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41A -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41A
KR20190048441A KR1020170143401A KR20170143401A KR20190048441A KR 20190048441 A KR20190048441 A KR 20190048441A KR 1020170143401 A KR1020170143401 A KR 1020170143401A KR 20170143401 A KR20170143401 A KR 20170143401A KR 20190048441 A KR20190048441 A KR 2019004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oor trim
fixed
mobile phon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441A/ko
Publication of KR2019004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는 풀핸들의 손잡이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의 배면에 형성되는 충전패드; 상기 충전패드 형성 영역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패드가 형성된 도어트림의 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하단에는 회전돌기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회전돌기 형성지점의 상측에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인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인출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각 인출프레임의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의 전단측에는 거치되는 휴대폰의 전면과 접촉하여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인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패널; 및 상기 각 인출패널 내측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로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on a full handle of a vehicle door trim}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장치가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어 전자기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무선 통신 기기들은 충전을 필요하며 이로 인해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유선 커넥터를 가진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전기적 연결방식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연결방식이 있지만, 이러한 단자연결방식은 충전기와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해당 전선을 연결하는 사용자의 행위도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단자연결방식으로 유선 충전하는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무선 충전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무선 충전 시스템이 차량 내부에 탑재되고 있다. 차량용 무접점 무선 충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콘솔(center console)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이 센터 콘솔에 탑재되는 경우, 센터 콘솔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선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 및 주행 중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어 안전 운행에 방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기술로 한국등록실용 제20-0477138호(종래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암레스트부의 손잡이 부위에 휴대폰을 삽입하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암레스트부에 부착되는 충전패드와, 암레스트 부근에 설치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행하여 휴대폰을 홀딩하는 홀딩부재와, 홀딩부재의 진행을 가이드 하는 안내부재와, 홀딩부재의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해제부재 및 안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락킹해제부재를 삽입하게 되는 수용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하기와 같은 단점에 있다.
첫째로, 홀딩부재, 안내부재, 락킹해재부재 및 수용부재 등 손잡이부에 설치되어야하는 구성들이 불필요하게 너무 많아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차량 원가 상승을 초례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는 기존 일반적인 차량의 적용되는 암레스트에 종래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암레스트뿐만 아니라 안내부재 및 수용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도어트림의 설계변경이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는 충전하는 휴대폰의 인출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탑승자가 하차하거나, 전화 및 문자메세지가 오는 경우 탑승자는 자연스럽게 휴대폰을 집어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충전중인 휴대폰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락킹해제부재를 조작 해함에 따라 수시로 휴대폰의 인출이 매우 불편하며 오히려 운전중에 휴대폰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락킹해제부재의 조작에 의해 사고가 유발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넷째로는 종래기술은 휴대폰이 손잡이부에 대각방향으로 눕혀서 존재하게 되며 홀딩부재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어 있다. 이때, 탑승자는 정차 후 손잡이부에 휴대폰을 놔둔채로 하차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손잡이부로 탑승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휴대폰에 의해 막혀버리게 됨에 따라 탑승자의 손이 들어가기 어려워 도어의 개방 시 손잡이부를 이용할 수 없는 결정적인 문제가 있다. 즉, 충전 여부와 무관하게 손잡이부에 휴대폰이 놓여져 있을 시, 손잡이부를 통한 도어의 오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손잡이부에 휴대폰이 대각선으로 놓여짐에 따라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없게 되어 충전장치가 오히려 손잡이부를 통한 도어의 오픈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손잡이부에 휴대폰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대각으로 위치된 충전패드에 의해 손잡이부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풀핸들 및 풀핸들이 설치되는 도어트림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손잡이부를 이용한 도어의 오픈 시 충전장치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며, 충전을 위한 휴대폰의 거치 및 인출이 용이한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핸들의 손잡이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의 배면에 형성되는 충전패드; 상기 충전패드 형성 영역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패드가 형성된 도어트림의 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하단에는 회전돌기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회전돌기 형성지점의 상측에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인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인출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각 인출프레임의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의 전단측에는 거치되는 휴대폰의 전면과 접촉하여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인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패널; 및 상기 각 인출패널 내측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로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패드와 휴대폰을 거치하는 패널 및 고정부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결한 구성요소로 구성됨에 따라 전반적인 차량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충전패드를 손잡이부의 도어트림 배면에 형성하고, 고정패널을 포함한 다른 구성을 도어트림의 전면에 형성하는 구조임에 따라 기존 도어트림의 설계 변경이 크게 요구되지 않으며, 현재 운행중인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고정 및 인출을 위한 별도의 해제부재 및 동작이 요구되지 않고, 하단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인출패널을 