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195A - 김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김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195A
KR20190051195A KR1020170146574A KR20170146574A KR20190051195A KR 20190051195 A KR20190051195 A KR 20190051195A KR 1020170146574 A KR1020170146574 A KR 1020170146574A KR 20170146574 A KR20170146574 A KR 20170146574A KR 20190051195 A KR20190051195 A KR 2019005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
guide
pusher plate
steam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345B1 (ko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지티엔이(주)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엔이(주), 김창섭 filed Critical 지티엔이(주)
Priority to KR102017014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3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워진 조미 김을 포장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3면 포장기로 전달함에 있어서, 잘라진 김을 트레이 없이 그대로 손상없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김 전달장치는, 김 절단장치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김을 다수열로 분리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김 이송부; 상기 제1 김 이송부의 김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1열로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김 이송부; 상기 제1 김 이송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밀어주는 김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김 전달 장치{A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ROASTED SLOKE}
본 발명은 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워진 조미 김을 포장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3면 포장기로 전달함에 있어서, 잘라진 김을 트레이 없이 그대로 손상없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김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락 김은 일반 구이 김에 비해 요철이 있고 부피 감이 있으며 바삭한 식감이 요구되는 특성으로 인해 다층 적층한 제품의 생산에 있어 형상 유지와 이동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절단, 적층된 도시락 김의 이동에 있어 하류 물류로 제품을 전달하는 경우 부서짐 및 흩어짐, 휘날림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트레이 용기에 넣은 후 포장되는 것이 기존의 포장 방식이다.
그런데 대량 유통 제품으로 자리 잡은 조미 김에서 소비 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트레이 및 방습제는 모두 환경 유해물로서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배송 시 부피 문제 또한 조미 김의 확산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와 방습제를 없애 환경적 폐단을 줄이고 단순 포장으로 부피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김 포장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절단된 상태의 김을 손상 없이 포장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워진 조미 김을 포장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3면 포장기로 전달함에 있어서, 잘라진 김을 트레이 없이 그대로 손상 없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김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전달장치는, 김 절단장치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김을 다수열로 분리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김 이송부; 상기 제1 김 이송부의 김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1열로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김 이송부; 상기 제1 김 이송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밀어주는 김 전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김 이송부는, 상기 김 절단장치에서 절단되는 김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의 제1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마다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안내로를 이동하는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도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김 이송부는,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말단에 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의 제2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김 안내로; 상기 제2 김 안내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김 안내로를 이동하는 김을 상기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도그 컨베이어; 상기 제2 김 안내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김을 수취하는 김 수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 전달부는,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마다 그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이송되는 김을 상기 제1 김 이송부의 말단에서 상기 제2 김 안내로 내부로 밀어주는 다수개의 김 푸셔판; 상기 다수개의 김 푸셔판들이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이격 간격과 대응되도록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푸셔판 설치봉; 상기 푸셔판 설치봉의 양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셔판 설치봉을 김 전달 구간과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는 캠 이동부; 상기 캠 이동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캠 이동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전달장치에는, 상기 푸셔판 설치봉 하측에 상기 푸셔판 설치봉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김 퓨셔판들을 연결하는 푸셔판 연결봉;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김 푸셔판들은 상기 푸셔판 설치봉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푸셔판 연결봉에는, 상기 다수개의 김 퓨셔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김 전달 구간 이동시에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상기 김 푸셔판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안내블럭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캠 이동부는,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 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직사각형 형태의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트랙판; 상기 가이드 트랙판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푸셔판 설치봉을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시키는 원형의 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전달장치에는, 상기 제2 김 안내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도그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안내로로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는 김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전달장치에는, 상기 제2 김 안내로의 시작 지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김 퓨셔판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김 충격 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전달장치에는, 상기 김 충격 방지부에는, 상기 김 충격 방지부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 감지센서는,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와 대응되는 개수와 각 제1 김 안내로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개수의 합만큼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캠 플레이트에는, 외측면에서 중앙 부분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며, 상기 푸셔판 설치봉이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상기 캠 플레이트의 중앙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설치봉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폭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 제1 도그 컨베이어는,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전단에서 후단을 왕복하여 회전구동하면서, 상기 김의 하면에 접촉하여 김을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김의 후측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1 도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도그 컨베이어는, 상기 제2 김 안내로의 전단에서 후단을 왕복하여 회전구동하면서, 상기 김의 하면에 접촉하여 김을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김의 후측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2 