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524A -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524A
KR20190053524A KR1020170149499A KR20170149499A KR20190053524A KR 20190053524 A KR20190053524 A KR 20190053524A KR 1020170149499 A KR1020170149499 A KR 1020170149499A KR 20170149499 A KR20170149499 A KR 20170149499A KR 20190053524 A KR20190053524 A KR 2019005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height
plate
assembl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979B1 (ko
Inventor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조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기 filed Critical 조병기
Priority to KR102017014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9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건설용 조립부품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1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하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1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 그리고, 몸체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2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상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2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CONSTRUCTION PART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부품 없이 조립이 가능한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모듈러(modular) 건축물은 공장에서 구조체와 내외장재 및 설비 등의 마감을 설치한 박스형 모듈러 유닛을 공장에서 제작 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적층 조립하여, 완성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건축물은 대부분이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일반적인 건축방식에 비해 현장 기능인력 숙련도와 현장의 환경조건, 기후 변화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서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들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8983호에 기재된 종래의 모듈러 구조물과 모듈러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 및 도면 부호를 변경하였다.
도 1은 종래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유닛(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를 이용하여 조립시공한 모듈러 구조물(20)의 사시도와 모듈 접합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종래 모듈러 건축물은 건설용 조립부품(1)이 ㄷ채널이나 각형강관을 사용함으로써 건설용 조립부품(1)을 조립하여 바닥 구조체를 형성한 후에 건식 바닥판을 제작할 때 건설용 조립부품(1)의 형상으로 인해 바닥판 제작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 모듈러 건축물은 모듈러 유닛(10) 적층시 기본적으로 상하부 모듈의 기둥에서 체결하고 상부 모듈 바닥 건설용 조립부품(1)과 하부 모듈의 천정 건설용 조립부품(1)은 체결하지 않음으로써 상부 모듈 바닥하중은 상부 모듈의 바닥 건설용 조립부품(1)이 하중을 모두 지지하고 하부 모듈 천정 건설용 조립부품(1)은 단지 모듈 운송 및 양중시에 역할만 수행하며 조립후에는 구조적 역할은 수행하지 않으므로 부재활용이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종래 모듈러 건축물은 건설용 조립부품(1)이 엔드플레이트(2;end plate) 용접에 의해 접합이 되고, 기둥 끝단에 있는 상하부 엔드플레이트(2)를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된다.
그러나 이러한 엔드플레이트(2)를 이용한 체결방식은 기둥부재에 엔드플레이트(2)를 용접하여야 하므로 용접부 증가로 제작기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모듈러 유닛(10)의 장점인 분해 해체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건축하는 이축을 고려한 모듈 간 접합부가 필요하다. 나아가, 모듈러 구조물(20)의 경우 상·하부 유닛간의 기둥의 접합뿐만 아니라, 좌·우 유닛간의 건설용 조립부품(1)이 접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야 유닛간의 구조적 일체성이 높아져 결합력이 증대되는데 기존 모듈러 구조물(20)의 경우에는 상·하부 유닛만 체결함으로써 인접한 유닛의 건설용 조립부품(1) 사이의 결합력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덧붙여, 종래 모듈러 건축물은 운송시에 모듈에 특별한 장치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새롭게 외부 포장을 한 후에 운송하게 됨으로 인하여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모듈러 유닛(10)을 결합 할 때, 기둥, 보, 천정을 조립하고, 엔드플레이트(2)를 이용해 서로를 연결한다.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10)을 결합할 때, 엔드플레이트(2) 없이,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1)과 다른 건설용 조립부품(1)이 결합되어 기둥, 보, 천정 등으로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건설용 조립부품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1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하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1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 그리고, 몸체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2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상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2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와 벽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과 제1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그리고,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사이에 벽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 및 바닥재를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바닥재 주위에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구비하는 단계;그리고,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은 바닥재의 아래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모듈러 구조물과 모듈러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한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설용 조립부품(100)에 있어서, 건설용 조립부품(100)은 몸체(110),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상면(111)과 하면(113)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는 제1 연결면(131)와 제1 기둥면(133)를 포함하며, 제2 결합부(150)는 제2 연결면(151)와 제2 기둥면(15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면(131)는 몸체(110)의 상면(111)에서 연장되며, 제1 연결면(131)의 끝단에서 제1 기둥면(133)가 몸체(110)의 하면방향으로 높이(h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면(151)는 몸체(110)의 하면(113)에서 연장되며, 제2 연결면(151)의 끝단에서 제2 기둥면(153)가 몸체(110)의 상면방향으로 높이(h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몸체(110),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는 일정한 길이(l)를 가진다. 몸체(110)는 높이(h)를 포함하며, 제1 기둥면(133)의 높이(h1) 및 제2 기둥면(153)의 높이(h2)는 몸체(110)의 높이(h)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건설용 조립부품(100)은 여러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 후,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적층이 가능하다.
