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456A - 휠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휠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456A
KR20190052456A KR1020170148156A KR20170148156A KR20190052456A KR 20190052456 A KR20190052456 A KR 20190052456A KR 1020170148156 A KR1020170148156 A KR 1020170148156A KR 20170148156 A KR20170148156 A KR 20170148156A KR 20190052456 A KR20190052456 A KR 2019005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ub
wheel hub
join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259B1 (ko
Inventor
박중양
이인하
송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14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2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14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 B60B3/16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by bol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휠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휠 허브와 결합되는 조인트, 휠 허브 및 조인트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휠 허브와 외륜 사이 및 조인트와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구름 장치, 및 휠 허브 및 조인트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 및 조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 베어링 조립체{WHEEL BEARING ASSEMBLY}
본 개시는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체에 회전하는 요소와 회전하지 않는 요소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요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체에 휠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킴으로써, 차량이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휠 베어링 조립체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과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베어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는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를 포함한다. 회전 요소는 엔진에서 발생하여 변속기를 통과한 토크에 의하여,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비회전 요소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 사이에는 전동 장치가 개재되어 있다.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나, 회전 요소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량의 구동계에서 상당한 무게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경량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휠 베어링 조립체의 경량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종래의 휠 베어링 조립체는 자동차의 설계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장 강도를 확보하면서 휠 베어링 조립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없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종 재료간의 결합으로 경량화된 횔 허브를 포함하는 휠 허브를 제공한다.
또한, 스크류에 의하여 휠 허브 및 조인트가 결합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휠 허브와 결합되는 조인트; 휠 허브 및 조인트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휠 허브와 외륜 사이 및 조인트와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구름 장치; 및 휠 허브 및 조인트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 및 조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허브부, 내측 허브부, 및 조인트에는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고,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는 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수용하는 스크류 수용부가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관통홀 및 리세스 각각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크류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크류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 허브는 외측 허브부의 일부 및 내측 허브부의 일부로 구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에는 휠 볼트 홀이 형성되고, 스크류 수용부는 휠 볼트 홀의 중심 및 축 방향을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 볼트 홀 및 스크류 수용부는 각각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휠 볼트 홀 및 복수의 스크류 수용부는 각각 축 방향을 감싸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허브부의 일부는 외측 허브부의 외주부 상에 배치되어 휠 허브와 외륜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허브부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휠 센터부를 포함하고, 스크류 수용부는 휠 센터부보다 상기 축 방향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허브부 및 외측 허브부는 반용융 단조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 허브의 축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된 조인트의 단부에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휠 허브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 휠 허브 및 연결 부재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휠 허브와 외륜 사이 및 연결 부재와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구름 장치; 및 휠 허브 및 연결 부재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 및 연결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고, 휠 허브에 대하여 축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된 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휠 허브와 결합되는 조인트; 조인트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내륜; 휠 허브 및 내륜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휠 허브와 외륜 사이 및 내륜과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복수의 구름 장치; 및 휠 허브 및 조인트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 및 조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를 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내륜의 내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조인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륜은 조인트로부터, 일정한 수준의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조인트의 외주면 상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륜은 완화 맞춤(loose fitting) 방식으로 조인트의 외주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허브부, 내측 허브부, 및 조인트에는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고,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는 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수용하는 스크류 수용부가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관통홀 및 리세스 각각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크류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휠 허브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 연결 부재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내륜; 휠 허브 및 내륜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휠 허브와 외륜 사이 및 내륜과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복수의 구름 장치; 및 휠 허브 및 연결 부재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 및 연결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고, 휠 허브에 대하여 축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된 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 허브에 경량 금속 재료를 적용하여 휠 허브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휠 허브에서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부분과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부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 허브와 결합되는 조인트의 체적을 감소시켜, 조인트의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륜이 조인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정비 및 보수(A/S)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인트의 단부에 기어 치형을 형성하여 구동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의 내륜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와 또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축 방향은 휠 베어링 조립체의 회전 축(rotational axis, RA)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반경 방향은 회전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원주 방향은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축(RA)을 감싸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휠 베어링 조립체(1)는 차량의 현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휠(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어 현가 장치에 대하여 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1)는 회전축(RA)을 중심으로 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휠 베어링 조립체(1)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륜으로 사용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1)는 회전축(RA)을 포함하는 중심 부분(80)이 관통되어 있고, 중심 부분(80)에는 구동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화살표 'D1'은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휠 허브(100)에 대해 차륜이 배치되는 축 외측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 'D2'는 D1의 반대 방향으로서 휠 허브(10)에 대해 너클이 배치되는 축 내측 방향을 가리킨다. 이하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회전축 방향은 간단히 '축 방향(RA)'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D3'은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회전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 중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 외측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 'D4'는 D3의 반대 방향인 반경 내측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화살표 'D5'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 즉 원주 방향(circumference direction)을 가리킨다.
