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602A -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Google Patents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1602A KR20190051602A KR1020170147441A KR20170147441A KR20190051602A KR 20190051602 A KR20190051602 A KR 20190051602A KR 1020170147441 A KR1020170147441 A KR 1020170147441A KR 20170147441 A KR20170147441 A KR 20170147441A KR 20190051602 A KR20190051602 A KR 20190051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relay
- battery
- power supply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01M2/105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전지 수납부의 단자에 접점되는 중계단자를 갖는 중계커버를 마련하여 기존의 개폐커버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계단자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중계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건전지 유무에 관계없이 전자기기에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로 한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관을 구성하며, 일측에는 건전지가 수납되는 요홈 형태의 건전지 수납부가 마련되되 건전지 수납부에는 건전지 전극이 접촉되는 전원입력단자가 마련된 몸체;상기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전원입력단자 중 일측의 (+)단자와 타측의 (-)단자에 각각에 접점되는 전원중계단자가 마련된 중계커버;상기 전원중계단자를 통해 전원입력단자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계커버는 건전지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관을 구성하며, 일측에는 건전지가 수납되는 요홈 형태의 건전지 수납부가 마련되되 건전지 수납부에는 건전지 전극이 접촉되는 전원입력단자가 마련된 몸체;상기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전원입력단자 중 일측의 (+)단자와 타측의 (-)단자에 각각에 접점되는 전원중계단자가 마련된 중계커버;상기 전원중계단자를 통해 전원입력단자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계커버는 건전지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전지 유무에 관계없이 건전지를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 전자기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전자기기의 사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삶으로 자리잡고 있다.
상기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회로 등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사용되는 비교적 부피가 큰 중형 이상의 전자기기와,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로 구성된다.
이때, 중형 이상의 전자기기는 냉장고, TV, 세탁기 등을 예로 들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는 전원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된다.
반면에, 소형 전자기기는 더욱 다양한 종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세트 플레이어, 완구, 리모컨, 휴대폰 등이 있다.
상기 소형 전자기기는 대부분 외부 전원 뿐만 아니라 건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제공된다.
이중, 카세트 플레이어 및 완구, 리모컨 등과 같이 1차전지(이하, '건전지'라 함)를 주로 사용하는 소형 전자기기는 2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비해 비용이 유지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여 일상 생활의 소형 전자기기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건전지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소형 전자기기를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소형 전자기기는 1차 전지가 사용되는 유아용 완구를 예로 하여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유아용 완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건전지 수납부(20)와, 건전지(30)와, 개폐커버(40)로 구성된다.
몸체(10)는 완구의 외관을 구성하며, 몸체(10)의 내부에는 각 부품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건전지 수납부(20)는 완구 동작을 위한 건전지(30)가 수납되는 구성이며, 몸체(10)의 일측에 마련된다.
건전지 수납부(20)는 몸체(10)의 일측에 요홈의 형태로 제공되며, 요구되는 건전지(30)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획되어 제공된다.
이때, 건전지 수납부(20)에는 건전지(30)의 전극에 대응되는 단자(21)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건전지(30)는 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으로서, 건전지 수납부(20)에 탈착되도록 제공된다.
건전지(30)는 시중에 판매되는 1차 망간전지이다.