몸체(110)는 제1 측면(112)과 제2 측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면(131), 몸체(110)의 제1 측면(112) 및 제1 기둥면(133) 사이에는 제1 홈(135)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151), 몸체(110)의 제2 측면(114) 및 제2 기둥면(153) 사이에는 제2 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건설용 조립부품(100)을 도 3의 AA'와 같이 자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몸체(110)는 내부공간(115)을 가지며, 내부공간(115)을 통해 전선, 파이프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몸체(110)는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와 같은 두께(D)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0)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둥면(133) 및 제2 기둥면(153)의 높이(h2)는 몸체(110)의 높이(h)에서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의 두께(D)만큼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의 구조로 인해 조립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립 한 후 안정적으로 적층이 가능해진다.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0)와 제2 결합부(150)는 몸체(110)로부터 제1 기둥면(133) 및 제2 기둥면(153)까지의 너비를 포함한다. 몸체(110)와 제1 기둥면(133) 사이의 너비(W1), 몸체(110)와 제2 기둥면(153) 사이의 너비(W2) 및 몸체(110)의 너비(W)는 변경될 수 있다. 몸체(110)의 높이는 몸체(110)와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 사이의 너비와 같거나 적다. 일 예로 도 4에서는 W:W1:W2의 비율이 1:1:1로 형성된 예이다. 이 경우, 도 8과 같이 정사각형의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몸체(110)의 제1 측면(112)과 제1 기둥면(133) 및 제2 기둥면(153)이 평행하게 구비된다. 제1 결합부(130)와 제2 결합부(150)에는 복수의 홀(160)이 구비된다. 복수의 홀(160)을 통해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끼리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둥면(133)는 제1 연결면(131)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2 기둥면(153)는 제2 연결면(151)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기둥면(133)은 제1 연결면(131)과 90도 이하의 예각(a)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기둥면(153)는 제2 연결면(151)와 90도 이하의 예각(b)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연결면(131) 및 제2 연결면(151)와 예각(a,b)을 이루는 제1 기둥면(133)와 제2 기둥면(153)는 텐션을 가져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50)에 건설용 조립부품(100)을 끼울 때(참조 도 7), 건설용 조립부품(100)이 더 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재질은 텐션(tension)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기둥면(133)나 제2 기둥면(153)만 텐션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예각(a,b)은 같은 각도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2 결합부(150)와 다른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의 제2 결합부(230)가 겹치도록 조립한 일 예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두께의 기둥, 보 등에 사용할 때,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을 사용하여 기둥이나 보의 두께 등을 조립하여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두께나 모양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을 따로 갖추지 않고,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을 조립하여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예시는 마모가 심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부 마감재로도 쓰일 수 있으며, 하중이 큰 건축물의 슬라브 구조체인 테크 플레이트를 대신하여 슬라브 구조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하중에 대한 성과가 더 우수하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2 결합부(150)에 다른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이 구비된다. 이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은 다른 바닥이나 벽체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건설용 조립부품(100,200)의 제1 홈(135,203)에 벽이나 바닥재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래에 있는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1 결합부(130)에 다른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을 끼워 넣어 다른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이 기둥이 될 수 있고,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은 다른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200)을 고정하고,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고정한다. 본 예시는 벽체와 바닥의 연결 또는 벽체와 기둥의 연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한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2개의 건설용 조립부품(100,200)을 조립한 예이다. 볼트나 용접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으며,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1 연결면(131)과 건설용 조립부품(200)의 제2 연결면(251)을 부착한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예로써, 제1 홈(235)과 제2 홈(155)이 연결된 부분에는 제1 플레이트(41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이 더 단단해질 수 있다.
