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731A - 증발식 흡연장치 - Google Patents

증발식 흡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731A
KR20190048731A KR1020170143913A KR20170143913A KR20190048731A KR 20190048731 A KR20190048731 A KR 20190048731A KR 1020170143913 A KR1020170143913 A KR 1020170143913A KR 20170143913 A KR20170143913 A KR 20170143913A KR 20190048731 A KR20190048731 A KR 2019004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smoking
unit
tobacco
evap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667B1 (ko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준 filed Critical 최영준
Priority to KR102017014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궐련을 증류하는 증발식 흡연장치가 개시된다. 증발식 흡연장치는 상기 궐련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출입가능한 출입개구를 갖는 담배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담배수용부 내의 궐련을 가열하는 전기가열부와, 상기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증발식 흡연장치는 사용자가 담배를 장착하기 편리하고, 흡연 후 청소가 쉽다.

Description

증발식 흡연장치{A vaporizing type smoking device}
본 발명은 흡연물품(궐련)을 사용하는 증발식 흡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궐련은 담배와 필터로 구성되는데, 말린 담배의 일단에 불을 붙이고, 필터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흡연을 수행한다. 담배의 연소는 다양한 가스연소물과 추출물을 방출한다. 이러한 가스연소물이 필터를 통해 흡입될 때, 이들은 냉각되고 응축되어 흡연과 관련된 맛과 향을 가진 연기를 형성하게 되고, 연기발생 중에 유해한 연기를 발생시킨다.
최근, 유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증발식 흡연장치로서,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 에이 사의 상표명 'IQOS' 및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사의 상표명 'Glo'라 불리는 증발식 흡연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증발식 흡연장치는 필터를 가진 담배봉을 작은 가열공 내의 가는 가열블레이드에 삽입하고, 가열블레이드에 의해 삽입 담배를 가열하여 흡연을 수행한다. 이때 담배봉은 작은 가열공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데, 삽입이 매우 불편하고, 삽입 중 담배의 손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담배봉의 삽입 상태에 따라 흡연 연기량의 편차가 심해 사용자의 흡연 만족도가 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담배의 보관 상태, 즉 보관 기간이나 담배 개봉상태에 따라 담배의 건조 상태가 달라져 담배봉 삽입 조건이 변화하고, 그 결과 담배봉 장착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흡연 완료된 담배봉은 폐쇄된 가열공 내에 잔류물이 발생하여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가열공 내의 잔류물은 청소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가열공 내에 위치한 가는 가열블레이드는 담배봉 삽입 시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궐련을 장착하기 편리하고 흡연 후 잔류물을 배출하기 용이한 증발식 흡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리수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 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증발식 흡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증발식 흡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연영역의 클리닝을 쉽게 할 수 있는 증발식 흡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소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발식 흡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궐련을 증류하는 증발식 흡연장치가 제공된다. 증발식 흡연장치는 상기 궐련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출입가능한 출입개구를 갖는 담배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담배수용부 내의 궐련을 가열하는 전기가열부와, 상기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증발식 흡연장치는 개방된 담배수용부에 궐련의 담배 부분 또는 전체를 그대로 삽입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보면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항상 개방된 담배수용부를 쉽게 청소하고 잔류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담배수용부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개구를 가짐으로써 궐련의 담배와 분리된 필터가 외부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궐련은 일체로 결합된 담배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궐련의 담배는 담배잎, 사용시에 흡연자가 터트릴 수 있도록 캡슐에 포장된 액상담배물질, 담체에 사전 함침된 액상담배물질, 및 담배입에 혼합된 액상담배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담배수용부에 장착된 담배와 상기 필터장착부 사이를 밀봉하는 궐련밀착부를 포함함으로써 중간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가열부를 제어하는 흡연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연제어부는 상기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만 상기 전기가열부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상태에서 전기가열부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연장치는 흡입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연제어부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흡입센서의 출력이 없으면 전기가열부의 가열을 중지함으로써 흡연자의 상황에 따라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담배수용부는 상기 궐련이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된 담배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담배장착부의 개구를 덮는 서브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가열부는 상기 담배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담배수용부 내에 상기 담배수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되는 궐련 내에 삽입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 열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은 상기 궐련수용 방향 측으로 좁아지는 팁부를 포함함으로써 궐련 내부로 전기가열부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본체유닛와 상기 본체유닛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담배수용부를 가진 흡연유닛을 포함함으로써 고장 시 흡연유닛만을 교체함으로써 수리수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과 흡연유닛은 각각 배터리를 포함함으로써 흡연유닛만으로 흡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흡연유닛은 흡연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흡연유닛만으로 흡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발식 흡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흡연을 위해 개방된 담배수용부를 눈으로 직접 보면서 궐련을 장착하기 때문에 장착이 쉽고 전기가열부의 손상없이 장착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흡연완료 후에 잔류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담배수용부 내부를 청소하기 편리하다.
