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54Y1 - 조립식 가변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변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54Y1
KR200496854Y1 KR2020220000991U KR20220000991U KR200496854Y1 KR 200496854 Y1 KR200496854 Y1 KR 200496854Y1 KR 2020220000991 U KR2020220000991 U KR 2020220000991U KR 20220000991 U KR20220000991 U KR 20220000991U KR 200496854 Y1 KR200496854 Y1 KR 200496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ower plate
coupling
plate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2020220000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가변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석재, 인공대리석 등의 다양한 소재로 목적 된 장소에서 용도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절첩하여 조립 해체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편리하게 설치 장소에 따라 테이블이 길이를 늘려서 사용하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조립식 가변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변테이블은,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상기 상판 결합부(104)와 대칭으로 반대측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5)를 구비하는 상판부(102)와;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결합부(105)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9)가 형성되는 하판부(106)와; 상기 상판부(102)가 상기 하판부(106)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판부(106)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식 다리부(112)와 입식 다리부(114)를 구비하는 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상판부와 하판부와 프레임부의 분리 조립이 용이하고 좌식 테이블과 입식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목재, 석재, 인공대리석 등의 다양한 소재로 목적 된 장소에서 용도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절첩함으로써 조립 해체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절하여 많은 인원을 착석시켜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변테이블 {VALIABLE-SIZE TABLE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식 가변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석재, 인공대리석 등의 다양한 소재로 목적 된 장소에서 용도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절첩하여 조립 해체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편리하게 설치 장소에 따라 테이블이 길이를 늘려서 사용하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조립식 가변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주로 가정집이나 식당에서 식탁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거실의 쇼파 전방에 설치되어 다과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협탁의 역할을 하거나, 가전제품이나 화분 등의 받침 장식대로 사용되거나, 책상용 등으로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테이블은 그 사용 용도와 목적 외에는 활용성이 떨어지는 반면 실내에서 차지하게 되는 점유공간은 비교적 큰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접이형 테이블이 제안되었으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의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으로 인해 야외 활동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테이블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31812호(2015년 06월 1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테이블에 의하더라도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조립 및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함이 따르고, 사용 후 조립 해체 및 보관도 불편하여 사용 빈도가 떨어지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테이블의 크기가 커서 설치공간이 크게 필요하였고, 보관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테이블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31812호(2015.06.19.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 석재, 인공대리석 등의 다양한 소재로 목적 된 장소에서 용도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 해체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조립식 가변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블의 설치공간이 좁거나 넓은 경우, 또는 많은 인원들이 회의시 또는 식사시에 테이블의 길이를 늘려서 착석인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립식 가변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판과 다리 상면부를 밀착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상판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조립식 가변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변테이블은,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상기 상판 결합부(104)와 대칭으로 반대측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5)를 구비하는 상판부(102)와;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결합부(105)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9)가 형성되는 하판부(106)와; 상기 상판부(102)가 상기 하판부(106)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판부(106)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식 다리부(112)와 입식 다리부(114)를 구비하는 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상판부와 하판부와 프레임부의 분리 조립이 용이하고 좌식 테이블과 입식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4,105)는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부(14)와 우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역니은자형상의 결합돌부(14)가 형성되되, 상기 상판부의 좌측변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부(106)의 우측 하부면에는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하부면에는 하판 결합부(109)가 대칭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결합부(108,109)에는 결합공(20)이 형성되어 상판 결합부(104,105)와 결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목재, 석재, 인공대리석 등의 다양한 소재로 목적 된 장소에서 용도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절첩함으로써 조립 해체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절하여 많은 인원을 착석시켜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입식형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좌식형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변 테이블의 하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본 고안은,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상기 상판 결합부(104)와 대칭으로 반대측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5)를 구비하는 상판부(102)와;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결합부(105)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9)가 형성되는 하판부(106)와; 상기 상판부(102)가 상기 하판부(106)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판부(106)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식 다리부(112)와 입식 다리부(114)를 구비하는 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상판부와 하판부와 프레임부의 분리 조립이 용이하고 좌식 테이블과 입식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4,105)는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부(14)와 우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역니은자형상의 결합돌부(14)가 형성되되, 상기 상판부의 좌측변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부(106)의 우측 하부면에는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하부면에는 하판 결합부(109)가 대칭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결합부(108,109)에는 결합공(20)이 형성되어 상판 결합부(104,105)와 결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입식형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좌식형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변 테이블의 하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100)은 상판부(102)와, 하판부(106)와, 상기 상판부(102) 및 하판부(106)의 하부에 지지 설치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는 좌식 다리부(112)와, 입식 다리부(114)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테이블(100)을 도 내지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며 평평한 판재의 형태로 구비되는 상판부(102)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부(102)의 밑면부에 하판부(106)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상판부(102)가 상기 하판부(106)의 상부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며 길이자 조절되는 가변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02) 및 하판부(106)의 하부에는 프레임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부에는 다리를 회전 이동시켜서 세운 후 바닥에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낮은 길이를 갖는 좌식 다리부(112)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측부에는 다리를 회전 이동시켜서 세운 후, 테이블에 의자를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은 길이를 갖는 입식 다리부(114)가 설치된다.
