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080A -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 Google Patents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080A
KR20190048080A KR1020170142586A KR20170142586A KR20190048080A KR 20190048080 A KR20190048080 A KR 20190048080A KR 1020170142586 A KR1020170142586 A KR 1020170142586A KR 20170142586 A KR20170142586 A KR 20170142586A KR 20190048080 A KR20190048080 A KR 2019004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pection equipment
vibration
front frame
smart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254B1 (ko
Inventor
임병주
박창대
정경열
이성수
황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2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4Details of doors or cover li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 등의 설비 내에 부품들을 검사, 정비하기 위한 검사장비를 수용하여 운반하는 카트에 있어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장애물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일정 감소시켜 진동에 따른 검사장비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Smart Cart with Low Vibration for Plant Maintenance}
본 발명은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 등의 설비 내에 부품들을 검사, 정비하기 위한 검사장비를 수용하여 운반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플랜트 내부 부품들은 원활한 작동을 위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다.
검사를 위해서는 많은 검사장비들이 필요한데 반해, 검사장비를 모두 구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검사장비를 모두 한 번에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플랜트에서는 검사장비를 카트 등의 이송수단에 탑재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한 후, 부품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7589호("확장 가능한 운반카트", 공개일 2015.06.18.)에 물건의 운반을 위한 운반카트가 개시되었다.
이 때, 원자력발전소 등의 발전소 플랜트 내부에는 각종 배선 또는 파이프 등이 바닥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고르지 못한 바닥면에 의해 검사장비의 이송이 어렵다.
특히, 파이프 등과 같이 카트가 넘기 어려운 직경을 가지는 장애물이 바닥에 위치될 경우, 작업자가 직접 카트를 들어 장애물을 통과해야 하므로 검사장비의 운반이 수월하지 못하며, 장애물의 통과에 따른 진동 및 고르지 못한 바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검사장비에 해를 입힐 수 있어 검사장비의 오작동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7589호("확장 가능한 운반카트", 공개일 2015.06.1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 등의 설비 내에 부품들을 검사, 정비하기 위한 검사장비를 수용하여 운반하는 카트에 있어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장애물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일정 감소시켜 진동에 따른 검사장비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는 내부에 검사장비가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몸체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프레임결합부에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 사선으로 결합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수직한 하부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결합부에 결합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연결하여 진동을 흡수 가능하게 형성되는 진동흡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흡수부는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제어하는 탄성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병렬로 위치되는 댐퍼(damper)로 구비되는 댐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검사장비를 상기 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검사장비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간을 가지되, 상기 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서랍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 상측을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 하측 또는 후방프레임 하측을 연결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 상부면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상부면과의 공간을 형성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는 방사선량을 측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사선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는 원자력발전소 등의 설비 내에 부품들을 검사, 정비하기 위한 검사장비를 수용하여 운반하는 카트에 있어서, 수용부를 지면으로 이격시키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카트에 비해 바닥면에 형성되는 장애물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에 따른 검사장비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는 검사장비를 선택되는 기준으로 분류하여 수용할 수 있으므로, 검사장비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는 검사장비가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100), 수용부(100)의 폭 방향 양단에 고정되되,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200), 프레임부(200) 하단에 형성되어 수용부(100)를 선택되는 장소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부(300) 및 프레임부(200)에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가능하게 형성되는 진동흡수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검사장비는 발전소 플랜트 등의 설비 내에 부품들을 검사하고, 검사된 정보를 저장 또는 송수신할 수 있는 장비 및 부품들을 정비할 수 있는 정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장비의 예로서는 기억장치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DAQ장치, DAQ연결부, 랜접속부, 액세스포인트, 허브 및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는 수용부(100)의 내부에 검사장비를 수용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술된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검사결과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를 컨트롤 룸(control room)에 쉽게 전송하면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수용부(100)는 내부에 검사장비(10)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선택되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몸체(11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여 내부로 검사장비(10)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함으로써,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검사장비(10)를 수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용부(100)는 몸체(110)의 개방부를 통해 검사장비(10)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이동에 의한 검사장비(1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몸체(110)의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몸체(110)와 경첩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몸체(110)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폐부(120)의 다양한 형상 및 개폐 동작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개폐부(120)는 검사장비(10)가 몸체(11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시, 몸체(110)의 폭 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프레임부(200)와의 충돌을 방지하고자, 몸체(110)의 개방부와 개폐부(120)는 몸체(110)의 길이 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용부(100)는 검사장비(10)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되, 몸체(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서랍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랍부(130)는 서랍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검사장비(10)를 수용하여 몸체(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된다.
