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943A -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943A
KR20190052943A KR1020170148826A KR20170148826A KR20190052943A KR 20190052943 A KR20190052943 A KR 20190052943A KR 1020170148826 A KR1020170148826 A KR 1020170148826A KR 20170148826 A KR20170148826 A KR 20170148826A KR 20190052943 A KR20190052943 A KR 20190052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panel
support plate
insertion port
ex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030B1 (ko
Inventor
송도근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패널 특히 합성수지제 거푸집의 패널과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8~12cm의 가로폭(w1)과 5~10cm의 세로폭(w2)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ㄷ’형상의 지지판(120)과; 상기 몸체(110)의 측벽(130, 140)에 형성되며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150)와; 상기 연결핀삽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160)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의 터진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이 삽입되는, ‘H’형상의 지지판(170)과; 상기 ‘H’형상의 지지판(170)의 상부 및 하부에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홈부(171, 1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A panel of concrete form and concrete form assembly using 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패널 특히 합성수지제 거푸집의 패널과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거푸집은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견고성과 표면의 미려함으로 인하여 금속으로 제조되는 일이 흔하다. 이와 같은 금속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평판벽재와 모서리부재로 구성되어, 평판벽재는 벽면의 중앙부를 형성시키게 하며, 모서리부재는 평판벽재와 평판벽재 사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의 모서리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을 금속판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하중이 크게 증가하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리하여 거푸집의 재질에 대하여 이를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시킨다던지 사출 성형시키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그러나,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한 거푸집패널은 이웃 패널과의 연결구조 체택 필요성으로 인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견고성이 부족하고 또 제조 자체가 곤란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거푸집패널은 모서리부재와는 달리 콘크리트의 압을 평면으로 받기 때문에 견고하지 못한 패널은 거푸집이 파열되는 사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997-0002838호 ‘보수가 용이한 복합거푸집판넬’은 콘크리트 타설공사시 콘크리트와 맞닿는 면에는 얇은 합성수지로 된 시이트가 위치되고 그 이면부는 형틀재들로 보강지지시킨 복합거푸집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부재들간의 분해 및 제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전용된 거푸집판넬의 각 부재가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을 시 이의 고체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보수가 용이한 복합거푸집판넬에 관한 것이다. 제1997-0002838호는 콘크리트 타설공사시 그 정면이 콘크리트에 맞닿는 판상의 합성수지제 시이트부(30)와 세워진 평철판(21)들이 가로와 세로로 엇갈리면서 열결되어 그 일측면이 상기 시이트부(30)의 배면전체면적에 걸치는 격자형틀체부(20)와, 상기 시이트부(30)와 대응되는 크기의 4각형틀로 틀조립되어 상기 격자형틀 체부(20)의 타측면에 그 정면이 위치되는 골조부(10)를 포함하는 복합거푸집판넬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부(30)에는 그 소정의 위치마다 볼트결합구멍(39)들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골조부(10)에는 상기 시이트부(30)의 볼트결합구멍(39)들과 상응하는 위치마다 너트결합구멍(19)들이 다수개 형성되어서, 상기 격자형틀체부(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결합구멍(39)들 및 너트결합구멍(19)들에 볼트(41), 너트(42)들을 끼워서 체결시키는 결합수단(40)을 통하여, 상기 시이트부(30)와 격자형틀체부(20) 및 골조부(10)가 일체로 조립되는 복합거푸집판넬을 개시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5598호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는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거푸집판넬의 주연부에 구성된 연결후레임을 서로 맞대어 다수의 거푸집판넬끼리 서로 연결시켜 조립작업을 하되 일측 연결후레임에 결착너트가 부착되고 타측의 연결후레임에 조립볼트 이탈방지관을 부착한 구성으로 거푸집판넬에 구비된 조립볼트와 결착너트에 의해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작업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0-0415598호는 연결후레임(12)이 부착된 거푸집판넬(10)을 서로 맞댄 다음 양측 연결후레임(12)(12')을 조립볼트(30)와 결착너트(20)에 의해 결착고정하여 거푸집판넬을 평면상으로 연결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착너트(20)는 장착판(26)에 일체로 부착하여 고정볼트(28)로 일측 연결후레임(12)의 결합구멍(12a)외측에 결착너트(20)가 고정설치되게 한 구성과, 상기 조립볼트(30)는 머리부(39)내측에 연장단부(36)와 밀착부(32)를 구비하여 