셋째, 전기가열부를 궐련의 길이 전체에 걸쳐 충분히 삽입할 수 있어 궐련 전체를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넷째, 증발식 흡연장치의 고장 또는 오염 시에 일부분만을 교체함으로써 교체비용이 저렴하다.
다섯째, 담배와 필터를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궐련마다 필터를 결합하는 것보다 자연훼손을 줄일 수 있다.
여섯째, 궐련마다 필터를 결합하는 것보다 더 고급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끽연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일곱째, 전기가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증발식 흡연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의 단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의 단면도 및
도 10 및 도 11은 증발식 흡연장치용 흡연물품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4는 증발식 흡연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식 흡연장치(100)는 도 10에 나타낸 담배(10)와 필터(20)가 분리된 궐련(1)을 사용하는 장치이다. 담배(10)는 담배잎, 사용시에 흡연자가 터트릴 수 있도록 캡슐에 포장된 액상담배물질, 담체에 사전 함침된 액상담배물질, 및 담배입에 혼합된 액상담배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잎은 재배된 담배에서 추출되어 처리된 물질을 칭한다. 액상담배물질은 인공적 또는 화학적으로 제조 또는 조합한 물질을 칭한다. 담체는 액상담배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 다공질체로서 가열에 의해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담배(10)는 사용시에 흡연자가 터트릴 수 있도록 포장된 향미제를 포함하거나 담체에 사전 함침된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식 흡연장치(100)는 하우징(110), 담배수용부(120), 전기가열부(130), 필터결합부(140), 커버(150), 배터리(160) 및 흡연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증발식 흡연장치(100)는 흡입센서(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4각 박스형, 원통형, 구형, 타원형, 스틱형이나 이들 형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금속, 플라스틱이나 이들 조합으로 제조된다. 하우징(110)은 담배수용부(120), 전기가열부(130), 필터결합부(140), 커버(150), 배터리(160) 및 흡연제어부(170)가 지지 또는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조작버튼(180), 충전포트(190),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배터리(160)와 흡연제어부(170)를 포함하는 본체유닛(111) 및 예를 들면 볼트(114)에 의해 착탈 가능하며 담배수용부(120)를 갖는 흡연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유닛(112)은 볼트(114)외에 커넥터, 또는 신호 또는 전원전달을 겸한 커넥터와 같은 구조로 착탈될 수도 있다. 흡연유닛(112)은 독립형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스틱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흡연유닛(112)은 흡연제어부(170) 및 보조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분리된 상태에서 흡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연유닛(112)은 고장 시에 본체유닛(111)에서 분리 교체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담배수용부(12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파여진 홈의 형태로서 궐련(1)의 담배(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담배수용부(120)는 궐련(1)의 담배(10)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내열성의 담배장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장착부(122)는 궐련(1)의 담배(10) 전체를 일시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반원통 형상이다. 담배장착부(122)는 기본적으로 자연스럽게 궐련(1)의 담배(10)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담배장착부(122)는 궐련(1)의 담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담배(10)와 필터결합부(140) 사이는 완전히 밀봉되어야 가열되어 발생한 에어로졸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담배장착부(122)는 수용되는 담배(10)가 확실하게 밀봉될 수 있도록 내면에서 돌출하는 궐련밀착부(미도시)를 가질수 있다. 궐련밀착부는 담배장착부(122)의 내면 원주방향으로 부분 돌출함으로써 삽입되는 궐련(1)의 외형 치수보다 작다. 담배장착부(122)는 필터결합부(140)와 연통되어 있다. 물론 담배장착부(122)는 반드시 반원통일 필요는 없으며 담배(10)를 눕힌 상태에서 그대로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전기가열부(130)는 담배수용부(120) 내에 수용된 담배(10)를 가열하여 증발을 통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전기가열부(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장착부(122)의 바닥에서 상측의 개방부를 향해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기판(132), 및 기판(132)의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되어 배터리(160)에서 공급하는 전원의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저항소자(134)를 포함한다. 기판(132)은 담배(10)의 포장지(11)에 사전 천공된 절개삽입부(14)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날카롭고 뾰족한 팁부(136)를 포함한다. 전기가열부(130)는 담배(10) 내부로 삽입되는 형상일 필요는 없고 담배장착부(122)의 내면에 배치되어 담배(10)의 외부를 가열할 수도 있다.