도 8(b)는 3개의 건설용 조립부품(100,200,300)을 조립한 예이다. 이를 통해 기둥을 만들 수 있다. 건설용 조립부품(100,200,300)이 맞닿는 부분을 볼트나 용접을 통해 이어 붙일 수 있다. 본 예시는 건축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의 큰 기둥에 사용할 수 있다.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1 연결면(131)과 건설용 조립부품(200)의 제2 연결면(251)이 부착되고, 건설용 조립부품(200)의 제1 연결면(231)과 건설용 조립부품(300)의 제2 연결면(351)이 부착됩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400,500)를 준비한다. 이후, 도 9(b)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400,500)를 'ㄷ'모양으로 구부려 제1 플레이트(410)와 제2 플레이트(510)를 형성한다. 이때, 프레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400,500)를 구부릴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10)는 마주보는 끝부(401)가 형성되고, 끝부(401) 사이에는 중심부(403)가 구비된다. 제2 플레이트(510)는 마주보는 끝부(501)가 형성되고, 끝부(501) 사이에는 지지부(503)가 구비된다. 이후, 도 9(c)와 같이 제1 플레이트(410)의 지지부(403)가 마주보고 겹치도록 두고, 제1 플레이트(410)의 끝부(401)가 제2 플레이트(510)의 지지부(503)에 위치하도록 둔다. 제1 플레이트(410)의 지지부(403)와 제2 플레이트(510)의 끝부(501)가 결합되고, 제2 플레이트(510)의 중심부(503)와 제1 플레이트(410)의 끝부(401)가 결합된다. 일 예로 제1 플레이트(410)과 제2 플레이트(510)가 결합 후 고정하는 방법은 용접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건설용 조립부품(100)은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알루미늄 사출을 통해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간단한 설치물의 구조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알루미늄 사출을 통하여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간단한 설치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칸막이, 붙박이장, 싱크대, 고정형 책상 및 침대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벽체(600)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도 10(a)와 같이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 제1 플레이트(410)와 벽(610)을 준비한다. 벽(600)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벽(600)은 내장재 일 수 도 있고, 외벽일 수 도 있으며, 내장재와 외벽일 수 있다. 이후, 도 10(b)와 같이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과 제1 플레이트(410)를 조립한다. 일 예로, 건설용 조립부품(100)은 제1 홈(135)에 건설용 조립부품(200)의 제2 결합부(250)가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결합되고,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2 결합부(150)에 제1 플레이트(4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설용 조립부품(200)의 제1 결합부(130)에 제1 플레이트(4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410) 뒷면에 제1 플레이트(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건설용 조립부품(300)의 제1 홈(335)와 건설용 조립부품(400)의 제2 홈(455)이 마주보도록 부착될 수 있다.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의 제1 기둥면(330,430)면 제2 기둥면(350,450)에 제1 플레이트(410)가 부착될 수 있다. 이후, 도 10(c)와 같이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사이에 벽(610)을 구비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닥(700)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도 11(a)와 같이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200,300), 제1 플레이트(410) 및 바닥재(710)를 준비한다. 이후, 도 11(b)와 같이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100,200,300), 제1 플레이트(410)를 조립한다. 건설용 조립부품(100)과 건설용 조립부품(200)은 도 8(a)와 같이 만들고, 건설용 조립부품(300)의 제2 결합부(350)를 건설용 조립부품(100)의 제2 결합부(150)와 고정시킨다. 이후, 도 11(c)와 같이 바닥재(710) 주위에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구비한다. 이때,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은 바닥재(710)의 아래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바닥재(710) 주위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건설용 조립부품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1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하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1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 그리고, 몸체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2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상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2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
(2)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건설용 조립부품.
(3) 제1 기둥면은 제1 연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2 기둥면은 제2 연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건설용 조립부품.
(4) 몸체의 단면은 사각형인 건설용 조립부품.
(5)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의 높이는 몸체의 높이보다 짧은 건설용 조립부품.
