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896A - Door armres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armres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896A
KR20190052896A KR1020170148729A KR20170148729A KR20190052896A KR 20190052896 A KR20190052896 A KR 20190052896A KR 1020170148729 A KR1020170148729 A KR 1020170148729A KR 20170148729 A KR20170148729 A KR 20170148729A KR 20190052896 A KR20190052896 A KR 2019005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user
vehicle
shock absorb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9897B1 (en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897B1/en
Publication of KR2019005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armrest for a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is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n arm of a user, and comprises: a skin portion coming in contact with the arm of the user; a core portion in which the skin portion is installed, and a shock absorbing portion is formed; a cushion portion installed between the skin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to give a cushion feeling to the user; and a blocking portion installed between the core portion and the cushion portion to block transmission of a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o the user.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DOOR ARMREST FOR VEHICLE}{DOOR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armres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armrest for a vehicle which can absorb an impact upon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암레스트는 차량의 도어 측에 설치되는 도어 암레스트와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는 콘솔 암레스트로 구분된다.Generally, the armrest for a vehicle is divided into a door armrest installed on the door side of the vehicle and a console armres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도어 암레스트는 도어의 내측패널에 조립되어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트림에 설치되며, 도어트림과 함께 사용자에게 미감 및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door arm rest is assembled to the inner panel of the door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impact and is installed in a door trim configured to mount various part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provides the user with an aesthetic feeling and a cushion feeling together with the door trim.

도어 암레스트는 사용자와 접촉되는 스킨, 스킨과 결합되어 스킨을 지지하는 코어 및 스킨과 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oor arm rest includes a ski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 a core that supports the skin in combination with the skin, and a cushion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skin and the core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하지만 기존의 도어 암레스트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킨 또는 쿠션을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코어 상에 직접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킨 또는 쿠션과 코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며, 이로 인해 가벼운 충격으로도 스킨 또는 쿠션이 코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oor arm rest is provided with the skin or the cushion directly on the core formed with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by using the adhesive such as the bo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kin or the cushion and the core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shion is detached from the core.

또한, 충격 흡수 구조 상에 스킨 또는 쿠션이 바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충격 흡수 구조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어 이질적인 쿠션감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Further, since the skin or the cushion is directly provided on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tern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perceived by the user and provides a heterogeneous cushioning feel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390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Korea Registered Patent No. 10-0783900 (Hyundai Motor Company)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은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쿠션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vehicle door armrest that absorbs shocks of a vehicle while preventing the cushion from being released.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은 충격 흡수 구조 패턴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쿠션감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door lock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a shock absorbing structure pattern from being perceived by a user, thereby giving a superior cushioning feel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팔과 접촉되는 스킨부; 상기 스킨부가 설치되며,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코어부; 상기 스킨부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부여하는 쿠션부; 및 상기 코어부와 쿠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 흡수부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on a door trim and supports a user's arm, the door armrest comprising: a skin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arm; A core portion having the skin portion and having a shock absorbing portion; A cush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kin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to impart a cushion feeling to the user; And a block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core part and the cushion part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to the user.

상기 쿠션부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층 및 상기 충격 흡수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part may include a cushion layer providing a feeling of a cushion to the user and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shock absorbing part.

상기 차단부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면과 상기 쿠션층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 흡수부의 구조가 상기 쿠션층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층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차단층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차단층에 마련되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ushion layer, And an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blocking layer.

상기 충격 흡수부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가 연결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 및 삽입홀은 상기 복수의 육각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의 육각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ck absorber may have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hexagonal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상기 삽입부 및 삽입홀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삽입부가 삽입되지 않는 육각 구조체가 마련될 수 있다.The hexagonal structur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are inserted, wherein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are not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쿠션부와 충격 흡수부 사이에 차단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부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ortion betwee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so that the pattern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cogniz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쿠션부와 충격 흡수부 사이에 차단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동일한 쿠션부를 활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코어부에 사용할 수 있다.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ortion betwee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so that the same can be used for the core portion of various sizes utilizing the same cush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쿠션부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코어부에 마련된 충격 흡수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쿠션부가 코어부로부터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door arm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cushion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hock absorb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re por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a shock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easy disengag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복수의 삽입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insert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effectively absorbing an impac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이 보이도록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코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쿠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차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door lock for a vehicle so that a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can be see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re portion of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ushion part of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blocking portion of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oor lock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line AA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며, 도어트림과 함께 사용자에게 미감 및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 user's arm and provides a sense of aesthetics and cushion to the user along with a door trim.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스킨부(110), 코어부(120), 쿠션부(130) 및 차단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6, a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in 110, a core 120, a cushion 130, and a shield 140.

스킨부(110)는 사용자의 팔과 접촉되며, 코어부(120)에 설치된다.The skin part 11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arm and is installed in the core part 120.

스킨부(110)는 각종 제어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kin 110 may have one side cut so that various control devices may be installed.

코어부(120)는 스킨부(110)가 설치되며, 스킨부(110)와 함께 도어트림에 고정 설치된다.The core part 120 is provided with a skin part 110 and is fixed to the door trim together with the skin part 110.

