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43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438A
KR20190049438A KR1020180110166A KR20180110166A KR20190049438A KR 20190049438 A KR20190049438 A KR 20190049438A KR 1020180110166 A KR1020180110166 A KR 1020180110166A KR 20180110166 A KR20180110166 A KR 20180110166A KR 20190049438 A KR20190049438 A KR 2019004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refrigerator
heat insulating
evaporator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760B1 (ko
Inventor
다카세 히토시
이마노 신고
이와모토 토모하루
마츠노 토모히코
시부야 마코토
세오 타츠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131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88715A1/en
Priority to EP18872439.7A priority patent/EP3685110A4/en
Priority to US16/178,508 priority patent/US10935300B2/en
Publication of KR2019004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각 증발기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각 증발기에서 냉각된 서로 다른 온도의 냉기가 서로 혼합되는 일없이, 온도대 및 습도대가 서로 다른 각 냉각실로 도입된다. 냉장고는 기계실 및 냉각실을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는 증발기, 상기 기계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축기, 응축기 및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기계실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기계실의 내벽과 밀착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단열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에 대하여, 단열재로 둘러싸인 단열실을 인접시키고, 그 단열실 내에 냉동용 증발기와 냉장용 증발기를 병렬시켜서 수용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단열실이 단열재로 둘러싸인 상자체이므로, 단열실에 수용된 증발기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냉장고 본체의 상부로부터 상자체를 탈거한 후, 그 상자체를 개봉할 필요가 있고, 일단 상자체를 개봉하면, 다시 상자체를 밀봉할 필요가 있으므로, 증발기의 확인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동용 증발기와 냉장용 증발기가 하나의 단열실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냉동용 증발기를 통과하는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기와, 냉장용 증발기를 통과하는 비교적 온도가 높은 냉기가 단열실 내에서 혼합되어버린다. 이로 인해, 냉동용 증발기에 의해 특별히 저온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는 냉동실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8-247618호 공보
본 발명은, 냉장고에 있어서, 각 증발기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증발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각 증발기에서 냉각된 온도가 서로 다른 냉기가 혼합되는 일없이, 각 냉각실로 도입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각실, 기계실 및 상기 냉각실과 상기 기계실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는 증발기, 및 상기 기계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축기, 응축기 및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기계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격벽과 접하여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단열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격벽과 접하여 복수의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열 공간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을 상기 기계실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증발기가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는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복수의 냉각실과, 상기 복수의 단열 공간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냉각실의 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덕트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복수의 냉각실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각실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기계실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단열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방면측, 상면측 또는 측면측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상기 냉장실을 순환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전방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측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냉각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냉각 팬의 토출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전장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냉각 팬의 흡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박스는 상기 냉각 팬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상기 압축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되는 상기 증발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는 냉매 배관에 의해 서로 접속됨으로써 냉각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냉각실 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각실로 냉기를 도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송풍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냉각 유닛에 냉기를 보내기 위한 도입 구멍과 상기 냉각 유닛으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도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기구는 상기 도출 구멍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각실로 냉기를 도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송풍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송풍 기구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각실을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및 상기 냉장고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정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배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방에 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각실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냉장고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전방면측, 상면측 또는 측면측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냉각실을 형성하는 벽과 접하여 하나 이상의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냉각 팬과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전장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 등의 각 기기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지고,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증발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각 증발기에서 냉각된 온도가 서로 다른 냉기가 혼합되는 일없이, 각 냉각실로 도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냉장고 본체를 정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냉장고 본체를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을 정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을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본체에 냉각 유닛이 