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953A -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953A
KR20190049953A KR1020197012822A KR20197012822A KR20190049953A KR 20190049953 A KR20190049953 A KR 20190049953A KR 1020197012822 A KR1020197012822 A KR 1020197012822A KR 20197012822 A KR20197012822 A KR 20197012822A KR 20190049953 A KR20190049953 A KR 2019004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obile device
image projection
slide fram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탈리에 로잔나 레벗
Original Assignee
문라이트 월드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라이트 월드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문라이트 월드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9004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in conjunction with image converters or intensifiers, or for use with projectors, e.g. objectives for projection TV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1Slide proj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08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pictures are attached to a movable carri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애퍼처를 가로지르는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과 몸체의 전방에서 개구와 정렬되게 위치하는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애퍼처를 정의하는 몸체를 갖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투명체를 조명하기 위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플래시를 사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출력을 투사된 슬라이드와 조화되도록 슬라이드 프레임 상에 인코딩된 정보를 통해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IMAGE PROJECTION DEVIC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image projection devic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조명을 위해 디바이스 외부의 광원을 사용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표시면(viewing surface) 상으로 이미지를 확대시키기 위해 렌즈와 함께 슬라이드 투명체(slide transparency) 또는 필름을 조명하는 전구(light bulb)를 활용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35mm 슬라이드들을 볼 수 있는 슬라이드 프로젝터들은 홈 엔터테인먼트 및 교육용으로 1950년대에 널리 보급되었다. 이러한 슬라이드 프로젝터들은 전기 백열전구(electric incandescent light bulb) 또는 기타 광원, 슬라이드 상에 광을 지향시키는 집광 렌즈(condensing lens) or 반사경(reflector), 슬라이드 홀더 및 초점 렌즈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프로젝터들은 비디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프로젝션 스크린에 표시되거나 대형 비디오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보다 편리한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플래시광 프로젝터(Flashlight projector)들은 슬라이드 투명체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으로 플래시광을 사용하는 신규하거나(novelty) 장난감 같은 물품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플래시광에 부착하기 위한 메커니즘, 슬라이드를 제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 슬라이드 이미지를 확대하고 초점을 맞추기 위한 광학 장치(optics)를 포함한다. 예시들은 미국 특허 제2,445,651호, 미국 특허 제 2,478,336 호 및 미국 특허 제 5,321,449 호를 포함한다.
스마트폰들, 디지털 카메라들 및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에도 이미지 프로젝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조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하는 실리콘 디스플레이 상의 액정을 사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이미지 프로젝터를 추가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비용들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874,683호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통합된 LED 광원 및 투과형 액정 패널(transmissive liquid crystal panel)의 사용을 개시한다. LED 광원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fitted)되는 외부 투사 렌즈 및 투과형 액정 패널을 조명하고, 투과형 액정 패널로부터 스크린 상으로 이미지를 확대하고 투사한다.
미국 특허 출원 제2015/0323160호는 스마트폰의 LED로부터의 광의 경로에 프로젝션 부재를 위치시키기 위해 스마트폰에 결합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다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조명 투사(lighting projection)들 및 효과들을 생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 다이얼(rotating dial) 상에 통합된 상이한 컬러들 또는 효과들의 다수의 프로젝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는 또한 조명 효과들을 변화시키도록 음악과 같은 소리들에 반응할 수 있다. 프로젝션 부재는 각인되거나(engraved) 그 위에 인쇄된 그래픽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프로젝션 부재와의 그래픽들의 통합 및 LED 광원의 컨디셔닝의 부재 때문에 이 디자인은 사진 품질 이미지들의 투사를 허용하지 않는다.
제 1 양상에 따르면, 카메라 플래시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애퍼처(aperture)를 정의하는 몸체-상기 몸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하고 상기 애퍼처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와 정렬시키는 부착 메커니즘(attachment mechanism)을 가짐-; 상기 몸체 내의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slide frame receiving slot)-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은 상기 애퍼처를 가로 지름(transverse)-; 및 상기 애퍼처와 정렬되는 확대 렌즈 (magnifying lens)-상기 확대 렌즈는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위치함-; 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프레임에 포함된 슬라이드 투명체는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플래시는 상기 슬라이드 투명체를 조명하고 상기 확대 렌즈는 투사면 (projection surface) 상에 투사하기 위해 조명된 슬라이드 투명체를 확대한다.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애퍼처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기 확대 렌즈의 병진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초점조절 메커니즘(focus adjustment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점조절 메커니즘은 텔레스코핑 메커니즘(telescoping mechanism) 또는 나사식 메커니즘(screw-type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출되는 투사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모터에 명령들을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초점조절 메커니즘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인 모터를 사용하여, 모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전진시키기 위한 기어링 메커니즘(gearing mechanism)을 사용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나노 흡착 물질과 같은 제거 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메커니즘은 또한 보호용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또는 클램프(clamp)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은 직사각형 및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의 슬라이드 프레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은 상기 애퍼처와의 정렬을 돕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외면 상에 노치(notch) 또는 함몰부(depression)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텐트(flexible deten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와 정렬하는 카메라 개구(camera opening)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카메라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상의 인코딩 블록을 캡쳐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몸체는 또한 상기 카메라 플래시로부터의 광이 상기 카메라 개구에 들어오도록 허용하는 상기 애퍼처와 연결되는 광 채널(light 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투명체들 및 대응하는 슬라이드 투명체와 관련된 인코딩된 정보(encoded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이 제공된다. 상기 인코딩된 정보는 상기 슬라이드 투명체에 인접한 인코딩 블록 안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코딩 블록은 바코드, 컬러 및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사용하여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된 정보는 바코드를 슬라이드 이미지에 임베이딩 (embedding)하는 것과 같이 슬라이드 투명체의 상기 이미지 안에 인코딩될 수도 있다.
