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360A -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360A
KR20190051360A KR1020170146903A KR20170146903A KR20190051360A KR 20190051360 A KR20190051360 A KR 20190051360A KR 1020170146903 A KR1020170146903 A KR 1020170146903A KR 20170146903 A KR20170146903 A KR 20170146903A KR 20190051360 A KR20190051360 A KR 2019005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grain
conveying
grains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771B1 (ko
Inventor
임종국
김기영
모창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4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0Starch-containing substances, e.g. doug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5Objects on a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Abstract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은 곡물이 낱개씩 안착하는 복수의 곡물안착홈이 이송표면에 마련된 이송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 이송 동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복수의 곡물안착홈에 곡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공급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곡물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의 곡물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광 프로브를 포함하는 광검사부; 상기 광학검사부를 통해 측정된 광 특성을 통해 상기 곡물을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로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을 이송 동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로부터 구분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곡물 판별시스템{discriminant system of contamination grain}
오염된 곡물을 판별하는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곡물에 발생하는 곰팡이균은 곡물의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수확량을 감소시켜 농가에 큰 손실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곰팡이로 인해 발생된 곰팡이 독소는 발암물질로서, 사람은 물론 동물에게도 유해한 영항을 주게 된다.
통상의 곰팡이균 검출방법은 미생물을 배양하고 육안으로 확인하는 전통적인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곰팡이균 검출방법은 배양 기간이 오래 소요되고, 배양 준비 과정에서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오염곡물의 판별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시료의 파괴우려가 있는 종래 곰팡이균 검출방법은 곡물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오염곡물을 비파과적인 방법을 이용한 전수검사 방식으로 실시간 연속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은 곡물이 낱개씩 안착하는 복수의 곡물안착홈이 이송표면에 마련된 이송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 이송 동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복수의 곡물안착홈에 곡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공급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곡물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의 곡물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광 프로브를 포함하는 광검사부; 상기 광학검사부를 통해 측정된 광 특성을 통해 상기 곡물을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로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을 이송 동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로부터 구분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곡물안착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공급노즐과, 광 프로브와, 흡입노즐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공급노즐과, 복수의 상기 광 프로브와, 복수의 흡입노즐은 각각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폭 방향을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부;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표면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곡물안착홈이 저부로 개방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표면으로 공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저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이물제거부를 통과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표면으로 자외선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저부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에 따르면, 곡물이 낱개씩 안착된 곡물안착홈을 구비하는 이송컨베이어의 이송과정에서 곡물의 광 반사 특성을 측정하여 곡물의 오염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므로, 오염곡물을 비파과적인 방법을 이용한 전수검사 방식으로 실시간 연속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의 중요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의 컨베이어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은 공팡이병균 등에 의해 오염된 곡물을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을 이송하는 이송부(10)와, 곡물을 이송부(10)로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에 광을 조사하여 광 반사 특성을 검사하는 광검사부(30)와, 광검사부(30)를 통해 검사된 광 반사 특성을 가지고 곡물의 오염여부를 분석하여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을 판별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10)를 통해 판별된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을 이송부(10)로부터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50)를 구비한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2,3은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의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가리킨다.
이송부(10)는 이송컨베이어(11)를 구비한다. 이송컨베이어(11)는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컨베이어벨트(12)를 구비하고, 이송컨베이어벨트(12)는 양측이 풀리(13,14)에 감기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풀리(13,14)가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면서 풀리(13,14) 사이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회전하면서 상면에 안착되는 곡물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표면에는 곡물이 낱개씩 안착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이 마련된다.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은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상호 이격된 행렬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부(20)는 곡물이 투입되도록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일측 저부에 위치하는 투입호퍼(21)와, 이송컨베이어벨트(12)로 곡물을 공급하도록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입구단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기(22)와, 투입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공급기(22)로 안내하기 위해 투입호퍼(21)와 공급기(22) 사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된 경사컨베이어(2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기(22)는 투입호퍼(21)로부터 경사컨베이어(23)를 따라 이송된 곡물을 전달받는 공급몸체(22a)와, 공급몸체(22a)로 전달된 곡물을 이송 동작중인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곡물안착홈(12a)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22b)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노즐(22b)은 이송컨베이어벨트(12) 상부에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공급노즐(22b)은 각각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 방향을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급노즐(22b)은 대응하는 곡물안착홈(12a)으로 동시에 곡물을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공급몸체(22a)에는 곡물이 복수의 공급노즐(22b)을 통해 낱개씩 일정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자동분배기(22c)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 동작 중에는 공급기(22)를 통해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으로 개별 곡물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광검사부(30)는 광원(31)과, 광 프로브(32)와, 분광센서(33)를 구비할 수 있다. 광원(31)으로는 1175~2170nm의 근적외선 파장대역의 광을 형성하는 텅스텐-할로겐 광원이 이용될 수 있다.
