1 (ko)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CN107280233A (zh) 一种可伸长桌子
CN104665248B (zh) 一种可收拢式折叠的便携桌
KR200486886Y1 (ko) 공구없이 쾌속조립 가능한 수납장
CN106308041B (zh) 折叠组件
KR101914753B1 (ko) 장 테이블
KR101454800B1 (ko) 의자 겸용 테이블
US3513985A (en) Article of furniture
KR20160065626A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200493853Y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KR20130053719A (ko) 다기능 의자
DE60228587D1 (de) Kombinationstisch
KR101261210B1 (ko) 책상 다리모듈
JP6809716B2 (ja) 多機能家具
KR102012186B1 (ko)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책장
KR200386553Y1 (ko) 슬라이딩 보조 상판을 구비한 책상
KR200481983Y1 (ko) 조립식 가구
GB2571002A (en) Crib whose bed position can be adjusted
KR200211627Y1 (ko) 양면용 서가(書架)의 칸막이 및 북엔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