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724A -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724A
KR20190052724A KR1020170140999A KR20170140999A KR20190052724A KR 20190052724 A KR20190052724 A KR 20190052724A KR 1020170140999 A KR1020170140999 A KR 1020170140999A KR 20170140999 A KR20170140999 A KR 20170140999A KR 20190052724 A KR20190052724 A KR 2019005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uit
composition
juss
thu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찬
오성윤
조일제
제갈경환
김재광
정대화
이주상
강성일
김은옥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724A/ko
Publication of KR2019005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간세포내의 활성 산소 억제를 통해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으며, 정상세포에서 활성산소 생성 및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지 않음으로써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효과가 있어, 간 보호용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Litsea japonica (Thunb.) Juss fruit or flesh for protecting liver}
본 발명은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혈액순환의 중심에 위치하여 체내의 에너지 대사 및 해독을 하는 장기이다. 간은 신체로 흡수된 영양분을 에너지가 되는 물질로 대사하여 전신에 공급하거나 저장하며, 신체의 유지에 필수적인 알부민, 응고인자,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을 합성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체외로부터 유입된 알코올, 약제, 기타 화합물들을 분해하는 해독작용도 겸하고 있다. 이처럼 간은 독성물질에 대한 노출이 타 장기에 비하여 많으며, 대사작용이 활발하므로 생성된 대사체들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 또한 크다. 이처럼 간은 위험에 자주 노출될 수밖에 없는 장기이지만, 재생능력이 뛰어난 장기이므로 회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속적이며 만성적인 위험인자에 대한 노출은, 상처치유를 담당하는 간성상세포에 대한 세포자멸사로 이어지게 되어, 간섬유화,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되는 간의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Friedman SL, Liver fibrosis - from bench to bedside, J Hepatol. 2003;38 Suppl 1:S38-53).
이러한 간질환에 대한 치료를 위해서는 크게 식이요법과 약제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간질환의 치료제로는 실리마린 (silymarin)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BDD)가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제가 되지는 못하며, 그 외 개발된 화합물에 의한 치료제는 다양한 부작용 등으로 말미암아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치료효과가 우수하며, 과량 혹은 장기간 투여 시에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치료제의 발명이 시급한 실정이며, 따라서 천연물을 활용한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각광받고 있다.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Thunb.) Juss.)는 녹나무과 (Lauraceae)의 상록 소교목으로써, 가마귀쪽나무 혹은 구럼비나무로도 불리운다. 국내에 제주도를 비롯하여 울릉도와 경상남도 섬지역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까마귀쪽나무 열매 등의 추출물에서의 염증 및 골관절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까마귀쪽나무의 식물자원을 활용한 간질환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tBHP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간보호 효능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90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간세포내의 활성 산소 억제를 통해 간 보호 효과가 있으며, 정상세포에서 활성산소 생성 및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지 않음으로써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효과가 있어, 간 보호용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도 1a는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 처치 후, tBHP를 처치한 간 실질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b는 까마귀쪽나무 과육 추출물 처치 후, tBHP를 처치한 간 실질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a는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의 tBHP로 유도된 세포사멸효과 측정을 위한 apoptosis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b는 까마귀쪽나무 과육 추출물의 tBHP로 유도된 세포사멸효과 측정을 위한 apoptosis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대상으로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고 열수추출법으로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재료 및 시약준비
Anti-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nti-caspase 3, anti-bcl-2 그리고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mouse와 anti-rabbit IgG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Dimethyl sulfoxide (DMSO)는 GenDEPOT (Barker, TX,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7'-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H2DCF-DA),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anti-β-actin 항체,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와 다른 시약들은 Sigma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준비예 2> 세포배양 및 약물처리
인체 유래 간 실질 세포주인 HepG2 cell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다. 10% fetal bovine serum (FBS)과 100 units/ml penicillin 및 100 μg/ml streptomycin을 혼합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HepG2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는 100 mm dish에서 confluence가 80% 이상이 되도록 배양하였다. 약물 처리한 세포는 12시간 동안 FBS를 고갈 한 후 까마귀쪽 열매 또는 과육추출물을 10-100 μg/mL의 농도로 처치하고, 1시간 뒤에 200 μM tBHP를 처치하여 12시간 배양한 뒤 이후 실험에 사용되었다.