상기 상판부(102)와 하판부(106)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상판부(102)는 상기 하판부(106)의 상부에서 좌우로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02)의 밑면부에는 상판 결합부(104,105))가 밑면 좌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106)에는 하판 결합부(108,109)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 결합부(104)에는 상기 하판부(106)의 하판 결합부(108)가 끼움 결합된다. 즉, 상기 상판 결합부(104)가 하판 결합부(108)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판부(102)를 좌측방향으로 밀어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길이를 가변화함과 동시에 테이블의 크기를 늘려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판 결합부(104)가 상기 하판 결합부(108)에서 이탈되고, 상기 상판부(102)가 좌측방향으로 화살표와 같이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 결합부(105)가 상기 하판 결합부(109)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직사각형상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상판부(102)는 직사각현상의 판으로 상판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몸체(10)의 하면부에는 각각 상판 결합부(104)와 상판 결합부(105)가 고정 형성된다.
상기 상판몸체(10)는 아래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변부에는 수직한 하방으로 측벽 레일부(12,13)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몸체(10)의 우측 하면부에는 니은자(ㄴ) 형상의 결합돌부(14)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몸체(10)의 좌측 하면부에는 역니은자 형상의 결합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역니은자 형상의 결합돌부(15)는 상기 상판몸체(10)의 좌측변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때 소정의 거리는 5-20Cm 범위내에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상판몸체(10)의 1/2 내지 1/3 범위내에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공간의 넓이 및 크기에 따라 선택되어져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몸체(10)는 상기 하판부(106)의 상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고 양측에 형성된 측벽 레일부(12)가 상기 하판부(106)의 양측변부와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로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판몸체(10)는 평면상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목재나 석재 또는 인공대리석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판몸체(10)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판몸체(10)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평면상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른 종류의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하판부(106)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하판몸체(16)로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상하부로 관통되어 관통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몸체(16)에 형성된 관통부의 내측변부에는 하방향으로 결합 브라켓(17,1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17,18)은 직사각형상의 골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몸체(10)와 결합되어 상기 상판몸체(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서 결합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0)에는 전술된 결합돌부(14)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판몸체(1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부(14)가 상기 결합 브라켓(18)이 결합공(20)에서 빠지고 상기 상판몸체(10)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부(15)가 상기 결합브라켓(17)의 결합공(20)에 끼워짐으로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목재, 석재, 인공대리석 등의 다양한 소재로 목적 된 장소에서 용도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 해체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조립식 가변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판부(102)의 하부에는 프레임부(110)가 설치되는바,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하판부(106)의 내측부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다수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는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 프레임(22) 및 가로 프레임(23)과, 상기 가로 프레임(22,23)를 연결하는 세로 프레임(24) 및 세로 프레임(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부에는 다수의 다리들로 이루어지는 좌식 다리부(112)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측부에는 다수의 다리들로 이루어지는 입식 다리부(114)가 설치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22,23) 및 세로 프레임(24,25)들은 높이가 있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좌식 다리부(112) 및 입식 다리부(114)의 두께와 폭 보다 1.5 - 2배 더 넓은 형태의 판넬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부에 설치되는 좌식 다리부(112)는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형태로서 프레임부(1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식 다리부(114)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측부에서 펼쳐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좌식 다리부(112)는 상기 세로 프레임(25)의 내측면부에 설치되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펼쳐지도록 좌측부가 힌지회전하도록 제1 가로다리(26)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23)의 내측 좌측부에 제1 세로다리(28)가 좌측부를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24)의 내측 우측면부에는 제2 가로다리(30)가 우측부를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로 프레임(22)의 내측 우측면부에는 제2 세로다리(32)가 우측부를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부(110)의 가로 프레임(22)과 세로 프레임(24)가 서로 맞닿는 모서리 좌측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제1 입식다리(34)가 세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제1 입식다리(34)는 화살표방향과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22)과 세로 프레임(25)가 서로 맞닿는 모서리 좌측면부에는 제2 입식다리(36)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며 이때 제2 입식다리(36)는 상기 세로 프레임(25)의 외측면부에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25)과 상기 가로 프레임(23)이 서로 맞닿는 모서리부 우측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서 설치되는 제3 입식다리(38)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입식다리(38)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23)과 세로 프레임(24)이 서로 맞닿는 모서리 우측면부에는 제4 입식다리(40)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4 입식다리(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된 입식 다리부(114)가 각각 수직하게 펼쳐져서 의자를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입식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입식 다리부(114)의 각각의 제1 내지 제4 입식다리(34,36,38,40)의 상면부에는 접착 고정부(19)가 부착 형성된다.
