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743A -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743A
KR20190048743A KR1020170143930A KR20170143930A KR20190048743A KR 20190048743 A KR20190048743 A KR 20190048743A KR 1020170143930 A KR1020170143930 A KR 1020170143930A KR 20170143930 A KR20170143930 A KR 20170143930A KR 20190048743 A KR20190048743 A KR 20190048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deodorant
air
suppl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561B1 (ko
Inventor
임승범
최종덕
임재삼
김성복
장창순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충청남도
함지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남도, 함지박(주) filed Critical 충청남도
Priority to KR102017014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5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을 넣고 폐막걸리를 이용하여 축산악취를 제거할 수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탈취제에 비하여 제조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며 복합악취 처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효된 식초는 부식성이 강하여 철자재를 쉽게 부식시켜 공급펌의 수명이 짧아 현장에서 교체 수리가 잦은 애로점이 많았으나, 본 발명을 통하여 고안한 공급장치는 고장이 없으며 쉽게 탈취제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및 공급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odorant}
본 발명은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방법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막걸리를 향기나는 식물의 발효 추출원료로 사용하고 추출된 용액을 탈취제로 사용하는 방법과 식물재료를 사용한 친환경적인 탈취제에 의하여 탈취효율을 높이고, 액상의 탈취제를 살포하였을 때 동물과 사람에게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폐막걸리를 이용하여 탱자, 레몬글라스, 산사초 가지, 편백잎, 솔잎 및 금전초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상등액을 분리시키고 축사의 악취 제거용 탈취제를 제조 및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뇨, 환경오염물질, 하수, 쓰레기 처리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는 그대로 대기 중에 방출되고 있어 주변 환경을 악화시키고 인체에 노출되어 심각한 신체적 질환을 유발할 우려가 매우 크다.
인구가 집중된 대도시와 대도시 주변에는 분뇨,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 음식물 쓰레기, 공장의 폐기물, 하수도와 자동차의 매연 등 환경공해의 발생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도시 주변의 악취발생은 주민들로부터 민원제기의 대상이 되었고, 악취를 배출하는 사업체측에서도 민원이 우려되어 사업추진을 중단하거나 민원제기로 사업을 포기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게 되었다.
악취의 발생은 사람의 분뇨, 가축사육장, 오수처리장, 육가공공장, 병원, 식당의 음식쓰레기, 일반생산공장 등 그 원인이 광범위하고, 각각 특유한 냄새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악취의 발생은 주로 동물이나 식물의 유기물이 부패, 분해하는 현상으로서 암모니아(Ammonia), 아민(Amine)류 등 염기성 성분과 황화수소, 메르켑탄(Mercaptane) 등의 산성성분이 그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암모니아는 매우 고약한 냄새가 나는 악취의 주요 성분으로 우리가 단백질을 섭취하고 이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고 나면 노폐물로 암모니아가 만들어지는데, 암모니아는 독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동물의 몸속에 오랫동안 머물면 위험하다. 그래서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나 양서류는 암모니아를 독성이 없는 요소라는 물질로 바꾸어 신장에 저장해 두었다가 소변이나 땀 등의 형태로 몸 밖으로 내보낸다. 또 파충류나 조류, 곤충 등은 암모니아를 요산으로 바꾸어 배출한다. 노폐물을 잠시 저장해 두었다가 배설하는 동물들의 경우 이와 같이 독성이 있는 암모니아를 독성이 적은 물질로 전환시켜 배출한다.
메르캅탄(R-SH, mercaptan)은 알코올의 산소 원자를 유황 원자로 치환한 화합물로, 썩은 달걀, 부추, 마늘과 같은 불쾌한 냄새가 나는 휘발성 유기 황화합이며, 동식물, 천연가스와 원유 등 다양한 발생원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독성 악취물질이다.
탈취제는 주로 암모니아 가스같은 냄새유발 물질 처리 효율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복합악취의 근원을 해결하는 데는 문제점이 많았다.
복합악취를 측정하는데 있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 공기 휘석측정법인 관능법인데, 공기 휘석측정법은 발생원에서 채취한 시료를 무취공기로 희석하면서 최소 감지값 수준(냄새가 인지되지 않는 순간의 희석치)으로 희석했을 때의 배율로 구하며, 이때 5인 이상의 판정인이 악취를 감지한 희석배수 중에 최대, 최소 희석배율을 제외한 희석배수의 기하평균값을 희석배수로 하고 있다.
