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719A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719A
KR20130053719A KR1020110119321A KR20110119321A KR20130053719A KR 20130053719 A KR20130053719 A KR 20130053719A KR 1020110119321 A KR1020110119321 A KR 1020110119321A KR 20110119321 A KR20110119321 A KR 20110119321A KR 20130053719 A KR20130053719 A KR 2013005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tting
chair
suppor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11011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719A/ko
Publication of KR2013005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10Tubular chairs of 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착석면을 제공하고 다른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 기능에 맞도록 상기 다기능 의자의 전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는 서로 분리될 경우 각각 탁자와 좌식 의자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결합될 경우 입식 의자 또는 탁자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를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 등받이가 있는 입식 의자, 또는 탁자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의자{Multifunctional Chair}
본 발명은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결합부재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방식에 따라 한 쌍의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 등받이가 있는 입식 의자, 또는 탁자 등으로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 결합시 공간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탁자는 물건을 올려 놓거나 사용자의 작업 공간이 되는 가구로서 의자와 함께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용도에 따라 입식 의자와 함께 사용되는 입식 탁자와 좌식 의자와 함께 사용되는 좌식 탁자로 구분된다.
이러한 탁자와 의자의 일반적인 배치는 미사용 시에는 탁자의 상판과 다리 사이의 공간에 의자를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의자를 자신 쪽으로 당겨 착석함으로 책상의 상판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탁자와 의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미사용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탁자 하부의 빈 공간에 의자를 밀어 넣는다 하더라도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탁자와 의자를 미사용시에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제고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예는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개시된 탁자와 의자의 경우 미사용시 공간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시에는 하나의 용도(즉, 입식 탁자와 입식 의자)로만 활용이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용도(예를 들어, 좌식 탁자나 좌식 의자)의 가구가 필요한 경우에는 부득이 별도의 가구를 구입 및 보관하여야 하므로 가구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이중으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0-134197호(2010. 12. 23.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방식에 따라 한 쌍의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 입식 의자 또는 탁자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변형이 가능한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착석면을 제공하고 다른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 기능에 맞도록 상기 다기능 의자의 전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는 서로 분리될 경우 각각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결합될 경우 입식 의자 또는 탁자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착석판, 상기 착석판과 대향하는 지지판, 상기 착석판과 지지판을 연결하는 다리판, 및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다리판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판과의 사이에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받침판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측단면이 대략 E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은 막히고 타측면은 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등받이판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끼움판은 상기 슬롯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등받이판은 상기 착석판과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입식 의자의 등받이 기능을 하거나 상기 받침부재의 지지판과 호응하여 탁자의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슬롯에 끼워진 끼움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판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판은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높이의 높이맞춤 돌기가 더 형성되되, 상기 높이맞춤 돌기와 고정돌기는 끼움판의 하부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착석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과, 상기 제1고정홈에 대향하도록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제2고정홈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돌기가 제1고정홈에 결합된 경우 상기 등받이판은 탁자의 지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제2고정홈에 결합된 경우 상기 등받이판은 입식 의자의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착석판, 상기 착석판과 대향하는 지지판, 상기 착석판과 지지판을 연결하는 다리판,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다리판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판과의 사이에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받침판, 상기 다리판 내측에 형성한 끼움홈, 및 상기 지지판 및 받침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착석판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끼움판, 상기 다리판의 끼움홈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판의 일측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 및 상기 끼움판에서 연장 절곡된 등받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받이판에는 입식 의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착석판의 제1끼움돌기에 결합되거나, 탁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지지판 및 받침판의 제1끼움돌기에 결합되는 위치 조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를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 등받이가 있는 입식 의자, 또는 탁자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를 결합시켜 탁자로 활용할 경우에는 가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a와 도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2a와 도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및