광 프로브(32)는 광원(31)의 광을 곡물안착홈(12a)에 안착된 곡물로 조사하고, 곡물로부터 반사되는 광 특성은 다시 광 프로브(32)를 통해 분광센서(33)로 송신되며, 분광센서(33)는 이를 수신하여 반사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광검사부(30)를 통해 측정된 반사스펙트럼을 오염곡물 판별 예측 프로그램에 적용시킴으로써, 곡물의 오염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40)은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의 판별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을 하는 디스플레이와,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박스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부(40)는 다수의 제어모듈을 구비하여 공급부(20)와, 광검사부(30)와 배출부(50)가 이송부(10)에 의한 곡물의 이송동작에 맞춰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오염곡물 판별 예측 프로그램은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의 반사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의 반사스펙트럼을 수학적인 전처리 기법을 적용한 후, 부분최소자승판별분석법(PLS-DA)을 이용하여 회귀분석하여 얻은 예측모델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광 프로브(32)는 이송컨베이어벨트(12) 상부에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광 프로브(32)는 각각 이송컨베이어벨트(12a)의 폭 방향을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 프로브(32)는 곡물안착홈(12a)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벨트(12)를 통해 이송중인 복수의 곡물에 차례로 광을 조사하여 곡물의 광 특성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광 프로브(32)는 광원(31) 및 분광센서(33)와 각각 별도의 광 섬유 케이블(34,3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의 판별신호에 따라 배출부(5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배출부(50)는 비오염곡물을 이송동작 중인 이송컨베이어벨트(12)로부터 배출시키는 제1배출부(60)와, 오염곡물을 이송동작 중인 이송컨베이어벨트(12)로부터 배출시키는 제2배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부(60) 및 제2배출부(70)는 각각 곡물안착홈(12a)에 안착된 곡물을 흡입하기 위해 흡입노즐(61,71)이 설치되는 흡입몸체(62,72)와, 흡입몸체(62,72)로 흡입된 곡물을 전달받아 수집하는 수집탱크(63,7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몸체(62,72)와 수집탱크(63,73) 사이는 배출안내관(64,7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흡입노즐(61,71)은 제1배출부(60)에 마련되는 제1흡입노즐(61)과, 제2배출부(70)에 마련되는 제2흡입노즐(91)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흡입노즐(61)과 제2흡입노즐(71)은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각각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흡입노즐(61)과 제2흡입노즐(71)은 각각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 방향을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흡입노즐(61)은 제어부(40)에 의해 비오염 곡물로 판정받은 곡물을 이송중인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곡물안착홈(12a)으로부터 흡입하고, 복수의 제2흡입노즐(72)은 제어부(40)에 의해 오염곡물로 판정 받은 곡물을 이송중인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곡물안착홈(12a)으로부터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흡입몸체(62,72)에는 각각 흡입노즐(61,71)에 흡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흡입몸체(62,72)로 흡입된 곡물을 저장탱크(63,73)로 보내기 위한 송풍장치(65,75)가 설치되고, 각각의 흡입노즐(61,71)에는 제어부(4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61a,71a)가 마련될 수 있다.
오염곡물이 이송컨베이어벨트(12)로부터 먼저 제거된 상태에서 비오염곡물이 제거되도록 제1흡입노즐(61)과 제2흡입노즐(71)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될 수 있다.