휠 베어링 조립체(1)는 휠 허브(10), 외륜(20), 전동 장치(31, 32), 밀봉 장치(41, 42), 조인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 장치는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축 내측 방향(D2)에 배치될 수 있고, 휠은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축 외측 방향(D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반경 외측 방향(D3)에는 차체가 위치될 수 있고, 휠 베어링 조립체(1)의 반경 내측 방향(D4)에는 지면이 위치될 수 있다. 외륜(20)은 휠 허브(10) 및 조인트(60)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륜(20)은 현가 장치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외륜(20)은 비회전 요소로 제공될 수 있고, 현가 장치의 일 측에 결합된 후에는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륜(20)은, 예를 들어 현가 장치의 너클(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외륜(20)에는 상기 너클(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동 장치(31, 32)는 외륜(20)과 휠 허브(10)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장치(31) 및 외륜(20)과 조인트(60)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장치(31, 32)는 예를 들어,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에 수용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형상의 전동 장치(31, 32)는 반경 외측 방향(D3)에서 외륜(20)과 접촉하고, 반경 내측 방향(D4)에서 휠 허브(10) 또는 조인트(60)와 접촉하여 구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동 장치(31, 32)는, 2열로 제공되나, 휠 베어링 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3열 이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2열 이상으로 제공되는 전동 장치(31, 32)가 일체로 회전하는 휠 허브(10) 및 조인트(60)의 두 지점 이상을 지지하므로 휠 허브(10) 및 조인트(60)는 외륜(2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60)는 등속 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 CVT)일 수 있다. 등속 조인트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휠 베어링 조립체의 회전체에 해당하는 부분과 구동축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속 조인트는, 예를 들어 벤딕스 형, 제파 형, 및 버필드 형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전륜 구동차량에는 버필드 형이 적용될 수 있다. 조인트(60)에서 축 내측 방향(D2)으로 연장된 부분(61)은 등속 조인트의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이 둘러싸는 공간(62)에는 구동축(도시되지 않음) 및 구동축을 회동하게 하는 부품들(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휠 허브(10)는 적어도 두 개의 이종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전동 장치(31)에 의하여 외륜(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휠 허브(10)는 자동차의 휠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휠 허브(10)는 휠의 회전 시 휠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휠 허브(10)는 외측 허브부(110) 및 내측 허브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허브부(110)는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내측 허브부(120)는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재료는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경량 합금 재료로 구성되며, 제2 재료는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카본 스틸(carbon steel)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량 합금 재료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등의 경량 합금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재료의 강도가 제1 재료의 강도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 허브(10)는 외측 허브부(110)의 일부(111) 및 내측 허브부(120)의 일부(121)로 구성된 플랜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1)에는 휠 볼트 홀(15)이 형성되고, 휠 볼트(도시되지 않음)는 플랜지부(11)에 형성된 휠 볼트 홀(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휠 볼트는 휠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휠의 위치를 휠 허브(1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휠 볼트가 외측 허브부(110)의 일부(111) 및 내측 허브부(120)의 일부(121)를 동시에 통과하는 경우에, 휠 볼트는 이종 재료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플랜지부(11)의 두께의 대부분은 외측 허브부(110)의 일부(111)가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부(11)의 요구되는 강성에 따라 내측 허브부(120)의 일부(121)가 차지하는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볼트 홀(15)이 형성되는 부분은, 차량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제1 재료만을 사용하는 경우 요구되는 강성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플랜지부(11) 내에서 내측 허브부(120)의 일부(121)의 두께를 증가시켜 해당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허브부(120) 및 외측 허브부(110)는 단조 또는 주조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조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반용융 단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반용융 단조 방식은, 피단조물이 완전한 액체 또는 완전한 고체 상태에서 압축되는 