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317A -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317A
KR20190053317A KR1020170148707A KR20170148707A KR20190053317A KR 20190053317 A KR20190053317 A KR 20190053317A KR 1020170148707 A KR1020170148707 A KR 1020170148707A KR 20170148707 A KR20170148707 A KR 20170148707A KR 20190053317 A KR20190053317 A KR 2019005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oil mist
cooling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230B1 (ko
Inventor
김영수
김미애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주)진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합 filed Critical (주)진합
Priority to KR102017014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기 또는 가공기에서 사용되는 절단유 또는 가공유의 오일 미스트를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미리 회수하여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필터 수명을 증가시키고, 교체시기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여 쉽게 필터를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물을 절단기 및 가공기로 절단 또는 가공할 때 윤활 및 냉각 역할을 하는 절삭유가 증발되는 오일 미스트를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포집되는 오일 미스트가 상승되어 배기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내벽면에 상측 방향으로 다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오일 미스트가 응축되어 배기부의 내벽면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부; 상기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회수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를 통해 회수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부; 상기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냉각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를 통해 냉각되는 오일 미스트가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필터부; 상시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제1 필터부 상측에 형성되어 제1 필터부에서 제거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 상기 배기부의 상측단에 형성되며, 제2 필터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 및 상기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에 설치되는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체를 통해 필터의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며, 상기 배출팬 및 냉각부와 연결되는 냉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oil mist for cutting and machining devices}
본 발명은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기 또는 가공기에서 사용되는 절단유 또는 가공유의 오일 미스트를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미리 회수하여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필터 수명을 증가시키고, 교체시기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여 쉽게 필터를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일 미스트 회수 및 처리기술에는 여과집진 방식, 습식 세정기, 원심력을 이용하는 싸이클론, 그리고 전기집진 방식이 있으며, 이중에서 오일 미스트 제거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유리섬유 재질의 필터를 이용한 여과집진 기술이며, 이는 초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눈막힘 현상으로 쉽게 압력강하가 증가하게 되고, 에너지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필터 교체가 빈번하여 장시간 운영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필터의 오염 등으로 인하여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여 필터 교체에 소요되는 유지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싸이클론 방식의 기본 원리는 송풍기에 의해서 흡입구로 들어간 오일 미스트를 모터가 부착된 회전 드럼에 충돌시켜 원심력에 의해서 오일과 공기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전처리 필터나 후처리 필터를 부착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미세한 오일 미스트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선행특허 1은 상기 배기가스로부터 유입된 분진 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고전압에 의해 코로나 방전으로 상기 분진 입자를 하전시킨 후, 상기 하전된 분진 입자가 여과포에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 1은 하전된 분진을 여과포로 수집하는 구성이므로 하전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고, 눈막힘 현상으로 쉽게 압력강하가 증가하게 되며, 여과포의 잦은 교체에 따른 유지 및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2는 절삭, 연삭 및 세정 등의 각종 윤활유나 오일 성분을 사용하는 사업장에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깨끗한 공기로 정화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오일 미스트와 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 제거할 수 있도록 입자하전부에서는 코로나 방전전극에 직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으로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서 방전전극을 통과하는 미세한 오일 미스트 및 먼지를 하전시키고, 하전 시에 전압을 제어하여 흡입되는 미세한 오일 미스트 입자의 유전계수 및 재질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하로 하전시키며, 상기 (-)전하로 하전된 미세한 오일 미스트와 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 제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저 전류의 (+)로 하전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하전이 가능한 가느다란 금속 실로 제작된 금속섬유상 공간정전필터를 이용한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방전전극에 가해지는 코로나 방전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집기 벽면을 절연처리 해야 하므로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하를 인가하는 공급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어 전극에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오일 미스트의 포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74238호(1999년07월30일) 선행특허 2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0199호(2009년03월17일)
본 발명은 절단기 또는 가공기에서 사용되는 절단유 또는 가공유의 오일 미스트를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미리 회수하여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필터 수명을 증가시키고, 교체시기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여 쉽게 필터를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는, 대상물을 절단기 및 가공기로 절단 또는 가공할 때 윤활 및 냉각 역할을 하는 절삭유가 증발되는 오일 미스트를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포집되는 오일 미스트가 상승되어 배기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내벽면에 상측 방향으로 다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오일 미스트가 응축되어 배기부의 내벽면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부; 상기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회수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를 통해 회수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부; 상기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냉각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를 통해 냉각되는 오일 미스트가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필터부; 상시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제1 필터부 상측에 형성되어 제1 필터부에서 