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595A -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 Google Patents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595A
KR20190053595A KR1020170149646A KR20170149646A KR20190053595A KR 20190053595 A KR20190053595 A KR 20190053595A KR 1020170149646 A KR1020170149646 A KR 1020170149646A KR 20170149646 A KR20170149646 A KR 20170149646A KR 20190053595 A KR20190053595 A KR 20190053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water
collector
heat exchang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이강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4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3595A/ko
Publication of KR2019005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95A/ko
Priority to KR1020210167921A priority patent/KR10243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2Devices for preventing or removing corrosion, slime or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케일 수집부를 구비한 보일러는, 열교환기의 출구측 유로에 스케일 수집부를 구비하여 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용수의 스케일을 제거하고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케일 수집부를 구비한 보일러는,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는, 유입되는 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용수가 상기 열교환기로 유동하는 용수유입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가열수가 가열수공급처로 유동하는 가열수공급로와, 상기 가열수공급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을 수집하는 스케일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Boiler having lime scale collecting box}
본 발명은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 내부에 생기는 스케일을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 또는 난방용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동절기의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난방용 보일러와 사용자가 편리하게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온수기 등을 포함한다.
보일러는 기름 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버너를 통해 연소시킨 다음, 이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용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가열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수에 포함되는 Ca이온 Mg이온 등의 경도성 물질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해도가 감소하는 성질이 있어, 연소과정에서 온도가 높아지며 상기 용수로부터 분리되어 배관 내부에 스케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케일은 배관이나 열교환기 내부에 침착되며, 침착된 스케일 덩어리가 박리되어 용수의 유동을 따라 삼방밸브, 펌프, 급탕열교환기 등에 유입되어 용수의 막힘 및 부품 파손 등을 초래하고 열교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도 성분 함량이 높은 물을 상기 용수로 사용하는 국가에서 상기 스케일로 인한 문제 발생 빈도가 높아, 스케일 제거 작업이 요구되어진다.
상기 스케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77141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케일이 포함된 용수가 보일러의 기능 부품에 도달하기 전에 스케일을 제거하여 스케일로 인한 기능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집되는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용수의 경도를 낮추어 열교환기 내부의 스케일의 발생률을 낮춤으로써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일러의 유로가 스케일로 인해 막히는 것을 감지하는 막힘감지부를 구비하여 유로의 막힘을 조기에 감지하고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막힘감지부에 알람발생부를 연결하여 유로의 막힘 발생시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유로의 막힘을 조기에 해결할 뿐 아니라 스케일 제거의 편의성을 높인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케일 수집부에서 보일러 내부로 용수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 캡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는, 유입되는 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는, 상기 용수가 상기 열교환기로 유동하도록 하는 용수유입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가열수가 가열수공급처로 유동하도록 하는 가열수공급로와, 상기 가열수공급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을 수집하는 스케일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수공급로는,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가열수를 상기 스케일 수집부로 유입시키는 제1가열수공급로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스케일 수집부를 유동하여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를 상기 가열수공급처로 유동시키는 제2가열수공급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수유입로상에는 상기 용수의 경도를 낮추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하단은 분리 가능한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케일 수집부로부터 상기 캡을 분리하여 포집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에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가이드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출구에 연결되는 공급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가이드의 개구부가 상기 공급가이드의 개구부보다 상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상단을 관통하여 내측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가이드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하단 또는 상단을 관통하여 내측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상에는 버퍼탱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버퍼탱크에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를 통과한 상기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의 내부 유로에는 상기 용수 또는 가열수의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막힘감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측을 통해 직수가 유입되고, 타측이 상기 용수유입로에 연결된 직수유입로가 구비되고; 상기 직수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직수는 연수기에 의해 경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막힘감지부는, 상기 용수 또는 가열수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유량센서일 수 있다.