방식이 아니라, 피단조물이 반용융 상태로 가열된 후, 반용융 상태에서 압축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피단조물의 반용용 상태는 피조물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피단조물의 일부가 녹은 상태, 즉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반용융 단조 방식 하에서, 내측 허브부(120) 및 외측 허브부(110)는 각각 일정한 수준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후 반용융 상태에서 압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조 방식의 경우 내측 허브부(120) 및 외측 허브부(110)는 별개의 프리폼 상태로부터 하나의 금형 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조 방식의 경우 조립된 금형 내로 용융된 제1 및 제2 재료가 동시에 주입되어 휠 허브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내측 허브부(120) 및 외측 허브부(110)가 분리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크류(70)를 통해 내측 허브부(120) 및 외측 허브부(110)의 이종 재료 간의 결합이 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 허브(10) 및 조인트(60)를 결합시키는 스크류(70)가 제공될 수 있다. 스크류(70)는 휠 허브(10) 및 조인트(60)를 축 내측 방향(D2)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10) 및 조인트(6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크류(70)는 외측 허브부(110) 및 내측 허브부(120)를 먼저 관통하고 이어서 조인트(6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크류(70)는 내측 허브부(120) 및 외측 허브부(110)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고, 조인트(60)를 휠 허브(1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조인트(60)는 내측 허브부(120)의 내측 단부(128)와 접하도록 휠 허브(10)의 축 방향(RA)을 중심으로 휠 허브(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단부(128)는 조인트(60)의 외측 단부(64)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내측 단부(128)는 외측 단부(64)에 비하여 반경 외측 방향(D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단부(128)는 외측 단부(64)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조인트(60)의 외측 단부(64)는 휠 허브(10)의 내측 단부(128)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휠 허브(10)와 조인트(60)가 결합된 후에는, 휠 허브(10)의 내주면(16)과 조인트(60)의 내주면(66)은 서로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휠 허브(10)의 중앙 부분(80)을 관통하는 구동축의 단부에 너트를 조여서 휠 허브(10)와 조인트(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는 너트로 구동축을 조이는 것 없이 스크류(70)를 통해 휠 허브(10)와 조인트(60)가 결합되기 때문에 구동축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스크류(70)의 사용으로 조인트(60)와 휠 허브(10)의 분리 및 조립이 더 간단해 질 수 있으므로, 정비 및 보수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허브부(110), 내측 허브부(120), 조인트(60)에는 제1 관통홀(115), 제2 관통홀(125), 및 리세스(6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115), 제2 관통홀(125), 및 리세스(65)는 축 내측 방향(D2)을 따라 정렬되어 스크류(70)를 수용하는 스크류 수용부(17)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스크류 수용부(17)는 원통형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70)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허브부(110)는 축 외측 방향(D1)으로 돌출된 휠 센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의 휠은 휠 센터부(114)에 의하여 휠 허브(10)의 회전축(RA)과 동일한 회전 축을 가지도록 정렬되고, 휠 볼트에 의하여 휠 허브(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수용부(17)는 결합 영역(12) 내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 영역(12)은 휠 센터부(114)보다 반경 내측 방향(D4)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70)는 휠 센터부(114) 및 축 방향(RA) 사이에서 휠 허브(10)와 조인트(6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세스(65) 및 제2 관통홀(125) 각각의 내주면(63, 123)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스크류(70)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될 수 있다. 외측 허브부(110)의 강도는 내측 허브부(120)의 강도보다 낮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외측 허브부(1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관통홀(115)의 내주면(113)에는 나사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허브부(120) 및 조인트(60)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므로, 제2 관통홀(125) 및 리세스(65) 각각의 내주면(123, 63)에 나사선을 형성하더라도 변형의 위험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크류(70)는 내주면(123, 63)에 형성된 나사선과 맞물리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 허브부(110)를 축 내측 방향(D2)으로 내측 허브부(120)에 대해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허브부(110)와 내측 허브부(120)의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관통홀(125)의 내주면(123)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고, 리세스(65)의 내주면(63)에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스크류(70)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될 수 있다.
