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874B1 -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874B1
KR102519874B1 KR1020220081230A KR20220081230A KR102519874B1 KR 102519874 B1 KR102519874 B1 KR 102519874B1 KR 1020220081230 A KR1020220081230 A KR 1020220081230A KR 20220081230 A KR20220081230 A KR 20220081230A KR 102519874 B1 KR102519874 B1 KR 10251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virtual drive
request signal
registered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균
Original Assignee
아카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카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75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IoT 허브인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가상 허브인 제2 허브에 등록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IoT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허브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허브의 제어부가 상기 제1 허브 내에 가상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허브가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가상 드라이브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네레이터가 상기 인증키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 생성을 위한 패키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네레이터가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상기 패키징 데이터를 근거로 가상의 상기 제2 허브를 상기 제1 허브에 생성하는 단계, 및 가상 드라이브가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EMENT OF IOT DEVICE}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허브 내에 가상의 허브를 생성하고, 기존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과정 없이 생성된 가상의 허브 내에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 허브는 센서와 엑추에이터를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IoT 허브는 같은 브랜드 회사 제품의 센서와 엑추에이터만 연동할 수 있다. 하지만,최근 오픈 IoT 플랫폼의 트렌드는 하나의 IoT 허브에 다른 브랜드 회사 제품의 센서와 엑추에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픈 IoT 플랫폼은 이종의 센서와 엑추에이터를 등록이 가능하지만 각각 장치들을 하나씩 등록해야 하고, 이미 이기종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은 모두 제거 한 후에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디바이스의 등록 및 제거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센서 종류로는 온도습도 센서, 문열림 센서, 움직임 센서가 있으며 엑추에이터로는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도어락 등이 있다. 스마트 빌딩의 경우에는 그 장치가 수백에서 수천개까지 되기 때문에 오픈 IoT 허브에 이 디바이스들을 모두 등록하는 과정은 매우 불필요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명세서는 기존의 허브에 가상의 허브를 생성하고, 기존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한번에 가상의 허브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공개특허 10-2018-0054157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허브 내에 가상의 허브를 생성하고, 기존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과정 없이 생성된 가상의 허브 내에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IoT 허브인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가상 허브인 제2 허브에 등록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IoT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허브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허브의 제어부가 상기 제1 허브 내에 가상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허브가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가상 드라이브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키 생성부가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허브의 고유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인증키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네레이터가 상기 제2 허브에 대한 인증키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 생성을 위한 패키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네레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키를 근거로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상기 패키징 데이터를 근거로 가상의 상기 제2 허브를 상기 제1 허브에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이 완료된 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가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상기 제2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양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동일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한 판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판별 신호를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상기 판별 신호에서 양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oT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가 상기 프로파일 확인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가 포함된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상기 재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에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가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 중 설정 거리 범위 이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한 그룹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허브가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에서 상기 그룹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모두 상기 제2 허브에 등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가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를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서 기 사용하고 있는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다른 허브에 등록하는 경우, 기 사용 중인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모두 제거한 후, 다른 허브에 연결하는 비생산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 사용 중인 허브 내에 가상의 허브를 생성하고 해당 가상의 허브에 기 사용 중인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한번의 과정을 통해서 등록하여 디바이스를 등록하데 있어서 시간과 비용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라이브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허브에 디바이스를 재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1)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드라이브(30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허브(200)에 디바이스를 재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제1 허브(10), 제1 허브(10) 내에 생성되는 가상 드라이브(300)와 가상 허브(200, 제2 허브), IoT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관리 시스템(1)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일 수 있고, 후술할 제1 허브(10) 또는 제2 허브(200)에 등록되는 디바이스는 조명,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난방, 환기 및 냉방), 스마트 가전기기들(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세탁기, 전자 렌지 등), 보안 도어 락(lock), 소화 장치(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보안 장치(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헬스 케어, 첨단의료서비스장치 및 기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IoT 허브인 제1 허브(1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IoT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허브(10)는 디바이스를 인터넷 망에 연결시킬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허브(10)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 각각에 따라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다. 제1 허브(10)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IoT 서버(400)에 연결시키기 위한 통합된 표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합된 표준으로 정보 및 명령 신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제1 허브(10)는 디바이스를 반결하고 식별하며, 이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oT 서버(400)는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IoT 애플리케이션과 디바이스를 인터넷 망을 통해서 연결시킬 수 있다.