수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본체에 냉각 유닛이 수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본체에 냉각 유닛이 수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각 사이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을 정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본체에 냉각 유닛이 수용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본체에 냉각 유닛이 수용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단,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업무용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장실만을 구비하는 것과 냉동실만을 구비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설정이 가능한 변온실을 구비할 수 있고, 3개 이상의 냉각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복수의 냉각실이 좌우로 배치된 형태이거나 상하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고, 상하 배치와 좌우 배치가 혼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냉장고 본체(BD)와, 냉장고 본체(BD)에 대하여 힌지(1)를 통하여 설치되고, 좌우로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 도 3, 도 6A 내지 도 8B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BD)만을 도시하고, 한 쌍의 도어(2)는 생략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BD)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을 향하여 개구되고, 한 쌍의 도어(2)에 의해 폐쇄되는 두 개의 냉각실(10)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기계실(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계실(20)에는, 냉각 유닛(CU)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냉각 유닛(CU)는 기계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기계실(20)은, 냉장고 본체(BD)의 하부에 있어서, 양쪽 냉각실(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실(20)은, 양쪽 냉각실(10)의 배면측(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개의 냉각실(10) 중, 한 쪽 냉각실(10x)이 냉장용(이하, "냉장실"이라고도 한다)이며, 다른 쪽 냉각실(10y)이 냉동용(이하, "냉동실"이라고도 한다)이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BD)는, 양쪽 냉각실(10)을 둘러싸는 각 벽이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 본체(BD)는, 양쪽 냉각실(10)을 둘러싸는 각 외벽(15)과, 양쪽 냉각실(1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격벽(16)과, 양쪽 냉각실(10)과 기계실(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격벽(17)이 각각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격벽(16)은, 양쪽 냉각실(10)이 공유하는 내벽으로 되고, 제2 격벽(17)은, 양쪽 냉각실(10)과 기계실(20)이 공유하는 내벽으로 된다. 또한, 제2 격벽(17)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기계실의 내벽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양쪽 냉각실(10)은, 도 2, 도 6A, 도 6B,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0x)쪽이 냉동실(10y)보다도 수납 용량이 크게 되어 있는 것 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냉각실(10)은, 상측에 복수 단의 선반(11)이 설치되어 있고, 하측에 복수의 서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격벽(17)에는, 하측에 냉각실(10)로부터 기계실(20)에 장착된 냉각 유닛(CU)에 냉기를 보내기 위한 도입 구멍(17a)(도 2 중, 격자선으로 나타낸다)이 설치되고, 상측에 기계실(20)에 장착된 냉각 유닛(CU)으로부터 냉각실(10)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도출 구멍(17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실(10)의 배면측의 외벽(15a)에는, 도출 구멍(17b)으로부터 냉각실(10) 상방으로 냉기를 유도하기 위한 덕트(RD, F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덕트(RD, FD)에는, 각 선반(11) 및 서랍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람 도입로(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덕트(RD, FD)에는, 도출 구멍(17b)과 대향하는 도입구 부근에 송풍 기구(RB, F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덕트(RD, FD)에는, 각 바람 도입로(31)에 대하여 그 바람 도입로(31)의 개방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각 댐퍼에 의해 바람 도입로(31)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각 바람 도입로(31)로부터 냉각실(10)로 송출되는 냉기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어, 각 선반(11) 및 서랍이 최적의 온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은, 냉장고 본체(BD)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외벽(15a)과 저면측의 외벽(15b)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코너를 제2 격벽(17)에 의해 구획한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공간이다. 그리고, 기계실(20)의 배면측을 향하는 내면, 바꿔 말하면, 제2 격벽(17)의 기계실(20)측을 향하는 면에는, 그 주연(周緣)에 냉각 유닛(CU)과 밀착하는 제1 밀착 둘레면(17s)(도 3 중, 이중 사선으로 나타낸다)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밀착 둘레면(17s)의 내측은, 냉각 유닛(CU)의 형태에 맞춘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밀착 둘레면(17s)의 내측에는, 그 내측을 구획하도록 냉각 유닛(CU)과 밀착하는 제1 구획면(17p)(도 3 중, 삼중 사선으로 나타낸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구획면(17p)은, 냉장실(10x)측 영역과 냉동실(10y)측 영역의 경계가 되는 제1 격벽(16)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 유닛(CU)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21), 냉각 팬(22), 응축기(23) 및 두 개의 증발기(24)와, 단열 부재(25)와, 해당 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박스(26)와,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대(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각 유닛(CU)은, 기계실(20)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격벽(16)과 동일 평면을 경계로 하여, 냉장실(10x)측 영역에 압축기(21), 냉각 팬(22), 응축기(23) 및 냉장용 증발기(24x)가 설치되고, 또한, 냉동실(10y)측 영역에 냉동용 증발기(24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 박스(26)는, 전자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소위 전장 박스이며, 상기 각 기기를 제어하는 기능 이외의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단열 부재(25)는, 기계실(20)의 공간 형상과 대략 일치하는 대략 삼각 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열 부재(25)는, 기계실(20)과 대향하는 면(정면), 바꿔 말하면, 제2 격벽(17)과 대향하는 면이, 경사면(25a)으로 되어 있고, 기계실(20)과 대향하지 않는 면(배면)이, 수직으로 상승된 수직면(25b)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각 유닛(CU)이 기계실(20)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5a)이 제2 격벽(17)을 따라 대향하고, 상기 수직면(25b)이 냉장고 본체(BD)의 배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25a)에는, 그 주연에 기계실(20)의 제1 밀착 둘레면(17s)과 밀착하는 제2 밀착 둘레면(25s)(도 4 중, 이중 사선으로 나타낸다)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2 밀착 둘레면(25s)의 내측을 구획하도록 제1 구획면(17p)과 밀착하는 제2 구획면(25p)(도 4 및 도 5 중, 삼중 사선으로 나타낸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 부재(25)에는, 그 수직면(25b)측에 있어서의 냉장실(10x)측 영역에,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5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는, 수용 공간(25c)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배면측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된다.