상기 접착 고정부(19)는 반데르발스 접착부로서 상기 하판부(106)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접착 고정부(19)가 상기 하판부의 하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하판부(106)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는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접착력이 작용하는 길이로서 3- 8 μm, 직경 2-5 μm 정도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로 입식 다리들의 상부 표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 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입식 다리부(114)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측면부에 접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좌식 다리부(112)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면부와 접해져서 설치되어 있다가 수직하게 펼쳐져서 좌식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가변 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직사각형상의 상판몸체(10)의 내측부에 하판몸체(16)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좌식 다리부(112)가 접혀져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입식 다리부(114)가 접혀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판몸체(10)의 우측부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는 하판몸체(16)에 형성된 하판 결합부(108)의 결합공(20)에 결합 고정되어 진다.
이후 상기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상판몸체(10)를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상판 결합부(104)가 상기 하판 결합부(108)의 결합공(20)에서 빠지면서 이탈되고 상기 상판몸체(10)의 좌측부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5)가 상기 하판몸체(16)에 형성된 하판 결합부(109)의 결합공(20)에 끼워짐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상판몸체(10)가 이동하는 거리는 사용자와 사용되는 장소의 크기와 넓이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좌식 다리부와 입식 다리부의 힌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의 가로 프레임(22)의 좌측부에 단차가 형성되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25)의 후방향으로 고정 브라켓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23)의 우측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브라켓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24)의 전방향으로 단차가 지도록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부(42)에는 입식 힌지부(11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입식 힌지부(118)에는 상기 입식 다리부(114)가 연결 설치되어 힌지 회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면부에는 좌식 힌지부(118)가 각각 네귀퉁이의 모서리부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식 다리부(112)가 연결 설치되어 힌지 회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하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직사각형상의 하판몸체(16)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몸체(16)의 밑면에는 접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17)는 반데르발스 접착부로서 상기 하판부(106)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접착 고정부(19)가 상기 하판부의 하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하판부(106)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는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접착력이 작용하는 길이로서 2- 6 μm, 직경 2-4 μm 정도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로 입식 다리들의 상부 표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착부(17)와 접착 고정부(19)에 의해 하판부(106)와 입식 다리부(114)의 상면과 접촉되어 그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강하게 작용 되도록 하여 조립시 하판부의 하면과 입식 다리부의 상면이 강한 접착력으로 손쉽게 부착되고, 분리시에는 상기 하판부(106)를 옆으로 밀면서 떼어내어 상기 입식 다리부(114) 및 프레임부(110)와 하판부(106)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부(106)의 내측면부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는 면 내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걸림공(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부(110)에는 상기 걸림공(44)에 끼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동작하도록 스프링(46)과 걸림볼(48)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프레임부(110)에 설치된 걸림볼(48)이 구비된 부분에는 걸림볼(48)의 일부만 전후로 출몰될 수 있게 출몰공이 형성되어 걸림볼(48)들은 프레임부(110)의 프레임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림볼(48)이 어느 하나의 걸림공(44)에서 이탈되면 스프링(46)의 완충에 의해 가로 프레임들(22,23)의 내측으로 더 들어갔다가 다른 걸림공(44)과 다시 만나게 되면 스프링(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볼(48)의 일부가 해당 걸림공(44)으로 다시 안착 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판부(106)를 상기 프레임부(110)와 결합후, 상기 상판부(102)를 슬라이딩 시킬 때에 하판부(106)가 이탈됨이 없이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판부(102)와 하판부(106)는 사용 후엔 상호 분리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부(110)에는 좌식 다리부(112)와 입식 다리부(114)를 접어서 슬림하게 만들어서 간편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상판몸체 12 : 측벽 레일부