코어부(120)는 수용부(121), 충격 흡수부(122) 및 결합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re portion 12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21, an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and a coupling portion 123.

수용부(121)는 코어부(120)의 상면 일부가 일정 깊이로 파인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21)의 깊이는 쿠션부(130)가 수용된 후 코어부(120)의 상면과 쿠션부(130)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21)의 깊이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가 적용되는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차단부(1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쿠션부(130)가 수용된 후 코어부(120)의 상면과 쿠션부(130)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21 may have a groove shape with a certain depth of a top surface of the core portion 120. The dep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may be such that no ste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120 and the cushion portion 130 after the cushion portion 130 is received. The dep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can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to which the door lock for a vehicle is applied and the height of the blocking portion 140 is adjusted to accommodate the cushion portion 130, And the stepped portion of the cushion part 130 is not formed.

충격 흡수부(122)는 수용부(121)의 저면에 형성된다. 충격 흡수부(122)가 수용부(121) 저면에 형성될 경우 코어부(120)의 외관을 변경하지 않고 충격 흡수부(1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스킨부(110)와 충격 흡수부(122) 사이의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2 can be formed without chang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re portion 120 whe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122 can be removed.

충격 흡수부(122)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122a, 122b, 122c)가 연결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hock absorbing part 122 may have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122a, 122b and 122c are connected.

하나의 육각 구조체(122a)는 이웃하는 육각 구조체(122b)와 변을 공유할 수 있다. 육각 구조체(122a, 122b, 122c)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One hexagonal structure 122a may share sides with neighboring hexagonal structures 122b. The hexagonal structures 122a, 122b, and 122c may have a hollow shape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충격 흡수부(122)는 차량의 측면 충격 방향에 대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측면 충격 방향에 대하여 변과 변이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so as to face sides and sides with respect to the side impact direction so as to absorb the impact with respect to the side impact direction of the vehicle.

결합부(123)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을 결합시키며,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을 결합시킨다. 결합부(123)는 체결수단 외 초음파 용접 등 다양한 체결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을 결합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23 engages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door and the door trim by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rivet. The joining portion 123 can be joined to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by using various fastening methods such as ultrasonic welding or the like.

결합부(123)는 코어부(120) 내면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부(123)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스(124)가 결합부(123)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osses 124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upling part 123 to reinforce the coupling part 123. The coupling part 123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e part 120. [

쿠션부(130)는 스킨부(110)와 코어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cushion par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skin part 110 and the core part 120 and provides a cushion feeling to the user.

쿠션부(130)는 쿠션층(131) 및 삽입부(132)를 포함한다. 쿠션층(131)은 수용부(121)에 수용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한다. The cushion part (130) includes a cushion layer (131) and an insertion part (132). The cushion layer 131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쿠션층(131)은 삽입부(132)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부(132)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shion layer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132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sertion portion 132.

삽입부(132)는 충격 흡수부(122)에 삽입된다. 삽입부(132)는 충격 흡수부(122)에 삽입되어 쿠션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32 is inserted into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The insertion portion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to fix the cushion portion 130.

삽입부(132)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122a, 122b, 122c)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육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3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122a, 122b, and 122c, and may have a hexagonal column shape.

삽입부(132)는 삽입부(132)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충격 흡수부(1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32)는 끼움 고정 방식으로 육각 구조체(122a, 122b, 122c)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and fixed whil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32. The insertion portion 132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hexagonal structures 122a, 122b, and 122c in a fit-fit manner.

삽입부(132)는 후술하는 차단부(140)의 삽입홀(142)에 삽입된 후 복수의 육각 구조체(122a, 122b, 122c)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of the blocking port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122a, 122b, and 122c.

삽입부(132)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삽입부(132)가 삽입되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122a, 122c) 사이에는 복수의 삽입부(132)가 삽입되지 않는 육각 구조체(122b)가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132 may be formed and a hexagonal structure 122b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132 are not inser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122a and 122c in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132 are inserted .

삽입부(132)가 서로 마주보거나 이웃하는 형태로 설치될 경우, 차량 충격 시 삽입부(132)로 인하여 충격 흡수부(122)의 변형이 방해되기 때문에 복수의 삽입부(132)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충격 흡수부(12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insertion portions 132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or adjacent to each other, deformation of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is hindered by the insertion portion 132 when the vehicle is impacted, so that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1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ck absorber 122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복수의 삽입부(132)가 서로 마주보거나 이웃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충격 흡수부(122)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 충격 시 충격 흡수부(122)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으며, 용이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inserting portions 132 are installed on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inserting portions 132 face each other or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the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122 and can easily absorb the shock.

차단부(140)는 코어부(120)와 쿠션부(130)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부(122)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차단부(140)는 차단층(141) 및 삽입홀(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locking portion 140 is provided between the core portion 120 and the cushion portion 130 to block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2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The blocking portion 140 includes a blocking layer 141 and an insertion hole 142.

차단층(141)은 충격 흡수부(122) 상면과 쿠션층(131) 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부(122)의 구조 또는 패턴이 쿠션층(131)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barrier layer 141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131 to block the structure or pattern of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via the cushion layer 131.