내측 허브부(120)의 일부(122)는 외측 허브부(110)의 외주부(112) 상에 배치되어, 휠 허브(10)와 외륜(20)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장치(3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허브(10)에서 전동 장치(31)와 결합되는 부분은, 휠 베어링 조립체(1) 내에서 요구되는 지지하중이 높은 부분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내측 허브부(12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휠 베어링 조립체(1) 내 적절한 위치에서 요구되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휠 허브(10)의 플랜지부(11)는 요구되는 지지 하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부분에는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와 스틸을 포함하는 재료가 혼합한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휠 허브(10)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키면서 해당 부분의 요구되는 강성은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휠 볼트 홀(15) 및 스크류 수용부(17)는 각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휠 볼트 홀(15) 및 복수의 스크류 수용부(17)는 각각 축 방향(RA)에 대한 원주 방향(D5)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휠 볼트 홀(15) 및 복수의 스크류 수용부(17)도 5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휠 볼트 홀(15) 및 복수의 스크류 수용부(17)는 각각 정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휠 볼트 홀(15) 및 스크류 수용부(17)의 각각이 5개씩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휠 볼트 홀(15) 및 스크류 수용부(17)의 각각은 복수의 개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휠 볼트 홀(15) 및 스크류 수용부(17)의 개수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수용부(17)는 휠 볼트 홀(15)의 중심(O1) 및 축 방향(RA)을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60)는 휠 허브(1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에 의하여 휠 허브(10)가 회전 시, 휠 볼트 홀(15)에 결합되는 휠 볼트가 스크류(70)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1)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70)는 외측 허브부(110) 및 내측 허브부(120)를 관통하고, 스크류(70)의 단부는 연결 부재(90)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90)는 회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현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70)의 나사부의 일부는 내측 허브부(120)의 제2 관통홀(125)의 내주면(123)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속되고, 다른 일부는 연결 부재(90)의 리세스(92)의 내주면(93)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90)의 리세스(92)의 내주면(93)에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스크류(70)의 나사부와 결속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조인트(60)와는 다른 형태의 연결 부재(90)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조인트(60)는 축 내측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연결 부재(90)는 이와 같은 형태로 연장 형성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휠 허브(10)의 축 내측 방향(D2) 측에 위치된 연결 부재(90)의 단부(95)에는 축 방향(R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9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어 치형(951)의 길이(R)는, 기어 치형(951)이 시작하는 지름(R2)과 기어 치형이 끝나는 지름(R1) 사이의 차이의 1/2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 치형(951)이 시작하는 지름(R2) 및 기어 치형이 끝나는 지름(R1)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기어 치형(951)의 길이(R)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치형(951)의 길이(R)가 길수록 휠 허브(1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종류 및/또는 휠 베어링의 성능에 따라 기어 치형(951)의 길이(R)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2)는 도 1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1)와 달리 내륜(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휠 베어링 조립체(2)는 휠 허브(10), 외륜(20), 전동 장치(31, 32), 밀봉 장치(41, 42), 내륜(50), 및 조인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휠 허브(10)는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110)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210)는 내측 허브부(120)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휠 허브(10)의 축 방향(RA)을 중심으로 휠 허브(10)와 결합될 수 있다. 내륜(50)은 조인트(210)의 외주면(214)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외륜(20)은 휠 허브(10) 및 내륜(50)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름 장치(31)는 휠 허브(10)와 외륜(20) 사이에 개재되고, 구름 장치(32)는 내륜(50)과 외륜(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210)에서 축 내측 방향(D2)으로 연장된 부분(211)은 등속 조인트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이 둘러싸는 공간(212)에는 구동축 및 구동축을 회동하게 하는 부품(도시되지 않음)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70)는 휠 허브(10) 및 조인트(210)를 축 방향(RA)으로 관통하여 휠 허브(10) 및 조인트(2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외측 허브부(110), 내측 허브부(120) 및 조인트(210)에는 제1 관통홀(115), 제2 관통홀(125) 및 리세스(21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125) 및 리세스(215) 각각의 내주면(123, 213)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스크류(70)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륜(50)은 조인트(210)로부터, 일정한 수준의 외력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조인트(210)의 외주면(214) 상에 압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륜(50)은 완화 맞춤(loose fitting) 방식으로 조인트(210)의 외주면(214)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완화 맞춤 방식은 두 부품이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억지 끼움 방식과 다르게, 두 부품이 압입 방식으로 결합이 되어 있으나 일정한 수준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 각각의 부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분리되는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륜(50)의 내주면(52) 및 조인트(210)의 외주면(214)은 각각 매끈한 면(smooth surface)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하여 위치를 구속하는 구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휠 베어링 조립체(2)에서, 스크류(70)를 제거하는 경우 내륜(50)은 분리되지 않고, 조인트(210)만 분리될 수 있다. 