상기 막힘감지부는, 상기 가열수의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상기 막힘감지부에서 상기 용수유입로의 막힘 판단시 알람발생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는, 상기 가열수가 유입되는 수집부 몸체와, 상기 수집부 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집부 몸체의 내부공간과 상기 캡의 내부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구멍을 개방시키는 위치와 폐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케일 수집부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노브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차단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기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에서 가열수가 배출되는 출구 측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하부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출구측 유로에 스케일 수집부를 구비하여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고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와 보일러의 기능 부품 사이에 스케일 수집부를 구비하여 보일러의 기능 부품에 스케일이 제거된 용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스케일로 인한 기능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이 포집되는 스케일 수집부의 하단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캡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단 캡의 내측에 포집되는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집부에서 보일러 내부로 용수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 캡을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입구측에 연결된 유로에 필터 또는 연수기를 구비하여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용수의 경도를 낮춤으로써 열교환기 내부의 스케일의 발생률을 낮추고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의 유로가 스케일로 인해 막히는 것을 감지하는 막힘감지부를 구비하여 유로의 막힘을 조기에 감지하고 스케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막힘감지부에 알람발생부를 연결하여 유로의 막힘 발생시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유로의 막힘을 조기에 해결할 뿐 아니라 스케일 제거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집부의 출구 측에 자기장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스케일 수집부에서 작은 입자의 스케일이 배출되거나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1)는, 유입되는 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용수가 상기 열교환기(20)로 유동하는 용수유입로(210)와, 상기 열교환기(20)에서 가열된 가열수가 가열수공급처(미도시)로 공급하기 위한 가열수공급로(221,222)와, 상기 가열수공급로(221,222)상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20)에서 발생하는 스케일(2)을 수집하는 스케일 수집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 또는 난방용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동절기의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난방용 보일러와 사용자가 편리하게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온수기와 난방과 온수 겸용 보일러를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에 이용되는 상기 용수는 상기 용수유입로(210)를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20)의 입구(21)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20)에 유입되어 버너(미도시)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다.
온수기의 경우, 상기 용수는 외부로부터 상기 보일러에 유입되는 직수일 수 있다. 상기 직수는, 상기 열교환기(20)에서 가열되어 상기 가열수공급로(221,222)를 따라 유동하여 온수로 공급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전에 유로 내부의 물을 미리 예열하는 기능이 포함된 온수기의 경우, 상기 용수는 유로를 순환하는 순환수일 수 있다. 상기 순환수는, 상기 용수유입로(210)와 상기 가열수공급로(221,222)를 포함하는 유로를 순환하며 상기 열교환기(20)에서 가열되고, 이렇게 예열된 물은 사용자가 원할 때 온수로 공급된다.
또한, 난방용 보일러의 경우, 상기 용수는 난방소요처에서의 열교환을 완료하고 환수되는 환수일 수 있다. 상기 환수는, 상기 열교환기(20)에서 가열되어 상기 가열수공급로(221,222)를 따라 상기 난방소요처로 유동하며, 난방을 수행한 후 상기 용수유입로(210)를 따라 환수된다.
상기 용수유입로(210)상에는 필터(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1)는 중화제를 사용하여 상기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중공사막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경도성 물질을 여과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케일(2)은 상기 용수가 상기 열교환기(20) 내부로 유입되어 가열됨에 따라 용해도가 감소하여 상기 용수에 포함된 Ca이온 Mg이온 등의 경도성 물질이 상기 용수로부터 분리되어 고체화된 물질이므로, 상기 용수유입로(210)상에 상기 필터(11)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용수가 상기 열교환기(20)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스케일(2)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는, 상기 가열수에 포함된 스케일(2)을 제거하여 상기 가열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열수가 유동하는 유로상에 구비되는 기능 부품들이 스케일(2)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케일 수집부(30)는, 상기 가열수공급로(221,222)상의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22)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일 수집부(30)는,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22)와 상기 보일러의 유로상에 구비되는 기능 부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가열수공급로(221,222)는,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22)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입구(31)를 연결하는 제1가열수공급로(221)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와 상기 가열수공급처를 연결하는 제2가열수공급로(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는, 유입되는 상기 가열수에 포함된 상기 스케일(2)이 중력에 의해 침전되어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하부(38)에 포집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수에 포함된 상기 스케일(2)을 원활하게 침전시키기 위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상부(36)로부터 중앙부(37) 또는 하부(38)로 하강하여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력의 영향으로 상기 스케일 수집부(30) 내부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열수의 스케일 함유량이 높아지게 