도3a와 도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1a와 도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면을 제공하고 다른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10)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 기능(즉, 용도)에 맞도록 상기 다기능 의자의 전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받침부재는 착석판(11), 상기 착석판(11)과 대향하는 지지판(12), 상기 착석판(11)과 지지판(12)을 연결하는 다리판(13), 및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다리판(13)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판(11)과의 사이에 지지부재(20)가 삽입되는 슬롯(S)을 형성하는 받침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판(13)은 착석판(11)과 지지판(12)의 일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10)는 일측면은 막히고 타측면은 터져 있는 대략 E자와 같은 측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끼움판(21)과, 상기 끼움판(2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등받이판(22)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는 통상의 탁자 또는 의자와 마찬가지로 나무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이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1a에는 일예로서 착석판(11)이 좌식 탁자의 상판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착석판(11)과 지지판(12)이 탁자의 다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리판(13)이 좌식 탁자의 상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석판(11)과 다리판(13)의 면적을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실내공간 또는 좌식 탁자에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고려하여 착석판(11)과 다리판(13) 중 어느 하나를 좌식 탁자의 상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의 끼움판(21)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S) 공간에 끼움결합되어 받침판(14)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입식 의자 또는 탁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등받이판(22)이 상부를 향하도록 끼움판(21)이 슬롯(S)에 결합될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등받이가 있는 입식 의자로 변형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등받이판(22)은 착석판(11)과 일정 각도로(일예로서 90도) 기울어져 입식 의자의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등받이판(22)이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끼움판(21)이 슬롯(S)에 결합될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탁자로 변형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등받이판(22)은 받침부재(10)의 지지판(12)과 호응하여 탁자의 상판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가 탁자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책이나 인형 등과 같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0)는 슬롯(S)에 끼워진 끼움판(2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5a,15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홈(15a,15b)은 착석판(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15a)과 상기 제1고정홈(15a)에 대향하도록 상기 받침판(14)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15b)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끼움판(21)의 하부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홈(15a,15b)에 결합되는 고정돌기(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25a)가 형성된 모서리부와 대향하는 모서리부에는 고정돌기(25a)와 대응되는 높이의 높이맞춤 돌기(2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는 좌식 의자로 사용될 경우 높이가 동일한 고정돌기(25a)와 높이맞춤 돌기(25b)에 의하여 사용자의 착석시 좌식 의자가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5a)는 등받이판(22)이 탁자의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고정홈(15a)에 결합되고, 입식 의자의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2고정홈(15b)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는 받침부재(10)의 일측면에서 고정홈(15a,15b)과 고정돌기(25a)가 결합되도록 상기 슬롯(S)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받침부재(10)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를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 등받이가 있는 입식 의자, 또는 탁자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가구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를 결합시켜 탁자로 활용할 경우에는 가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2a와 도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의 형성 위치가 달라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 받침부재(10)에 지지부재(20)가 결합되어 탁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등받이판(22)의 두께만큼 지지부재(20)가 받침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받침판(14)의 돌출 길이를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등받이판(22)의 두께만큼 축소시키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1고정홈(15a)과 제2고정홈(15b)의 형성위치를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1고정홈(15a)의 경우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 경우 받침판(14)의 돌출 길이가 상부의 착석판(11)보다 지지부재(20)의 등받이판(22) 두께만큼 짧기 때문에 결합시 상기 지지부재(20)가 받침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탁자의 외관이 깔끔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석판(11)의 하부면 단부에는 높이맞춤 돌기(25b)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5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등받이판(22)의 상하길이도 전술한 제1실시예보다 짧게 구성함으로써(구체적으로는 지지판(12)의 두께만큼 짧게 구성함) 결합시 등받이판(22)의 단부가 지지판(12)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고정홈(15b)의 경우에는 제1고정홈(15a)보다 받침판(14)의 단부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고정홈(15a)보다 받침판(14)의 단부 방향으로 등받이판(22)의 두께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3실시예)
도3a와 도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0)의 고정돌기(25a)가 받침부재(10)의 고정홈(15a,15b)에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판(21)이 받침부재(10)의 측면에서 슬롯(S)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다리판(13)의 맞은편 방향에서 상기 끼움판(21)이 슬롯(S)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10)는 착석판(11), 상기 착석판(11)과 대향하는 지지판(12), 상기 착석판(11)과 지지판(12)을 연결하는 다리판(13),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다리판(13)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판(11)과의 사이에 지지부재(20)가 삽입되는 슬롯(S)을 형성하는 받침판(14), 상기 다리판(13)의 내측에 형성한 끼움홈(16), 및 상기 지지판(12) 및 받침판(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착석판(1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끼움돌기(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는 끼움판(21), 상기 다리판(13)의 끼움홈(16)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판(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27), 및 상기 끼움판(21)에서 연장 절곡된 등받이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판(22)에는 입식 의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착석판(11)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17)에 