통해 휴대폰의 고정 및 인출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폰의 빠른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장치에 삽입된 휴대폰이 손잡이부의 도어트림측에 밀착 기입되어 있음에 따라 휴대폰과 손잡이부의 실내측 방향 끝단 사이에는 탑승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유지됨으로써 휴대폰이 무선 충전장치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경우라도 탑승자가 손잡이부를 통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인출패널에 형성된 고정부가 탄력적으로 가변되어 휴대폰의 측면과 접촉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모든 휴대폰의 충전이 범용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에 휴대폰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에 휴대폰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이하 '무선 충전장치'로 약칭함: 100)는 차량 도어(D)의 실내측 도어트림(1)에 형성된 풀핸들(2)의 손잡이부(3)에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손잡이부(3)는 탑승자가 도어(D)의 개폐를 위해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차량 외측 방향인 일측은 도어트림(1)에 의해 막혀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손잡이부(3)에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0)는 충전패드(10)와, 고정패널(20), 인출패널(30) 및 고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패드(10)는 오늘날 관련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무선 충전용 패드로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으며, 손잡이부(3)의 일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1)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고정패널(20)은 상기 충전패드(10)가 형성된 위치의 도어트림(1) 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 쌍의 고정프레임(2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1)은 충전패드(10)와 도어트림(1)을 사이에 두고 충전패드(10)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충전패드(10)의 폭방향(차량 전장방향)보다는 좁은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고정프레임(21)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는 상기 인출패널(30)과 결합하여 인출패널(30)의 위치 상태를 홀딩하기 위한 고정홀(32)이 형성된다. 또한, 각 고정프레임(21)의 하단측 내측에는 회전 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고정패널(20)은 도어트림(1)에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구조를 적용하여 고정되거나, 일부분이 도어트림(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출패널(30)은 고정패널(20)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인출프레임(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패널(20)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인출프레임(31)의 외측면에는 고정프레임(21)에 형성된 고정홀(22)에 착탈 가능한 고정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측에는 상기 회전돌기(23)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3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출패널(30)은 고정패널(20)의 회전돌기(23)와 힌지 결합되는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상단측이 차량의 실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단측이 차량 실외 측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고정패널(20) 사이에 위치될 시, 고정돌기(32)가 고정패널(20)의 고정홀(22)에 삽입됨으로써 인출패널(30)이 고정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측 방향의 각 인출프레임(31) 전단측에는 거치되는 휴대폰(P)과 접촉하여 휴대폰(P)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34)은 인출프레임(31)의 실내측 방향 전단측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면적을 갖도록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인출패널(30)의 각 인출프레임(31) 내측에 형성되어 인출프레임(31) 내에 삽입되는 휴대폰(P)의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탄성부재(41) 및 커버(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1)는 금속판넬로 형성되어 각 인출프레임(31)의 내측 소정지점에 고정되어 휴대폰(P)의 측면을 접촉 가압함으로서 휴대폰(P)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판(41a) 및 탄성판(41b)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이때, 고정판(41a)은 탄성부재(41)가 인출프레임(3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탄성판(41b)은 상기 고정판(41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고정판(41a)의 타단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된 호(arc)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판(41b)은 일단이 고정판(41a)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타단은 고정판(41a)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탄성판(41b)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판(41b)이 라운드진 호 형태의 구조임에 따라 휴대폰(P)의 삽입 및 인출 시, 각 방향에 따른 탄성판(41b)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42)는 상기 탄성부재(41)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부재(41)와 휴대폰(P) 측면과의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생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폰(P)이 차량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탄성부재(4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커버(42)는 실리콘과 같은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우선 탑승자가 휴대폰(P)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인출패널(30)의 상단측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때, 인출패널(30)은 하단이 고정패널(20)과 힌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단측이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출패널(30)의 상단측이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돌출되면 휴대폰(P)을 인출패널(30)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때, 삽입되는 휴대폰(P)의 전면은 지지프레임(34)에 지지되어 인출패널(30)과 함께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정부(40)에 의해 휴대폰(P)의 측면이 지지됨으로써 인출패널(30) 내에 휴대폰(P)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40)의 탄성부재(41)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폰(P)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인출패널(30)에 휴대폰(P)의 삽입 및 고정된 상태가 되면 도 3의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출패널(30)의 상단측 또는 휴대폰(P) 상단측에 힘을 가하여 차량 실외측 방향으로 밀어 회동시키면 인출패널(30)이 고정패널(20) 사이에 위치되게 되고, 휴대폰(P)의 배면과 충전패드(10)가 부착된 도어트림(1)이 밀착 접촉하게 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태에서 인출패널(30)의 고정돌기(32)와 고정패널(20)의 고정홀(22)이 결합하여 고정패널(20) 사이에 인출패널(30)이 고정되게 되어 휴대폰(P)의 배면과 도어트림(1)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무선 충전장치(100)로부터 휴대폰(P)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출패널(30)에 삽입된 휴대폰(P)의 상단측을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인출패널(30)이 고정패널(20)로부터 분리되어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이후 휴대폰(P)을 잡고 인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차별화된 효과를 갖는다.