제 3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슬라이드 디코더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인코딩 정보의 변화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 정보의 변화를 이벤트와 관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피커로부터의 오디오 재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것, 상기 카메라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디코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또는 근거리 통신 센서(near-field communication sensor)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이들이 어떻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더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단지 예시로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카메라 애퍼처 및 카메라 플래시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2a는 라인 A--A를 따른 도 2의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전방 투시 분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후방 투시 분해도이다.
도 4는 인접한 인코딩 블록에 슬라이드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슬라이드 투명체에 임베이드된 슬라이드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인접한 인코딩 블록에 슬라이드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슬라이드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후방 카메라 및 관련된 후면 카메라 플래시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조명된 슬라이드의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해, 적절한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이 이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방법들, 절차들 및 컴포넌트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이 설명은 어떠한 식으로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가능한 구현 방법들의 일부를 기술하는 것으로 역할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플래시(camera flash)(102) 및 카메라 애퍼처(camera aperture)(104)를 도시하는 일반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배면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후면 (106)에 대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전면(도시되지 않음) 상에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전방 표면(front facing surface) 상에서 카메라 플래시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카메라 플래시 (102)를 포함하는 임의의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디지털 카메라들 및 가능한 (potentially) 랩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시 (102)는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플래시(light emitting diode flash)이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애퍼처 (104)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들을 캡쳐하기 위한 CMOS-기반 이미지 센서 및 광학 장치들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상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플래시 (102)를 사용하는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 (100)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애퍼처(104) 및 카메라 플래시 (102)의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조사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카메라 플래시 (102) 및 카메라 애퍼처 (104)를 후면의 중앙 상에 수직 또는 상하 방향(top-bottom orientation)으로 배향시킨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일부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치수(dimension)들 및 센서들의 방향에 기초하여 특정 디바이스에 부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특정 치수 또는 카메라 애퍼처 (104) 및 카메라 플래시 (102)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다른 부착 메커니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카메라 애퍼처 (104)를 가려서는(obstruct) 안된다.
이제 도 2 및 도 2a를 참조하면, 라인 A--A를 따라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횡단면도를 제공하는 도 2a와 함께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부착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가 도시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몸체 (202)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부착되고, 카메라 플래시 (102)와 정렬되는 애퍼처 (210)를 가진다. 슬라이드 투명체 (402)는 애퍼처 (210)와 정렬되고 카메라 플래시 (102)에 의해 조명된다. 확대 렌즈(magnifying len) (240)들은 조명된 슬라이드 투명체 (402)를 벽, 천정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과 같은 투사면 상에 확대시킨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몸체 (202)는 몸체 (202)를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 (2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메커니즘 (220)은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해 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기계적인 클램프(c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는 모바일 폰의 후면 및/또는 엣지를 둘러싸는 이러한 케이스들과 같은 부착 메커니즘으로서 역할 하는 종래의 보호용 모바일 폰 케이스에 구현(embodied)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착 메커니즘 (220)은 몸체 (202)로부터 분리되는 나비 클립(butterfly clip)을 포함할 수 있다. 나비 클립은 스프링 바이어스드(spring biased)일 수 있으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움직임 또는 미끄러짐을 제한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와 결합하는 클립의 표면 상에 부드러운 고무 또는 유사한 고마찰력 물질과 같은 그립 물질(gripping material)을 포함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메커니즘 (220)은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후면 (106) 상에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설치 및 제거를 허용하도록 몸체 (202)에 부착되는 제거 가능한 접착제(adhesive)를 포함한다. 제거 가능한 접착제는 몸체 (202)의 접합면(mating surface)에 부착된 나노 흡착(nano-suction)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흡착 물질의 표면은 접착제와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후면 (106) 사이에 다수의 부분적인 진공들을 생성함으로써 작동하는 수천 개의 미세 구덩이(microscopic crater)들을 가진다. 나노 흡착제는 압력에 민감하지 않으며, 반복적으로 재접착(rebond)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로부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를 제거하기 위해서, 당신은 접착을 풀도록 간단히 당기거나 비틀면 된다. 젖은 티슈를 사용하여 나노 흡착 접착제 물질을 닦아 내는 것은 구덩이들로부터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흡착 성질들을 다시 회복시킨다.