다음으로, 개폐커버(40)는 건전지 수납부(20)를 차폐하며, 건전지 수납부(20)로부터 건전지(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폐커버(40)는 건전지 수납부(20)에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며,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볼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구는 건전지(30)를 통해 작동되며, 건전지(30) 수명이 다할 경우, 새로운 건전지(30)를 구입하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장소에 제약 없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건전지(30)가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경우, 건전지(30) 교체에 따른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급작스러운 건전지(30) 방전시, 사용이 중단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전지(30)를 대량으로 구입해 놓아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건전지(30)의 사이즈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맞는 건전지(30) 사이즈를 일일이 확인하여 교체해야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불편한 문제로 인하여, 필수 전자기기가 아닌 이상, 쉽게 버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220V 외부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겸용으로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건전지(30) 방전과는 별개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이의 경우에는 반드시 외부 교류 전원이 제공되어야하는 제약이 있어, 휴대의 특징이 있는 소형 전자기기의 사용에 있어 불편함을 해소하기에는 충분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전지가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는 커버에 전원중계단자를 설치하여 상기 전원중계단자를 통해 건전지 수납부 단자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USB포트를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전지 수납부의 건전지 유무에 관계없이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관을 구성하며, 일측에는 건전지가 수납되는 요홈 형태의 건전지 수납부가 마련되되 건전지 수납부에는 건전지 전극이 접촉되는 전원입력단자가 마련된 몸체;상기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전원입력단자 중 일측의 (+)단자와 타측의 (-)단자에 각각에 접점되는 전원중계단자가 마련된 중계커버;상기 전원중계단자를 통해 전원입력단자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계커버는 건전지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자기기 상에 건전기 장착 또는 장착된 건전기의 충진 여부에 관계없이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즉, 개폐커버에 중계단자를 마련하고 상기 중계단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중계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건전지 유무에 관계없이 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전원공급중계수단으로의 외부 전원 연결 수단으로서, USB 포트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USB 충전 케이블을 이용해 전자기기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보조 배터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외부 교류 전원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전자기기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둘째, 건전지 수납부의 개폐커버를 대체할 수 있는 중계커버를 마련하고 중게커버를 통해 건전지 수납부의 단자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자기기 재사용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 대신 중계커버를 결합하여 외부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 공급의 불편한 문제를 쉽게 해소시켜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아용 완구의 배면에 마련된 건전지 수납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의 개폐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의 결합부재와 개폐커버 간에 결합구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의 개폐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의 결합부재와 개폐커버 간에 결합구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는 건전지를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건전지의 유무 또는 건전지의 충진 여부에 관계없이 외부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기존의 전자기기 재사용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구조는 몸체(100)와, 중계커버(200)와,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건전지 전자기기는 음향기기, 영상기기, 리모컨, 완구 등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완구를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완구의 배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몸체(100)의 배면에는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건전지 수납부(110)가 형성된다.
건전지 수납부(110)에는 건전지가 수납되어 몸체(100)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건전지 수납부(110)는 요홈 형태로 구성되며, 복수의 건전지가 구획될 수 있도록 격벽을 통해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전지 수납부(11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입력단자(111)가 설치된다.
전원입력단자(111)는 몸체(100)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이 입력되는 구성으로서, 통상의 건전지 접점단자와 동일하다.
이때, 전원입력단자(111)는 건전지의 전극과, 후술하는 전원중계단자의 접점이 겸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음으로, 중계커버(200)는 건전지 수납부(110)를 개폐하는 역할과 더불어 외부 전원을 전웝입력단자(111)에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중계커버(200)는 기존의 개폐커버(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전원중계단자(210)를 포함한다.
즉, 중계커버(200)는 건전지가 없거나 건전지가 방전이되었을 때, 기존의 개폐커버(40)를 대체하여 외부 전원이 전원입력단자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예컨대 중계커버(200)는 기존의 개폐커버(40)를 대체하여 제품에 장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개폐커버(40)와는 별개로 제공되어 필요시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중계커버(200)와 몸체(100)의 건전지 수납부(110) 간에 결합구조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중계커버(2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중계단자(210)가 설치된다.
전원중계단자(210)는 외부 전원을 전원입력단자(111)에 중계해주는 역할을 하며, 중계커버(20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다.
이때, 전원중계단자(21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각각의 전원중계단자(210)는 (+)전원입력단자(111)와 (-)전원입력단자(111)에 각각 접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전원중계단자(210)는 제1접점부(211)와 제2접점부(21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접점부(211)는 중계커버(200)의 일면 양측에 제공되며, 후술하는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전원출력단자에 접점이 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접점부(211)는 중계커버(200)의 일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접점부(212)는 제1접점부(211)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전원입력단자(1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제1접점부(211)로부터 절곡 형성된다.
제2접점부(212)는 건전지 수납부(110)의 전원입력단자(111)에 접촉되어야 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점부(21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원입력단자(111)를 향해 연장 형성된 것이다.