제거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 상기 배기부의 상측단에 형성되며, 제2 필터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 및 상기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에 설치되는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체를 통해 필터의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며, 상기 배출팬 및 냉각부와 연결되는 냉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수부는 다수의 판이 교차 적층되는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 층의 판이 일측 또는 타측이 배기부의 내벽면에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오일 미스트가 상승되며 판에 부딪혀 오일이 응축되도록 하고, 응축된 오일이 배기부의 벽면으로 유동되어 배기부 벽면에 형성된 회수구를 통해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부는 배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에서 회수되지 않는 오일 미스트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며, 외부의 냉각장치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로 냉각되는 냉각체가 형성되어 냉각부 내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체에 직접 접촉되거나 냉각되는 주변 공기를 통해 오일 미스트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체는 냉각 코일, 냉각판 또는 냉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부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에 설치되는 센서체를 통해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체는 오일 미스트가 포함된 공기 유동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필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또는 오일량을 감지하는 오일 감지센서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센서체의 감지값을 통해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필터 상태 및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센서체의 감지값을 통해 배출팬 및 냉각부와 연결되는 냉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단과정 또는 가공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주입되는 절단 또는 가공유의 오일 미스트를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대부분 회수하여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필터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 형상의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빠른 시간에 오일 미스트를 응축시키므로 대기로 오일이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의 회수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의 냉각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절단기(1) 및 가공기(1)로 절단 또는 가공할 때 윤활 및 냉각 역할을 하는 절삭유가 증발되는 오일 미스트(2)를 포집하는 포집부(20); 상기 포집부(20)의 상측에 형성되어 포집되는 오일 미스트(2)가 상승되어 배기되는 배기부(10); 상기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내벽면에 상측 방향으로 다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2)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배기부(10)의 내벽면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부(30); 상기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30)를 통해 회수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부(40); 상기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냉각부(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40)를 통해 냉각되는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필터부(50); 상시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제1 필터부(50) 상측에 형성되어 제1 필터부(50)에서 제거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2)를 필터(p)링하는 제2 필터부(60); 상기 배기부(10)의 상측단에 형성되며, 제2 필터부(60)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2)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70) 및 상기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에 설치되는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체(s)를 통해 필터(p)의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며, 상기 배출팬(70) 및 냉각부(40)와 연결되는 냉각장치(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부(30)는 다수의 판(31)이 교차 적층되는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 층의 판(31)이 일측 또는 타측이 배기부(10)의 내벽면에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오일 미스트(2)가 상승되며 판(31)에 부딪혀 오일이 응축되도록 하고, 응축된 오일이 배기부(10)의 벽면으로 유동되어 배기부(10) 벽면에 형성된 회수구(11)를 통해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부(40)는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30)에서 회수되지 않는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며, 외부의 냉각장치(90)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로 냉각되는 냉각체(41)가 형성되어 냉각부(40) 내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체(41)에 직접 접촉되거나 냉각되는 주변 공기를 통해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체(41)는 냉각 코일, 냉각판(31) 또는 냉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부(4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에 설치되는 센서체(s)를 통해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체(s)는 오일 미스트(2)가 포함된 공기 유동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필터(p)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또는 오일량을 감지하는 오일 감지센서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센서체(s)의 감지값을 통해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필터(p) 상태 및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센서체(s)의 감지값을 통해 배출팬(70) 및 냉각부(40)와 연결되는 냉각장치(9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윤활 및 냉각 역할을 하는 절삭유가 증발되는 오일 미스트(2)를 포집하는 포집부(20), 오일 미스트(2)가 상승되어 배기되는 배기부(10),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내벽면에 상측 방향으로 다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2)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배기부(10)의 내벽면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부(30),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30)를 통해 회수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부(40),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30)를 통해 회수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부(40), 냉각부(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40)를 통해 냉각되는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필터부(50), 제1 필터부(50) 상측에 형성되어 제1 필터부(50)에서 제거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2)를 필터(p)링하는 제2 필터부(60), 제2 필터부(60)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2)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70) 및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에 설치되는 센서체(s)를 통해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필터(p) 상태를 감지한 감지값을 통해 필터(p)의 상태를 표시하며, 배출팬(70) 및 냉각부(40)와 연결되는 냉각장치(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기(1) 또는 가공기(1)를 통해 대상물이 절단 또는 가공될 때 발생되는 마찰에 대해 윤활 작용을 하도록 절단유 또는 가공유를 공급하게된다.
