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800B1 - 의자 겸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의자 겸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800B1
KR101454800B1 KR20130141580A KR20130141580A KR101454800B1 KR 101454800 B1 KR101454800 B1 KR 101454800B1 KR 20130141580 A KR20130141580 A KR 20130141580A KR 20130141580 A KR20130141580 A KR 20130141580A KR 101454800 B1 KR101454800 B1 KR 10145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r
horizontal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윤지영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4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와 테이블 고유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 또는 테이블로 선택되어 사용 가능한 의자 겸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은 삼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판은 일측 꼭지점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메인 수평판과; 일측 꼭지점에 상기 메인 수평판의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보조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 겸용 테이블{TABLE WITH CHAIR}
본 발명은 의자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의자와 테이블 고유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 또는 테이블로 선택되어 사용 가능한 의자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椅子)는 사람이 앉는 데에 쓰는 가구로써, 식탁용의자, 책상용의자, 화장대의자 등의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테이블 가운데 식사용 테이블은 직사각형 ·정사각 ·타원형·원형 등이 있으며 다리가 보통 4개 달려 있고, 구조상 판을 좌우로 접을 수 있는 것과 필요에 따라 잡아당겨 넓이를 늘릴 수 있는 확장용 판이 붙어 있는 확장 테이블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재료는 가정용은 대부분 목재이며 너도밤나무 ·자작나무·벚나무 등이 사용된다. 실용적으로 하기 위해 판 표면에 멜라민 화장판을 붙인 것이 많고, 고급품에는 티크, 호두나무 등을 사용한 것이 많다. 또한, 응접용 테이블은, 응접실의 크기나 형식에 따라 테이블의 모양과 크기가 달라지는데, 대부분 목재이고 판의 모양은 직사각형이 많고, 재료는 식사용 테이블과 거의 같은데, 고급용재의 것이 인기가 있다. 그리고, 티(tea)테이블은, 응접용 테이블 중 비교적 소형의 것을 말하고, 회의용 테이블은, 직사각형의 것이 일반적인데 원형 ·타원형도 있으며, 확장식, 접었다 폈다 하는 것 등도 있으며, 재료로서는 목제 외에 강제(鋼製) 또는 그 혼합형이 있고, 사이드테이블은, 벽면에 붙여 놓거나 침대 옆에 놓아 장식과 실용을 겸한 테이블을 말하는데 본래는 18세기에 사용되던 보조용 식탁에서 유래 되었다.
이와 같은 의자 및 테이블은 그 의자와 테이블 각각의 고유 기능만 수행할 뿐 테이블과 의자가 한 세트로 분리 형성된 상태로 사용되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생산 및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의자와 테이블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겸용 테이블이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1의 '의자 겸용 테이블'에서는 테이블로 사용 시 물건을 올려두는 면을 형성하는 제1 판체; 제1 판체의 양측부에서 제1 판체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제1 판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제2 판체; 제1 및 제2 판체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판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의자로 사용시 앉는 자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판체; 및 제2 판체의 어느 일 영역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의자 및 테이블로 사용 시 한 명에 한해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여럿이 함께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1-0001032호 "의자 겸용 테이블"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의자와 테이블 고유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 또는 테이블로 선택되어 사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의자 겸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삼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판은 일측 꼭지점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메인 수평판과; 일측 꼭지점에 상기 메인 수평판의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보조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에서 상기 메인 수평판의 고정부는 상면과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상판과; 하면과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수평판의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보조 수평판의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구획판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메인 수평판의 상판 하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평판의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구획부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에 의하면, 의자와 테이블 고유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 또는 테이블로 선택되어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에서 테이블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에서 테이블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10)은 삼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수평판(20)과, 수평판(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판(20)은 테이블로 사용 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고, 의자로 사용 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안치부(32)을 갖고, 일측 꼭지점에 고정부(34)를 갖는 메인 수평판(30)과 테이블로 사용 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고, 의자로 사용 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안치부(42)을 갖고, 일측 꼭지점에 메인 수평판(30)의 고정부(34)에 결합되도록 결합부(44)를 가지며,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보조 수평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테이블로 사용 시 하나의 메인 수평판(30)에 다수개의 보조 수평판(40)이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어 테이블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보조 수평판(40)의 개수는 6개 ~ 8개로 구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의자로 사용 시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6개 미만은 사용자의 수가 적어지게 되고, 8개 초과는 앉을 시 앉는 부분이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메인 수평판(30)의 고정부(34)는 상면과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상판(342)과, 하면과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하판(344) 및 상판(342)과 하판(344) 사이에 위치되어 보조 수평판(40)의 개수에 비례하여 보조 수평판(40)이 결합되도록 공간을 갖는 구획부(3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구획부(346)는 상판(342)과 하판(344)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구획판(3462)이 형성되되, 구획판(3462)은 보조 수편판(40)의 개수에 비례하여 형성된다. 즉, 구획판(3462)의 개수는 보조 수평판(40)의 개수에 비해 하나가 많도록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구획부(346)네는 상판(342)의 하면에 고정홈(3464)이 형성되어 진다.