그 사이에 걸림단턱(38)을 형성한 다음 받침단턱(42)을 구비한 이탈방지관(40)내에 조립볼트(30)가 좌우이동되게 삽지하고 이탈방지관(40)은 장착판(44)에 일체로 부착하여 고정볼트(46)로 타측 연결후레임(12')의 결합구멍(12a)에 조립볼트(30)가 끼워져서 나사결합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를 개시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997-0002838호 ‘보수가 용이한 복합거푸집판넬’공고일자 1997년04월02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5598호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 공고일자 2006년05월04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여, 거푸집을 경량화시켜 시공의 용이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또한, 거푸집패널의 가로폭을 8~12cm로 작게 설정하여 타설될 벽체의 길이에 적합한 거푸집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거푸집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8~12cm의 가로폭(w1)과 5~10cm의 세로폭(w2)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ㄷ’형상의 지지판(120)과; 상기 몸체(110)의 측벽(130, 140)에 형성되며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150)와; 상기 연결핀삽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160)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의 터진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이 삽입되는, ‘H’형상의 지지판(170)과; 상기 ‘H’형상의 지지판(170)의 상부 및 하부에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홈부(171, 1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여, 거푸집을 경량화시켜 시공의 용이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또한, 거푸집패널의 가로폭을 8~12cm로 작게 설정하여 적용되는 거푸집패널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타설될 벽체의 길이에 적합한 거푸집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금속제 거푸집은 표면의 미려함 및 거푸집의 견고성의 관점에서 우수하지만 매우 무거워 시공이 불편하며, 비용 또한 다대한 단점이 있다. 목재 거푸집은 금속거푸집보다는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표면이 거칠고 불균일할 수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체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거푸집패널과 거푸집모서리부재 및 거푸집 연장부재를 프라스틱 단위체들로 하여 조립함으로써 거푸집의 시공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거푸집패널의 폭은 8~12cm로 작게 설정됨에 따라 타설될 콘크리트 벽체의 폭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거푸집패널을 적용하여 타설될 콘크리트 벽체에 대응되는 적합한 거푸집의 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거푸집패널은 일반적인 연결핀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철제 거푸집의 부족한 간격을 메워주는 필러로써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거푸집패널의 사시도이다.
도2는 거푸집 모서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은 거푸집 모서리부재와 거푸집부재의 결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거푸집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8~12cm의 가로폭(w1)과 5~10cm의 세로폭(w2)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ㄷ’형상의 지지판(120)과;
상기 몸체(110)의 측벽(130, 140)에 형성되며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150)와;
상기 연결핀삽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160)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의 터진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이 삽입되는, ‘H’형상의 지지판(170)과;
상기 ‘H’형상의 지지판(170)의 상부 및 하부에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홈부(171, 1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거푸집패널 제조에 적용되는 합성수지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페놀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패널은 8~12cm의 가로폭(w1)과 5~10cm의 세로폭(w2)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110)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거푸집패널을 조합하여 콘트리트 벽체에 대응되는 요구되는 길이의 거푸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는 연결핀삽입구(150)를 통해 거푸집패널 내로 삽입된 연결핀(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ㄷ’형상의 지지판(120)은 거푸집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타설시 큰 압력을 받기 때문에 합성수지만으로 형성된 거푸집패널에 있어서 내구성이 중요한 요건이기 때문이다. 연결핀(300)의 체결을 위한 망치질 등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가운데가 비어있는 ‘ㄷ’형상을 적용하였다.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150)의 외면에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160)가 형성되어 거푸집 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타설될 콘크리트벽체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거푸집이격판(프레타이(flat_tie))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거푸집이격판 역시 연결핀(300)에 의해 같이 체결되게 된다.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이 삽입되는, ‘H’형상의 지지판(170)은 높이방향으로 확장하기 위한 연장부재(200)를 삽입하기 위한 구조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망치질 등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작업홈부(171, 172)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거푸집패널의 하단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지지판(180)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거푸집모서리부재(400)와 거푸집패널(100)을 포함하는 거푸집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거푸집패널(100)과;