내륜 및 조인트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압입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경우, 조인트에 문제가 생긴다면, 조인트 또는 휠 베어링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2)는 조인트(210)만 따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조인트(210) 또는 내륜(50)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해당 부품에 대해서만 교체를 진행하여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정비 및 보수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2)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2)의 내륜(50)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2)에서, 내륜(50)과 조인트(210) 사이에 위치를 구속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인트(210)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륜(50)이 조인트(210)에 대하여 헛도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헛도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 및 7에서는 내륜(50) 및 조인트(210) 각각에 돌출부(51) 및 홈(213)의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210)를 축 방향(RA)으로 마주하는 내륜(50)의 내측 단부(53)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1)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213)은 돌출부(51)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51)가 홈(213)에 삽입하는 경우, 조인트(210)와 내륜(50)의 움직임은 서로 구속되어 상술한 헛도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51)는, 예를 들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홈(213)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51)는 원뿔의 끝단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사각 뿔대 또는 삼각 뿔대 등의 다각 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돌출부(51)가 홈(213)에 대하여 삽입 시에, 돌출부(51)의 경사면과 홈(213)의 경사면이 접하게 되므로, 서로에 대해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내륜(50)에 대한 조인트(210)의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돌출부(5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휠 볼트 홀(15)과 축 방향(RA)을 연결한 직선 상에,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51)는 5개로 제공될 수 있고, 5개의 돌출부(51)는 정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2)와 또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류(70)는 축 내측 방향(D2)으로 이동하면서, 외측 허브부(110) 및 내측 허브부(120) 및 연결 부재(2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220)는 회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현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내륜(50)에 형성된 돌출부(51)는 연결 부재(220)에 형성된 홈(223)에 축 내측 방향(D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허브부(110), 내측 허브부(120), 내륜(50), 및 연결 부재(220)의 회전은 서로 동기화 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5에 도시된 조인트(210)와는 다른 형태의 연결 부재(220)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조인트(210)는 축 내측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연결 부재(220)는 이와 같은 형태로 연장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휠 허브(10)의 축 방향(RA)의 반대측에 위치된 연결 부재(220)의 단부(225)에는 축 방향(RA)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22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어 치형(227)은 도 3에서 설명한 복수의 기어 치형(95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크류를 통해 이종 재료로 구성되는 휠 허브와 조인트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인트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베어링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종 재료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에 의하여 휠 허브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의 단부에 기어 치형을 형성하고, 기어 치형의 직경을 증대시키도록 설계하여 조인트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2: 휠 베어링 조립체, 10: 휠 허브, 11: 플랜지부, 15: 휠 볼트 홀, 17: 스크류 수용부, 20: 외륜, 31, 32: 전동 장치, 41, 42: 밀봉 장치, 51: 돌출부, 60, 210: 조인트, 70: 스크류, 90, 220: 연결 부재, 114: 휠 센터부, 213, 223: 홈, 227, 951: 기어 치형

Claims (17)

  1.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상기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휠 허브와 결합되는 조인트;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조인트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조인트와 상기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구름 장치; 및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조인트를 상기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조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허브부, 상기 내측 허브부, 및 상기 조인트에는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수용하는 스크류 수용부가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 각각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되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되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는 상기 외측 허브부의 일부 및 상기 내측 허브부의 일부로 구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휠 볼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수용부는 상기 휠 볼트 홀의 중심 및 상기 축 방향을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 볼트 홀 및 상기 스크류 수용부는 각각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휠 볼트 홀 및 상기 복수의 스크류 수용부는 각각 상기 축 방향을 감싸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허브부의 일부는 상기 외측 허브부의 외주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장치를 지지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허브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 돌출된 휠 센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수용부는 상기 휠 센터부보다 상기 축 방향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허브부 및 외측 허브부는 반용융 단조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0.