몸체 (202)는 또한 임의의 수의 슬라이드 투명체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프레임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은)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인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을 추가로 제공한다. 슬라이드 프레임은 원형,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고,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은 슬라이드 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것이다.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은 애퍼처 (210) 내에 슬라이드 프레임 투명체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애퍼처 (210)를 가로 지른다(transverse). 슬라이드 프레임은 슬라이드 투명체 중 하나를 카메라 플래시 (102) 및 애퍼처 (210)와 정렬하도록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과 함께 위치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제어 하에 카메라 플래시 (102)는 애퍼처 (210) 내의 슬라이드 투명체 (402)를 조명한다.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202) 내에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 (202)의 후방 표면(rear-facing surface) 상의 채널(channel)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 (202), 카메라 플래시 (102) 및 확대 렌즈 (240)에 대한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의 위치는 이미지 투사 품질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확대 렌즈 (240)는 애퍼처 (210)와 정렬되고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몸체 (202)의 전방에 위치한다. 확대 렌즈 (240)는 조명된 슬라이드 투명체와 투사면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확대 렌즈 (240)는 벽 또는 천장과 같은 투사면 상으로의 투사를 위해 카메라 플래시 (102)에 의해 조명되는 슬라이드 투명도를 확대시킨다. 단순한 양면 볼록 렌즈(biconvex lens)가 설명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슬라이드 투명체의 투사 및 확대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렌즈 디자인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복합 렌즈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일부 실시예들은 확대 렌즈 (240)를 수용하는 초점조절 메커니즘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점조절 메커니즘 (260)은 투사된 이미지의 초점 또는 배율을 변경하기 위해 조명된 슬라이드 투명체 (402)와 확대 렌즈 (240)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애퍼처 (210)에 대해 축 방향으로 확대 렌즈 (240)의 병진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초점조절 메커니즘 (260)은 확대 렌즈 (240)의 이동을 허용하는 나사식 배열(screw-type arrangement) 또는 텔레스코핑 배열(telescoping arrang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2 개 이상의 렌즈들을 활용하는 복합 렌즈 디자인에서, 렌즈 중 하나만이 초점조절 메커니즘 (260)에 의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또한 카메라 플래시 (102)와 슬라이드 투명체 사이의 애퍼처 (210)와 정렬되거나 내부에 위치되는 플래시 컨디셔너 (flash conditioner)(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컨디셔너 (250)는 확대 렌즈 (240)로부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위치되어, 카메라 플래시 (102)로부터의 광학 경로가 플래시 컨디셔너 (250)를 통과하고, 슬라이드 투명체에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확대 렌즈 (240)에 의해 확대되게 한다. 플래시 컨디셔너 (250)는 슬라이드 투명체 (402)의 적절하고 완전한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 컨디셔너 (250)는 시준 렌즈(collimation lens)(예를 들어, 평면-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와 같은 광학 콘덴서 또는 광 확산 물질(light diffusing material),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볼록 렌즈가 사용되어 카메라 플래시 (102)로부터 들어오는 LED 광선이 평행한 광선들로 형성되어 이들이 슬라이드 투명체에 부딪치므로 투사된 이미지는 개선된 선명도(clarity)를 가질 수 있다. 사진 품질의 슬라이드들을 투사하는데 사용되는 실시예들에서, 플래시 컨디셔너는 투사된 이미지의 적절한 선명도를 획득하기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애퍼처 (210)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퍼처(210)는 둥근 확대 렌즈 (240)를 수용하기 위해 둥글 수 있다. 애퍼처 (210)는 또한 원형, 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 상의 슬라이드 투명체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어, 슬라이드 투명체 (402)가 애퍼처 (210)를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애퍼처 (210)는 또한 카메라 플래시 (102)에 인접한 몸체 (202)의 후면으로부터 몸체 (202)의 전면까지 원추형(conically shaped)이거나 유사하게 증가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일부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은 애플(Apple)에 의해 생산된 디바이스를 위한 라이트닝 커넥터(Lightning connector) 또는 USB 충전 포트 같은 것들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와 연결(coupling)하는 것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다른 실시예들은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몸체 (202)는 충전 포트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로 보조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는 모피사(mophie inc)에 의해 생성된 것들과 유사한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폰 케이스에 구현(embodied)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는 또한 카메라 플래시 (102)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증가된 전력 수요를 보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슬라이드 전진 또는 초점 조절에 관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원 공급(예를 들어, 마이크로 USB 또는 라이트닝)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가 자체 전원 공급인 경우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헤드폰/마이크로폰 잭, 블루투스 또는 NFC와 같은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디코더(slide decod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애퍼처 (210) 내의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를 추가로 식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디코더는 전원이 필요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디코더는 슬라이드 프레임에 임베이드된 하나 이상의 무선 태그들을 인식(read)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NFC)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투명체 (402) 및/또는 슬라이드 프레임 (400)을 식별하는 디코딩된 정보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로 전달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드 투명체들 상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다른 방법들 및 슬라이드 디코더 실시예를 사용하여 디코딩하는 각각의 방법은 도 4 내지 6에 관련하여 논의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드 디코더는 단독으로 또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드 디코딩 기능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NFC 송수신기는 특정 슬라이드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고,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 상의 슬라이드 디코더는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가 슬라이드 디코더로 역할 할 수 있는 예시들을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전력을 공급받는 실시예들은 슬라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전진 모터(slide advancement motor)(예를 들어, 기어 배열(gearing arrangement)를 사용하는)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전진 모터는 다음 슬라이드 투명체를 위치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 내에서 슬라이드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는 전진 및 후진 버튼들과 같은 슬라이드 전진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슬라이드 투명체가 애퍼처 (210) 내에 있게 제어하기 위해 슬라이드 전진 모터에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전력을 공급받는 실시예들은 또한 확대 렌즈 (24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초점조절 메커니즘 (260)에 결합될 수 있는 초점조절 모터(focus adjustment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이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 상의 버튼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는 투사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예를 들어 엣지 디텍션 알고리즘(edge detection algorithm)을 사용함으로써 캡쳐된 이미지가 초점이 맞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초점조절 모터에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투사된 이미지의 초점을 유지하기 위해 카메라를 사용하여 투사된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또한 초점조절 모터를 사용하여 포커스 조절을 재평가(reevaluate)할지 여부를 고려하기 위해 온보드 모션 센서들/가속도계들로부터의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투사된 이미지 상의 손 움직임들의 효과들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적인 안정화(stabiliz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인 안정화 실시예들은 모션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계들)들을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은 움직임의 3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들을 통해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몸체 (202)에 결합될 수 있다. 모션 센서들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핸들은 몸체 (202)를 안정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움직임을 줄이도록(counteract)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들을 수용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00)의 전방 및 후방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00)의 몸체 (302)는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330)을 가로지르는(intersect) 애퍼처 (310)을 정의한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00)의 몸체 (302)는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330)을 가로지르는 (intersect) 애퍼처 (310)를 정의한다. 부착 메커니즘 (320)은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00)의 몸체 (302)의 후면에 부착되는 나노-흡착 물질이다.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330)은 회전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중심과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드 프레임 얼라이먼트 메커니즘(slide frame alignment mechanism) (332)을 포함한다.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중심은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 (400)을 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회전을 허용하도록 슬라이드 프레임 얼라이먼트 메커니즘 (332)와 결합(mate)하는 홀(hole), 함몰부(depression), 돌출부(protrusion) 및 차축(axle)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중심에서 홀 또는 함몰부와 결합할 수 있는 신축성 돌출부 (332)를 도시한다.
