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79A -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79A
KR20190048479A KR1020170143459A KR20170143459A KR20190048479A KR 20190048479 A KR20190048479 A KR 20190048479A KR 1020170143459 A KR1020170143459 A KR 1020170143459A KR 20170143459 A KR20170143459 A KR 20170143459A KR 20190048479 A KR20190048479 A KR 20190048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ode
wireless
hub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005B1 (ko
Inventor
신소봉
송용철
최원재
박상열
조홍수
Original Assignee
메를로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를로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를로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0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2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c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서로 무선 연결된 환경에서 추가로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확장시킬 경우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이종 자원들간의 다양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약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환경에서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이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정보를 생성하고 다른 사물, 사람,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라고도 함)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은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의미한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로 분류하며, 여기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한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또는 센서노드라 칭함) 또는 사람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에서 사용되는 센서노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공간에 있는 센서노드 등의 사물로부터 정보를 얻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존재하는 다양한 센서노드들은 각 센서노드별 네트워크에 최적화된 이기종의 프로토콜이 각각 사용된다.
한편, 2020년에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약 260억 개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는 소량의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콘텐츠처럼 수십 또는 수백 메가바이트 수준의 대용량 데이터가 공존할 것이며, 향후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생산, 소비되겠지만 사물인터넷(IoT)에서는 센싱 데이터 중심의 가벼운 연결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 트래픽을 뛰어 넘는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급증하는 센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 및 스마트 기기 모두가 인터넷 연결을 기반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과 달리 스마트 기기와 센서노드에 내장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두 기종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인터넷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터넷 서버에 전달하는 싱크노드로 활용할 경우에 특정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센서노드들에 최적인 스마트 기기의 집합을 정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국내특허등록 제10-07302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서로 무선 연결된 환경에서 추가로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확장시킬 경우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이종 자원들간의 다양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약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1 허브장치를 포함하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의 무선 연결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2 허브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에 대응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3 허브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더 구비될 경우,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3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3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에 대응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1 노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노드 프로세서와 무선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2 노드 프로세서와, 상기 제2 노드 프로세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노드 프로세서와 상기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는 표준화된 온 보드 주변 인터페이스(On-Board Peripheral Interface)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와 상기 관리수단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한 무선 IP(Internet Protocol) 연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망은,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또는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적외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WM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는, 미리 할당된 고유의 노드 ID(IDentification)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조명 센서, 가전기기, 도어락,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내지 제3 허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며,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등,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수은등, 네온관등,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또는 EL(Electro-Luminescent)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서로 무선 연결된 환경에서 추가로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확장시킬 경우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이종 자원들간의 다양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약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제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및 100-2)가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수개의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이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제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크게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 및 관리수단(2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 등을 확장하여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는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1 허브장치(1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는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1 노드 프로세서(111-1)와, 제1 노드 프로세서(111-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수단(200)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연결 프로세서(112-1)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노드 프로세서(111-1)와 통신연결 프로세서(112-1)는 예컨대,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또는 SPI(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버스 : 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등의 표준화된 온 보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On-Board Peripheral Interface)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는 예컨대, 미리 할당된 고유의 노드 ID(IDentification) 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또는 제1 허브장치(110-1)의 이름, 비밀번호, 일련번호, 종류, 제조회사,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모델 및 버전,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간의 무선 연결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2 허브장치(110-2)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노드 프로세서(111-1)와 무선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2 노드 프로세서(111-2)와, 제2 노드 프로세서(111-2)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112-2)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는 예컨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예컨대,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조명 센서, 가전기기, 도어락,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노드 프로세서(111-2)와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112-2)는 예컨대,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또는 SPI(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버스 : 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등의 표준화된 온 보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On-Board Peripheral Interface)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와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간의 무선 연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WMN)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다른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바람직하게,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적외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리수단(200)은 통신망(10)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가 관리수단(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와 관리수단(2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리수단(200)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를 경유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수단(200)과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한 무선 IP(Internet Protocol) 연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리수단(200)은 통신망(10)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관리수단(200)이 관리자 단말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자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0), A/V(Audio/Video) 입력모듈(220), 사용자 입력모듈(230), 센싱모듈(240), 출력모듈(250), 저장모듈(260), 인터페이스 모듈(270), 단말 제어모듈(280) 및 전원모듈(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관리자 단말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0)은 상기 관리자 단말과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0)은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 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 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5)은 상기 관리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1)와 마이크부(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0)은 상기 관리자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0)의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감시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240)은 상기 관리자 단말의 개폐 상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상기 관리자 단말의 방위, 상기 관리자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상기 관리자 단말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부(252), 알람부(253) 및 햅틱부(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관리자 단말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2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3)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0)은 무선 네트워크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무선 네트워크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0)은 상기 관리자 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관리자 단말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0)은 통상적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0)은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0)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네트워크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2), 알람부(253), 햅틱부(2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0)은 배터리부(2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는 전술한 관리수단(200)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수단(200)에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생성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통신망(10)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관리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포장하여 변환한 후,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서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에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에 대응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서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수단(200)으로 전송한다.
이하에는 전술한 관리수단(200)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수단(200)에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를 위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통신망(10)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관리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서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에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에서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의 제2 허브장치(110-2)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수단(200)으로 전송한다.
이하에는 전술한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와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즉,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를 확장할 경우,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는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제1 및/또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및/또는 100-2)간의 무선 연결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바, 제1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및/또는 100-2)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3 허브장치(110-3)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는 제1 및/또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및/또는 100-2)의 제1 및/또는 제2 노드 프로세서(111-1 및/또는 111-2)와 무선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3 노드 프로세서(111-3)와, 제3 노드 프로세서(111-3)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112-3)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 내지 100-3)의 제1 내지 제3 허브장치(110-1 내지 110-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예컨대, 실내 또는 실외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며,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등,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수은등, 네온관등,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또는 EL(Electro-Luminescent)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와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를 확장하여, 관리수단(200)을 통해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수단(200)에서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를 위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통신망(10)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관리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서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에서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서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수단(200)으로 전송한다.
이하에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와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2)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를 확장하여, 관리수단(200)을 통해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수단(200)에서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생성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통신망(10)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관리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서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에서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수집명령에 대응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 전송한다.
이후에,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에서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로 무선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1)의 제1 허브장치(110-1)에서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100-3)의 제3 허브장치(110-3)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120'-1 내지 120'-N)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수단(20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없는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즉,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이 새롭게 추가될 때 이를 지원하는 추가되는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허브장치에 새롭게 할당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하면서 확장 가능하며, 무선 연결의 자유로움으로 새로운 공간에 원하는 다른 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확장하는 것도 기존 설치된 허브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3 : 제1 내지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
110-1 내지 110-3 : 제1 내지 제3 허브장치,
120-1 내지 120-N : 무선통신 디바이스,
200 : 관리수단