<참고예 1> 통계처리
평가의 분석 값들은 mean ± S.D.로 나타내었다. 각 처리군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하여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등분산가정이 성립하였을 때에는 Tukey HSD test를 사용하였고, 등분산 가정이 성립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Dunnett’s T3 test를 사용하였다. p<0.05 또는 p<0.01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1>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Thunb.) Juss.)의 열매는 제주한의약연구원에서 제공받았으며, 시료 100g을 증류수 1 L에 넣어 열수 추출하였다.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열수추출물을 Advantec Filter paper NO.2 (Toyo Roshi Kaisha Ltd, Japan)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전증발농축기 (Buchl, Swiss)로 농축하여, 그 농축액을 Ultra-low temperature freezer (Operon, Korea)에 동결한 후 Freeze Dryer (Operon, Korea)를 이용하여 동결건조물을 수득하였다.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은 사용 때까지 -20℃에 보관하였다. 실험직전 까마귀쪽의 열매 열수추출물을 DMSO에 녹인 다음 0.22 μm filter (Millipore, USA)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까마귀쪽나무 과육 추출물의 제조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Thunb.) Juss.)의 과육은 제주한의약연구원에서 제공받았으며, 시료 100g을 증류수 1 L에 넣어 열수 추출하였다. 까마귀쪽나무의 과육 열수추출물을 Advantec Filter paper NO.2 (Toyo Roshi Kaisha Ltd, Japan)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전증발농축기 (Buchl, Swiss)로 농축하여, 그 농축액을 Ultra-low temperature freezer (Operon, Korea)에 동결한 후 Freeze Dryer (Operon, Korea)를 이용하여 동결건조물을 수득하였다. 까마귀쪽나무 과육 추출물은 사용 때까지 -20℃에 보관하였다. 실험직전 까마귀쪽의 과육 열수추출물을 DMSO에 녹인 다음 0.22 μm filter (Millipore, USA)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이 t BHP로 유도된 간 실질 세포주 (HepG2 cell)의 세포사멸에 대한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tBHP로부터 유도된 간 실질 세포주의 사멸 대한 보호효과를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및 tBHP가 처치된 세포에 MTT 0.2 mg/ml을 각 well 당 300 μL씩 처리하고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배양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생성된 포마잔 크리스탈 (formazan crystals)을 DMSO에 녹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Infinite 200 Pro, Tecan, Mannedorf, Switzerland)를 사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간 실질 세포주인 HepG2 세포에 100 ㎍/ml의 농도로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치한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체내에서 안정하고 정상적인 간세포에는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간 실질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HepG2 세포에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10-100 μg/ml)을 한 시간 전 처치 후, 200 μM의 tBHP를 처치하여 12시간 배양한 후 MTT assay를 통하여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tBHP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이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전처리에 의해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이 t BHP로 유도된 간 실질 세포주 (HepG2 cell)의 apoptosis에 대한 억제효과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이 tBHP 처치로부터 유도되는 간 실질 세포주의 세포자멸사 (apoptosis)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을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웨스턴 블롯은 HepG2 세포에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100 ㎍/ml 1시간 전 처리 후 tBHP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를 1 mM sodium fluoride, 1 mM β-glycerophosphate, 1 mM sodium orthovanadate, 2.5 mM sodium pyrophosphate와 protease inhibitor cocktail (GenDEPOT, Barker, TX, USA)을 포함하는 radioimmunoprecipitation buffer를 첨가하여 scrapper로 수거한 뒤, 4℃에서 40분간 반응 후, 15,000×g로 4℃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정량한 단백질 30μg을 SDS-PAGE에 전기영동 시킨 뒤, nitrocellulose membrane (GE Healthcare Life Sciences, Buckinghamshire, UK)에 전이시킨 뒤, PARP, caspase-3, bcl-2 항체과 각각 결합시키고, 이어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와 결합시킨 뒤 enhanced chemiluminescence detection kit (GE Healthcare Life Sciences)를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 정도를 x-ray 필름에 감광시켰다.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단독 처치군에서 세포자멸사에 관계되는 것으로 알려진 PARP, caspase-3, bcl-2 단백질 양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HepG2 세포주에서 세포자멸사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BHP처치에 의한 세포자멸사로 인해 감소하는 PARP, caspase-3 및 bcl-2의 단백질 발현양이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전 처치를 통하여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HepG2 세포에서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이 tBHP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독성의 보호에 있어서 세포자멸사의 억제가 매개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이 t BHP로 유도된 간 실질 세포주(HepG2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과