되며,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상부(36)에는 상기 스케일(2)이 제거된 가열수가 유동하게 되어,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상부(36)로부터 상기 스케일(2)이 제거된 가열수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입구(31)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상부(36)에 형성되고,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하부(38)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입구(31)로부터 연결되는 유입 가이드(32)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로부터 연결되는 공급 가이드(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32)의 하단 개구부는 상기 공급가이드(33)의 상단 개구부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가이드(32)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가열수가 상승하며 스케일이 제거된 후 상기 공급가이드(33)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입구(31)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가이드(32)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입구(31)를 관통하여 내측 하부(38)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가이드(33)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를 관통하여 내측 상부(36)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가이드(33)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를 관통하여 내측 상부(36)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는 스케일 수집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개폐부가 분리판의 구멍을 개방시키거나 밀폐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케일 수집부(30)는, 입구(31)가 형성된 수집부 몸체(30a)와 상기 수집부 몸체(30a)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캡(3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집부 몸체(30a)로부터 상기 캡(30b)을 분리하면, 상기 캡(30b)의 내측에 포집된 스케일(2)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캡(30b)과 수집부 몸체(30a)는 결합부(30e)에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30e)에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기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 포집된 스케일(2)을 제거하기 위해 캡(30b)을 제거하는 경우, 스케일 수집부(30) 내부 및 보일러(1) 내부 배관의 용수가 보일러(1) 내부에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일러(1) 내부의 배관에 잔존하는 용수를 배출시킨 다음 캡(30b)을 제거함으로써 스케일(2) 제거시 용수가 보일러(1) 내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집부(30) 전체를 보일러(1)로부터 탈거하고, 수집부 몸체(30a)로부터 캡(30b)을 분리하여 스케일(2)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스케일 수집부(30) 전체를 보일러(1)로부터 탈거하면, 보일러(1) 내부의 배관에 잔존하는 용수가 보일러(1) 내부에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보일러(1) 내부의 배관에 잔존하는 용수를 배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캡(30b)만 분리시키더라도, 스케일 수집부(30) 및 보일러(1) 내부의 배관에 잔존하는 용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멍(30d)이 형성된 분리판(30c)과 상기 구멍(30d)을 개폐하는 개폐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30c)은 수집부 몸체(30a)의 내부공간과 캡(30b)의 내부공간 사이를 분리하되, 상기 구멍(30d)을 통해서만 수집부 몸체(30a)의 내부공간과 캡(30b)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40)는 스케일 수집부(30)에 포집된 스케일(2)을 제거하기 위해 수집부 몸체(30a)로부터 캡(30b)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구멍(30d)을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40)는, 스케일 수집부(30)의 외부에 구비된 노브(41), 상기 노브(41)에 일체로 연결된 샤프트(42), 상기 샤프트(42)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외주면에 기어 치형이 형성된 제1기어부재(43), 상기 제1기어부재(43)의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기어부재(43)의 회전시 직선 운동하는 제2기어부재(44), 상기 제2기어부재(44)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제2기어부재(44)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구멍(30d)을 개폐하는 차단부재(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42)는 수집부 몸체(30a)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집부 몸체(30a)와 노브(41) 사이에는 기밀부재(46)가 구비되어, 용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재(43)와 제2기어부재(44)는 랙과 피니언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기어부재(43)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재(44)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 몸체(30a)로부터 캡(30b)을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단부재(45)가 구멍(30d)을 밀폐하지 않고 개방시키는 위치에 있어, 수집부 몸체(30a)의 내부공간과 캡(30b)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한다. 이 경우 유입가이드(32)의 하단부는 구멍(30d)의 상부에 위치해 있어, 유입가이드(32)에서 배출된 스케일(2)이 구멍(30d)을 통해 캡(30b)의 내부공간에 포집될 수 있다.
상기 캡(30b)의 내부공간에 스케일(2)이 다량 포집되면, 수집부 몸체(30a)로부터 캡(30b)을 분리하여 포집된 스케일(2)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브(41)를 회전시켜 제1기어부재(43)가 회전하면 제2기어부재(44) 및 차단부재(45)가 직선 이동하여, 상기 차단부재(45)가 구멍(30d)을 밀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노브(41)와 샤프트(42) 및 제1기어부재(43)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부재(45)가 구멍(30d)을 밀폐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집부 몸체(30a)로부터 캡(30b)을 분리하면, 스케일 수집부(30) 내부 및 보일러(1) 배관 내부의 용수가 유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케일(2)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일러(1) 내부의 용수를 배출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45)가 구멍(30d)을 밀폐시키는 경우에는 차단부재(45)와 분리판(30c) 사이에 기밀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수집부 몸체(30a) 내부공간의 용수가 구멍(30d)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케일(2)을 제거한 후에는 캡(30b)을 수집부 몸체(30a)에 결합시킨 후 노브(41)를 회전시켜 차단부재(45)가 구멍(30d)을 개방시키도록 위치시킨다.