(6)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의 높이는 몸체의 높이보다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의 두께만큼 짧은 건설용 조립부품.
(7)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몸체로부터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까지 너비를 포함하며, 몸체의 높이는 몸체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너비보다 같거나 짧은 건설용 조립부품.
(8) 몸체의 측면과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이 평행하게 구비되는 건설용 조립부품.
(9)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와 벽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과 제1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그리고,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사이에 벽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을 시공하는 방법.
(10)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 및 바닥재를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바닥재 주위에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구비하는 단계;그리고,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은 바닥재의 아래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건물을 건축 할 때, 건설용 조립부품 만으로 보, 기둥, 벽을 조립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조립하여 만들어진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은 축 방향 응력, 휨 응력, 전단응력, 비틀림 응력 등 힘과 변형에 탁월한 일체형 구조체로서 우수한 탄성과 견고성이 있으며 그로 인해 내진성이 더욱 향상된다.
100: 조립부품 110: 몸체 130:제1 결합부 131: 제1 연결면
150: 제2 결합부 151: 제2 연결면

Claims (10)

  1. 건설용 조립부품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1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하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1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 그리고,
    몸체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며, 제2 연결면의 끝단으로부터 몸체의 상면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제2 기둥면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건설용 조립부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기둥면은 제1 연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제2 기둥면은 제2 연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건설용 조립부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의 단면은 사각형인 건설용 조립부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의 높이는 몸체의 높이보다 짧은 건설용 조립부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의 높이는 몸체의 높이보다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의 두께만큼 짧은 건설용 조립부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몸체로부터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까지 너비를 포함하며,
    몸체의 높이는 몸체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너비보다 같거나 짧은 건설용 조립부품.
  8.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의 측면과 제1 기둥면 및 제2 기둥면이 평행하게 구비되는 건설용 조립부품.
  9.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와 벽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과 제1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그리고,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사이에 벽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벽을 시공하는 방법.
  10.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 및 바닥재를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 제1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바닥재 주위에 조립된 복수의 건설용 조립부품을 구비하는 단계;그리고,
    조립된 건설용 조립부품은 바닥재의 아래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용 조립부품을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70149499A 2017-11-10 2017-11-10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KR102037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99A KR102037979B1 (ko) 2017-11-10 2017-11-10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99A KR102037979B1 (ko) 2017-11-10 2017-11-10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24A true KR20190053524A (ko) 2019-05-20
KR102037979B1 KR102037979B1 (ko) 2019-10-29

Family

ID=6667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99A KR102037979B1 (ko) 2017-11-10 2017-11-10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9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677A (ja) * 1996-03-29 1997-10-14 Chichibu Onoda Cement Corp 鋼製間柱及び間仕切壁の構造
KR20050098110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케이스틸 철골주차장바닥 누수방지 구조 및 바닥 시공방법
KR20090067931A (ko)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KR20130044574A (ko) * 2011-10-24 2013-05-03 오연수 조립식 건축의 단위유닛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건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677A (ja) * 1996-03-29 1997-10-14 Chichibu Onoda Cement Corp 鋼製間柱及び間仕切壁の構造
KR20050098110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케이스틸 철골주차장바닥 누수방지 구조 및 바닥 시공방법
KR20090067931A (ko)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KR20130044574A (ko) * 2011-10-24 2013-05-03 오연수 조립식 건축의 단위유닛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979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411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둥 및 보의 접합구조
KR101409793B1 (ko) 유닛구조체용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철골구조물
KR101663135B1 (ko) 강재 절감형 h형 철골거더
KR101278983B1 (ko)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모듈러 구조물
KR20150005512A (ko) 모듈형 건설 시스템
KR101520732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KR101389386B1 (ko)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KR101409229B1 (ko)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1125967B1 (ko) 구조물 접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KR20130036486A (ko)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간 접합 구조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0963580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KR102037979B1 (ko)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KR100963586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0963587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JP2009057716A (ja)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090093599A (ko) 무거푸집 기둥과 슬림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63583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JP6739175B2 (ja) 建物の構造材と面材の接合構造
KR101409221B1 (ko)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철골구조물
JP6288950B2 (ja)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
KR100963585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