또한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 중 어느 하나가 제1배출부(60) 또는 제2배출부(70)에 의해 이송컨베이어벨트(12)로부터 제거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하나는 이송컨베이어벨트(12)에 끝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수집하는 경우에도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을 구분된 상태로 수집할 수 있게 되므로, 제1배출부(60)와 제2배출부(70) 중 어느 하나는 필요에 따라 삭제가 가능하다.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은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표면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부(80)와, 이송컨베이어벨트(80)의 이송표면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제거부(80)는 곡물안착홈(12a)이나 그 주변의 이송컨베이어벨트(12) 표면에 묻게 되는 먼지나 곡물찌꺼기와 같은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표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에어나이프(81)와, 에어나이프(81)를 통해 이송컨베이어벨트(12)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을 수집하는 이물수집통(82)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90)는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표면으로 자외선 살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살균램프(9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제거부(80)와 살균부(90)는 먼지나 곡물찌거기와 같은 이물이나, 다른 세균에 의해 광검사부의 검사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물제거부(80)는 배출부(50)를 통해 곡물이 제거되어 곡물안착홈(12a)이 저부로 개방된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표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출부(50) 쪽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저부에 마련되고, 살균부(90)는 이물제거부(80)를 통과면서 이물이 제거된 곡물안착홈(12a)이 자외선 살균광에 의해 살균된 상태에서 다시 새로운 곡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기(22) 쪽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저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염곡물 판별시스템에 의한 오염곡물의 판별동작을 설명한다.
이송부(20)의 구동에 의해 이송컨베이어벨트(12)가 회전하면,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12a)은 각각 대응하는 공급노즐(22b)과, 광 프로브(32)와, 제1흡입노즐(61) 및 제2흡입노즐(62)의 저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벨트(12)의 이송 동작중 복수의 공급노즐(22b)은 저부를 통과하는 곡물안착홈(12a)으로 곡물(1)을 하나씩 공급하고, 광 프로브(32)는 곡물안착홈(12a)에 안착된 상태에서 저부를 통과하는 곡물(1) 쪽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곡물(1)의 광 반사 특성이 광검사부(30)에 의해 측정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광검사부(30)를 통해 측정된 반사스펙트럼을 오염곡물 판별 예측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해당 곡물(1)의 오염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신호를 근거로 배출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광검사부(30)를 통과한 곡물(1)은 먼저 제1배출부(60)의 제1흡입노즐(61)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제1배출부(6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비오염된 것으로 판별된 정상 상태의 곡물이 먼저 제1흡입노즐(61)을 통해 흡입되도록 한다. 제1흡입노즐(61)을 통해 흡입된 정상 상태의 곡물(1)은 흡입몸체(62)와 배출안내관(64)을 거쳐 수집탱크(63)로 저장될 수 있다.
제1배출부(60)를 통과한 곡물(1) 중 제1배출부(60)를 통해 배출되지 않은 오염 곡물(1)은 곡물안착홈(12a)에 안착된 상태 그대로 제2흡입노즐(71) 저부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제2배출부(7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른 오염된 것으로 판별된 나머지 곡물(1)이 제2흡입노즐(71)을 통해 흡입되도록 한다. 제2흡입노즐(71)을 통해 흡입된 곡물(1)은 흡입몸체(72)와 배출안내관(74)을 거쳐 수집탱크(73)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20)를 통해 이송컨베이어벨트(12)로 공급된 곡물(1)은 이송컨베이어벨트(12)에 의한 이송과정에서 오염여부가 판별됨은 물론 오염여부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배출부(50)를 통과하면서 곡물(1)이 제거된 곡물안착홈(12a)은 이물제거부(80)와 살균부(9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이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살균되고, 살균이 완료된 곡물안착홈(12a)은 공급노즐(22b)과, 광 프로브(32)와 흡입노즐(61,71)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전술한 곡물의 오염판별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1: 곡물 10: 이송부
12: 이송컨베이어벨트 12a: 곡물안착홈
20: 공급부 22b: 공급노즐
30: 광검사부 32: 광 프로브
40: 제어부 50: 배출부
60: 제1배출부 61: 제1흡입노즐
70: 제2배출부 71: 제2흡입노즐
80: 이물제거부 90: 살균부

Claims (4)

  1. 곡물이 낱개씩 안착하는 복수의 곡물안착홈이 이송표면에 마련된 이송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
    이송 동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복수의 곡물안착홈에 곡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공급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곡물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의 곡물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광 프로브를 포함하는 광검사부;
    상기 광학검사부를 통해 측정된 광 특성을 통해 상기 곡물을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로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별된 오염곡물과 비오염곡물을 이송 동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로부터 구분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곡물안착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공급노즐과, 광 프로브와, 흡입노즐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공급노즐과, 복수의 상기 광 프로브와, 복수의 흡입노즐은 각각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폭 방향을 배열된 복수의 곡물안착홈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부;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표면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곡물안착홈이 저부로 개방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표면으로 공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저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이물제거부를 통과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이송표면으로 자외선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저부 타측에 마련된 오염곡물판별시스템.