Claims (20)

  1.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1 허브장치를 포함하는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의 무선 연결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2 허브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에 대응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3 허브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더 구비될 경우,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3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제어수행 완료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수집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3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부터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 및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수집명령에 대응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는,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허브장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 프로토콜로 변환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상기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3 허브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는,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간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1 노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노드 프로세서와 무선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를 갖는 제2 노드 프로세서와, 상기 제2 노드 프로세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 프로세서와 상기 디바이스 연결 프로세서는 표준화된 온 보드 주변 인터페이스(On-Board Peripheral Interface)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허브장치와 상기 관리수단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한 무선 IP(Internet Protocol) 연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또는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적외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WMN)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노드식별정보는, 미리 할당된 고유의 노드 ID(IDentification)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2 허브장치에 연결된 각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조명 센서, 가전기기, 도어락,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제1 내지 제3 허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며,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등,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수은등, 네온관등,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또는 EL(Electro-Luminescent)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20170143459A 2017-10-31 2017-10-31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200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59A KR102000005B1 (ko) 2017-10-31 2017-10-31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59A KR102000005B1 (ko) 2017-10-31 2017-10-31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79A true KR20190048479A (ko) 2019-05-09
KR102000005B1 KR102000005B1 (ko) 2019-07-15

Family

ID=6654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459A KR102000005B1 (ko) 2017-10-31 2017-10-31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0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97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의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매체
KR20220158327A (ko) * 2021-05-24 2022-12-01 다온 주식회사 자가 장애진단형 실외 led 조명제어 시스템
KR102519874B1 (ko) * 2022-07-01 2023-04-11 아카라코리아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238B1 (ko) 2006-01-03 2007-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통신방법
KR20130068849A (ko) * 2011-12-16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들간의 계층적 메시지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78671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1021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238B1 (ko) 2006-01-03 2007-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통신방법
KR20130068849A (ko) * 2011-12-16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들간의 계층적 메시지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78671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1021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97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의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매체
KR20220158327A (ko) * 2021-05-24 2022-12-01 다온 주식회사 자가 장애진단형 실외 led 조명제어 시스템
KR102519874B1 (ko) * 2022-07-01 2023-04-11 아카라코리아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005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Kang et al. Internet of everything: A large-scale autonomic IoT gateway
JP7045991B2 (ja) 無線通信を用いた電子装置の管理方法及び装置
Wenbo et al. Smart home implementation based on Internet and WiFi technology
CN113163379B (zh) 一种发现及配网的方法和电子设备
EP30722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US20220239622A1 (en) Efficient Network Stack for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s
KR102344021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41166B2 (en) Commissioning and personalizing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KR102000005B1 (ko)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1849670B1 (ko)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유지 관리 시스템
CN103645696A (zh) 一种基于Z-Wave技术的智能会议室无线控制系统
US20180359809A1 (en) Wireless mesh network-based lighting device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implementing same
CN105766016A (zh) 用于网络中的配置文件间调试的方法和装置
CN104407702A (zh) 基于情境感知执行动作的方法、装置和系统
CN108234562B (zh) 一种设备控制方法、控制设备和受控设备
KR20210089867A (ko) IR 제어기기의 IoT 연동 시스템
KR101738784B1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101815821B1 (ko)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통신 전원 제어 시스템
EP2725822A1 (en) Electric gener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Patil et al. Internet-of-things and mobile application based hybrid model for controlling energy system
CN106094549A (zh) 一种物联网蓝牙mesh智能家居系统
Belli et al. 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 matter: State of the art and opportunities
Sakai et al. Virtual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for integrating pans with different standards and locations
Rodríguez Molina et al. A proposal for an internet of things-based monitoring system composed by low capability, open source and open hardwar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