기판(132)은 세라믹,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절연소재로서 열에 강한 재료로 제조된다.
열저항소자(134)는 예를 들면 텡스텐과 같이 전원을 인가하면 열을 쉽게 발생하는 필라멘트로 기판(132)의 양면에 배치된다. 기판(132)에 배치된 열저항소자(134)는 담배(10) 내부로의 반복 삽입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된다.
필터결합부(140)는 담배장착부(122)와 연통하고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하는 관통공(142)을 포함한다. 관통공(142)은 내부에 장착된 파이프(144)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는 외부와 연통하는 끝 내부에 필터(20)의 나사부(22)를 결합하는 나사부(146)를 가진 필터개구를 포함한다. 물론 나사부(146)는 생략 가능하다.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는 담배장착부(122) 측의 끝에 수용되는 담배(10)의 일측이 밀착 삽입된다.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는 담배장착부(122)와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도 있고 분리 제작될 수 있다.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는 내경이 담배(10)의 외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밀착에 바람직하다. 담배(1)는 1차로 담배장착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144) 측으로 살짝 이동시켜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50)는 담배수용부(120)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151)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걸림홈(153)을 포함한다. 걸림홈(153)은 폐쇄 위치에서 하우징(110)에 배치된 걸림돌기(155)에 의해 체결된다. 걸림돌기(155)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또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커버(150)를 체결하는 방식은 상술한 방식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가능하다. 또한, 커버(150)는 여닫이식 외에 슬라이딩 개폐식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커버(150)는 상술한 반원통 담배장착부(122)와 결합하는 반원통 보조커버(152) 및 보조커버(152)를 지지하는 지지체(154)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궐련(1)을 담배장착부(122)에 직접 삽입하는 대신에, 보조커버(152)에 장착한 후에 커버(150)를 닫음으로써 궐련(1)을 장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반원통 담배장착부(122)와 반원통형 보조커버(152)의 결합은 원통형 담배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담배(10)를 수용한다. 물론, 담배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커버(152)와 담배장차부(122)의 결합부분은 밀폐하고 대신에 별도의 공기통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커버(152)는 지지체(15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담배장착부(122)에 결합할 때 탄성력에 의해 담배장착부(122) 측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보조커버(152)는 도시한 바와 같은 고무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56)에 의해 지지되어, 폐쇄 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보조커버(152)는 단부에 반경축소 확장부(158)을 포함할 수 있다. 반경축소 확장부(158)는 담배장착부(122)와 결합 시에 수용된 담배(10)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커버(150)는 담배(10)가 수용되어 있는 담배수용부(120)를 덮을 때 담배(10)와 필터결합부(140)의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 사이를 밀봉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필터를 통해 흡입할 때 에어로졸 흡입효율 및 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담배(10)는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를 향한 단부 상측에 스커트부(12)를 포함한다. 커버(150)는 스커트부(12)는 관통공(142) 또는 파이프(144)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압하여 밀봉을 수행할 수 있다. 스커트부(12)는 담배수용부(120)로부터 흡입완료 시에 남은 잔류물(꽁초)를 잡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배터리(160)는 전기가열부(130)에 충분한 전력을 제공한다. 배터리(160)는 교체가능하고 재충전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은 배터리(160)는 콘덴서와 같은 전원도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일련으로 연결된 예를 들면 4개의 니켈-카드뮴 배터리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터리(160)는 한정되지 않는 4.8 내지 5.6볼트의 총전압을 제공한다. 배터리(160)는 외부 전원공급포트를 채용하여 휴대폰 등의 외부장치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배터리(160)는 본체유닛(111)에만 배치하거나 흡연유닛(112)에 보조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연제어부(170)는 사용자가 궐련(1)의 흡연을 시작할 때 동작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전원을 전기가열부(130)에 공급하도록 배터리(160)를 제어한다. 