이때, 상기 절단기(1) 또는 가공기(1)와 대상물이 마찰되는 부위에서 열이 발생되는데 이로 인해 절삭유 또는 가공유가 증발되어 오일 미스트(2)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절단기(1) 또는 가공기(1)의 상측에 형성되는 포집부(20)에서 오일 미스트(2)를 포집하여 배기부(10)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포집부(20)는 하부가 넓은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배기부(10)와 결합된다.
상기 포집부(20)를 통해 포집되는 오일 미스트(2)는 가열된 상태이므로 배기부(10)를 통해 상측으로 상승된다.
상기 배기부(10)에는 상승되는 오일 미스트(2)를 제거하여 공기만 배출하여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회수부(30), 냉각부(40),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가 구성된다.
상기 회수부(30)는 배기부(10)의 하측 내측벽면에 형성되어 상승되는 오일 미스트(2)의 흐름을 방해하여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도록 한다.
상기 회수부(30)는 배기부(10)의 내벽면에 일측 또는 타측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배기부(10)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판(31)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판(31)이 교차되도록 배기부(10)의 내벽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판(31)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교차되는 공간 간을 통해 오일 미스트(2)가 지그재그로 유동될 수 있도록 배기부(10)의 일측에 결합된 판(31)은 타측에 오일 미스트(2)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 벽면에 형성되는 판(31)은 이와 대응되는 태로 일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오일 미스트(2)가 지그재그로 유동되며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오일 미스트(2)는 판(31)에 부딪히며 응축되어 판(31)을 따라 배기부(10)의 벽면에 형성되는 회수구(11)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회수로를 통해 회수기로 유입된다.
상기 판(31)은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회수구(11)로 쉽게 유동될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판(31)의 하측면에서 응축되거나 상측면에서 응축되는 오일 미스트(2)가 판(31)을 따라 흘러 회수구(11) 측으로 쉽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수구(11)를 통해 회수되는 응축된 오일은 회수구(11)에 연결되는 회수로를 통해 회수장치(10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상기 판(31)에는 외부의 냉각장치(90)가 연결되어 판(31)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판(31)에 응축되는 오일 미스트(2)의 양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고, 오일 미스트(2)의 온도로 인해 판(31)이 가열되어 오일 미스트(2)가 정상적으로 응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부(40)는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온도로 인해 회수부(30)를 통해 미처 회수되지 못하는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기 쉽도록 하고, 냉각부(40)로 인해 냉각되는 오일 미스트(2)가 회수부(30)로 낙하되어 회수구(11)를 통해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냉각부(40)는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체(41)가 형성되며, 이 냉각체(41)는 냉각핀, 냉각판(31) 또는 냉각코일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냉각체(41)로 인해 오일 미스트(2)가 체에 직접 접촉 또는 냉각체(41)의 주변 공간의 공기가 냉각되면 오일 미스트(2)가 응축 하락되어 회수부(30)로 낙하된다.
상기 냉각부(40)의 냉각체(41)를 통과하여 냉각되었으나 충분히 냉각되지 못해 상승되는 오일 미스트(2)는 제1 필터부(50)의 필터(p)를 통해 1차로 필터(p)링 된다.
상기 제1 필터부(50)는 오일 미스트(2)를 필터(p)링하며, 오일이 적체되어 필터(p)의 성능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중의 그물 형상 또는 다중의 격자 형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데미스터필터(p), 헤파필터(p) 또는 안드레아필터(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50)의 상측에는 제2 필터부(60)가 형성되며, 제1 필터부(50)에서 미처 회수되지 못하는 오일 미스트(2)가 상승되면 제2 필터부(60)가 필터(p)링 하게 된다.