이때, 제2접점부(212)의 단부는 제2접점부(212)의 절곡 반대 방향을 향해 재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접점부(212) 단부의 재절곡을 통해 전원입력단자(111)에 대한 제2접점부(212)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함과 더불어, 제2접점부(212)의 탄성력을 높여 접촉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중계커버(200)의 전원중계단자(210)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궁극적으로, 외부 전원을 몸체(100)의 전원입력단자(11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중계커버(2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계커버(200)의 전원중계단자(210)와 접점된 전원출력단자(310)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일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포트(320)가 설치된다.
즉,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 USB 케이블(C)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은 220V교류 전원외에도, 통상의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구조를 통해, 건전지 수납부에 건전지가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개폐커버(40)를 대신하여 중계커버(200)를 건전지 수납부(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중계커버(200)의 전원중계단자(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 수납부(110)에 마련된 전원입력단자(111)에 자동으로 접점이 된다.
다음으로, USB케이블(C)을 USB포트(320)에 결합하고, 상기 USB케이블(C)을 외부 전원에 연결함으로써, 외부 전원은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전원출력단자(310)와 전원중계단자(210)를 거쳐 몸체(100)의 전원입력단자(111)를 통해 공급이 된다.
이에 따라, 완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완구 외에도 리모컨 등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중계커버(200)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중계커버(2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중계커버(2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체로 제공된다.
이때,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은 결합부재라 한다.
상기 결합부재(300)의 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포트(320)가 설치되며, 결합부재(300)의 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출력단자(31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출력단자(310)는 USB포트(320)와 전원 공급을 위해 회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전원출력단자(310)는 결합부재(300)의 타면에 마련되되, 결합부재(300)의 외측을 향해 탄성력을 갖고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계커버(200)의 전원중계단자(210)와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결합부재(300)와 몸체(100)에는 몸체(100)에 결합부재(300)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탈착수단(400)이 마련된다.
탈착수단(4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부(410)와, 결합홈부(420)와, 슬라이딩편(430)과, 끼움돌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홈부(410)는 건전지 수납부(110)의 둘레에 형성되며, 슬라이딩편(430)이 슬라이딩되면서 탈착되는 부위이다.
상기 슬라이딩홈부(410)는 슬라이딩편(430)의 출입을 위해 하방을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결합홈부(420)는 슬라이딩홈부(410)와 더불어, 결합부재(300)의 탈착을 위해 제공되며, 슬라이딩홈부(410)의 일측에 형성된다.
결합홈부(420)는 끼움돌기(440)와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부(410)의 개구된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딩편(430)은 결합부재(300)를 몸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결합부재(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편(430)의 두께는 슬라이딩홈부(410)에 대응되며, 슬라이딩편(430)은 슬라이딩홈부(410)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그리고, 끼움돌기(440)는 몸체(100)의 결합홈부(420)에 결합되며, 결합부재(300)의 타면에 형성된다.
끼움돌기(440)의 형태는 결합홈부(420)의 형태에 대응이 된다.
이때, 끼움돌기(440)는 결합부재(300)의 타면 상에서 탄성력을 갖고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끼움돌기(440)가 결합홈부(420)에 원활하게 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결합부재(300)의 타면 일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위에 끼움돌기(4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개된 부위를 유동시키면서 결합홈부(420)에 끼움돌기(440)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절개된 부위에는 손잡이(4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중계수단 즉, 결합부재(300)를 몸체에 결하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재(300)를 파지하여 몸체(100)의 슬라이딩홈부(410)에 슬라이딩편(430)을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부재(300)의 타면에 마련된 전원출력단자(310)는 중계커버(200)에 간섭되어 수축되면서 중계커버(200)의 전원중계단자(210)에 접점이 된다.
또한, 끼움돌기(440)는 절개된 부위의 유동에 의해 밀려났다가 복원되면서 결합홈부(420)에 삽입이 된다.