상기에서는 제1기어부재(43)와 제2기어부재(44)의 일례로 랙과 피니언을 예시하였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기어의 조합에 의해 개폐부(4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서 가열수가 배출되는 유로에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스케일(2)을 제거하는 자기장발생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케일(2)의 입자 크기가 매우 작은 것은 스케일 수집부(30)에 가라 앉지 않고 공급가이드(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은 입자의 스케일이 공급가이드(33)를 통해 배출될 때 공급가이드(33) 및 이에 연결된 배관 내부에 고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기장발생부(5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작은 입자의 스케일이 공급가이드(33) 및 제2가열수공급로(222)의 내부에 고착되어 스케일(2)의 입자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발생부(50)는 스케일 수집부(30) 내부의 공급가이드(33) 상에 구비될 수도 있고, 스케일 수집부(30)의 출구(34)에 연결된 배관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자기장발생부(50)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기장발생부(50)를 구비하면, 자기장에 의해 스케일 입자가 극성을 갖고, 스케일의 극성은 외부의 극성과 같아져 스케일과 공급가이드(33) 또는 출구(34)에 연결된 배관이 서로 반발하는 반발력이 생겨 스케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미 생성된 작은 입자의 스케일은 분해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수집부(30)의 하부인 캡(30b)에도 자기장발생부(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30b)이 구비되지 않고 스케일 수집부(30)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스케일 수집부(30)의 몸체 하부에 자기장발생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케일(2)에 자성을 갖는 물질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1)의 자기장에 의해 스케일(2)이 캡(30b)의 내부공간으로 끌어당겨져 스케일(2)의 포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기장발생부(51)가 구멍(30d)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스케일(2)의 포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케일(2)에 자성을 갖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가이드(33) 또는 출구(34)에 구비된 자기장발생부(5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보일러는 난방과 온수 공급이 가능한 보일러로, 상기 용수유입로(210)와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222)를 연결하는 제1연결로(231), 제2가열수공급로(222)에서 난방소요처(320) 사이를 연결하는 제3가열수공급로(223)가 구비된다.
상기 보일러에는 용수를 급탕열교환기(310) 또는 난방소요처(320)로부터 열교환기(20)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40)가 구비되며, 상기 용수유입로(210)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20)에 유입된 용수는 가열되어 상기 제1가열수공급로(221)를 통해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 유입된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서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는,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222)를 통해 삼방밸브(330)에 도달하며, 상기 제1연결로(231)를 통해 급탕열교환기(310)를 통과하거나 상기 제3가열수공급로(223)를 통해 난방소요처(320)로 선택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로(231)를 유동하는 상기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는, 급탕열교환기(310)에 공급되어 열교환을 수행하고 상기 용수유입로(210)를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20)에 환수된다.
상기 제3가열수공급로(223)를 유동하는 상기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는, 난방수공급처(320)에 공급되어 열교환을 수행하고 회수로(233)와 상기 용수유입로(210)를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20)에 환수된다.