상기 거푸집모서리부재(400)는 사각기둥의 몸체(410)와,
상기 사각기둥 몸체(4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는 대각선지지벽(420)과,
상기 대각선지지벽(420)에 망치작업을 위해 형성된 개구부(421)와,
상기 사각기둥의 몸체(4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연결핀삽입구(411)를 포함하고,
거푸집패널(100)들은 요구되는 길이에 맞추어 거푸집패널의 개수가 선택되고, 각 거푸집패널(100)의 각각의 연결핀삽입구(150)에 연결핀(300)이 삽입됨으로써 거푸집패널(100)들이 상호 체결되며,
체결된 다수의 거푸집패널(100) 들의 양 말단 거푸집패널(100)의 측면에 상기 거푸집모서리부재(400)가 연결핀(30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각 거푸집패널(100)의 상단에 연장부재(200)가 삽입설치된다. 상기 연장부재(200)는 상기 거푸집패널(100)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하단에 연결부(2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재(20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8~12cm의 가로폭(w3)과 5~10cm의 세로폭(w4)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210)와;
거푸집패널(100) 또는 다른 연장부재(200)와 체결되기 위하여 몸체(2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체결부(201)와;
상기 몸체(2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211)와;
상기 몸체(210)의 내벽에 형성되는 ‘ㄷ’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몸체(210)의 측벽(230, 240)에 형성되며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250)와;
상기 연결핀삽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260)와;
상기 공간부(2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1)의 터진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추가적인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가 삽입되는, ‘H’형상의 지지판(270)과;
상기 ‘H’형상의 지지판(270)의 상부 및 하부에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홈부(271, 272)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장부재(200)는 인접한 연장부재(200) 및 거푸집모서리부재(400)와 연결핀(300)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재의 연결부(201) 역시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홈부(202, 2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작업홈부(202, 203)는 체결시 지지판(170)의 작업홈부(171, 172)에 대응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연장부재(200)에서의 연결부분에서의 연결핀삽입구(250)를 온전히 형성시키기 위한 확장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는 거푸집패널(100)의 요홈부(190)에 대응되게 된다. 이는 현장에서의 거푸집의 높이에 대한 규격이 60cm이며, 15cm 또는 30cm 단위로 연결핀을 체결하게 되어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패널(100)과 연장부재(200)의 접면에 연결핀삽입구(250)가 형성되어야하는바, 종래에는 상기 연결부위에서의 연결핀삽입구(250)가 거푸집패널(100)과 연장부재(200)의 연결면에 각각 절반 씩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은 연결핀삽입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연결핀이 연결핀삽입구의 이음틈새로 빠져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재(200)의 연결부분에 확장부(260)를 형성시킴으로써 연결부위에서의 연결핀삽입구(250)를 온전히 연장부재(200)에서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거푸집패널의 체결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거푸집패널
110. 몸체
111. 공간부
120. 지지판
130, 140. 측벽
150. 연결핀삽입구
160. 거푸집이격판삽입구
170. 지지판
171, 172. 작업홈부
200. 연장부재
210. 몸체
211. 공간부
220. 지지판
130, 140. 측벽
150. 연결핀삽입구
151. 세퍼레이터홈
160. 거푸집이격판삽입구
170. 지지판
171, 172. 작업홈부
300. 연결핀
400. 거푸집모서리부재
410. 몸체
411. 연결핀삽입구
420. 대각선지지벽
421. 개구부

Claims (3)

  1. 거푸집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8~12cm의 가로폭(w1)과 5~10cm의 세로폭(w2)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지지판(120)과;
    상기 몸체(110)의 측벽(130, 140)에 형성되며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150)와;
    상기 연결핀삽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160)와;
    상기 공간부(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의 터진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가 삽입되기 위한, ‘H’형상의 지지판(170)과;
    상기 ‘H’형상의 지지판(170)의 상부 및 하부에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홈부(171, 1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패널.