도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도그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1 도그의 이격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김 전달 장치에 의하면 구워진 조미 김을 포장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트레이 포장 등의 추가 공정 없이 그대로 3면 포장기로 전달할 수 있어서, 도시락 김 포장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달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김 전달부는 트레이에 담겨 있지 않은 김을 매우 부드럽게 밀어서 전달함으로써, 전달 과정에서 아무런 손상 없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이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푸셔판과 푸셔판 설치봉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트랙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김 이송부(100), 제2 김 이송부(200) 및 김 전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김 이송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 절단장치(400)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 절단장치(400)에 의하여 절단된 김을 다수열로 분리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김 이송부(100)는 상기 김 절단장치(100)와 제2 김 이송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김 절단장치(400)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200) 전단까지 이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김 이송부(10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김 안내로(110)와 제1 도그 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김 안내로(11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김 절단장치(400)에서 절단되는 김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의 제1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1 김 안내로(110)는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의 차단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양측의 차단벽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110) 사이의 간격은 도 1,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폭이 커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김 안내로(110)를 통하여 이동되는 김은 후술하는 제2 김 안내로(210)로 진입하고 상기 제2 김 이송부(200)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도그 컨베이어(220)에 의하여 90°꺾인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2 도그 컨베이어(22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 도그(224) 사이에 안정적으로 김을 진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110)에서 각각 이송되는 김들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이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120)는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110) 마다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안내로(110)를 이동하는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2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120)는 제1 컨베이어(122)와 제1 도그(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122)는,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전단에서 후단을 왕복하여 회전구동하면서, 상기 김의 하면에 접촉하여 김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며,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122)는 김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하면보다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중앙 부분에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그(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22)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김의 후측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도그(124)는 다수장 적층되는 김을 충분히 밀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김의 중간 부위를 밀 수 있도록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2 김 이송부(20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의 김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1열로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2 김 이송부(200)는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김의 이동 방향을 90° 전환하여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이며, 상기 김 전달부(300)에 의하여 절단된 김이 이송되면, 이 김을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200)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김 안내로(210), 제2 김 도그 컨베이어(220) 및 김 수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김 안내로(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말단에 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을 제2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김 안내로(210)도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차단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김 안내로(210)는 제1 김 안내로(110)와 달리 하나만이 설치되어 김을 1열로 상기 김 포장장치로 이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도그 컨베이어(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김 안내로(210)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김 안내로(210)를 이동하는 김을 상기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그 컨베이어(2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김 안내로(210)의 전단에서 후단을 왕복하여 회전구동하면서, 상기 김의 하면에 접촉하여 김을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222)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2)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김의 후측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2 도그(224)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도그(224)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1 도그(124)의 이격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제2 도그(224)의 이격 간격을 상기 제1 도그(124)의 이격 간격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서 이송되는 김이 이송되면서 상기 제2 도그(224)와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장비의 구동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김 수취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김 안내로(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김을 수취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김 수취부(230)는 상기 제2 김 안내로(210)를 이루는 일측 차단벽을 개방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형성 위치는 상기 제1 김 이송로(110)와 대응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김 전달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김 이송부(100)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200)로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200)로 밀어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200) 앞까지 밀려서 이동되는 김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2 김 안내로(210) 내부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 동작을 상기 김 전달부(300)가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김은 트레이에 담기지 않은 상태이므로 약한 충격에도 쉽게 부서지거나 날리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현상 발생없이 김을 안전하게 제2 김 이송부(200)로 전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김 전달부(300)를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 푸셔판(310), 푸셔판 설치봉(320), 캠 이동부(330) 및 회전동력 제공부(3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김 푸셔판(310)은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110)마다 그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120)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200)로 이송되는 김을 상기 제1 김 이송로(110)의 말단에서 상기 제2 김 안내로(210) 내부로 밀어주는 구성요소이다. 