이러한 측정법은 사람의 후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처리 후의 복합적인 냄새가 잔류할 경우 악취 측정값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축산악취제거에 사용되는 탈취제는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천연물의 배합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탈취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렴한 제조비용, 탈취제의 무독성, 빠른 탈취효과, 파리 및 해충의 기피제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를 제조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도록 탈취타워에 탈취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막걸리 100 중량부에 탱자 0.1 중량부, 레몬글라스 0.5 중량부, 산사초 가지 0.5 중량부, 편백잎 0.1 중량부, 솔가지 0.5 중량부 및 금전초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10일 동안 혼합물을 순환시켜 식초를 제조하고, 상기 식초를 25℃ 이하에서 숙성시켜 축사용 탈취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하여 축사에서 악취를 집진하여 탈취타워에서 탈취가 가능하도록 한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종래의 악취 처리 기술에 비해 스티렌, 아세트알데히드, 이황화메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류, 황화메틸류, 아민류, 암모니아,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VFAs) 등을 포함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악취의 범위가 넓다.
둘째, 악취물질의 농도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악취물질의 복합물 제거에 특히 효율적이다.
셋째,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소요 동력이 적어 운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다.
넷째, 폐막걸리를 이용함으로써 운영유지비가 매우 경제적이다.
다섯째,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로 친환경적이며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및 탈취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및 탈취제 공급장치의 공기압축이송부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축사용 탈취제 공급장치의 보조탱크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방법은 폐막걸리 100 중량부에 탱자 0.1 중량부, 레몬글라스 0.5 중량부, 산사초 가지 0.5 중량부, 편백잎 0.1 중량부, 솔가지 0.5 중량부 및 금전초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10일 동안 혼합물을 순환시켜 식초를 제조하고, 상기 식초를 25℃ 이하에서 숙성시켜 축사용 탈취제 제조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초는 만드는 과정에서 하부에 솔잎, 편백잎, 금전초 및 탱자를 넣어 순환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 원료 자체가 필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하여 경제적으로 식초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초는 에어를 이용한 정량분사방식을 통하여 분사할 수 있는 분사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식초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탱자, 레몬글라스, 산사초 가지, 편백잎, 솔가지, 금전초를 혼합하고 혼합비는 폐막걸리 1000L에 탱자 1kg, 레몬글라스5kg, 산사초 가지5kg, 편백잎 1kg, 솔가지5kg 및 금전초 5kg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생물은 식초 생성균으로는 A, Aceti, A. Amesoxydans, A. acetigenum, A. orleanenese, A.acetosum, A. rancerns, A, schuezenbachii, A, viniacetati(pasteurianus) 등이 이용된다. 이중에서 A. orleanese, A. acetosum 등은 초산생성이 강하고 생성된 초산을 과산화하지 않는다. 또 속초법에는 A, schuezenbachii, A. aceti가 적합하다.
본 발명은 온도를 25∼30℃가 되도록 한 후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상부에 살수하면서 10일 되면 식초가 되고, 식초가 완료되면 25℃ 이하로 숙성한다. 본 발명에서 식초의 산도는 pH 3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를 탈취제의 주원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미생물은 식초 생성균으로는 A, Aceti, A. Amesoxydans, A. acetigenum, A. orleanenese, A.acetosum, A. rancerns, A, schuezenbachii, A, viniacetati(pasteurianus)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배양조는 식초균을 배양하는 격리 배양실이 있으며, 격리배양실에서 주기적으로 생성된 식초를 공급하게 해주는 공급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식초를 포함한 미생물이 상부 살수 노즐을 통하여 살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암모니아성 물질이 중화되면서 처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제조 설비에서 제조되는 탈취제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취용 식물 추출물을 만들기 위하여 혼합비는 폐막걸리 1000L에 탱자 1kg, 레몬글라스5kg, 산사초 가지5kg, 편백잎 1kg, 솔가지5kg, 금전초 5kg 넣고 섭씨 25도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0일 동안 순환하여 식초를 제조 단계: 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식초를 섭씨 25도 이하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된 