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664A -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664A
KR20150015664A KR1020130091289A KR20130091289A KR20150015664A KR 20150015664 A KR20150015664 A KR 20150015664A KR 1020130091289 A KR1020130091289 A KR 1020130091289A KR 20130091289 A KR20130091289 A KR 20130091289A KR 20150015664 A KR20150015664 A KR 2015001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image
flash
screen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채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주)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스텍 filed Critical (주)휴스텍
Priority to KR102013009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664A/ko
Publication of KR2015001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로서, 휴대단말기의 플래시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영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휴대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받는 영상신호처리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영상화면을 생성하고, 휴대단말기의 플래시(flash)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광원으로 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표출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와 영상표출모듈을 탑재시키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using flash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로서, 휴대단말기의 플래시(flash)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영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빔 프로젝터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거나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화면으로 보여주며 직접적인 소통이 필요한 경우나 긴급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즉시 이용할 수 있는 프로젝터가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7495호에는 소형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휴대단말기에 소형 프로젝터를 장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소형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물을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소형 프로젝터나 현재 출시되어 있는 소형 프로젝터는 휴대단말기와 비교하여 결코 작다고 할 수 없고, 내장된 전원 용량이 한정적이며 내장된 광원으로 인해 사용 가능한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0180호에는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프로젝터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를 분리하여 따로 소지할 수 없으며, 휴대단말기 자체의 크기가 크고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으로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광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소형화하여 휴대 및 휴대단말기와의 탈착이 용이한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휴대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받는 영상신호처리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영상화면을 생성하고, 휴대단말기의 플래시(flash)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광원으로 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표출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와 영상표출모듈을 탑재시키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표출모듈은, 상기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엘시디와, 상기 투과형 엘시디와 플래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플래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투과형 엘시디로 집중시키는 집광부 렌즈와, 상기 투과형 엘시디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을 확대시키는 확대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표출모듈은 상기 확대 렌즈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렌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단말기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집광부 렌즈의 둘레에 밀착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케이스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될 때 플래시의 둘레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재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자석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와 휴대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데이터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광원으로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광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소형화하여 휴대 및 휴대단말기와의 탈착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와 휴대단말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빔 프로젝터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와 휴대단말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써, 휴대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와 동일하며 빔 프로젝터는 측면을 도시하여 나타내었고 데이터 케이블의 표시를 생략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빔 프로젝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영상신호처리부(200) 및 영상표출모듈(30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영상신호처리부(200)와 영상표출모듈(300)을 탑재시키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11)가 장착된 휴대단말기(10)에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가 부착되는 휴대단말기(10)에는 각각 결합부재(110)가 구비되어 프로젝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상호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10)는 벨크로 테이프나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와 마주하는 케이스(100)의 일면에는 밀착부재(120)가 장착된다.
밀착부재(12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영상표출모듈(300)의 집광부 렌즈(320)의 둘레에 위치하여, 케이스(100)가 휴대단말기(10)에 부착될 때 플래시(11)의 둘레에 밀착된다.
이러한 밀착부재(120)는 고무나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래시(11)로부터 조사된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집광부 렌즈(320)로 입사되도록 한다.
영상신호처리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휴대단말기(10)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로부터 영상신호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영상신호처리부(200)는 데이터 케이블(210)에 의해 휴대단말기(10)와 접속되어 스크린(S)에 투영하고자 하는 영상의 신호를 휴대단말기(10)로부터 받아 영상표출모듈(300)로 전달한다.
데이터 케이블(210)은 MHL케이블 및 휴대단말기(10)와의 접속을 위한 Micro USB를 이용한다.
한편, 영상신호처리부(200)는 무선 통신 모듈(블루투스 등)을 구비하여 휴대단말기(10)와 무선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영상표출모듈(300)은 영상신호처리부(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영상화면을 생성하고, 휴대단말기(10)의 플래시(11)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광원으로하여 스크린(S)에 영상을 투영한다.
이러한 영상표출모듈(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형 엘시디(310), 집광부 렌즈(320), 확대 렌즈(330) 및 초점 렌즈(340)로 이루어진다.
투과형 엘시디(310)는 0.3~0.5inch 크기로, 영상표출모듈(3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30403호, 등록특허공보 제1-0703230호에는 투과형 엘시디(310)에 대하여 나타나 있다.
집광부 렌즈(320)는 투과형 엘시디(310)와 플래시(11) 사이에 위치하여 플래시(11)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형 엘시디(310)로 집중시킨다.
확대 렌즈(330)는 투과형 엘시디(310)와 스크린(S)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S)에 투영되는 영상을 확대시킨다.
초점 렌즈(340)는 확대 렌즈(33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한다.
초점 렌즈(340)는 초점 조절링(341)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초점 조절링(341)을 회전시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출모듈(300)은 케이스(100)와 독립적인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100)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광원으로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광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소형화하여 휴대 및 휴대단말기(10)와의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케이블(210)을 통해 휴대단말기(10)의 배터리를 함께 사용하게 되고, 휴대단말기(10) 배터리의 용량이 증가하고 고효율화됨에 따라 사용시간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벨크로 테이프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케이스(100)를 휴대단말기(10)에 부착시켜, 확대 렌즈(330)와 플래시(11)의 중심을 일치시킨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120)가 플래시(11)의 외측 둘레에 밀착되어 확대 렌즈(330)와 플래시(11) 사이의 공간이 밀착부재(120)에 의해 밀폐되고, 플래시(11)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확대 렌즈(330)로 입사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210)을 이용하여 영상신호처리부(200)와 휴대단말기(10)를 접속시킨다.
경우에 따라 영상신호처리부(200)와 휴대단말기(10)를 먼저 접속시키고 케이스(100)를 휴대단말기(10)에 접속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를 휴대단말기(10)에 부착시키고, 영상신호처리부(200)와 휴대단말기(10)를 접속시킨 후에, 휴대단말기(1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기 위한 휴대단말기(10)(스마트폰)용 소프트웨어이며, 미리 휴대단말기(10)에 설치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크린(S)에 투영할 영상을 표시하고 휴대단말기(10)의 플래시(11)를 제어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선택하여 펜 타입(형광펜, 붓펜 등)을 선택하고, 색상을 변경하여 스크린(S)에 투영할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여 영상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영상의 편집 및 포인터의 표시는 스크린(S)에 영상을 투영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케이블(210)을 통해 영상신호처리부(200)로 보내어지고, 영상신호처리부(200)는 투과형 엘시디(310)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한다.
투과형 엘시디(310)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고, 플래시(11)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집광부 렌즈(320)를 통해 투과형 엘시디(310)로 집중된다.
상기 빛이 투과형 엘시디(310)를 통과하면서 투과형 엘시디(310)에 표시되는 영상이 스크린(S)에 투영된다.
이때, 상기 영상은 확대 렌즈(330)를 통해 확대되어 스크린(S)에 투영된다.
또한, 사용자가 초점 조절링(341)을 회전시켜 스크린(S)에 투영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영상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바, 이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휴대단말기, 11 : 플래시,
100 : 케이스, 110 : 결합부재, 120 : 밀착부재,
200 : 영상신호처리부, 210 : 데이터 케이블
300 : 영상표출모듈, 310 : 투과형 엘시디, 320 : 집광부 렌즈, 330 : 확대 렌즈, 340 : 초점 렌즈, 341 : 초점 조절링,