흡연제어부(170)는 동작버튼(미도시)을 누르더라도 커버(150)가 담배수용부(120)를 덮지 않고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배터리(160)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흡연제어부(170)는 사용자가 궐련(1)의 흡입을 개시할 때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나 공기유량의 변화에 민감한 흡입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흡입센서(미도시)는 필터결합부(140)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연제어부(170)는 흡입센서에 의해 흡입이 검출되면 배터리(160)의 전원을 공급하고, 일정기간 흡입동작이 검출되지 않으면 전기가열부(130)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흡연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흡연자의 조작에 따라 흡연자의 기호에 맞는 히팅온도 등을 저장하여 배터리(160)의 전원을 제어한다. 흡연제어부(170)는 흡연자의 흡연주기, 흡입량 등의 흡연패턴정보 데이터 및 배터리 정보를 저장하여 흡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배터리의 용량, 흡연주기, 흡연시간, 흡연량 등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감지 디스플레이를 채용하여 흡연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다단 히팅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통신부(미)는 불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흡연자가 스마트폰 등과 연동하여 정품인증 등을 수행하거나, 다양한 흡연관련정보를 흡연자의 모바일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증발식 흡연장치(100)는 야간 조명용으로 LED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20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증발식 흡연장치(200)는 도 11에 나타낸 담배(10)와 필터(20)가 일체화된 궐련(2)을 사용하는 장치이다. 담배(10)는 담배잎, 사용시에 흡연자가 터트릴 수 있도록 캡슐에 포장된 액상담배물질, 담체에 사전 함침된 액상담배물질, 및 담배입에 혼합된 액상담배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잎은 재배된 담배에서 추출되어 처리된 물질을 칭한다. 액상담배물질은 인공적 또는 화학적으로 제조 또는 조합한 물질을 칭한다. 담체는 액상담배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 다공질체로서 가열에 의해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담배(10)는 사용시에 흡연자가 터트릴 수 있도록 포장된 향미제를 포함하거나 담체에 사전 함침된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식 흡연장치(200)는 하우징(210), 담배수용부(220), 전기가열부(230), 커버(250), 배터리(260) 및 흡연제어부(27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는 4각 박스형, 원통형, 구형, 타원형, 스틱형이나 이들 형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10)는 금속, 플라스틱이나 이들 조합으로 제조된다. 하우징(210)는 담배수용부(220), 전기가열부(230), 커버(250), 배터리(260) 및 흡연제어부(270)가 지지 또는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0)는 조작버튼(280), 충전포트(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배터리(260)와 흡연제어부(270)를 포함하는 본체유닛(211) 및 예를 들면 볼트(214)에 의해 착탈 가능하며 담배수용부(220)를 갖는 흡연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유닛(212)은 볼트(214)외에 커넥터, 또는 신호 또는 전원전달을 겸한 커넥터와 같은 구조로 착탈될 수도 있다. 흡연유닛(212)은 독립형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스틱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흡연유닛(212)은 흡연제어부(170) 및 보조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분리된 상태에서 흡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연유닛(212)은 고장 시에 하우징유닛(211)에서 분리 교체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담배수용부(220)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파여진 홈의 형태로서 궐련(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담배수용부(220)는 궐련(2)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내열성의 궐련장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궐련장착부(222)는 적어도 궐련(2)의 담배(10)를 포함하는 부분을 일시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반원통 형상이다. 궐련장착부(222)는 기본적으로 자연스럽게 궐련(2)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 크기를 가져야 한다. 물론 궐련장착부(222)는 반드시 반원통일 필요는 없으며 담배(10)를 눕힌 상태에서 그대로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떤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전기가열부(230)는 담배수용부(220) 내에 수용된 담배(10)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전기가열부(2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궐련장착부(222)의 바닥에서 출입개구를 향해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기판(232), 및 기판(232)의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되어 배터리(260)에서 공급하는 전원의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저항소자(234)를 포함한다. 기판(232)은 담배(10)의 포장지(11)에 사전 형성된 절개삽입부(14)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뾰족한 팁부를 포함한다. 전기가열부(230)는 담배(10) 내부로 삽입되는 형상일 필요는 없고 궐련장착부(222)의 내면 및/또는 후술하는 보조커버(252)에 배치되어 담배(10)의 외부를 가열할 수도 있다.