보조 수평판(40)의 결합부(44)는 메인 수평판(30)의 구획부(346)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고, 메인 수평판(30)의 고정홈(3464)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홈(3464)에 삽입되는 돌출부(442)를 갖는다.
다리부(50)는 메인 수평판(30) 및 보조 수평판(40)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각각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어 메인 수평판(30) 및 보조 수평판(4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리부(50)는 테이블로 사용 시와 의자로 사용 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리부(50)는 외측부재(52)와 외측부재(52)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내측부재(54)로 이루어지되, 외측부재(52)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홀(522)이 형성되고, 내측부재(54)는 외측부재(52)의 홀(522)에 삽입되도록 삽입구(542)가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내측부재(54)의 삽입구(542)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상하로 이동되면서 외측부재(52)의 홀(522)에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10)에서 다리부(50)의 구성이 외측부재(52)의 홀(522)에 내측부재(54)의 삽입구(542)가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10)에 의하면, 의자와 테이블 고유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 또는 테이블로 선택되어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10)에서 테이블로 사용 시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메인 수평판(30)의 고정부(34)에 보조 수평판(40)의 결합부(44)가 결합되되, 메인 수평판(30)의 고정부(34)에 형성되는 고정홈(3464)에 보조 수평판(40)의 결합부(44)에 형성되는 돌출부(442)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진다.이때, 보조 수평판(40)은 서로 인접되어 메인 수평판(30)의 고정부(34)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탁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 다리부(5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의자로 사용 시 메인 수평판(30)의 고정홈(3464)에서 보조 수평판(40)의 결합부(44)를 분리하여 각각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리부(50)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테이블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의자 겸용 테이블
20 : 수평판 30 : 메인 수평판
32 : 안치부 34 : 고정부
40 : 보조 수평판 42 : 안치부
44 : 결합부 50 : 다리부

Claims (3)

  1. 삼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판은 일측 꼭지점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메인 수평판과;
    일측 꼭지점에 상기 메인 수평판의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되게 연결되는 보조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평판의 고정부는 상면과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상판과;
    하면과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수평판의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보조 수평판의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구획판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테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메인 수평판의 상판 하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평판의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구획부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테이블.
KR20130141580A 2013-11-20 2013-11-20 의자 겸용 테이블 KR10145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580A KR101454800B1 (ko) 2013-11-20 2013-11-20 의자 겸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580A KR101454800B1 (ko) 2013-11-20 2013-11-20 의자 겸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00B1 true KR101454800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580A KR101454800B1 (ko) 2013-11-20 2013-11-20 의자 겸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44A (ko) 2015-05-04 2016-11-14 한정아 테이블 체어
KR200493165Y1 (ko) 2020-07-24 2021-02-08 김은중 테이블 겸용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68B1 (ko) 2009-04-06 2009-09-02 정은지 휴대용 조립식 평상
KR20100042147A (ko) * 2008-10-15 2010-04-23 곽동기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
WO2011111904A1 (ko) 2010-03-08 2011-09-15 주식회사 강가산 퍼즐형 화로대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47A (ko) * 2008-10-15 2010-04-23 곽동기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
KR100914768B1 (ko) 2009-04-06 2009-09-02 정은지 휴대용 조립식 평상
WO2011111904A1 (ko) 2010-03-08 2011-09-15 주식회사 강가산 퍼즐형 화로대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44A (ko) 2015-05-04 2016-11-14 한정아 테이블 체어
KR200493165Y1 (ko) 2020-07-24 2021-02-08 김은중 테이블 겸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PD20080209A1 (it) Seduta variamente componibile
US20180271294A1 (en) Expandable seating furniture
US9451832B2 (en) Modular furniture
US9814320B2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system
KR101454800B1 (ko) 의자 겸용 테이블
CN202664904U (zh) 一种多功能沙发床
US20070080572A1 (en) Coffee lounge
CN210493307U (zh) 一种组合家具
CN208550504U (zh) 一种可拼装收纳的模块化几何桌凳套装
KR101378255B1 (ko) 의자 수납식 테이블
CN204950218U (zh) 具有3d立体动态图案或变幻图案的凳子
JP3237803U (ja) 脚付き組立家具
CN214317506U (zh) 一种茶几凳
CN205233956U (zh) 一种多功能家具
CN209950748U (zh) 一种圆形沙发
CN105361478B (zh) 一种多功能家具
CN206729577U (zh) 一种多功能桌椅结构
KR20190002200U (ko) 다용도 사이드 침대 테이블
CN202445520U (zh) 一种组合式桌椅
CN215076796U (zh) 一种多功能组合家具
KR101837704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KR20170004160U (ko) 접이식 의탁자
CN202842897U (zh) 一种沙发用的放置桌
US20080276839A1 (en) Convertible furniture item
CN204410281U (zh) 多功能婴儿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