tBHP의 처리는 세포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세포내 활성산소종의 측정에 사용되는 H2DCF-DA 형광염색시약을 이용하였다. H2DCF-DA는 세포투과성의 물질로써 세포내의 esterases와 활성산소인 H2O2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반응하여 2′7′-dichlorofluorescein (DCF)를 생성하게 되며, DCF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내의 상대적인 H2O2의 량을 평가한다.
간 실질세포주인 HepG2 세포에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100 μg/ml을 전처치한 후, 한 시간 뒤 tBHP를 처치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10 μM H2DCF-DA로 37℃에서 30분간 염색한 한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Tecan)을 이용하여 excitation 485 nm과 emission 535 nm 파장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단독처치군에서는 유의미한 H2O2의 증가나 감소가 관찰되지 않음으로써,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이 HepG2 세포 내에 활성산소 생성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BHP로부터 유도된 까마귀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에 의하여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강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식품 제조예 1>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0.01-1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제조예 2>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4 중량부, 율무 19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2 중량부),
영지(1.5 중량부), 및
지황(1.5 중량부).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2> 건강 기능 음료의 제조
까마귀 쪽나무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00 mg
매실농축액 2 mg
타우린 100 m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간세포 내의 활성 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간세포 내의 활성 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140999A 2017-10-27 2017-10-27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90052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9A KR20190052724A (ko) 2017-10-27 2017-10-27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9A KR20190052724A (ko) 2017-10-27 2017-10-27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24A true KR20190052724A (ko) 2019-05-17

Family

ID=6667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999A KR20190052724A (ko) 2017-10-27 2017-10-27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7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007A (ko) 2008-04-14 2009-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미나리에서 간세포 보호 및 간손상 예방 효능을 갖는카페익산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건강지향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007A (ko) 2008-04-14 2009-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미나리에서 간세포 보호 및 간손상 예방 효능을 갖는카페익산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건강지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805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L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peels and flesh from 10 different pear varieties (Pyrus spp.)
CN104623670A (zh) 一种含西红花素的组合物及其应用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90084439A (ko) 고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프레닐레이티드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 당뇨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Farag et al. Valorization and extraction optimization of Prunus seeds for food and functional food applications: A review with further perspectives
KR20130098051A (ko)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9625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추출정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및 추출정제물의 제조방법
Panossian et al. From traditional to evidence-based use of Hippophae rhamnoides L.: chemical composition, experimental, and clinical pharmacology of sea buckthorn berries and leaves extracts
KR20200064501A (ko)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KR101831981B1 (ko) 상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40810A (ko) 펙토리나린 또는 펙토리나리게닌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조성물
KR101886350B1 (ko) 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084942B1 (ko) 천우슬을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KR101407188B1 (ko) 발효 또는 비발효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2724A (ko) 까마귀 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또는 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Lim Crocus sativus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80023570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