IoT 서버(400)는 디바이스와 IoT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5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단말을 통해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에 설치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수동적으로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선택한 디바이스와 관련된 모든 동작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1)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이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제1 허브(10) 내에 가상의 제2 허브(200)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허브(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한번에 등록시키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IoT 허브인 제1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가상 허브인 제2 허브(200)에 등록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IoT 서버(400)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여 제1 허브(10)에 전송할 수 있다.(S10) 요청 신호는 제2 허브(2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허브(10)의 제어부(303)는 제1 허브(10) 내에 가상 드라이브(300)를 생성할 수 있다.(S11) 가상 드라이브(300)는 후술할 가상 허브인 제2 허브(200)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이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허브(10)는 제1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상 드라이브(300)에 전달할 수 있다.(S12)
가상 드라이브(300)가 생성되면 가상 드라이브(300)의 키 생성부(301)는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2 허브(200)의 고유 정보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인증키를 발급할 수 있다.(S13)
인증키가 발급되면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네레이터(302)는 인증키를 근거로 하여 제2 허브(200) 생성을 위한 패키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4)
아울러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네레이터(302)는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키를 근거로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15) 그리고 생성된 프로파일을 가상 허브인 제2 허브(200)의 타입에 맞게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고, 프로파일 생성에 관한 정보를 로깅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 드라이브(300)는 패키징 데이터를 근거로 제2 허브(200)를 제1 허브(10)에 생성할 수 있다.(S16) 이는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4, S15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양 단계는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경우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는 로깅이 완료된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근거로 하여 제2 허브(200)에 디바이스의 등록(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S17)
제2 허브(200)에 디바이스의 등록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는 제1 허브(10)에서 등록이 제거되지 않고 등록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제1 허브(10)에 디바이스의 등록을 제거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서 진행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을 통해서 기 사용하고 있는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다른 허브에 등록하는 경우, 기 사용 중인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모두 제거한 후, 다른 허브에 연결하는 비생산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 사용 중인 허브(10) 내에 가상의 허브(200)를 생성하고 해당 가상의 허브(200)에 기 사용 중인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한번의 과정을 통해서 등록하여 디바이스를 등록하데 있어서 시간과 비용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제2 허브(200)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제1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를 재등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허브(200)에 디바이스의 등록이 완료된 후,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가 제1 허브(10)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제2 허브(200)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양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동일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한 판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S20) IoT 서버(400)는 생성된 판별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S21)
판별 신호에서 동일한 디바이스로 판별된 경우, 디바이스가 제2 허브(200)에 등록이 잘 이루어져 추가 과정은 발생하지 않는다.