또한, 단열 부재(25)에는, 그 경사면(25a)측에, 제2 구획면(25p)을 형성하는 구획부(25z)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밀착 둘레면(17s)에 대하여 제2 밀착 둘레면(25s)을 밀착시킴과 함께, 제1 구획면(17p)에 대하여 제2 구획면(25p)을 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2 격벽(17)과의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기 위한 오목 형상의 한 쌍의 이격부(25x, 25y)가 구획부(25z)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이격부(25x, 25y)는, 한 쪽이 냉장실(10x)측 영역에 설치되는 냉장용 이격부(25x)로 되고, 다른 쪽이 냉동실(10y)측 영역에 설치되는 냉동용 이격부(25y)로 된다. 또한, 냉장용 이격부(25x)는, 수용 공간(25c)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용 공간(25c)를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된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냉장용 증발기(24x)는,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냉장용 이격부(25x)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용 증발기(24y)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냉동용 이격부(25y)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27)는,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판재는 각 변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용이하게 휘지 않도록 보강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유닛(CU)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우선, 지지대(27)에 대하여, 일단부측에 제어 박스(26)를 설치하고, 그 제어 박스(26)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를 순서로 설치한다. 계속하여, 지지대(27)에 대하여, 단열 부재(25)를 설치하는데, 이때, 단열 부재(25)의 수용 공간(25c)에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를 수용한다. 그리고, 단열 부재(25)의 냉장용 이격부(25x)에 대하여, 냉장용 증발기(24x)를 설치하고, 단열 부재(25)의 냉동용 이격부(25y)에 대하여, 냉동용 증발기(24y)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냉각 유닛(CU)은,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와 냉장용 증발기(24x) 및 냉동용 증발기(24y) 사이에 단열 부재(25)가 개재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21) 및 응축기(23)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각 증발기(24)로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압축기(21), 응축기(23) 및 두 개의 증발기(24x, 24y)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28)에 의해 접속되어 냉매를 순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응축기(23)로부터 연장되는 배관(28a)은, 전환 팽창 밸브(29)를 통하여 2개로 분기되어 각각 별도의 증발기(24x, 24y)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양쪽 증발기(24x, 24y)로부터 연장되는 배관(28b)은, 그 도중에서 합류되어 압축기(2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21)와 응축기(23)가, 하나의 배관(28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각 사이클(냉각 회로)이 구성된다. 또한, 각 배관(28)은, 필요에 따라 단열 부재(25)에 설치된 배관(28)용 통과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통과시켜서 각 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환 팽창 밸브(29)는, 전환 밸브와 캐필러리 등의 팽창 기구를 조합한 것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배관(28)이나 전환 팽창 밸브(29)가 생략되어 있다.
이어서, 기계실(20)에 냉각 유닛(CU)이 수용된 상태를 도 6A 내지 도 8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기계실(20)에 냉각 유닛(CU)이 수용되면, 단열 부재(25)의 제2 밀착 둘레면(25s)이, 제2 격벽(17)의 제1 밀착 둘레면(17s)에 밀착됨과 함께, 단열 부재(25)의 제2 구획면(25p)이, 제2 격벽(17)의 제1 구획면(17p)에 밀착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도 8A 및 도 8B는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부재(25)의 냉장용 이격부(25x)가, 제2 격벽(17)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되어 냉장용 단열 공간(40x)이 형성됨과 함께,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부재(25)의 냉동용 이격부(25y)가, 제2 격벽(17)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되어서 냉동용 단열 공간(40y)이 형성된다.