폐막걸리가 식초로 발효되는 배양조와 배양조에서 공급된 식초를 이용하여 탈취가 되는 탈취탑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폐막걸리가 공급되어 식초가 생성되고 생성된 식초에 의하여 탈취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형성한 분사기계장치를 이용한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 악취 제거방법을 얻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바이오 탈취제의 탈취능력 시험의 결과 산성 취기물인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력은 6시간 후에 초기농도에 비하여 각각 93%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염기성 취기물인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력이 6시간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하여 각각 95%의 제거율을 보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재료인 폐막걸리는 주변에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폐막걸리를 처리하기 위하여 폐기물 처리비용을 지급하고 있으며, 자연향을 발생하기 위한 탱자, 솔잎, 편백잎, 금전초 또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이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탈취제는 악취제거에 효과적이며, 복합 악취의 원인물질들과 쉽게 혼합 반응하여 사람의 후각적 자극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탈취제와 결합하여 낙하되는 악취물질은 자연적이 환경에서 미생물과 접촉 반응하여 생분해됨으로써 무취물질로 변환된다.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악취물질에는 스티렌, 아세트알데히드, 이황화메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류, 황화메틸류, 아민류, 암모니아, 휘발성 지방산(VFAs) 등이 있으며, 이러한 생분해 결과 질소(N2), 황산(H2SO4), 이산화탄소(CO2), 물, 황산염, 질산염 등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들 악취물질의 대표적인 생분해 반응 기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
2NH3 + 3O2 2HNO2 + 2H2O
2HNO2 + O2 2HNO3
2HNO3 + 분해미생물 미생물 + N2
황화수소
2H2S + 3O2 2H2O + 2S2
2S + 3O2 + 2H2O 2H2SO4
메르캅탄, 아민류
-SR'R", -NR'R" CO2 + H2O + 무기염류(황산염, 질산염)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에서 알코올을 산화하여 초산을 생성하는 초산균인 그람 음성이고 호기적인 Acetobacter 속 균주를 이용하기 위해 균주 배양조(20) 내에 소형 반응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식초 생성균은 A, Aceti, A. Amesoxydans, A. acetigenum, A. orleanenese, A.acetosum, A. rancerns, A, schuezenbachii, A, viniacetati(pasteurianus) 등이 이용된다. 이 중에서 A. orleanese, A. acetosum 등은 초산생성이 강하고 생성된 초산을 과산화하지 않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축산폐수, 분뇨처리장, 돈사 등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여 악취의 제거가 필요한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종래의 악취 처리 기술에 비해 스티렌, 아세트알데히드, 이황화메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류, 황화메틸류, 아민류, 암모니아,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VFAs) 등을 포함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악취의 범위가 넓으며, 악취물질의 농도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며 다양한 악취물질의 복합물 제거에 특히 효율적이고,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소요 동력이 적어 운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며, 폐막걸리를 이용함으로써 운영유지비가 매우 경제적이고,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로 친환경적이며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시험결과> : 돼지 분뇨 액비저장조 탈취제 직접 투입효과
악취가스명 처리구 대조구 악취제거율(%)
암모니아 최초 32.5 32.5 -
투입즉시 28.0 32.2 12.5
30분 19.8 35.0 43.4
1시간 20.7 33.6 38.4
2시간 20.4 30.5 33.1
4시간 21.5 32.4 33.6
황화수소 최초 24.0 24.0 -
투입즉시 14.4 25.5 43.5
30분 10.3 23.4 60.0
1시간 9.8 24.2 59.5
2시간 8.8 23.6 62.7
4시간 7.5 22.1 66.1
<시험결과> : 돼지 분뇨 액비저장조 탈취시스템 적용 효과
악취가스명 배출농도 처리농도 악취제거율(%)
암모니아 34.6 3.2 90.8
황화수소 22.5 1.2 94.7
<시험결과> : 파리 기피 효과
시간 처리구
(포획된 파리수)
대조구
(포획된 파리수)
기피율(%)
30분 5 45 88.9
60분 12 104 88.5
파리 기피실험을 하기 위하여 동일장소에 추출물을 살포한 닭 분 50g과 살포하지 않은 닭분 50g을 넣어 파리 포충망에 넣어 30분, 60분간 실험한 결과 파리 기피율이 85%이상 기피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인 식초를 탈취타워(250)의 상부에 분사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탈취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배양탱크(100)에서 생성된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인 식초를 탱크 배출구(140)로 배출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탱크 배출구에는 공기압축이송부(300)를 형성하여 공기압으로 탈취타워(250)에 공급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공기압축이송부(300)는 식초를 흡입하는 흡입구(160-1)와 탈취타워(250)로 송출하는 형성한 송출구(160-2)와 상기 송출구에는 일방향밸브(340)가 형성되어 송출시에는 밸브가 열리도록 형성한 본체(300)와,