이 김 푸셔판(310)은 매우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충분한 강도를 가져서 휘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김 푸셔판(310)은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110)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개수만큼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은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김 푸셔판(310)들이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이격 간격과 대응되도록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은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수평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김 푸셔판(31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푸셔판 설치봉(32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김 푸셔판(310)들은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김 푸셔판(310)들은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김 푸셔판(310)의 상단에는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이 삽입될 수 있는 설치봉 삽입홀(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연결지그(3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설치봉 삽입홀에는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에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판 연결봉(322)과 안내 블럭(32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푸셔판 연결봉(3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 하측에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김 퓨셔판(310)들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푸셔판 연결봉(322)은 상기 연결지그(312) 중 상기 설치봉 삽입홀 하측에 형성되는 연결봉 설치홀(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푸셔판 연결봉(322)은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과 달리 상기 김 푸셔판(310)들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 블럭(324)은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김 퓨셔판(3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김 전달 구간 이동시에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상기 김 푸셔판(110)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블럭(324)은 상부가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푸셔판 연결봉(322)에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블럭(324)의 하단면은 상기 안내 블럭(324)이 캠 이동부(330)에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의 상단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안내 블럭(324)은 상기 제1 김 안내로(110)와 밀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하면서 항상 하단면이 수평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안내 블럭(324)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김 푸셔판(310)들도 이 구간에서는 수평면과 수직한 상태로 수평 이동하면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캠 이동부(33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의 양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을 김 전달 구간과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캠 이동부(330)는 제1 김 이송부(100) 말단에서 상기 제2 김 이송부(200)로 김을 밀어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김 푸셔판(310)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상적인 경로(331)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캠 이동부(330)를 가이드 트랙판(332)과 캠 플레이트(334)로 구성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 트랙판(332)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340) 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트랜판(332)에는, 상기 가이드 트랜판(33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의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3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경로(333)에 상기 푸셔판 연결봉(320)의 말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푸셔판 연결봉(320)이 외력에 의하여 밀리면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333)를 따라 상기 푸셔판 연결봉(320)이 이동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캠 플레이트(334)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트랙판(332)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34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을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333)를 따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캠 플레이트(334)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34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캠 플레이트(334)는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들을 상기 캠 플레이트(334)의 중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봉 이동홈(335)이 형성된다. 이 설치봉 이동홈(335)은 상기 캠 플레이트(334)의 외측면에서 중앙 부분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며,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이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333)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상기 캠 플레이트(334)의 중앙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은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333)를 따라 이동하면서 원형 궤도가 아니라 직사각형 궤도를 이동하므로 상기 캠 플레이트(334)의 중심점과의 상대적인 거리가 변동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봉 이동홈(335)이 상기 푸셔판 설치봉(320)들에 대하여 이러한 이동의 자유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340)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이동부(33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캠 이동부(33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340)는 구체적으로 스태핑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장치(1)에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 감지센서(3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김 감지센서(350)는 상기 제2 김 안내로(2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도그 컨베이어(120)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안내로(210)로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김 감지센서(350)는 상기 김 전달부(300)에 의하여 김을 전달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김 전달부(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김 감지센서(350)는 다수개로 설치되디,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110)와 대응되는 개수와 각 제1 김 안내로(110)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개수의 합만큼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그(224)의 설치 간격은 상기 제1 도그(124)의 설치 간격보다 크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김 이송부(100)에 의하여 전달되는 다수열의 김들의 전달 간격도 제2 도그(224)의 설치 간격 만큼 이격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감지센서(350)는 각 제1 김 안내로(110) 및 각 제1 김 안내로(110) 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김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개수의 김 감지센서(350)가 설치되는 것이,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장치(1)에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 충격 방지부(3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장치(1)에 의하여 전달되는 김은 트레이에 담겨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약한 충격에도 부서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김 푸셔판(310)에 의하여 밀리는 김이 전방의 제2 김 안내로(210)와 약간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부서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김 충격 방지부(360)가 상기 김 푸셔판(310)의 이상 전진을 방지하여 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김 충격 방지부(360)는 상기 제2 김 안내로(210)의 시작 지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김 퓨셔판(310)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봉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김 충격 방지부(360)에는, 상기 김 충격 방지부(360)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부(36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정부(362)는 상기 김 충격 방지부(360)의 전후 위치를 포장되는 김의 크기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전달장치