상기 제2 필터부(60)의 필터(p)는 오일 미스트(2)를 흡수하여 오일 미스트(2)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필터부(60)의 필터(p)는 마이크로 필터(p), 헤파 마이크로필터(p) 또는 카트리지 필터(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60) 상측에는 오일 미스트(2)가 모두 필터(p)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7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팬(70)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팬(70), 냉각장치(90)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며,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필터(p) 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전압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입력체 및 표시체를 구비하며, 제1 필터부(50)와 제2 필터부(60)에 설치되는 센서체(s)를 통해 필터(p)의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체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상기 센서체(s)는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전원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필터(p)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입력체는 외부에서 관리자가 설정값 등의 입력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표시체는 제어부(80)에서 전송되는 표시값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제1 필터부(50)와 제2 필터부(60)의 필터(p) 상태를 감지할 때에는 오일 미스트(2)가 포함된 공기가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필터(p)를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다음의 공기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이렇게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된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 압력 감지값으로 초기에 감지되어 제어부(80)에 저장된 초기값과 비교하여 필터(p)의 전후 압력 값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필터(p)를 교체를 할 수 있도록 제어부(80)의 표시체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전압센서를 통해 제1 필터부(50)와 제2 필터부(60)의 상태를 감지할 때에는 필터(p)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를 연결하여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뒤 필터(p)에 설치되는 전압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값과, 제어부(80)에 저장되는 제1 필터부(50)와 제2 필터부(60)의 필터(p)에 인가되어 측정되는 전압의 초기값을 비교하여 감지되는 전압이 제어부(80)에 설정되는 설정값 이하로 감지되면 필터(p)의 교체를 표시체를 통해 알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압력센서 또는 전압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배출팬(70) 및 냉각부(40)와 연결되는 냉각장치(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압력센서 또는 전압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배출팬(70)의 속도 또는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냉각장치(90)의 온도 또는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50)와 제2 필터부(60)의 필터(p)에 설치되는 센서체(s)는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오일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오일 감지센서는 필터(p)에 잔존하는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처음 사용되는 초기값이 제어부(80)에 저장된 상태로 필터(p)의 사용중 감지되는 감지값과 초기값을 제어부(80)에서 비교하여 설정되는 설정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표시체를 통해 필터(p)를 교체하도록 표시한다.
상기 압력센서, 전압센서 및 오일 감지센에서 감지되는 감지값을 통해 제어부(80)에서는 각 감지값의 변화에 따른 현재 필터(p)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표시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절단과정 또는 가공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주입되는 절단 또는 가공유의 오일 미스트를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대부분 회수하여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의 필터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 형상의 회수부와 냉각부를 통해 빠른 시간에 오일 미스트를 응축시키므로 대기로 오일이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절단기, 가공기 2 : 오일 미스트
10 : 배기부 11 : 회수구
20 : 포집부
30 : 회수부 31 : 판
40 : 냉각부 41 : 냉각체
50 : 제1 필터부 60 : 제2 필터부
p : 필터 s : 센서체
70 : 배출팬 80 : 제어부
90 : 냉각장치 100 : 회수장치

Claims (5)

  1. 대상물을 절단기(1) 및 가공기(1)로 절단 또는 가공할 때 윤활 및 냉각 역할을 하는 절삭유가 증발되는 오일 미스트(2)를 포집하는 포집부(20);
    상기 포집부(20)의 상측에 형성되어 포집되는 오일 미스트(2)가 상승되어 배기되는 배기부(10);
    상기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내벽면에 상측 방향으로 다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2)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배기부(10)의 내벽면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부(30);
    상기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30)를 통해 회수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부(40);
    상기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냉각부(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40)를 통해 냉각되는 오일 미스트(2)가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필터부(50);
    상시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제1 필터부(50) 상측에 형성되어 제1 필터부(50)에서 제거되지 못한 오일 미스트(2)를 필터(p)링하는 제2 필터부(60);
    상기 배기부(10)의 상측단에 형성되며, 제2 필터부(60)의 상측에 형성되어 오일 미스트(2)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70) 및