이에 따라 몸체(100)에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USB케이블(C)을 USB포트(320)에 결합하고, 외부 전원에 연결시킴으로써, 몸체(10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몸체(100)에 결합부재(300)의 탈착이 상기한 방식이 아닌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탈착수단(400)의 변형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에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탈착수단(400)은 중계커버(200)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홈부(450)와, 전원공급중계수단의 결합부재(300)에 형성된 경사돌부(460)와, 마그네트(470)로 구성된다.
경사홈부(450)는 중계커버(200)의 일면 즉, 외부로 노출된 면의 양측에 형성되며 중계커버(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점 깊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 상에서 중계커버(200)의 일측과 타측이라 함은, 몸체(100)의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을 말한다.
그리고, 경사돌부(460)는 중계커버(200)에 대향되는 결합부재(300)에 형성되며, 그의 위치는 경사홈부(460)에 대응이 된다.
상기 경사돌부(460)는 경사홈부(450)로 삽입되는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점 낮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마그네트(470)는 경사홈부(450)에 경사돌부(36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부(450)의 일면과 경사돌부(360)의 일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계커버(200)에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부재(300)의 경사돌부(460)를 경사홈부(450)에 슬라이딩하여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경사홈부(450)에 경사돌부(460)가 위치됨과 동시에 경사홈부(450) 및 경사돌부(460)의 자석은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중계커버(200)에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전원출력단자(310)는 중계커버(200)의 전원중계단자(210)에 밀착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도 8은 탈착수단(400)은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경사홈부(450) 및 경사돌부(460)에 탈착돌기(451) 및 탈착요홈(461)이 각각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경사돌부(460)에 탈착돌기(451)가 형성되고, 경사홈부(450)에 탈착요홈(461)이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호 간에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때, 탈착돌기(451) 및 탈착요홈(461)은 경사홈부(450)에 경사돌부(46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계커버(200)에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부재(300)의 경사돌부(460)를 경사홈부(450)에 슬라이딩하여 삽입시킨다.
이때, 경사돌부(460)는 경사홈부(45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탈착돌기(451)가 탈착요홈(461)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중계커버(200)와 전원공급중계수단(3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전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는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대체할 수 있는 중계커버와 전원공급중계수단을 마련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건전지를 사용하는 기존의 전자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사용을 위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건전지 수납부
111 : 전원입력단자 200 : 중계커버
210 : 전원중계단자 211 : 제1접점부
212 : 제2접점부 300 : 전원공급중계수단
310 : 전원출력단자 320 : USB포트
400 : 탈착수단 410 : 슬라이딩홈부
420 : 결합홈부 430 : 슬라이딩편
440 : 끼움돌기 441 : 손잡이
450 : 경사홈부 451 : 탈착돌기
460 : 경사돌부 461 : 탈착요홈
470 : 마그네트 C : USB 케이블
111 : 전원입력단자 200 : 중계커버
210 : 전원중계단자 211 : 제1접점부
212 : 제2접점부 300 : 전원공급중계수단
310 : 전원출력단자 320 : USB포트
400 : 탈착수단 410 : 슬라이딩홈부
420 : 결합홈부 430 : 슬라이딩편
440 : 끼움돌기 441 : 손잡이
450 : 경사홈부 451 : 탈착돌기
460 : 경사돌부 461 : 탈착요홈
470 : 마그네트 C : USB 케이블
Claims (6)
- 외관을 구성하며, 일측에는 건전지가 수납되는 요홈 형태의 건전지 수납부가 마련되되 건전지 수납부에는 건전지 전극이 접촉되는 전원입력단자가 마련된 몸체;
상기 건전지 수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전원입력단자 중 일측의 (+)단자와 타측의 (-)단자에 각각에 접점되는 전원중계단자가 마련된 중계커버;
상기 전원중계단자를 통해 전원입력단자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계커버는 건전지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중계수단은,
상기 중계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원중계단자에 접점되는 전원출력단자와, 이 전원출력단자에 전원공급을 위한 회로가 구성된 USB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중계수단은,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원중계단자에 접점되는 전원출력단자와, 이 전원출력단자에 전원공급을 위한 회로가 구성된 USB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중계수단은 전원출력단자 및 USB포트가 설치된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건전지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슬라이딩홈부와, 슬라이딩홈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부와, 상기 슬라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라이딩편과,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중계수단은 전원출력단자 및 USB포트가 설치된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중계커버의 일면에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깊이가 깊어지는 경사홈부와,