Claims (7)

  1. 휴대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받는 영상신호처리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영상화면을 생성하고, 휴대단말기의 플래시(flash)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광원으로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표출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와 영상표출모듈을 탑재시키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출모듈은,
    상기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엘시디와,
    상기 투과형 엘시디와 플래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플래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투과형 엘시디로 집중시키는 집광부 렌즈와,
    상기 투과형 엘시디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을 확대시키는 확대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출모듈은 상기 확대 렌즈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렌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집광부 렌즈의 둘레에 밀착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케이스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될 때 플래시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자석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와 휴대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데이터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KR1020130091289A 2013-08-01 2013-08-01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KR20150015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89A KR20150015664A (ko) 2013-08-01 2013-08-01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89A KR20150015664A (ko) 2013-08-01 2013-08-01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64A true KR20150015664A (ko) 2015-02-11

Family

ID=5257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289A KR20150015664A (ko) 2013-08-01 2013-08-01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6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210A (ko) * 2016-06-17 2018-10-24 문라이트 월드 아이엔씨.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US10295898B2 (en) 2016-06-17 2019-05-21 Moonlite World Inc. Image projection device
US10298727B2 (en) 2016-06-17 2019-05-21 Spin Master Ltd. Clip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to electronic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210A (ko) * 2016-06-17 2018-10-24 문라이트 월드 아이엔씨.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
JP2019053316A (ja) * 2016-06-17 2019-04-04 ムーンライト ワールド インク.Moonlite World Inc. 画像投影装置
US10295898B2 (en) 2016-06-17 2019-05-21 Moonlite World Inc. Image projection device
US10298727B2 (en) 2016-06-17 2019-05-21 Spin Master Ltd. Clip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to electronic device
US10362154B2 (en) 2016-06-17 2019-07-23 Spin Master Ltd. Clip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to electronic device
US10571793B2 (en) 2016-06-17 2020-02-25 Moonlite World Inc. Image projection device
US10623541B2 (en) 2016-06-17 2020-04-14 Spin Master Ltd. External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o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94062A (ja) スマートヘルメット
KR20160019280A (ko) 이동 단말기
CN101840135B (zh) 投影型影像显示装置和记载板以及影像投影系统
JP2018142857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WO2016170966A1 (ja) 光源装置、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CN101272415A (zh) 支持投影显示模式的手机
KR20180105963A (ko) 이동 단말기
JP201701018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5664A (ko) 휴대단말기 플래시를 이용한 빔 프로젝터
WO2016080088A1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714769B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JP2011205232A (ja) 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7121852A (ja) 撮像装置
US11531508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at controls the output of data based on a connection state
KR101844231B1 (ko)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CN101859059A (zh) 一种手机用投影器及投影手机
US10042155B2 (en) Modular camera attachment for optical devices
KR101932723B1 (ko) 촬영 장치
JP3219639U (ja) 埋め込み式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018315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72327B (zh) 一种图像采集方法及电子设备
KR101817863B1 (ko) 스마트 우산 및 그 제어방법
JP2015079069A (ja) プロジェクタ
CN204069134U (zh) 投影摄像装置
CN112558847B (zh) 控制界面显示的方法及头戴式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