먼저, 첫째로는, 충전패드(10)와 휴대폰(P)을 삽입 및 홀딩하기 위해 고정패널, 인출패널 및 고정부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결한 구성요소로 구성됨에 따라 전반적인 차량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로는 충전패드(10)를 손잡이부(3)의 도어트림(1) 배면에 형성하고, 고정패널(20)을 포함한 다른 구성을 도어트림(1)의 전면에 형성하는 구조임에 따라 기존 도어트림(1)의 설계 변경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제조되는 차량은 물론 현재 운행중인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는, 휴대폰(P)을 고정 및 인출을 위한 별도의 락킹해제부재 및 동작이 요구되지 않고, 하단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인출패널(30)을 통해 휴대폰(P)의 고정 및 인출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폰(P)의 빠른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로는, 무선 충전장치(100)에 삽입된 휴대폰(P)이 손잡이부(3)의 도어트림(1)측에 밀착 기립되어 있음에 따라 휴대폰(P)과 손잡이부(3)의 실내측 방향 끝단 사이에는 탑승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유지된다. 따라서, 휴대폰(P)이 무선 충전장치(100)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경우라도 탑승자가 손잡이부(3)를 통한 도어(1)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로는, 인출패널(30)에 형성된 고정부(40)가 탄력적으로 가변되어 휴대폰(P)의 측면과 접촉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모든 휴대폰(P)의 충전이 범용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충전패드 20: 고정패널
30: 인출패널 40: 고정부
41: 탄성부재 42 커버

Claims (4)

  1. 풀핸들의 손잡이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의 배면에 형성되는 충전패드;
    상기 충전패드 형성 영역 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패드가 형성된 도어트림의 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하단에는 회전돌기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프레임의 회전돌기 형성지점의 상측에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인출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인출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각 인출프레임의 차량 실내측 방향으로의 전단측에는 거치되는 휴대폰의 전면과 접촉하여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인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패널; 및
    상기 각 인출패널 내측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로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출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판형 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고정판과, 일단은 상기 고정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고정판의 타단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되어 호(arc) 형태를 취하며 타단은 고정판의 타단과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는 금속재질의 탄성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패널은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단측이 차량의 실내/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패널의 차량 실외측 방향으로 회동 시, 인출패널에 삽입된 휴대폰은 기립되어 배면이 도어트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KR1020170143401A 2017-10-31 2017-10-31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KR20190048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01A KR20190048441A (ko) 2017-10-31 2017-10-31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01A KR20190048441A (ko) 2017-10-31 2017-10-31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41A true KR20190048441A (ko) 2019-05-09

Family

ID=6654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401A KR20190048441A (ko) 2017-10-31 2017-10-31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4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2103A (zh) * 2020-07-08 2020-10-1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车门护板及车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2103A (zh) * 2020-07-08 2020-10-1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车门护板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622A (en) Holder for a telephone handset, and assembly of a holder and a telephone handset
US5189358A (en) Adaptor for mounting portable radio apparatus to moving body and charger for portable radio apparatus
US20190267758A1 (en)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KR20120106237A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20160003654U (ko) 무선충전 크래들
KR20140002927U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EP4142103A1 (en) Mobile terminal holder structure
ITMI20140367U1 (it) Aletta parasole con dispositivo di carica elettrica wireless.
JPH0385949A (ja) 携帯電話機の移動体への取付構造
EP2290918A1 (en) Portable terminal
KR20190048441A (ko) 차량 도어트림의 풀핸들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장치
US11878601B2 (en) Device for holding a charging cable for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KR20180061775A (ko)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
JP2012060717A (ja) 携帯充電器
KR101693986B1 (ko) 자동차의 휴대기기 수납형 무선충전장치
CN209072104U (zh) 无线充电设备
CN209857326U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KR101417739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KR20070060436A (ko) 팝업식 핸드폰 거치대
CN216017119U (zh) 一种便携式蓝牙耳机充电收纳一体盒
CN217849646U (zh) 简易蓝牙耳机充电盒
CN215419686U (zh) 一种手持移动式无线充电设备
KR101394378B1 (ko) 틸팅형 유무선 겸용 충전기
CN216468561U (zh) 一种便携式无人机地面站显示装置
JP3738199B2 (ja) 電気機器に電力を供給する補助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