결합되거나, 탁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지지판(12) 및 받침판(14)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17)에 결합되는 복수의 위치 조정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입식 의자를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끼움홈(16)에 제2끼움돌기(27)가 결합되고 상기 착석판(11)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17)가 위치 조정홈(26)에 결합되며, 탁자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끼움홈(16)에 제2끼움돌기(27)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12) 및 받침판(14)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17)가 위치 조정홈(26)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지지판(12)과 받침판(14) 모두에 제1끼움돌기(17)가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판(12) 또는 받침판(14) 중 어느 하나에만 제1끼움돌기(17)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받침판(14)에만 제1끼움돌기(17)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판(22)의 단부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판(12)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끼움돌기(17) 및 제2끼움돌기(27)가 하나인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홈(16)과 위치 조정홈(26)이 관통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 다리판(13)과 등받이판(22)의 내측에 오목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10 : 받침부재 11 : 착석판
12 : 지지판 13 : 다리판
14 : 받침판 20 : 지지부재
21 : 끼움판 22 : 등받이판

Claims (7)

  1. 적어도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착석면을 제공하고 다른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 기능에 맞도록 상기 다기능 의자의 전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는, 서로 분리될 경우 각각 좌식 탁자와 좌식 의자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결합될 경우 입식 의자 또는 탁자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착석판, 상기 착석판과 대향하는 지지판, 상기 착석판과 지지판을 연결하는 다리판, 및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다리판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판과의 사이에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받침판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측단면이 대략 E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은 막히고 타측면은 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등받이판을 포함하여 측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끼움판은 상기 슬롯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등받이판은 상기 착석판과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입식 의자의 등받이 기능을 하거나 상기 받침부재의 지지판과 호응하여 탁자의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슬롯에 끼워진 끼움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판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은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높이의 높이맞춤 돌기가 더 형성되되,
    상기 높이맞춤 돌기와 고정돌기는 끼움판의 하부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착석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과, 상기 제1고정홈에 대향하도록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제2고정홈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돌기가 제1고정홈에 결합된 경우 상기 등받이판은 탁자의 지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제2고정홈에 결합된 경우 상기 등받이판은 입식 의자의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착석판, 상기 착석판과 대향하는 지지판, 상기 착석판과 지지판을 연결하는 다리판,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다리판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판과의 사이에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받침판, 상기 다리판 내측에 형성한 끼움홈, 및 상기 지지판 및 받침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착석판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끼움판, 상기 다리판의 끼움홈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판의 일측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 및 상기 끼움판에서 연장 절곡된 등받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받이판에는 입식 의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착석판의 제1끼움돌기에 결합되거나, 탁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지지판 및 받침판의 제1끼움돌기에 결합되는 위치 조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KR1020110119321A 2011-11-16 2011-11-16 다기능 의자 KR20130053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21A KR20130053719A (ko) 2011-11-16 2011-11-16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21A KR20130053719A (ko) 2011-11-16 2011-11-16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19A true KR20130053719A (ko) 2013-05-24

Family

ID=4866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321A KR20130053719A (ko) 2011-11-16 2011-11-16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28Y1 (ko) * 2017-04-26 2018-01-08 류평화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가구 조립체
KR102108859B1 (ko) * 2019-10-25 2020-05-11 조유진 다기능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28Y1 (ko) * 2017-04-26 2018-01-08 류평화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가구 조립체
KR102108859B1 (ko) * 2019-10-25 2020-05-11 조유진 다기능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4220B1 (en) Modular furniture retaining system
EP0676156B1 (en) Combined chair
US20150201759A1 (en) Chair
KR101476618B1 (ko) 어메니티 시스템 가구
US20190174918A1 (en) Furniture assembly
US20090301361A1 (en) Foldable furniture device
US9814320B2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system
KR20130053719A (ko) 다기능 의자
JP6796522B2 (ja) 組立家具
KR20160002665U (ko) 조립식 소파
JP7334098B2 (ja) 什器ユニットおよび什器システム
KR101454800B1 (ko) 의자 겸용 테이블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20190002200U (ko) 다용도 사이드 침대 테이블
WO2012034248A1 (es) Método de ensamble de piezas de caras planas para la fabricación de muebles domésticos
KR101066241B1 (ko) 접이식 좌의자
KR200475666Y1 (ko) 조립식 의자
JP3237803U (ja) 脚付き組立家具
KR101407023B1 (ko) 접이탁자가 부설되어 높이를 변형할 수 있는 다용도 가구
JP6734347B2 (ja) 物品載置台
KR20160109011A (ko) 침대용 간이 책상
KR200496854Y1 (ko) 조립식 가변테이블
KR200494274Y1 (ko)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CN211298870U (zh) 一种可伸缩式儿童安全型两用茶几
CA2587540C (en) Convertible furniture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