    상기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에 설치되는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체(s)를 통해 필터(p)의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며, 상기 배출팬(70) 및 냉각부(40)와 연결되는 냉각장치(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30)는 다수의 판(31)이 교차 적층되는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 층의 판(31)이 일측 또는 타측이 배기부(10)의 내벽면에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오일 미스트(2)가 상승되며 판(31)에 부딪혀 오일이 응축되도록 하고, 응축된 오일이 배기부(10)의 벽면으로 유동되어 배기부(10) 벽면에 형성된 회수구(11)를 통해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40)는 배기부(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수부(30)에서 회수되지 않는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며, 외부의 냉각장치(90)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로 냉각되는 냉각체(41)가 형성되어 냉각부(40) 내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체(41)에 직접 접촉되거나 냉각되는 주변 공기를 통해 오일 미스트(2)를 냉각시켜 응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체(41)는 냉각 코일, 냉각판(31) 또는 냉각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부(4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에 설치되는 센서체(s)를 통해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체(s)는 오일 미스트(2)가 포함된 공기 유동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필터(p)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또는 오일량을 감지하는 오일 감지센서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센서체(s)의 감지값을 통해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의 필터(p) 상태 및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센서체(s)의 감지값을 통해 배출팬(70) 및 냉각부(40)와 연결되는 냉각장치(9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KR1020170148707A 2017-11-09 2017-11-09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KR10199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707A KR101995230B1 (ko) 2017-11-09 2017-11-09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707A KR101995230B1 (ko) 2017-11-09 2017-11-09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317A true KR20190053317A (ko) 2019-05-20
KR101995230B1 KR101995230B1 (ko) 2019-07-02

Family

ID=6667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707A KR101995230B1 (ko) 2017-11-09 2017-11-09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2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43B1 (ko) * 2019-12-19 2021-02-04 김상환 주방용 후드의 유증기 여과장치
JP6836674B1 (ja) * 2020-05-11 2021-03-03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
KR102367590B1 (ko) * 2021-05-14 2022-02-24 성원해 발효조용 분진 제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203B2 (ja) * 1988-07-22 1998-08-13 東京計装株式会社 凝縮性成分及びミストを含むガスの流量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74238A (ko) 1997-03-22 1998-11-05 이달우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정전여과포 집진방법 및 그 장치
KR100890199B1 (ko) 2007-06-27 2009-03-25 주식회사 애니텍 예비하전과 금속 섬유층을 이용한 미세오일미스트정전포집장치
KR20090075359A (ko) * 2008-01-04 2009-07-08 센싸타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에어필터의 막힘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17823A (ja) * 2008-07-11 2010-01-28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JP2011214475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吸気冷却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203B2 (ja) * 1988-07-22 1998-08-13 東京計装株式会社 凝縮性成分及びミストを含むガスの流量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74238A (ko) 1997-03-22 1998-11-05 이달우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정전여과포 집진방법 및 그 장치
KR100890199B1 (ko) 2007-06-27 2009-03-25 주식회사 애니텍 예비하전과 금속 섬유층을 이용한 미세오일미스트정전포집장치
KR20090075359A (ko) * 2008-01-04 2009-07-08 센싸타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에어필터의 막힘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17823A (ja) * 2008-07-11 2010-01-28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JP2011214475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吸気冷却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43B1 (ko) * 2019-12-19 2021-02-04 김상환 주방용 후드의 유증기 여과장치
JP6836674B1 (ja) * 2020-05-11 2021-03-03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
KR102367590B1 (ko) * 2021-05-14 2022-02-24 성원해 발효조용 분진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230B1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230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직 상향 유동식 절단 및 가공 장치용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JP5545559B1 (ja) 居室換気用電気集塵機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換気システム
CN100571882C (zh) 电除尘器
CN102985151B (zh) 用于清洁过滤器的方法和装置
KR101577340B1 (ko) 복합형 집진 장치
CN206285672U (zh) 离心式油雾排放收集器
CN104587785B (zh) 一种立式除尘器
KR101486887B1 (ko) 오일 미스트 처리장치
JP2009279496A (ja)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械加工システム
KR20180007265A (ko) 미스트 제거장치
KR102219778B1 (ko) 자동세척형 전기집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기
CN205032048U (zh) 三级过滤式油雾分离装置
KR101310818B1 (ko)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JP4704323B2 (ja) 電気集塵器、及び電気集塵器の乾燥制御方法
KR101140287B1 (ko) 오일 흄 포집 장치
KR101508175B1 (ko) 자동 공작기계의 집진장치
KR100344758B1 (ko)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KR100981584B1 (ko) 오일미스트의 포집장치
EP34197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ccupational hygiene in machine tool environment
KR100417769B1 (ko) 폐윤활유속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물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1742A (ko)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JP5009828B2 (ja) オイルミスト除去機能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160088703A (ko) 복합형 집진 장치
KR101494092B1 (ko) 집진기의 안전설치구조
CN219441153U (zh) 一种环境保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