상기 경사홈부에 대응되는 결합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사돌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돌부는 상기 경사홈부로 삽입되는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점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구조.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중계단자는,
중계커버의 일면에 노출된 제1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로부터 중계커버를 통해 건전지 수납부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전원입력단자에 접점되는 제2접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441A KR102130121B1 (ko) | 2017-11-07 | 2017-11-07 |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441A KR102130121B1 (ko) | 2017-11-07 | 2017-11-07 |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602A true KR20190051602A (ko) | 2019-05-15 |
KR102130121B1 KR102130121B1 (ko) | 2020-07-03 |
Family
ID=6657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7441A KR102130121B1 (ko) | 2017-11-07 | 2017-11-07 |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012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6694A (ja) * | 1999-08-31 | 2001-03-23 | Sanyo Electric Co Ltd | パック電池とこのパック電池を備える電源装置 |
JP2001236936A (ja) * | 2000-02-23 | 2001-08-31 | Olympus Optical Co Ltd | 電池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機器 |
KR200250874Y1 (ko) * | 2001-07-18 | 2001-11-17 | 이철수 | 휴대폰 건전지 |
KR200382291Y1 (ko) | 2005-01-31 | 2005-04-18 | 신승자 | 스피커가 내장된 가라오케 마이크 완구 |
JP2005333709A (ja) * | 2004-05-19 | 2005-12-02 | Sony Corp | Dcアダプター装置 |
-
2017
- 2017-11-07 KR KR1020170147441A patent/KR1021301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6694A (ja) * | 1999-08-31 | 2001-03-23 | Sanyo Electric Co Ltd | パック電池とこのパック電池を備える電源装置 |
JP2001236936A (ja) * | 2000-02-23 | 2001-08-31 | Olympus Optical Co Ltd | 電池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機器 |
KR200250874Y1 (ko) * | 2001-07-18 | 2001-11-17 | 이철수 | 휴대폰 건전지 |
JP2005333709A (ja) * | 2004-05-19 | 2005-12-02 | Sony Corp | Dcアダプター装置 |
KR200382291Y1 (ko) | 2005-01-31 | 2005-04-18 | 신승자 | 스피커가 내장된 가라오케 마이크 완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0121B1 (ko) | 2020-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37022A (en) | Enclosed battery holder | |
US9134761B2 (en) | Attachable charger | |
TWI718295B (zh) | 充電裝置 | |
US5540596A (en) | Electric plug for supplying current to electric appliances | |
US20140035511A1 (en) |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 |
JP2019068552A (ja) | 可搬型充電給電装置 | |
US20150037618A1 (en) | Protecting case | |
KR20140004290U (ko) |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 |
US5998964A (en) | Portable appliance charging system | |
CN209711769U (zh) | 一种收纳无线耳机的手环 | |
CN113419355A (zh) | 方便更换电池的眼镜 | |
TWM557932U (zh) | 行動充電裝置及其電源供應組件 | |
KR20190051602A (ko) |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 |
TWM607900U (zh) | 滑鼠組件 | |
US20040190743A1 (en) | Earpiece having detachable battery device | |
KR20170086164A (ko) |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 |
KR200411025Y1 (ko) |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 |
JP2015162297A (ja) | 充電器 | |
JP2015162296A (ja) | 充電器 | |
CN210897757U (zh) | 一种安全插接式连接器及应用其的灯具 | |
KR200404743Y1 (ko) |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 |
KR20160052247A (ko) | 사면조립이 가능한 전자회로 블록용 슬라이딩 착탈식 컨트롤러 | |
CN216751210U (zh) | 充电装置 | |
JP2015073425A (ja) | 自走式清掃装置の充電装置 | |
US20190039528A1 (en) | Automobile bluetooth recei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