상기 본체내의 흡입구(140-1)를 개폐하도록 외곽에 다수개의 관통구(29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밀착부가 형성한 다단의 고무밸브부(310);
상기 실린더(35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핑하도록 공급구(180)와 배출구(190)를 형성하여 에어공급구(200)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형성한 공압실린더(360);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급구(180)와 배출구(190)를 형성하여 에어공급구(200)의 에어공급을 제어하는 에어공급제어부(160);
상기 에어공급구(200)에 에어를 공급하고, 탈취타워에 탈취제인 식초를 분사하도록 에어를 선택하여 공급하도록 선택밸브(160-1)를 포함하는 에어공급부(200);
상기 탈취타워에 탈취제인 식초를 분사하기 위한 보조탱크부(280)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탱크부(280)는 저수조(280-1)와 상기 저수조에 식초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한 식초공급공급관(210)과 식초배출관(380)를 형성하고, 상기 식초배출관(380)은 분사밸브(260)에 의해 공압에어를 분사하도록 노즐관(230)에 연결되어 탈취타워에 분사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2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압축이송부(300)는 배양탱크에서 공급된 탈취제인 식초 또는 별도의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탈취재인 식초를 흡입구(140-1)가 열리면서 식초가 본체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식초는 다수개의 관통구(290)가 형성되고 다단의 고무밸브부(310)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공압실린더에 에어가 공급되어 실린더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일방향밸브(340)가 열리면서 송출구(140-2)로 배출되는 식초는 보조탱크부(280)의 저수조(280-1)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공급이 완료되면 수위감지센서(370)가 감지하여 에어를 차단하게 된다. 타이머에 의해 탈취타워에 공급되거나 외부신호에 의해 선택밸브(260)가 열리면 공압공기가 공급되면서 식초배출관(380)으로 식초가 공급되어 노즐이 배열된 노즐관(230)에 식초가 분사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저수조의 수위감지센서(370)가 감지된 식초에 의해 공기압축이송부(300)에 연결된 고압실린더(360)가 작동하여 식초를 상부인 보조탱크로 공급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탱크(280)의 수위는 항상 채워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취타워(250)에 공급되는 탈취제인 식초는 타이머 또는 외부신호에 의해 분사밸브(260)가 열리고 닫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분무되는 탈취제와 악취가 서로 혼합되면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100: 배양탱크 110: 분사노즐
130: 거름망 140: 탱크배출구
280: 보조탱크부 300: 공기압축이송부

Claims (4)

  1. 폐막걸리 100 중량부에 탱자 0.1 중량부, 레몬글라스 0.5 중량부, 산사초 가지 0.5 중량부, 편백잎 0.1 중량부, 솔가지 0.5 중량부 및 금전초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10일 동안 혼합물을 순환시켜 식초를 제조하고, 상기 식초를 25℃ 이하에서 숙성시켜 축사용 탈취제 제조하고,
    상기 식초는 만드는 과정에서 하부에 솔잎, 편백잎, 금전초 및 탱자를 넣어 상부에서 혼합물을 분사하여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방식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폐막걸리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탈취타워에 공급하도록 형성한 탈취제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 공급장치는
    배양탱크(100)에서 생성된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인 식초를 탱크 배출구(140)로 배출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탱크 배출구에는 공기압축이송부(300)를 형성하여 공기압으로 탈취탑(250)에 공급하여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공기압축이송부(300)는 식초를 흡입하는 흡입구(160-1)와 탈취타워(250)로 송출하는 형성한 송출구(160-2)와 상기 송출구에는 일방향밸브(340)가 형성되어 송출시에는 밸브가 열리도록 형성한 본체(300);
    상기 본체 내의 흡입구(140-1)를 개폐하도록 외곽에 다수개의 관통구(29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밀착부가 형성한 다단의 고무밸브부(310); 상기 실린더(35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핑하도록 공급구(180)와 배출구(190)를 형성하여 에어공급구(200)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형성한 공압실린더(360);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급구(180)와 배출구(190)를 형성하여 에어공급구(200)의 에어공급을 제어하는 에어공급제어부(160); 상기 에어공급구(200)에 에어를 공급하고, 탈취타워에 탈취제인 식초를 분사하도록 에어를 선택하여 공급하도록 선택밸브(160-1)를 포함하는 에어공급부(200); 상기 탈취타워에 탈취제인 식초를 분사하기 위한 보조탱크부(28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부(280)는
    저수조(280-1)와 상기 저수조에 식초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한 식초공급공급관(210)과 식초배출관(380)를 형성하고, 상기 식초배출관(380)은 분사밸브(260)에 의해 공압에어를 분사하도록 노즐관(230)에 연결되어 탈취타워에 분사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공급장치.