기판(232)은 세라믹,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절연소재로서 열에 강한 재료로 제조된다.
열저항소자(234)는 예를 들면 텡스텐과 같이 전원을 인가하면 열을 쉽게 발생하는 재료로 기판(232)의 양면에 배치된다. 기판(232)에 배치된 열저항소자(234)는 담배(10) 내부로의 반복 삽입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된다.
커버(250)는 궐련장착부(222)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51)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에 영구자석(253)을 포함한다. 영구자석(253)은 폐쇄 위치에서 하우징(210)에 배치된 전자석(255)에 의해 부착된다. 전자석(255)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 또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자극이 N극 또는 S극으로 변환된다. 물론 커버(250)를 하우징(210)에 체결하는 방식은 전자석(255)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기계식 걸림/풀림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커버(250)를 체결하는 방식은 상술한 방식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가능하다. 또한, 커버(250)는 여닫이식 외에 슬라이딩 개폐식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커버(250)는 상술한 반원통 궐련장착부(222)에 결합하는 반원통 보조커버(252) 및 보조커버(252)를 지지하는 지지체(254)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궐련(2)을 궐련장착부(222)에 직접 삽입하는 대신에, 보조커버(252)에 장착한 후에 커버(250)를 닫음으로써 궐련(2)을 장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반원통 궐련장착부(222)와 반원통형 보조커버(252)의 결합은 원통형 담배수용공간을 형성하여 궐련(2)을 수용한다. 이때 담배수용공간의 결합부분은 밀폐될 필요는 없고 흡연자의 흡연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공기가 투과한다. 물론, 담배수용공간의 결합부분은 밀폐하고 별도의 공기통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300)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에 나타낸 제1 및 제2실시예의 증발식 흡연장치(100,200)는 커버(150,250)가 담배수용부(120,220)의 길이방향 일단에 배치된 힌지축(151,25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필터(20)측을 향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나, 제3실시예의 증발식 흡연장치(300)는 커버(350)가 담배수용부(320)의 길이방향 일측 주연부에 힌지축(351)을 중심으로 타측 주연부를 향해 회동하여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제3실시예의 증발식 흡연장치(300)에서 커버(350)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제 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100,20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400)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제3실시예의 증발식 흡연장치(300)는 담배장착부(422)의 형상을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커버(450)의 보조커버(452)는 사다리꼴 담배장착부(4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궐련(1,2)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진다. 궐련(1,2)은 담배(10)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사전 천공된 절개삽입부(14)를 포함한다. 담배장착부(422)의 형상을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궐련(1,2)을 담배장착부(422)에 장착할 때 궐련(1,2)의 천공 절개삽입부(14)가 담배장착부(422)의 바닥의 전기가열부(430)를 자동적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4실시예의 증발식 흡연장치(400)에서 담배장착부(422) 및 보조커버(452)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증발식 흡연장치(30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2: 궐련
10: 담배
20: 필터
100,200,300,400: 증발식 흡연장치
110,210,310,410: 하우징
120,220,320,420: 담배수용부
122,222,322,422: 담배장착부
130,230,330,430: 전기가열부
140: 필터결합부
150,250,350,450: 커버

Claims (13)

  1. 궐련을 증류하는 증발식 흡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궐련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출입가능한 출입개구를 갖는 담배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담배수용부 내의 궐련을 가열하는 전기가열부와;
    상기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은 서로 분리된 담배와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담배수용부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은 일체로 결합된 담배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는 담배잎, 사용시에 흡연자가 터트릴 수 있도록 캡슐에 포장된 액상담배물질, 담체에 사전 함침된 액상담배물질, 및 담배입에 혼합된 액상담배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가열부를 제어하는 흡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제어부는 상기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만 상기 전기가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흡입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연제어부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흡입센서의 출력이 없으면 전기가열부의 가열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수용부는 상기 궐련이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된 담배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담배장착부의 개구를 덮는 서브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가열부는 상기 담배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담배수용부 내에 상기 담배수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되는 궐련 내에 삽입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 열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궐련수용 방향 측으로 좁아지는 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담배수용부를 가진 흡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 및 상기 흡연유닛은 각각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유닛은 흡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식 흡연장치.