분해도는 확대 렌즈 (340)의 이동을 허용하는 초점조절 메커니즘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렌즈 슬라이드 (362)는 애퍼처 (310) 내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어태치먼트 (364)는 렌즈 어태치먼트 (364)와 렌즈 슬라이드 (362) 사이의 압입(press fit) 상태로 확대 렌즈 (340)를 유지(hold)하도록 렌즈 슬라이드 (362) 상에 클립핑(clip)한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는 일부 슬라이드 디코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에 의존(rely on)한다. 몸체 (302)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 모듈을 덮도록 디자인되고 몸체 (302)의 후면에 광 채널 (382) 및 카메라 개구 (camera opening) (38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330)은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슬라이드 인코딩 블록 (410)(도 4 참조)이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카메라 개구 (380)에 개방된다. 카메라 플래시 (102)로부터의 광은 광 채널 (382)을 통해 카메라 개구 (380)로 투과되어(transmitted)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가 현재 조명된 슬라이드 투명체 (402)와 관련된 슬라이드 인코딩 블록 (410)을 캡쳐하도록 허용한다. 광 채널 (382)은 빈 공간(free space) 또는 임의의 광 투과성 재료(예를 들어, 투명한(clear) 플라스틱 또는 유리)일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00)와 함께 동작하도록 디자인된 원형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정면도가 도시된다. 슬라이드 프레임 (400)은 대응하는 슬라이드 투명체 (402)들에 인접한 인코딩 블록 (410) 안에 슬라이드 인코딩 정보를 포함한다. 인코딩 블록 (410) 안에 인코딩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가 투사된 이미지와 조화(coordinate)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투사되고 있는 슬라이드 투명체 (402)를 식별한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의 비디오(예를 들어, 북 텍스트, 무비 클립들), 오디오(예를 들어, 노래, 음성 대화, 음향 효과들 등)와 같은 관련 미디어를 재생함).
슬라이드 프레임 (400)은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330) 내의 대응하는 구조체와 결합하는 노치(notch)들 또는 함몰부 (40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슬라이드 투명체 (402)가 적절하게 정렬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기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330)은 슬라이드 프레임을 애퍼처 (310) 내에 정렬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프레임 (400) 상의 노치/함몰부 (404)와 결합하는 슬롯 내의 플랙서블 디텐트(flexible detent)를 가질 수 있다. 플랙서블 디텐트는 신축성 플라스틱 또는 스프링 기반(spring based)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리기드 디텐트(rigid detent)를 가질 수 있고 슬라이드 프레임은 애퍼처 (310) 내에서 슬라이드 투명체 (402)의 이동 및 정렬을 허용하도록 신축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텐트가 노치/함몰부 (404)와 결합하는 경우에 들을 수 있는 피드백 (예를 들어, 딸각 소리가 나는 노이즈)이 만들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일부 실시예들은 단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프레임 (4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내의 폴(pawl) 또는 디텐트와 결합하는 하나의 에지 상에 적당한 기울기를 가지고 다른 에지 상에 훨씬 가파른 기울기를 가지는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래칫(ratchet)/폴 메커니즘을 사용).