즉, 상기 스케일 수집부(30)가 상기 열교환기(20)와 상기 삼방밸브(33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222)와 상기 삼방밸브(330)와 상기 제1연결로(231)와 상기 용수유입로(210)에 상기 스케일이 배제된 가열수를 유동시킴으로써 스케일로 인한 부품의 고장 또는 유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41은 상기 급탕열교환기(310)에 직수를 공급하는 직수유입관이며, 242는 상기 급탕열교환기(310)에서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의 보일러인 온수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온수기는 제2가열수공급로(222) 상에 가열수를 일정 용량 수용할 수 있는 버퍼탱크(410)가 구비되어 있고, 용수는 잠열교환기(430)를 거쳐 열교환기(20; 주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서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는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222)를 통해 버퍼탱크(410)에 유입된 후 수전(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에게 온수로 공급된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서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가 버퍼탱크(410)에 유입됨으로 인해 버퍼탱크(410)에 연결된 배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기 내부 배관상에는 막힘감지부(480)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기 내부 배관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막힘감지부(480)가 제1가열수공급로(221) 상에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배관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 막힘 현상은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스케일 포집 용량이 초과되어 스케일 수집부(30)의 입구(31) 또는 출구(34)가 막힌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스케일 수집부(30)에 연결된 유로 내부가 막힌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스케일 포집 용량이 초과된 경우, 상기 캡(30b)을 분리하여 포집된 스케일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여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의 기능을 되살림으로써 상기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막힘감지부(480)는 상기 유로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유량센서(흐름스위치 포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막힘감지부(480)는, 상기 제1가열수공급로(221)에 구비되어, 유로가 막혀 상기 순환수가 유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가열수공급로(221)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가열수의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막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힘감지부(480)에는 알람발생부(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막힘감지부(480)에서 상기 온수기 내부 유로의 막힘이 판단되면 상기 알람발생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용수유입로(210)에는 상기 필터(11)가 구비되어,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상기 용수가 상기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인 온수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온수기에는 상기 용수유입로(210)에 연결되는 직수유입로(211)가 구비되며, 제3가열수공급로(223)는 수전(4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입로(210,211)와 공급로(222,2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로(232)가 구비된다.
상기 직수유입로(211)를 통해 유입되는 직수는, 상기 용수유입로(210)를 유동하여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에 유입되거나, 상기 제2연결로(232)를 유동한다.
상기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에서 가열된 직수는 상기 제1가열수공급로(221)를 통해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 유입되며, 상기 스케일 수집부(30)에서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는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222)와 제3가열수공급로(223)를 유동하여 상기 수전(420)을 통해 온수로 공급된다.
상기 제2연결로(232)에 유입되는 상기 직수는, 상기 제3가열수공급로(223)에서 상기 가열수와 혼합되어 상기 수전(420)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제2연결로(232)에는 믹싱밸브(47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로(232)를 유동하는 상기 직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전(420)에서 공급되는 상기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유입로(211)에 연결되어 상기 직수를 공급하는 외부유로에는 연수기(12)가 구비되고,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직수가 상기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스케일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연수기(12)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필터로 경도성 물질을 걸러 제거함으로써 상기 잠열교환기(430)와 열교환기(20) 내부에서 스케일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1 : 필터 12 : 연수기
20 : 열교환기 21 : 열교환기의 입구
22 : 열교환기의 출구 30 : 스케일 수집부
30a : 수집부 몸체 30b : 캡
31 : 스케일 수집부의 입구 32 : 유입 가이드
33 : 공급 가이드 34 : 스케일 수집부의 출구
40 : 개폐부 41 : 노브
42 : 샤프트 43 : 제1기어부재
44 : 제2기어부재 45 : 차단부재
46 : 기밀부재 50, 51 : 자기장발생부
210 : 용수유입로 211 : 직수유입로
221 : 제1가열수공급로 222 : 제2가열수공급로
223 : 제3가열수공급로 231 : 제1연결로
232 : 제2연결로 233 : 회수로
310 : 급탕열교환기 320 : 난방소요처
330 : 삼방밸브 340 : 순환펌프
410 : 버퍼탱크 420 : 수전
430 : 잠열교환기 470 : 믹싱밸브
480 : 막힘감지부

Claims (17)

  1. 유입되는 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상기 용수가 상기 열교환기로 유동하도록 하는 용수유입로;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가열수가 가열수공급처로 유동하도록 하는 가열수공급로;
    상기 가열수공급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을 수집하는 스케일 수집부;