즉, 제1 밀착 둘레면(17s) 및 제2 밀착 둘레면(25s)은, 모두 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밀착 둘레면(17s)을 구획하도록 제1 구획면(17p)이 설치되고, 제2 밀착 둘레면(25s)을 구획하도록 제2 구획면(25p)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밀착 둘레면(17s) 및 제2 밀착 둘레면(25s)을 밀착시키면, 그 내측에 구획부(25z)로 구획된 두 개의 단열 공간(40x, 40y)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획부(25z)의 수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단열 공간(40)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밀착 둘레면(17s) 및 제2 밀착 둘레면(25s)의 내측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단열 공간(40)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1 밀착 둘레면(17s) 또는 제2 밀착 둘레면(25s)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만 오목부를 설치하여 단열 공간(40)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냉장용 단열 공간(40x)은, 도입 구멍(17a)과 도출 구멍(17b)이 연통되도록 개재되고, 이에 의해, 냉장실(10x)로부터 덕트(RD)로 통하는 냉기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냉동용 단열 공간(40y)은, 도입 구멍(17a)과 도출 구멍(17b)이 연통되도록 개재되고, 이에 의해, 냉동실(10y)로부터 덕트(FD)로 통하는 냉기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냉장용 단열 공간(40x) 내에 설치되는 냉장용 증발기(24x)는,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와 제2 격벽(17)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도입 구멍(17a)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10x)로부터 도입 구멍(17a)을 통하여 냉장용 단열 공간(40x) 내로 도입되는 냉기가 효율적으로 냉장용 증발기(24x)를 통과한다.
또한, 냉동용 단열 공간(40y) 내에 설치되는 냉동용 증발기(24y)는, 압축기(21), 냉각 팬(22) 및 응축기(23)와, 제2 격벽(17)을 따라 직렬 형상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압축기(21)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계실(20) 내에서, 냉동용 증발기(24y)가, 압축기(21)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냉기를 보다 저온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동용 증발기(24y)도, 도입 구멍(17a)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냉동실(10y)로부터 도입 구멍(17a)을 통하여 냉동용 단열 공간(40y) 내로 도입되는 냉기가 효율적으로 냉동용 증발기(24y)를 통과한다.
그리고, 송풍 기구(RB, FB)를 가동시키면, 덕트(RD, FD), 냉각실(10), 단열 공간(40)(기계실)의 순서로 냉기가 순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용 증발기(24x)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냉장실(10x) 내를 순환하고, 냉동용 증발기(24y)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냉동실(10y) 내를 순환한다. 이에 의해, 각 증발기(24)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각각 별도의 냉각실(10)을 순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실로부터 냉각 유닛을 제거함으로써, 증발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기계실로 냉각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증발기를 단열 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지고, 유지 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증발기가, 각각 별도의 단열 공간에 수용된 구조로 되므로, 각 단열 공간에 수용된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혼합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온도대 및 습도대가 다른 복수의 냉각실을 구비할 경우에, 각 냉각실에 대응하는 증발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각 냉각실에 적합한 온도대 및 습도대의 냉기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대가 다른 냉기를 생성하는 복수의 증발기를, 1세트의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냉각할 수 있고, 각 기기의 설치 스페이스(기계실)가 작아져, 그 결과, 냉장고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도 수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나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단열 부재가 개재되므로 압축기나 응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증발기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냉장고 본체로부터 냉각 유닛을 제거한 상태라도, 각 냉각실이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유지되므로, 냉각실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열 공간에 수용되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온도대 및 습도대가 다른 냉기를, 그 온도대 및 습도대의 냉각실로 유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실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동실보다도 온도대가 높은 냉장실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장실용 증발기를, 설치 스페이스가 좁은 장소에 배치하게 되므로, 온도대가 낮은 냉동실에 사용되는 냉동실용 증발기의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냉동실용 증발기로서 냉각 능력이 높은 대형의 것을 채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냉동실용 증발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냉동실용 증발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의 거리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능한 한 저온으로 유지하고 싶은 냉동실용 증발기에 대하여,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관한 냉각 유닛(CU)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송풍 기구(RB, F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CU)은, 단열 부재(25)가, 제2 격벽(17)을 향하여 개구되는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 증발기(24x, 24y)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상벽(25d)에 한 쌍의 관통 구멍(25e)을 형성하고, 그 도중에 송풍 기구(RB, F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냉각 유닛(CU)은, 기계실(20)에 수용하면, 단열 부재(25)의 개구가 제2 격벽(17)에 의해 폐색되어, 냉장용 이격부(25x) 및 냉동용 이격부(25y)에 의해 한 쌍의 단열 공간(40)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냉장고 본체(BD)로부터 냉각 유닛(CU)을 제거함으로써, 송풍 기구(RB, FB)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는, 