인코딩 블록 (410) 내에서 인코딩된 인코딩 정보는 현재 투사되고 있는 슬라이드 투명체 (402)를 식별할 수 있다. 인코딩 블록 (410)으로 정보를 인코딩하는 많은 상이한 인코딩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인코딩 블록 (410)은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00)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컬러 투명체이다. 카메라 플래시 (102)로부터의 광은 컬러 투명체 인코딩 블록 (410)을 조명하기 위해 광 채널 (382)을 통과할 수 있고 컬러는 그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 (400) 상의 각각의 슬라이드 투명체 (402)는 그와 관련된 고유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슬라이드 투명체 (502) 자체 내에 있는 인코딩 블록(즉, 도 4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투명체 (402)들과는 별도인 인코딩 블록 (410)에서가 이 아닌) 안에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슬라이드 프레임 (50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는 다수의 상이한 인코딩 방법들을 도시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일 유형의 인코딩만이 슬라이드 프레임에 사용된다. 첫 번째 두 예시 슬라이드 투명체들에서, 인코딩 블록은 슬라이드 투명체 (502)가 투사면 상에 투사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카메라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슬라이드 투명체 (502)에 임베이드된 바코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인코딩한다. 인코딩 블록은 임의의 유형의 바코드(컬러를 포함하는 바코드들, QR 코드들과 같은 2-D 바코드들, 또는 선형 바코드들을 포함)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바코드 (512) 및 QR 코드 (514)가 도 5의 슬라이드 투명체 (502)들에 임베이드된 것으로 도시된다. 슬라이드 프레임 (500)은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애퍼처 내에 슬라이드 프레임 (500)을 정렬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aid)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에서 디텐트 또는 핀과 결합할 수 있는 함몰부 (504)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코딩 정보는 슬라이드 투명체 이미지 자체를 포함할 수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다수의 가능한 슬라이드 투명체들로부터 투사된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인코딩 블록은 또한 슬라이드 투명체 (502) 자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투사된 이미지에 대한 서명(signature)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투사된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고, 이 서명을 모바일 디바이스 (100) 상의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서명들과 비교하여,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의해 트리거되어야 하는 이벤트를 식별한다. 예로서 제공되는 카툰 태양 (515)은 모바일 디바이스 (100)에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를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한 고유한 서명이 될 수 있다(result in). 예를 들어, 엣지 검출 알고리즘이 투영면 상의 투사된 슬라이드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가적인 엣지 검출 알고리즘이 알려진 슬라이드 투명체들의 엣지 메트릭스들과 비교될 수 있는 엣지 검출 매트릭스(edge detection matrix)를 획득하기 위해서 식별된 투사된 슬라이드 상에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블록 안에 인코딩 정보는 가능한 모든 슬라이드 투명체들에 고유하거나(즉, 전역으로(globally)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 또는 지정된 슬라이드 프레임 상의 슬라이드 투명체들에만 고유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슬라이드 번호 1 에서 10). 사용된 인코딩 방법에 따라, 각각의 슬라이드 투명체에 대해 전역으로 고유한 식별자들을 가지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컬러 인코딩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 카메라에 대한 인코딩 블록의 거리, 광량 및 다양한 제조사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카메라 간의 가변성(variability)으로 인해 검출될 수 있는 고정된 수의 컬러를 정확하게 인코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인코딩 블록 (410)에서 전역으로 고유한 인코딩 정보가 없는 이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드 프레임 (400)은 슬라이드 프레임 (4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슬라이드 프레임 인코딩 블록 (420)을 포함할 수 있어,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 (402)는 인코딩 블록 (410) 및 슬라이드 프레임 인코딩 블록 (420)의 조합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프레임 식별자 (420)는 슬라이드 프레임 (400) 상에 작성된 텍스트(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100)로 슬라이드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청하는)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NFC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근거리 통신(NFC) 태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슬라이드 투명체 (602)에 인접한 인코딩 블록들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슬라이드 프레임 (600)이 도시된다. 다시, 다수의 인코딩 방법들이 설명을 위한 의도로 슬라이드 프레임 (600) 상에 도시된다. 슬라이드 프레임 (600)은 인코딩 블록이 모바일 디바이스 카메라 또는 NFC 송수신기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100)의 슬라이드 디코더 근처에 위치하도록 디자인된다. 인코딩 블록에 직접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도 5에서 투사된 인코딩 블록이 아닌)은 모바일 디바이스 카메라에 의해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는 해상도(또는 인코딩되는 정보의 양)를 한정(limit)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는 가깝게 위치한 인코딩 블록에 초점을 맞추도록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 (600)은 또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애퍼처 내에서 슬라이드 프레임 (600)의 정렬을 돕기 위해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내의 대응하는 함몰부와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부 (606)들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들은 컬러 투명체 (616)를 사용하는 컬러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 선형 바코드 (617) 및 QR 코드 (618)와 같은 바코드 안의 인코딩 정보, 및 NFC 태그 (619) 안의 인코딩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710), 메모리 (720), 후면 카메라 플래시 (730), 후방 카메라 (740), 디스플레이 (750), 스피커 (760), 슬라이드 디코더 (770), 및 입력 디바이스 (78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790)는 모바일 디바이스 (700)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컴퓨터화된 실시예들을 포함하는)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 (790)는 모바일 디바이스 (700)의 충전 포트, Wi-Fi,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700)는 도 7에 도시된 다른 컴포넌트들과 상호 작용(입력 및 출력을 수신)하기 위해 프로세서 (710)를 사용하여 메모리 (7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 플래시 (730) 및 후방 카메라 (7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700)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700)는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를 위한 투사 광원으로서 동작하도록 후면 카메라 플래시 (73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700)들의 예들은 모바일 폰들, 랩톱 컴퓨터들 또는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700)는 스피커 (760) 및 디스플레이 (750)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키보드, 버튼들 또는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 (78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700)에 입력을 제공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780)를 통해 수신된 입력은 결합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명령(예를 들어, 다음 슬라이드로 진행, 초점 조절 등)들을 송신하는데 착수(initiate)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드 디코더 (770)는 특정 슬라이드 투명체를 식별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슬라이드 프레임 상의 인코딩 블록 (인코딩 블록 (410) 또는 슬라이드 프레임 인코딩 블록 (420)과 같은) 안에 인코딩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슬라이드 디코더 (770)는 후방 카메라 (74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디코더 (770)는 또한 근거리 통신 송수신기와 같은 무선 수신기일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에서 조명된 슬라이드의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방법 (8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방법 (800)은 현재 투사되고 있는 슬라이드 투명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을 조정(coordinate)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802)에서, 슬라이드 프레임이 식별된다. 