KR1020170143913A 2017-10-31 2017-10-31 증발식 흡연장치 KR10230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13A KR102306667B1 (ko) 2017-10-31 2017-10-31 증발식 흡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13A KR102306667B1 (ko) 2017-10-31 2017-10-31 증발식 흡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31A true KR20190048731A (ko) 2019-05-09
KR102306667B1 KR102306667B1 (ko) 2021-09-29

Family

ID=6654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13A KR102306667B1 (ko) 2017-10-31 2017-10-31 증발식 흡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7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363839B2 (en) 2018-04-10 2022-06-21 Kt&G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for aerosol generator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561A (ja) * 1997-12-19 1999-07-06 Japan Tobacco Inc 非燃焼型香味生成物品用ヒータユニット
KR20120114333A (ko) * 2010-02-05 2012-10-16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모조 흡연 장치
JP2014518095A (ja) * 2011-09-06 2014-07-28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材の加熱
KR101631286B1 (ko) * 2014-05-12 2016-06-16 신종수 전자담배
KR20160129024A (ko) * 2014-02-28 2016-11-08 비욘드 투웬티 리미티드 전자-담배 개인 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561A (ja) * 1997-12-19 1999-07-06 Japan Tobacco Inc 非燃焼型香味生成物品用ヒータユニット
KR20120114333A (ko) * 2010-02-05 2012-10-16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모조 흡연 장치
JP2014518095A (ja) * 2011-09-06 2014-07-28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 喫煙材の加熱
KR20160129024A (ko) * 2014-02-28 2016-11-08 비욘드 투웬티 리미티드 전자-담배 개인 기화기
KR101631286B1 (ko) * 2014-05-12 2016-06-16 신종수 전자담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839B2 (en) 2018-04-10 2022-06-21 Kt&G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for aerosol generator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same
EP4094606A1 (en) * 2018-04-10 2022-11-30 KT&G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for aerosol generator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same
KR20200142777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667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828B2 (en)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ES2340072T3 (es) Sistema de cigarrillo sin humo.
RU26716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CA2897224C (en) Top refillable electronic cigarettes
CN110621174B (zh) 一种烤烟器和加热控制方法
ES2370872T3 (es) Dispositivo para fumar, medio de carga y método para su utilización.
CN109076649A (zh) 布置成加热可抽吸材料的设备和形成加热器的方法
CN112040797A (zh) 可充电电子烟
KR102618375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카트리지
RU27535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CN208425516U (zh) 电子烟
CN207653598U (zh) 低温烟具及烟支
KR20190048731A (ko) 증발식 흡연장치
US11246340B2 (en) Tobacco heater with straight through heating tube
CN211020986U (zh) 一种低温烟具
KR102306688B1 (ko) 증발식 흡연장치용 흡연물품
CN109805457A (zh) 一种雾化器及电子烟
EP3840166A1 (en) Aerosol delivery device/system
CN211091854U (zh) 一种加热不燃烧烟支
GR20210100176A (el) Συσκευη καπνισματος
WO2018176400A1 (zh) 一种可插入香烟使用的电子烟及电子烟装置
CN111789292A (zh) 一种一次性电子烟
TW202042674A (zh) 吸煙替代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