냉각 유닛(CU)에 대하여 각 증발기(24)를 설치하고 있지만, 냉장고 본체(BD)에 대하여 각 증발기(24)를 설치하는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냉각 유닛(CU)은, 각 증발기(24)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이어도, 냉각 유닛(CU)을 기계실(20)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제2 격벽(17)과 단열 부재(25)에 의해 각 단열 공간(40)이 형성되고, 각 단열 공간(40)에 각각 별도의 증발기(24)가 수용되도록 하면, 각 증발기(24)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기계실(20)로부터 냉각 유닛(CU)을 제거하고, 각 증발기(24)에 액세스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냉장고 본체(BD)에 대하여 제2 격벽(17)을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냉각실(10)측으로부터 각 증발기(24)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조라면, 통상, 냉장고(100)는, 배면을 벽에 대면시켜서 배치되는데, 이 경우에, 냉장고(100)를 움직이는 일없이, 각 증발기(24)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고 본체(BD)가, 냉각 유닛(CU)을 둘러싸는 벽, 바꾸어 말하면, 기계실(20)을 구성하는 제2 격벽(17)을, 냉각실(10)을 구성하는 다른 벽과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BD)가, 제2 격벽(17)을, 냉각실(10)을 구성하는 다른 벽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고,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격벽(17) 및 배면측의 외벽(15a)을, 냉각실(10)을 구성하는 다른 벽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11A, 도 11B, 도 12A 및 도 12B는, 도 6A 및 도 6B에 대응하는 냉동실(10y)측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본체(BD)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기계실(20)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실(10)을 구성하는 벽과 착탈 가능하게 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제2 격벽(17)에 마련된 도출 구멍(17b)에 송풍 기구(RB, FB)가 설치되는 경우, 냉장고 본체(BD)로부터 제2 격벽(17)을 제거함으로써, 송풍 기구(RB, FB)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계실(20)을 구성하는 제2 격벽(17)을 냉각실(10)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한 구조인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냉각실(10)측으로부터 각 증발기(24)에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단열 부재(25)의 구획부(25z)를 제2 격벽(17)에 대하여 완전히 밀착시켜서 양쪽 단열 공간(40)을 완전히 분리하고 있지만, 구획부(25z)와 제2 격벽(17) 사이에 약간 간극이 발생하더라도, 양쪽 단열 공간(40)에서 생성되는 냉기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고(100)에 대하여 각 증발기(24)를 폭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고 있지만, 깊이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각 단열 공간(40)에 대하여 하나의 증발기(24)를 수용하고 있지만, 복수의 증발기(24)를 수용해도 좋다. 이에 의해, 각 단열 공간(40)에 있어서의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두 개의 냉각실을 설치하고 있지만, 냉각실을 하나만 형성해도 되고, 세 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두 개의 단열 공간을 설치하고 있지만, 세 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각실과 단열 공간을 같은 수로 설치하고 있지만, 다른 수로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냉각실 쪽이 단열 공간보다도 수가 많은 경우에는, 하나의 단열 공간으로부터 복수의 냉각실로 냉기가 순환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반대로 냉각실 쪽이 단열 공간보다도 수가 적은 경우에는, 복수의 단열 공간으로부터 하나의 냉각실로 냉기가 순환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냉장고
BD: 냉장고 본체
10: 냉각실
17: 제2 격벽
20: 기계실
RD, FD: 덕트
CU: 냉각 유닛
21: 압축기
23: 응축기
24x: 냉장용 증발기
24y: 냉동용 증발기
25: 단열 부재
26: 제어 유닛
27: 지지대
28: 배관
29: 전환 팽창 밸브
40: 단열 공간

Claims (20)

  1. 냉각실, 기계실 및 상기 냉각실과 상기 기계실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기계실에 수용되는 증발기; 및
    상기 기계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축기, 응축기 및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기계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격벽과 접하여 단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단열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격벽과 접하여 복수의 단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열 공간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가 수용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개재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을 상기 기계실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증발기가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는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본체는 복수의 냉각실과, 상기 복수의 단열 공간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냉각실의 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덕트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복수의 냉각실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각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기계실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단열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방면측, 상면측 또는 측면측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상기 냉장실을 순환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전방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측면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냉각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냉각 팬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전장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냉각 팬의 흡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장 박스는 상기 냉각 팬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상기 압축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되는 