이 단계는 슬라이드 프레임 인코딩 블록 (420)과 같은 슬라이드 프레임 인코딩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700)의 슬라이드 디코더 (770)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이 단계는 슬라이드 프레임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거나 슬라이드 프레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내의 특정 스토리를 선택함으로써, 슬라이드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 (780)를 통해 입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00)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드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은 슬라이드 투명체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인코딩 블록을 디코딩하는 슬라이드 디코더 (7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804)에서, 조명되거나 투사되는 슬라이드 투명체의 변화가 검출된다. 이는 슬라이드 디코더 (770)에 의해 검출되는 슬라이드 투명체와 관련된 인코딩 블록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입력 디바이스 (780)로부터 다음 슬라이드를 전진시키기 위한 명령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790)를 통해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로부터 슬라이드 프레임이 전진되었다는 통신을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는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 (230) 내에 슬라이드 프레임이 전진될 때마다 트리거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스위치 정보는 단계 (804)에서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806)에서, 현재 조명된 슬라이드 투명체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 (100)상의 이벤트가 트리거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상의 이벤트는 스피커 (760)를 통한 오디오의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 (750)를 업데이트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번개를 시뮬레이트(simulate)하기 위해 온 오프로 껏다 켯다 (toggling)하는 것과 같은 후면 카메라 플래시 (730)의 동작과 관련될 수 있다.
방법 (800) 및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00)의 동작의 예시는 어린이의 스토리 또는 노래를 위한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은 어린이의 스토리 또는 노래와 관련된 일련의 이미지 투명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토리 텔링을 돕는 동반 어플리케이션(companion application)(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토리 텍스트, 스토리 내러티브(story narrative) 및 음악과 같은 오디오)을 실행한다. 동반 어플리케이션은 슬라이드 투명체들을 조명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플래시를 활성화시키고 슬라이드 검출 모듈을 통해 슬라이드 투명체 및/또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 정보를 수신한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또는 NFC 센서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슬라이드가 전진되는 경우에 인코딩 정보의 변화를 검출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동반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를 트리거한다(예를 들어, 책 페이지를 넘기기, 책 페이지와 관련된 오디오 북 오디오 시작, 음향 효과 또는 스토리 내러티브 재생). 동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동반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언어로 관련된 콘텐츠 또는 스토리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들은 프로그래머블 컴퓨터(programmable computer)들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메모리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없이, 프로그래머블 컴퓨터들은 다수의 프로세서들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갖는 서버급 컴퓨터일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고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 상에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들 및 균등한 배열들을 포함(cover)하도록 의도되었으며, 청구항들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들 및 균등한 배열 및 기능들을 포함하는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6)

  1. 카메라 플래시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image projection device)에 있어서,
    애퍼처(aperture)를 포함하는 몸체-상기 몸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하고 상기 애퍼처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와 정렬시키는 부착 메커니즘(attachment mechanism)을 가짐-;
    상기 몸체 내의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slide frame receiving slot)-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은 상기 애퍼처에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상의 슬라이드 투명체(slide transparency)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애퍼처를 가로 질러(transverse), 상기 슬라이드 투명체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와 정렬시킴-; 및
    상기 애퍼처와 정렬되는 확대 렌즈 (magnifying lens)-상기 확대 렌즈는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위치함-;
    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은 플랙서블 디텐트 돌출부(flexible detent projection)를 가지며, 상기 플랙서블 디텐트 돌출부는 상기 애퍼처 내에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슬라이드 투명체의 각각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사이드 면(side face) 또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엣지 상의 복수의 노치(norch)와 상호작용하도록 위치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 내에 플래시 컨디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컨디셔너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에 대해 상기 확대 렌즈에 대향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초점조절 메커니즘(focus adjustment mechanism)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점조절 메커니즘은 상기 확대 렌즈를 상기 애퍼처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병진 이동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 메커니즘은 텔레스코핑 메커니즘(telescoping mechanism) 및 나사식 메커니즘(screw-type mechanism) 중 어느 하나인,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메커니즘은 클램프(clamp) 또는 나비 클립(butterfly clip) 중 어느 하나인,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메커니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합(engage)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표면은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마찰력 물질을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와의 정렬을 위한 카메라 개구(camera opening)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수용 슬롯은 상기 카메라 개구를 가로지르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상의 인코딩 블록(encoding block)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카메라에 의한 검출을 위해 상기 카메라 개구에 위치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애퍼처를 상기 카메라 개구에 연결(coupling)하는 광 채널(light channel)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9. 카메라 플래시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 가능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위한 슬라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투명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투명체와 관련된 인코딩된 정보(encoded information)-사용시에,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이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전진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동반 어플리케이션(companion application)에서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인코딩 정보(encoding information)의 변화가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카메라 개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피커로부터의 오디오 재생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인,
    슬라이드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투명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 블록(encoding blo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 블록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를 가지는,
    슬라이드 프레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 블록은 바코드, 컬러 및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ag) 중 하나인,
    슬라이드 프레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투명체의 이미지 안에 인코딩되는,
    슬라이드 프레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정보는 바코드로서 인코딩되는,
    슬라이드 프레임.