    를 포함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공급로는,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가열수를 상기 스케일 수집부로 유입시키는 제1가열수공급로;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스케일 수집부를 유동하여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를 상기 가열수공급처로 유동시키는 제2가열수공급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유입로상에는 상기 용수의 경도를 낮추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하단은 분리 가능한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케일 수집부로부터 상기 캡을 분리하여 포집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수집부에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가이드;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출구에 연결되는 공급가이드; 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가이드의 개구부가 상기 공급가이드의 개구부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가이드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상단을 관통하여 내측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가이드는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하단 또는 상단을 관통하여 내측 상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수공급로상에는 버퍼탱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버퍼탱크에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스케일 수집부를 통과한 상기 스케일이 제거된 가열수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내부 유로에는 상기 용수 또는 가열수의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막힘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9.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을 통해 직수가 유입되고, 타측이 상기 용수유입로에 연결된 직수유입로가 구비되고;
    상기 직수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직수는 연수기에 의해 경도가 낮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감지부는, 상기 용수 또는 가열수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유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감지부는, 상기 가열수의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감지부에서 상기 용수유입로의 막힘 판단시 알람발생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수집부는, 상기 가열수가 유입되는 수집부 몸체와, 상기 수집부 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집부 몸체의 내부공간과 상기 캡의 내부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구멍을 개방시키는 위치와 폐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케일 수집부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노브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차단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기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수집부에서 가열수가 배출되는 출구 측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수집부의 하부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KR1020170149646A 2017-11-10 2017-11-1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KR20190053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46A KR20190053595A (ko) 2017-11-10 2017-11-1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KR1020210167921A KR102436106B1 (ko) 2017-11-10 2021-11-3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46A KR20190053595A (ko) 2017-11-10 2017-11-1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921A Division KR102436106B1 (ko) 2017-11-10 2021-11-3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95A true KR20190053595A (ko) 2019-05-20

Family

ID=666787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646A KR20190053595A (ko) 2017-11-10 2017-11-1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KR1020210167921A KR102436106B1 (ko) 2017-11-10 2021-11-3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921A KR102436106B1 (ko) 2017-11-10 2021-11-30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535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883B1 (ko) 2022-04-06 2022-09-29 김남수 조작 방지 및 식별성이 우수한 개폐밸브를 갖는 보일러
KR102449880B1 (ko) 2022-04-06 2022-09-29 김남수 관체 이음 구조를 개선한 보일러
KR20230164332A (ko) 2022-05-25 2023-12-04 강형석 개폐밸브의 잠금유지 및 식별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2449888B1 (ko) 2022-06-10 2022-09-29 김남수 식별형 커플러를 이용한 관체 이음형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63B1 (ko) * 1998-12-23 2002-04-06 김우련 가스보일러내의센서를이용한배관관로저항증가검출방법
KR100981295B1 (ko) * 2008-08-28 2010-09-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샌드 회수용 보일러 공급수 생산장치
KR100950093B1 (ko) * 2009-05-11 2010-03-26 염동섭 공급수의 여과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20120086780A (ko) * 2011-01-27 2012-08-06 안기장 열변형 문제를 개선한 오버히팅 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온수통
WO2012176325A1 (ja) * 2011-06-24 2012-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ケール除去方法及びスケール除去装置
KR101696695B1 (ko) * 2016-04-12 2017-01-16 윤영춘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106B1 (ko) 2022-08-25
KR20210149012A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106B1 (ko) 스케일 수집부가 구비된 보일러
CN100534571C (zh) 一体式循环净化净水器
US9664379B2 (en) Heat recovery apparatus and heat recovery system
CN103553158A (zh) 液体过滤器设备
KR200439241Y1 (ko) 정수기
KR100710875B1 (ko) 유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냉온수기
CN109196267A (zh) 喷嘴式蒸汽疏水阀
KR101564133B1 (ko) 정수기
CN106659989A (zh) 无动力管内混合装置及其操作方法以及水处理系统
JP6041433B2 (ja) 汚染物質処理装置
RU2004101611A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атрон для бытовой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821369B1 (ko) 안전차단 시스템을 구비하는 냉온수기
KR102462594B1 (ko)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CN206843225U (zh) 一种循环水物化处理装置
JP2009172535A (ja) 中和装置と中和装置を備える燃焼装置
JP6786872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JP2009113008A (ja) 流体発磁機、磁化流体供給機、磁気処理装置及び磁気処理方法
CN205917781U (zh) 一种水箱组件以及净饮机
CN205683674U (zh) 工业废水除渣用的新型真空抽滤的mvr前置保护装置
CN207928831U (zh) 固液过滤装置的残渣清理机构
KR910009020Y1 (ko) 난방 배관속의 불순물 제거 및 스케일 방지장치
CN209515611U (zh) 一种衬底清洗设备
CN208327586U (zh) 离心式水暖管道排气除污装置
KR101478775B1 (ko) 드레인 노브 장치
KR200274163Y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볼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