14 : 결합돌부 16 : 하판몸체
18 : 결합 브라켓 20 : 결합공
22,23 : 가로 프레임 24,25 : 세로 프레임
26 : 제1 가로다리 28 : 제1 세로다리
30 : 제2 가로다리 32 : 제2 세로다리
34 : 제1 입식다리 36 : 제2 입식다리
38 : 제3 입식다리 40 : 제4 입식다리
42 : 고정 브라켓부 44 : 걸림공
46 : 스프링 48 : 걸림볼
100 : 가변테이블 102 : 상판부
104 : 상판 결합부 106 : 하판부
108 : 하판 결합부 110 : 프레임부
112 : 좌식 다리부 114 : 입식 다리부
116 : 입식 힌지부 118 : 좌식 힌지부

Claims (3)

  1.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상기 상판 결합부(104)와 대칭으로 반대측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5)를 구비하는 상판부(102)와;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된 상판 결합부(104)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결합부(105)와 결합되도록 하판 결합부(109)가 형성되는 하판부(106)와;
    상기 상판부(102)가 상기 하판부(106)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판부(106)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식 다리부(112)와 입식 다리부(114)를 구비하는 프레임부(110)를 포함하여 상판부와 하판부와 프레임부의 분리 조립이 용이하고 좌식 테이블과 입식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상판부(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판 결합부(104,105)는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부(14)가 우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역니은자형상의 결합돌부(14)가 형성되되, 상기 상판부의 좌측변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106)의 우측 하부면에는 하판 결합부(108)가 형성되고 좌측 하부면에는 하판 결합부(109)가 대칭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결합부(108,109)에는 결합공(20)이 형성되어 상판 결합부(104,105)와 결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테이블.
  2. 삭제
  3. 삭제
KR2020220000991U 2022-04-22 2022-04-22 조립식 가변테이블 KR200496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91U KR200496854Y1 (ko) 2022-04-22 2022-04-22 조립식 가변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91U KR200496854Y1 (ko) 2022-04-22 2022-04-22 조립식 가변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54Y1 true KR200496854Y1 (ko) 2023-05-16

Family

ID=8654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991U KR200496854Y1 (ko) 2022-04-22 2022-04-22 조립식 가변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5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6-25 (주)대우가구 조립형 테이블
KR20200104572A (ko) * 2019-02-27 2020-09-04 백승진 슬라이드 신축 테이블
KR102350513B1 (ko) * 2021-07-02 2022-01-11 이성민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6-25 (주)대우가구 조립형 테이블
KR20200104572A (ko) * 2019-02-27 2020-09-04 백승진 슬라이드 신축 테이블
KR102350513B1 (ko) * 2021-07-02 2022-01-11 이성민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935B2 (en) Convertible, integral, dining table, coffee table, serving table, desk, bed, bench and beach lounger utilizing a unique hinging system
US5577818A (en) Pull-up table
US20060180055A1 (en) Composite assembly of interconnectable furniture
WO2006135931A1 (en) Furniture
CN206964348U (zh) 一种便于收纳的折叠桌
US20190174918A1 (en) Furniture assembly
KR200496854Y1 (ko) 조립식 가변테이블
US6629504B2 (en) Convertable table with reversible leaves
US10753560B2 (en) Stowable seating
KR102350513B1 (ko)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US2600759A (en) Combination foot lounge
KR101136977B1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Astonkar et al. Development in various multipurpose furniture’s by using space saving approach
CN214047991U (zh) 一种家用室内可调节大小的餐桌结构
US20200237102A1 (en) Step stool with stability extension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CA2587540C (en) Convertible furniture item
CN208610311U (zh) 组合式家具床
US4903614A (en) Multi-functional table
KR20090005670U (ko) 입식 좌식 겸용 테이블
JP3241992U (ja) 簡易組立式テーブル
US20080276839A1 (en) Convertible furniture item
CN210988793U (zh) 锁止式便捷户外桌
US6598543B1 (en) Fold-up indoor table
CN109222455A (zh) 组合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