차단층(141)의 높이는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수용부(121)의 깊이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수용부(121)의 깊이에 따라 차단층(141)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 쿠션부(130)를 새로 제작하지 않고 다양한 차종의 도어 암레스트에 쿠션부(130)를 활용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barrier layer 141 may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depths of the different receiving portions 121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When the height of the barrier layer 14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receiving part 121, the cushion part 130 can be utilized for door armrests of various types of vehicles without newly manufacturing the cushion part 130.

삽입홀(142)은 삽입부(132)가 차단층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차단층(141)에 홀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132)는 삽입홀(142)을 관통하여 지나간 후 충격 흡수부(122)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32) 및 삽입홀(142)은 복수의 육각 구조체(122a, 122b, 122c) 중 적어도 하나의 육각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홀(142)의 형태 및 개수는 삽입부(132)의 형태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42 may be provided with a hole in the blocking layer 141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32 can pass through the blocking layer. The insertion portion 132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2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2. The insertion portion 132 and the insertion hole 14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hexagonal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122a, 122b, and 122c.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insertion holes 142 may correspond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ortions 13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스킨부 120 : 코어부
121 : 수용부 122 : 충격 흡수부
123 : 결합부 130 : 쿠션부
131 : 제1 쿠션층 132 : 삽입부
140 : 차단부 141 : 차단층
142 : 삽입홀
110: skin part 120: core part
121: accommodating portion 122: shock absorbing portion
123: engaging portion 130: cushion portion
131: first cushion layer 132:
140: blocking portion 141: blocking layer
142: insertion hole

Claims (5)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팔과 접촉되는 스킨부;
상기 스킨부가 설치되며,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코어부;
상기 스킨부와 코어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부여하는 쿠션부; 및
상기 코어부와 쿠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 흡수부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A door lock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 user's arm,
A skin portion contacting the arm of the user;
A core portion having the skin portion and having a shock absorbing portion;
A cush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kin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to impart a cushion feeling to the user; And
And a block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core part and the cushion part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to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층 및 상기 충격 흡수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shion portion includes a cushion layer that provides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and an insertion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shock absorb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면과 상기 쿠션층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 흡수부의 구조가 상기 쿠션층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층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차단층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차단층에 마련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locking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ushion layer,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arrier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가 연결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 및 삽입홀은 상기 복수의 육각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의 육각 구조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is formed of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are connected, and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hexagonal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및 삽입홀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육각 구조체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삽입부가 삽입되지 않는 육각 구조체가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portions and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and a hexagonal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are not inserted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xagonal structure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are inserted.
KR1020170148729A 2017-11-09 2017-11-09 Door armrest for vehicle KR102019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729A KR102019897B1 (en) 2017-11-09 2017-11-09 Door armres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729A KR102019897B1 (en) 2017-11-09 2017-11-09 Door armres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896A true KR20190052896A (en) 2019-05-17
KR102019897B1 KR102019897B1 (en) 2019-09-11

Family

ID=6667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729A KR102019897B1 (en) 2017-11-09 2017-11-09 Door armres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89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723A (en) * 2006-04-11 2007-10-25 Nissan Motor Co Ltd Indoor trim for automobile
KR100783900B1 (en) 2006-11-24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armrest for vehicle
JP2010188803A (en) * 2009-02-17 2010-09-02 Tokai Chem Ind Ltd Arm re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723A (en) * 2006-04-11 2007-10-25 Nissan Motor Co Ltd Indoor trim for automobile
KR100783900B1 (en) 2006-11-24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armrest for vehicle
JP2010188803A (en) * 2009-02-17 2010-09-02 Tokai Chem Ind Ltd Arm 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897B1 (en)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2265B2 (en) Car front
WO2003095267A3 (en) Sound absorbing panel for a vehicl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JP5833905B2 (en) Vehicle door trim
JP2006205767A (en) Door for vehicle
JP2005138838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shock absorbing pad for automobile
KR101857059B1 (en) Door armrest for vehicle
KR20190052896A (en) Door armrest for vehicle
JP5003973B2 (en) Shock absorbing member and vehicle door trim including the same
KR101198601B1 (en) Door impact beam unit
KR101241150B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of audio knob for vehicle
KR102019898B1 (en) Map pocket intergrated impact pad
JP4657195B2 (en) Vehicle interior materials
CN110466447A (en) Automobile door garnish
JP3891478B2 (en) Automotive interior parts
KR100445176B1 (en) Side impact absorption means of automobile
KR101834752B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JP2014024525A (en) Energy absorbing member for vehicle
JPH09207695A (en) Side door structure of automobile
KR101405541B1 (en) Impact Preventing Structure for Mounting on Vehicle's Door
JP2593854Y2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dio equipment
KR200267613Y1 (en) a reinforcement bumper rail for vehicles
KR20050117917A (en) Crash pad for instrument panel
KR200145817Y1 (en) Door reinforcing structure
JP2008074123A (en) Door trim
JP6056618B2 (en) Interior material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