100 : 제1 김 이송부 200 : 제2 김 이송부
300 : 김 전달부 310 : 김 푸셔판
320 : 푸셔판 설치봉 330 : 캠 이동부
340 : 회전동력 제공부 350 : 김 감지센서
360 : 김 충격 방지부

Claims (12)

  1. 김 절단장치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김을 다수열로 분리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김 이송부;
    상기 제1 김 이송부의 김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1열로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김 이송부;
    상기 제1 김 이송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이송되는 다수열의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밀어주는 김 전달부;를 포함하는 김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김 이송부는,
    상기 김 절단장치에서 절단되는 김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의 제1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마다 설치되며, 상기 제1 김 안내로를 이동하는 김을 상기 제2 김 이송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도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김 이송부는,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말단에 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김의 제2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김 안내로;
    상기 제2 김 안내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김 안내로를 이동하는 김을 상기 김 포장장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도그 컨베이어;
    상기 제2 김 안내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김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김을 수취하는 김 수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김 전달부는,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마다 그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그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이송부로 이송되는 김을 상기 제1 김 이송부의 말단에서 상기 제2 김 안내로 내부로 밀어주는 다수개의 김 푸셔판;
    상기 다수개의 김 푸셔판들이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이격 간격과 대응되도록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푸셔판 설치봉;
    상기 푸셔판 설치봉의 양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셔판 설치봉을 김 전달 구간과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는 캠 이동부;
    상기 캠 이동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캠 이동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판 설치봉 하측에 상기 푸셔판 설치봉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김 퓨셔판들을 연결하는 푸셔판 연결봉;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김 푸셔판들은 상기 푸셔판 설치봉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판 연결봉에는,
    상기 다수개의 김 퓨셔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김 전달 구간 이동시에 상기 제1 김 안내로의 상단면과 밀착되어 상기 김 푸셔판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안내블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이동부는,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 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직사각형 형태의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트랙판;
    상기 가이드 트랙판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동력 제공부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푸셔판 설치봉을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시키는 원형의 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김 안내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도그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김 안내로로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는 김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김 안내로의 시작 지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김 퓨셔판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김 충격 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김 충격 방지부에는, 상기 김 충격 방지부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김 감지센서는,
    상기 다수개의 제1 김 안내로와 대응되는 개수와 각 제1 김 안내로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개수의 합만큼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플레이트에는,
    외측면에서 중앙 부분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며, 상기 푸셔판 설치봉이 상기 푸셔판 연결봉 순환 경로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상기 캠 플레이트의 중앙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설치봉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전달장치.
KR1020170146574A 2017-11-06 2017-11-06 김 전달 장치 KR10210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74A KR102103345B1 (ko) 2017-11-06 2017-11-06 김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74A KR102103345B1 (ko) 2017-11-06 2017-11-06 김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95A true KR20190051195A (ko) 2019-05-15
KR102103345B1 KR102103345B1 (ko) 2020-05-29

Family

ID=6657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74A KR102103345B1 (ko) 2017-11-06 2017-11-06 김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132A (ja) * 1993-12-28 1995-07-25 Omori Mach Co Ltd 自動集積供給装置
KR20090006500A (ko) * 2007-07-12 2009-01-15 강신탁 김절단 장치
KR101307477B1 (ko) * 2011-12-27 2013-09-11 주식회사 정철 김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132A (ja) * 1993-12-28 1995-07-25 Omori Mach Co Ltd 自動集積供給装置
KR20090006500A (ko) * 2007-07-12 2009-01-15 강신탁 김절단 장치
KR101307477B1 (ko) * 2011-12-27 2013-09-11 주식회사 정철 김 계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345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2217B2 (ja) 食品把持装置、食品移載装置及び食品把持方法
US9038354B2 (en) Machine for packaging articles inside containers
EP3164345B1 (en) A tray feed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tray feeding system
KR20150010545A (ko)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US20130291493A1 (en) Boxing method and device intended to sequentially box batches of products inside packaging receptacles
KR20190051195A (ko) 김 전달 장치
JP5878727B2 (ja) 包装体の集積装置
KR101459930B1 (ko)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US3881633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items from shelves
JP2016179858A (ja) 物品を運搬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WO2010108946A8 (en) Modular unit for automatic packaging of food products to be packaged in trays
KR101424205B1 (ko) 묶음 포장방법과 장치 및 이에 적합한 묶음 정렬용 호퍼
KR200391699Y1 (ko) 놀이용 카드를 포장하기 위한 카드공급기
JP6308887B2 (ja) アキューム装置
JP2015521142A (ja) 食肉製品の移動用搬送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KR101335574B1 (ko) 스프 분배 공급장치
EP3350083B1 (en) Synchronization system for infeed of product stacks onto a packer chain of a packaging machine, synchronisation device for such a synchronization system and transport device for such a synchronization system
US4129205A (en) Method and assembly for feeding articles
JP2008260567A (ja) スライス食パンの包装装置
US5160558A (en) Petri dish stack transfer system
KR20220100358A (ko) 비닐 패킹 제품의 개별 공급이 가능한 자동 포장 장치
CN220996915U (zh) 条盒烟包推送装置
JP6177303B2 (ja) 串刺し装置の串供給装置
JP4773752B2 (ja) 棒状物品段積み装置
JP2008114867A (ja) めんなどの食材を充填した複数個並列容器の包装機側への押し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