상기 증발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는 냉매 배관에 의해 서로 접속됨으로써 냉각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냉각실 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각실로 냉기를 도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송풍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냉각 유닛에 냉기를 보내기 위한 도입 구멍과 상기 냉각 유닛으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도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기구는 상기 도출 구멍에 설치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각실로 냉기를 도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송풍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송풍 기구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냉각실을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및
    상기 냉장고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개재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정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각실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냉장고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전방면측, 상면측 또는 측면측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냉장고.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냉각실을 형성하는 벽과 접하여 하나 이상의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냉각 팬과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전장 박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110166A 2017-11-01 2018-09-14 냉장고 KR10255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3136 WO2019088715A1 (en) 2017-11-01 2018-10-31 Refrigerator
EP18872439.7A EP3685110A4 (en) 2017-11-01 2018-10-31 FRIDGE
US16/178,508 US10935300B2 (en) 2017-11-01 2018-11-01 Refrigerator including a detachably mounted cool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2002 2017-11-01
JP2017212002A JP2019086165A (ja) 2017-11-01 2017-11-01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38A true KR20190049438A (ko) 2019-05-09
KR102559760B1 KR102559760B1 (ko) 2023-07-27

Family

ID=6654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166A KR102559760B1 (ko) 2017-11-01 2018-09-14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85110A4 (ko)
JP (1) JP2019086165A (ko)
KR (1) KR102559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9612A (zh) * 2019-02-26 2020-09-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防止送风风道下坠的冰箱
WO2023079637A1 (ja) * 2021-11-04 2023-05-11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冷凍サイクル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調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618A (ja) 1995-03-08 1996-09-2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3002736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28046B1 (ko) * 2007-06-11 2008-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KR20100059441A (ko) * 2008-11-26 201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3590A (ko) * 2010-12-08 2012-06-18 (주)부성 인출타입 냉각유닛이 구비된 냉장고
JP2015014434A (ja) * 2013-07-07 2015-01-22 紀行 恩田 冷蔵庫
KR20160029636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956U (ko) * 1996-09-04 1998-06-25 김광호 냉장고
FR2855871B1 (fr) * 2003-06-06 2005-11-18 Tecumseh Europe Sa Dispositif de regrigeration
WO2008063184A1 (en) * 2006-11-20 2008-05-29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case
US20150272345A1 (en) * 2014-03-31 2015-10-01 Frigoglass North America Ltd. Co. Cooling Cassette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618A (ja) 1995-03-08 1996-09-2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3002736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28046B1 (ko) * 2007-06-11 2008-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KR20100059441A (ko) * 2008-11-26 201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3590A (ko) * 2010-12-08 2012-06-18 (주)부성 인출타입 냉각유닛이 구비된 냉장고
JP2015014434A (ja) * 2013-07-07 2015-01-22 紀行 恩田 冷蔵庫
KR20160029636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5110A4 (en) 2020-11-11
KR102559760B1 (ko) 2023-07-27
EP3685110A1 (en) 2020-07-29
JP2019086165A (ja)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04B1 (ko) 냉장고
CN107588586B (zh) 电冰箱
CN110411121B (zh) 冰箱
KR20100088230A (ko) 냉장고
EP2196753B1 (en) Refrigerator
CN109425171B (zh) 冰箱
KR101291377B1 (ko) 냉장고
KR20120000642A (ko) 모듈식 냉장고
JP2007085611A (ja) ショーケース
JP2018054249A (ja) 冷凍装置
KR20190049438A (ko) 냉장고
CN107166849B (zh) 对开门冰箱
KR101470584B1 (ko)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895639B (zh) 多温区风冷式制冷设备
CN108507257B (zh) 风冷式制冷设备
KR20200005008A (ko) 냉장고
JP2011191028A (ja) 冷蔵庫
KR20110089575A (ko) 냉장고
US10935300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etachably mounted cooling unit
JP2008111640A (ja) 冷蔵庫
JP2014238245A (ja) 冷蔵庫
US20240133611A1 (en) Refrigerator
EP4361536A1 (en) Refrigerator
CN219244016U (zh) 制冷设备
CN219222966U (zh) 嵌入式的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