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상기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휠 허브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연결 부재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연결 부재 와 상기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구름 장치; 및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휠 허브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된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1.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상기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휠 허브와 결합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내륜;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내륜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복수의 구름 장치; 및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조인트를 상기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조인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를 상기 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내륜의 내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은 상기 조인트로부터, 일정한 수준의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조인트의 외주면 상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은 완화 맞춤(loose fitting) 방식으로 상기 조인트의 상기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허브부, 상기 내측 허브부, 및 상기 조인트에는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및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수용하는 스크류 수용부가 상기 제1 관통홀,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세스 각각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나사선과 맞물리게 구성되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7. 경량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재료로 구성된 외측 허브부 및 스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내측 허브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상기 내측 허브부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휠 허브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휠 허브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내륜;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내륜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 각각에 개재되는 복수의 구름 장치; 및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휠 허브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휠 허브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된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170148156A 2017-11-08 2017-11-08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11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56A KR102119259B1 (ko) 2017-11-08 2017-11-08 휠 베어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56A KR102119259B1 (ko) 2017-11-08 2017-11-08 휠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56A true KR20190052456A (ko) 2019-05-16
KR102119259B1 KR102119259B1 (ko) 2020-06-05

Family

ID=6667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56A KR102119259B1 (ko) 2017-11-08 2017-11-08 휠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2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06A (ja) * 1997-12-25 1999-09-07 Ntn Corp 車輪用軸受ユニット
JP2010036611A (ja) * 2008-07-31 2010-02-18 Jtekt Corp 車輪用軸受装置
KR20140023828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조립체
KR20170004769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허브
KR20170025426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구동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06A (ja) * 1997-12-25 1999-09-07 Ntn Corp 車輪用軸受ユニット
JP2010036611A (ja) * 2008-07-31 2010-02-18 Jtekt Corp 車輪用軸受装置
KR20140023828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조립체
KR20170004769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허브
KR20170025426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구동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259B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503A (en) Torque transmission assembly
US9259962B2 (en) Integrated hub-bearing assembly for the wheel of a motor vehicle
JP2004068891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KR20160142174A (ko) 휠 허브,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US8002640B2 (en) Wheel hub/universal joint assembly with end teeth and wheel bearing
JP2006138403A (ja) 車輪軸受装置
GB2393228A (en) Locking washer for wheel end assembly
JP2008174178A (ja) 車輪支持装置
KR20190052456A (ko) 휠 베어링 조립체
WO2003029026A2 (en) Wheel/hub joint unit with clamping and separating device
US7690449B2 (en) Output yoke shaft and assembly
KR20170043045A (ko) 휠 베어링 및 그 제작 방법
JP2003254362A (ja) 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JPH08200384A (ja) 駆動車輪用継手ユニット
US6869151B2 (en) Knuckle-supported wheelend assembly with improved shaft-hub interface
KR20130074577A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KR20170025426A (ko) 구동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RU2402701C1 (ru) Съемная ступица для монтажа вращающегося элемента на приводном валу
JP2009234542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18197598A (ja) 駆動輪用ハブユニット
JP2002120506A (ja) 車輪駆動用軸受ユニット
KR101696907B1 (ko) 휠 베어링 및 그 제작 방법
KR20200059695A (ko) 휠 베어링 조립체
KR20140055751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연결구조
JP2014020434A (ja) 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