KR1020170143930A 2017-10-31 2017-10-31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KR10199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30A KR101999561B1 (ko) 2017-10-31 2017-10-31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30A KR101999561B1 (ko) 2017-10-31 2017-10-31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43A true KR20190048743A (ko) 2019-05-09
KR101999561B1 KR101999561B1 (ko) 2019-10-01

Family

ID=6654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30A KR101999561B1 (ko) 2017-10-31 2017-10-31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5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84B1 (ko) * 2007-03-19 2007-10-29 운해이엔씨(주) 분무기 및 이를 구비한 탈취 장치
KR20090119495A (ko) * 2008-05-16 2009-11-19 고운맘 친자연환경발효제 제조 및 활용방법
KR20140016115A (ko) * 2012-07-30 2014-02-07 (주)에코바이오 미생물 발효물 및 레몬즙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KR20150095294A (ko) * 2014-02-13 2015-08-21 송상민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KR101589971B1 (ko) * 2015-04-01 2016-02-01 서호석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 소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84B1 (ko) * 2007-03-19 2007-10-29 운해이엔씨(주) 분무기 및 이를 구비한 탈취 장치
KR20090119495A (ko) * 2008-05-16 2009-11-19 고운맘 친자연환경발효제 제조 및 활용방법
KR20140016115A (ko) * 2012-07-30 2014-02-07 (주)에코바이오 미생물 발효물 및 레몬즙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KR20150095294A (ko) * 2014-02-13 2015-08-21 송상민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KR101589971B1 (ko) * 2015-04-01 2016-02-01 서호석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 소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561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6509B (zh) 一种植物提取物与微生物的复合除臭剂
CN101357237B (zh) 一种微生态制剂喷雾除家畜家禽养殖场恶臭的方法
CN101433730B (zh) 一种含植醋液的生活垃圾处理剂及其用途
JPH08503162A (ja) バイオ廃棄物の安定化
KR101734140B1 (ko) 항균 효과를 갖는 탈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796B1 (ko) 악취 제거 또는 저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CN210186866U (zh) 一种畜禽养殖场舍内臭气净化系统
KR20170003493A (ko) 냄새를 저감하는 퇴비생산 방법
CN110052159A (zh) 一种新型安全高效生物除臭剂及其制作方法
CN108264203A (zh) 一种造纸废水臭气的处理系统及方法
KR100669204B1 (ko) 소독 및 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83085A1 (zh) 一种类植物液的环保高效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20190048743A (ko) 폐막걸리를 이용한 축사용 탈취제 제조 방법 및 공급장치
JP3187495U (ja) 脱臭材を利用した堆肥化設備及び畜産設備
CN108164111A (zh) 一种生物酶净化酵素及其应用
WO2008147173A2 (en) The use of bio-organic deodorizer liquid carbon for agriculture, industrial and household use
KR20030083831A (ko) 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
WO2004083129A1 (ja) 糞尿分解処理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糞尿の分解処理方法
JP2006104426A (ja) 生ゴミ等から得られる抗酸化液、およびその活用法
CN105435626A (zh) 一种智能除臭装置
KR100293557B1 (ko) 유기물 분해 탈취제
KR200167777Y1 (ko)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
WO2018117385A1 (ko) 유기성 퇴비 비료의 생산방법
JPH119674A (ja) フミン酸を有効成分とする液体消臭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フミン酸を有効成分とした飲料用消臭剤と、その製造方法
KR102501390B1 (ko)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 황화합물의 악취 제거용 친환경 산성 하이브리드 탈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