판별 신호에서 양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IoT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22)
IoT 서버(400)는 프로파일 확인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가 포함된 재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3)
가상 드라이브(300)가 재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2 허브(200)에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S24) 이런 과정을 통해서 제2 허브(200)에 디바이스의 등록을 오류 없이 완료할 수 있다.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는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1 허브(10)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 중 설정 거리 범위 이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한 그룹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전체의 IoT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경우,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는 같은 층에 구비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한 그룹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층에 구비된 디바이스들은 서로 상호 작용 하에 동작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제2 허브(200)는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에서 그룹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모두 제2 허브(200)에 등록이 완료된 경우, 가상 드라이브(300)의 제어부(303)가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는 IoT 서버(400)가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를 확인하여 특정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가 제2 허브(200)로 등록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범위 내에 IoT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허브 301: 키 생성부
200: 가상 허브 302: 제네레이터
300: 가상 드라이브 303: 제어부

Claims (5)

  1. IoT 허브인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가상 허브인 제2 허브에 등록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IoT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허브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허브의 제어부가 상기 제1 허브 내에 가상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허브가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가상 드라이브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키 생성부가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허브의 고유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인증키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네레이터가 상기 제2 허브에 대한 인증키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 생성을 위한 패키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네레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키를 근거로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상기 패키징 데이터를 근거로 가상의 상기 제2 허브를 상기 제1 허브에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허브에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이 완료된 후,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가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상기 제2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양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동일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한 판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판별 신호를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신호에서 양 허브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oT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가 상기 프로파일 확인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가 포함된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드라이브가 상기 재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2 허브에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가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허브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 중 설정 거리 범위 이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한 그룹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허브가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에서 상기 그룹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모두 상기 제2 허브에 등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가상 드라이브의 제어부가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그룹화 디바이스 등록 완료 신호를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KR1020220081230A 2022-07-01 2022-07-01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KR10251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30A KR102519874B1 (ko) 2022-07-01 2022-07-01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30A KR102519874B1 (ko) 2022-07-01 2022-07-01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874B1 true KR102519874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30A KR102519874B1 (ko) 2022-07-01 2022-07-01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8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910A (ko) * 2015-11-30 2017-06-08 달리웍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를 가상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입력받는 방법
KR20180025887A (ko) * 2015-07-03 2018-03-09 어페로, 인크. 가상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및 허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8479A (ko) * 2017-10-31 2019-05-09 메를로랩 주식회사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20190093294A (ko) * 2018-02-01 2019-08-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바이스 프로파일 기반의 이기종 IoT 네트워크 통합제어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5593A (ko) * 2018-01-23 2019-08-16 한국전력공사 이동형 ⅠoT 디바이스의 장치 등록 방법
KR20210101882A (ko) * 2020-02-11 2021-08-19 에녹스마트 주식회사 IoT 센서정보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265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원 기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IoT 기기용 게이트웨이의 보안 구축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887A (ko) * 2015-07-03 2018-03-09 어페로, 인크. 가상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및 허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2910A (ko) * 2015-11-30 2017-06-08 달리웍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를 가상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입력받는 방법
KR20190048479A (ko) * 2017-10-31 2019-05-09 메를로랩 주식회사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20190095593A (ko) * 2018-01-23 2019-08-16 한국전력공사 이동형 ⅠoT 디바이스의 장치 등록 방법
KR20190093294A (ko) * 2018-02-01 2019-08-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바이스 프로파일 기반의 이기종 IoT 네트워크 통합제어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882A (ko) * 2020-02-11 2021-08-19 에녹스마트 주식회사 IoT 센서정보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265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원 기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IoT 기기용 게이트웨이의 보안 구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3164B (zh) 一种用于解析用于装置的凭证的系统及方法
CN108880788B (zh) 在用于技术设备的控制系统中的认证方法以及控制系统
KR101560470B1 (ko)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TWI544825B (zh) 一種建立點對點(p2p)連線之通訊系統及其裝置
US11102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e communication among constrained devices
CA2953148C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rollment of devices in a network
CN104796969A (zh) 基于物联网识别码实现物联网设备入网的方法及系统
CN110506413B (zh) 用于网络装置安全性和信任分数确定的系统和方法
US20160057134A1 (en) Updating of a Digital Device Certificate of an Automation Device
CN110488617A (zh) 智能家居控制系统、方法及终端设备
KR102214647B1 (ko)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WO2015065013A1 (ko) 멀티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4552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client side credential control to authorize access to a protected device
CN101548263B (zh) 模拟用户和/或拥有者的不透明管理数据选项的方法和系统
TW201437932A (zh) 區網受控設備之雲端管控系統與方法
CN111131144B (zh) IoT设备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70026236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he deterministic autoconfiguration of a device
CN103583029A (zh) 控制系统和用于控制系统的配对方法
KR102519874B1 (ko)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관리 방법
KR20110066000A (ko)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리소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US20210314775A1 (en) Setting up access authorization to access a subnetwork of a mobile radio network
WO2017153092A1 (en) Secure commissioning of wireless enabled lighting devices
WO20201778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emote attestation with a gateway in the context of a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
US20040255112A1 (en) Network device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60149926A (ko) 토큰 서버 인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