KR1020170146903A 2017-11-06 2017-11-06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KR10202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903A KR102026771B1 (ko) 2017-11-06 2017-11-06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903A KR102026771B1 (ko) 2017-11-06 2017-11-06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360A true KR20190051360A (ko) 2019-05-15
KR102026771B1 KR102026771B1 (ko) 2019-09-30

Family

ID=6657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903A KR102026771B1 (ko) 2017-11-06 2017-11-06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7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68U (ko) * 1994-03-23 1995-10-16 천봉근 농수산물 이물질 제거 및 살균장치
KR200295029Y1 (ko) * 2002-08-09 2002-11-16 (주)케이.씨.텍 기판 세정 장치
KR100820242B1 (ko) * 2006-10-31 2008-04-08 한국전력공사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속 순환 이송 및 온라인 비접촉 성상분석 시스템
KR20080104000A (ko) * 2006-03-02 2008-11-28 포스 아날리티칼 아베 곡물 낟알의 광학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JP2015040818A (ja) * 2013-08-23 2015-03-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穀物分類方法及び穀物分類装置
KR20170004551A (ko) * 2015-07-03 2017-01-11 (주)소닉스 제품의 분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68U (ko) * 1994-03-23 1995-10-16 천봉근 농수산물 이물질 제거 및 살균장치
KR200295029Y1 (ko) * 2002-08-09 2002-11-16 (주)케이.씨.텍 기판 세정 장치
KR20080104000A (ko) * 2006-03-02 2008-11-28 포스 아날리티칼 아베 곡물 낟알의 광학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0820242B1 (ko) * 2006-10-31 2008-04-08 한국전력공사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속 순환 이송 및 온라인 비접촉 성상분석 시스템
JP2015040818A (ja) * 2013-08-23 2015-03-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穀物分類方法及び穀物分類装置
KR20170004551A (ko) * 2015-07-03 2017-01-11 (주)소닉스 제품의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771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33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 ovo sexing of avian embryos
CN110231341B (zh) 一种水稻种子内部裂纹在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RU2635296C2 (ru) Проверка драгоценных камней
US82819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t-threshing inspection and sorting of tobacco lamina
US11673166B2 (en) Seed imaging
WO2000067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classifying poultry eggs
KR20110081668A (ko) 과일 비파괴 선별장치
JP2017523101A (ja) 真空ベルトを備えた搬送装置
KR20190051360A (ko) 오염곡물 판별시스템
JP2007071620A (ja) 蚕蛹の雌雄を判別する方法と装置
CN108453052A (zh) 轴承套圈小箱化检测系统
CN104443582B (zh) 粉体大包装袋内袋破损检测装置
CN208771921U (zh) 一种茎叶类农产品中杂物识别剔除装置
JPH1010061A (ja) 飲料缶詰自動品質検査システム
KR200482654Y1 (ko) 원피 비전검사장비
WO2021250041A1 (en) Grain sorting process
KR940009663A (ko) 부품검사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검사방법
JP6393567B2 (ja) 有精卵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N108993930A (zh) 一种茎叶类农产品中杂物识别剔除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498918B1 (ko) 수산물선별장치
CN216484206U (zh) 在线浮游菌检测设备
JP2004309417A (ja) 清掃装置および光学特性測定装置
JP5531271B2 (ja) 二枚貝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4319569B2 (ja) 検査装置
JP5218729B2 (ja) 殻付ピスタチオ粒の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