  14. 슬라이드 투명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투과되는(transmitted) 광을 투사하는 카메라 플래시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카메라 개구를 통해 인코딩 블록을 캡쳐하는 슬라이드 디코더(slide decoder)에 의해 검출되는 슬라이드 프레임 상에 인코딩 정보의 변화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 정보의 변화를 이벤트와 관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단계-상기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피커로부터의 오디오 재생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임-,
    을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및 근거리 통신 센서(near-field communication sensor)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디코더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슬라이드 디코더를 통해 수행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디코더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슬라이드 투명체가 변화되었는지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이미지를 이전에 캡쳐된 이미지와 비교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방법.

KR1020197012822A 2016-06-17 2017-06-16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KR20190049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1506P 2016-06-17 2016-06-17
US62/351,506 2016-06-17
US15/217,067 2016-07-22
US15/217,067 US10571793B2 (en) 2016-06-17 2016-07-22 Image projection device
PCT/CA2017/000152 WO2017214710A1 (en) 2016-06-17 2017-06-16 Image projection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09A Division KR101977822B1 (ko) 2016-06-17 2017-06-16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953A true KR20190049953A (ko) 2019-05-09

Family

ID=606600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822A KR20190049953A (ko) 2016-06-17 2017-06-16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KR1020187003909A KR101977822B1 (ko) 2016-06-17 2017-06-16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09A KR101977822B1 (ko) 2016-06-17 2017-06-16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71793B2 (ko)
EP (1) EP3314330A4 (ko)
JP (3) JP6439074B2 (ko)
KR (2) KR20190049953A (ko)
CN (1) CN208000447U (ko)
AU (3) AU2017285487B2 (ko)
CA (3) CA3005079C (ko)
HK (1) HK1246868A1 (ko)
WO (1) WO2017214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9776A (zh) * 2017-06-05 2018-12-11 深圳市领芯者科技有限公司 幻灯片放映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手持终端
CH714797A2 (fr) 2018-03-16 2019-09-30 Erwin Portuondo Campa Dispositif support d'images et système de projection pour la projection d'une présentation d'images ainsi qu'une méthode de projection.
CN108737871B (zh) * 2018-06-01 2020-12-25 深圳安麦思科技有限公司 一种投影控制方法与系统
US20200028994A1 (en) * 2018-07-17 2020-01-23 Anil Rami Webcam shield
KR101993265B1 (ko) * 2019-01-12 2019-06-27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확대 영상 장치
US11422391B1 (en) * 2020-03-31 2022-08-23 Bevan Brathwaite Colored strobe for mobile phone
CN215416244U (zh) * 2020-11-01 2022-01-04 许龙才 一种具有自动翻页功能的故事机
CN113654810B (zh) * 2021-07-29 2022-11-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投影装置及采用该装置的试验标桩摆放方法
GB2617818A (en) * 2022-03-11 2023-10-25 Innovatethis Ltd Speak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8336A (en) 1945-10-27 1949-08-09 Hollywood Comic Flash Inc Flashlight film and picture projecting device
US2445651A (en) 1947-04-24 1948-07-20 Stephen L Piatkowski Flashlight movie projector
DE2113064A1 (de) 1970-03-19 1971-09-30 Minolta Camera Kk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Planfilms in einem Projektor
JPS56168859U (ko) 1980-05-13 1981-12-14
JPS5874233U (ja) * 1981-11-12 1983-05-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イルム検索装置
US4455082A (en) * 1982-09-02 1984-06-19 Enn Lepist Cropping kit
DE3244394A1 (de) * 1982-12-01 1984-06-07 Sacher, geb. Seekircher, Brigitte, 5210 Troisdorf Projektionsgeraet
US4765734A (en) 1986-05-22 1988-08-23 Pakon, Inc. Digitally encoded alpha-numeric projector slide and systems for using the same
US5321449A (en) 1992-09-25 1994-06-14 Mario Coccoli Projecting flashlight
JP2000267188A (ja) * 1999-03-18 2000-09-29 Asahi Optical Co Ltd ビュアー装置および画像記録体保持枠
DE29921857U1 (de) * 1999-12-13 2000-04-2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GB2363244B (en) * 2000-06-09 2004-03-10 Hewlett Packard Co Audio-video recording of overhead projector based presentations
US20030024975A1 (en) 2001-07-18 2003-02-06 Rajasekharan Ajit V.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evant to the physical world
US8083376B2 (en) 2002-11-04 2011-12-27 Tseng-Lu Chien LED power failure light
JP2004326064A (ja) * 2003-04-26 2004-11-18 Toshiyuki Nosaka 画像表示装置及びスライドホルダ
US20050072691A1 (en) 2003-10-02 2005-04-07 Global Sourcing Group Inc.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4610954B2 (ja) 2004-07-14 2011-01-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絵本型投影玩具
KR100726128B1 (ko) 2005-07-22 2007-06-12 정 현 이 영상 투사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US20070171383A1 (en) * 2006-01-23 2007-07-26 Brown International Corporation Portable battlewall display stand