  2. 거푸집모서리부재(400)와 거푸집패널(100)을 포함하는 거푸집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은 제1항의 거푸집패널이며;
    상기 거푸집모서리부재(400)는 사각기둥의 몸체(410)와,
    상기 사각기둥 몸체(4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는 대각선지지벽(420)과,
    상기 대각선지지벽(420)에 망치작업을 위해 형성된 개구부(421)와,
    상기 사각기둥의 몸체(4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연결핀삽입구(411)를 포함하고,
    거푸집패널(100)들은 요구되는 길이에 맞추어 거푸집패널의 개수가 선택되고, 각 거푸집패널(100)의 각각의 연결핀삽입구(150)에 연결핀(300)이 삽입됨으로써 거푸집패널(100)들이 상호 체결되며,
    체결된 다수의 거푸집패널(100) 들의 양 말단 거푸집패널(100)의 측면에 상기 거푸집모서리부재(400)가 연결핀(30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거푸집패널(100)의 상단에 연장부재(200)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재(20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8~12cm의 가로폭(w3)과 5~10cm의 세로폭(w4)과 50~70cm의 높이(h)를 갖는 몸체(210)와;
    거푸집패널(100) 또는 다른 연장부재(200)와 체결되기 위하여 몸체(2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체결부(201)와;
    상기 몸체(210)내에 형성되는 공간부(211)와;
    상기 몸체(210)의 내벽에 형성되는 지지판(220)과;
    상기 몸체(210)의 측벽(230, 240)에 형성되며 연결핀(300)이 삽입되는 연결핀삽입구(250)와;
    상기 연결핀삽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거푸집이격판삽입구(260)와;
    상기 공간부(2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1)의 터진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추가적인 연장부재(200)의 체결부(201)가 삽입되는, ‘H’형상의 지지판(270)과;
    상기 ‘H’형상의 지지판(270)의 상부 및 하부에 망치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홈부(271, 272)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장부재(200)는 인접한 연장부재(200) 및 거푸집모서리부재(400)와 연결핀(300)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어셈블리.



KR1020170148826A 2017-11-09 2017-11-09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208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26A KR102086030B1 (ko) 2017-11-09 2017-11-09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26A KR102086030B1 (ko) 2017-11-09 2017-11-09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43A true KR20190052943A (ko) 2019-05-17
KR102086030B1 KR102086030B1 (ko) 2020-03-09

Family

ID=6667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26A KR102086030B1 (ko) 2017-11-09 2017-11-09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01B1 (ko) * 2019-10-23 2020-09-07 전찬빈 경량 거푸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38A (ko) 1995-06-05 1997-01-28 사또오 후미오 레벨 시프터 회로
KR200415598Y1 (ko) 2006-02-22 2006-05-04 미래테크(주)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
KR20110102769A (ko) * 2010-03-11 2011-09-19 윤흥규 거푸집 패널
KR20130120834A (ko) * 2012-04-26 2013-11-05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KR20150057968A (ko) * 2013-11-18 2015-05-28 김시용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38A (ko) 1995-06-05 1997-01-28 사또오 후미오 레벨 시프터 회로
KR200415598Y1 (ko) 2006-02-22 2006-05-04 미래테크(주)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
KR20110102769A (ko) * 2010-03-11 2011-09-19 윤흥규 거푸집 패널
KR20130120834A (ko) * 2012-04-26 2013-11-05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KR20150057968A (ko) * 2013-11-18 2015-05-28 김시용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01B1 (ko) * 2019-10-23 2020-09-07 전찬빈 경량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030B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0728874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유로폼
KR1011655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강재형틀
KR101422076B1 (ko) 플랫타이 및 이 플랫타이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KR20190052943A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110043903A (ko) 거푸집 사이즈 가변 조절장치
CN210477304U (zh) 一种建筑用混凝土砌块生产模具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CN207553587U (zh) 一种非标模板及具有该非标模板的建筑模板系统
KR101761655B1 (ko) 거푸집 패널
CN106320692A (zh) 一种建筑拼接模板
CN112192722A (zh) 一种建筑用混凝土砌块生产模具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200321404Y1 (ko) 복수의 보강테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건축용 거푸집
CN110725388A (zh) 一种整体卫生间防水底盘的加固装配结构
CN215749810U (zh) 一种模具组件
TWI588342B (zh) 複合式組合模板
KR101876141B1 (ko) 재활용 가능한 보 설치를 위한 유로폼
CN215368690U (zh) 一种建筑钢塑模板
CN113107189B (zh) 一种铝模板结构
CN219100699U (zh) 一种组装式建筑施工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