JP4925429B2 (ja) 2006-10-03 2012-04-25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20090108057A1 (en) 2007-10-24 2009-04-30 Hong Mu Using Quick Response Codes to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TWI344780B (en) 2008-03-24 2011-07-01 Wistron Corp Protective cover adapte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526995B1 (ko) 2008-10-15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00328420A1 (en) 2009-06-29 2010-12-30 Roman Kendyl A Optical adapters for mobile devices with a camera
US20110320208A1 (en) 2010-06-24 2011-12-29 Ki Kin Wong Page identification method for audio book
US9814977B2 (en) 2010-07-13 2017-11-1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upplemental 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KR20100138863A (ko)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US20120245422A1 (en) 2011-03-21 2012-09-27 Hasbun William M Otoscope attachment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smart phone and a method for its use
US9071671B2 (en) 2012-04-06 2015-06-30 Izzi Gadgets, Inc. Cellular telephone casing system incorporating lens attachments
US20130276012A1 (en) 2012-04-11 2013-10-17 2Nd Screen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riggering an Event
US20130331148A1 (en) 2012-06-12 2013-12-12 Richard Brough Image Modifying Assembly for Smart Devices
US20150077518A1 (en) 2012-06-26 2015-03-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mobile pattern projection
ES1079196Y (es) 2012-12-11 2013-08-05 Fernandez Luis Alberto Menendez Proyector de dispositivas acopable a teléfonos móviles y otros dispositivos con flash
US20140281855A1 (en) 2013-03-14 2014-09-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splaying information in a presentation mode
US8973844B2 (en) 2013-03-15 2015-03-10 Pictech Management Limited Information exchange using photo camera as display for color space encoded image
KR20150015664A (ko) 2013-08-01 2015-02-11 (주)휴스텍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US20150172431A1 (en) 2013-12-13 2015-06-18 Triangus Group Co., Ltd. Multifunctional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9675901B2 (en) 2013-12-17 2017-06-13 Doron SIMHI Slides projector book device
CN104950558A (zh) 2014-03-26 2015-09-30 刘涛 一种可以利用数码产品闪光灯作为光源的微型投影仪
US20150323160A1 (en) 2014-05-12 2015-11-12 James R. Duguid Smartphone light projection device with effects and ambient noise synchronization
DE102015215018A1 (de) 2014-08-07 2016-02-11 Kinetix Ag Halter für flache in etwa rechteckige Geräte wie Tablet-Computer oder Smartphones
TWI569085B (zh) * 2014-09-10 2017-02-01 Ophaya Electronics Corp A projection system with optical image recognition function, a projection device and a projector to be projected
WO2016141206A1 (en) 2015-03-03 2016-09-09 Attachit LLC Magnetic mount system
US10085544B2 (en) 2015-06-15 2018-10-02 Larry Edward Schessel Clip and method for attaching an item to a strap worn by a person
US20170119250A1 (en) 2015-11-04 2017-05-04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Portable hardware fixture for fundoscopy
WO2017132678A1 (en) 2016-01-29 2017-08-03 Czopp Nir Lens and light assembly for mobile device with a camera
CN205958898U (zh) 2016-08-05 2017-02-15 深圳市琇莹印刷有限公司 移动终端外置镜头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9074B2 (ja) 2018-12-19
AU2018274988B2 (en) 2019-12-12
CA3005079A1 (en) 2017-12-21
AU2018204785A1 (en) 2018-07-19
AU2018204785B2 (en) 2019-10-31
AU2018274988A1 (en) 2019-01-03
US10571793B2 (en) 2020-02-25
WO2017214710A1 (en) 2017-12-21
KR101977822B1 (ko) 2019-08-28
EP3314330A4 (en) 2018-10-31
CA2993686A1 (en) 2017-12-21
CA3045561A1 (en) 2017-12-21
JP2018529114A (ja) 2018-10-04
JP2022103173A (ja) 2022-07-07
HK1246868A1 (zh) 2018-09-14
JP2019053316A (ja) 2019-04-04
CA3005079C (en) 2019-07-23
KR20180116210A (ko) 2018-10-24
CN208000447U (zh) 2018-10-23
EP3314330A1 (en) 2018-05-02
US20170363947A1 (en) 2017-12-21
AU2017285487A1 (en) 2018-02-15
AU2017285487B2 (en) 2019-01-03
CA2993686C (en)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822B1 (ko)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US10295898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CN107426886B (zh) 智能照明装置
US20140118680A1 (en) Electronic eyeglasses
KR20080078315A (ko) 필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 모듈
US10298727B2 (en) Clip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to electronic device
WO2018099065A1 (zh) 一种投影设备
CN104391422A (zh) 简易手机投影盒
CN217405005U (zh) 一种卡片早教机
WO2006006675A1 (ja) 絵本型投影玩具
JP2016057625A (ja) 画像認識機能を有する投射システム、投射装置、及び画像情報媒体
WO2006006676A1 (ja) 絵本型投影玩具
CN213987856U (zh) 一种手动切换投影图像的故事机
JP5217188B2 (ja) プロジェクタ
CN201909934U (zh) 投影摄录仪
CN110225324B (zh) 一种WiFi微型智能双屏投影仪
KR101359421B1 (ko) 디지털 캡쳐 장치
EP3460312A2 (en) Clip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to electronic device
TWM434962U (en) Document camera and projection light-spot adjusting module for the same
KR20140107089A (ko) 디지털 캡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