이때, 수용부(100)는 몸체(110)의 하부에 개폐부(120)를 형성하여, 몸체(110) 내부에 검사장비(10)를 수용한 상태에서 개폐 가능하며, 상부에는 서랍부(130)를 구비함으로써, 나머지 검사장비(10)를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기억장치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또는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검사장비(10)의 경우, 몸체(110) 내부의 바닥면에 개폐부(120)를 통해 인입 및 인출시키고, 상대적으로 가볍거나, 크기가 작은 검사장비(10) 또는 검사장비(10)를 이루는 단위 부품 등은 서랍부(130)에 수용하여 몸체(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부(100)는 개폐부(120)와 서랍부(130)를 포함하여 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검사장비(10)를 분리하여 수용 가능함으로써, 부품의 분실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전자파 등에 의한 검사장비(10)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검사장비(10)의 오작동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부(100)는 몸체(110)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방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140)는 몸체(110)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검사장비(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과열에 의한 검사장비(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140)는 방열 효과의 증대를 위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 가능하거나, 반대로 몸체(11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방열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몸체(110)의 폭 방향 양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수용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이격시키도록 하며, 크게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프레임(210)은 몸체(110)의 폭 방향 양단의 프레임결합부(15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용부(100)의 길이 방향 사선으로 결합된다.
후방프레임(220)은 프레임결합부(150)에 전방프레임(210)과 함께 결합되되, 전방프레임(210)과 수직한 하부 방향 사선으로 결합된다.
즉, 프레임부(200)는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이 'ㅅ'자 형상을 가지도록 프레임결합부(150)에 결합된다.
프레임부(200)는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이 'ㅅ'자 형상을 가지도록 프레임결합부(150)에 결합됨으로써, 종래의 수용부 하부에 이동부가 구비되는 카트에 비해 수용부와 지면간의 이격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지면에 파이프 등의 장애물이 다수 배치되는 원자력발전소 등의 플랜트 내에서의 이동 시, 장애물을 통과하기 수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0)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검사 장비(10)를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200)는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이 몸체(110)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을 위한 위치로 이동 후, 작업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라 수용부(100)와 프레임부(200)를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0)는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몸체(110)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수용부(200)와 지면간의 이격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부(200)는 전방프레임(210) 상단을 수용부(100)의 폭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카트의 이동을 위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23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부(230)는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과 카트의 이동을 위한 힘을 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프레임(210)의 상단을 연결하여 프레임부(200)로 하여금 견고하게 수용부(100)를 지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230)는 작업자가 편하게 쥐거나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부(200)는 프레임부(200)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받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40)는 전방프레임(210)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프레임(220) 하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프레임부(2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거나, 전후방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240)는 바닥에 형성된 장애물을 넘기 위해 작업자가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어, 받침부(240)로 힘을 가하여 카트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어 장애물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받침부(240)는 손잡이부(230)와 같이, 전방프레임(210) 및 후방프레임(220)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프레임부(200)가 수용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동부(300)는 프레임부(200) 하단에 구비되어 회전됨으로써,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일반적인 휠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는 수용부에 하부에 이동부를 형성하지 않고, 프레임부(200)를 통해 프레임부(200) 하부에 이동부(300)가 형성되므로, 종래의 카트에 비해 크기의 제약이 적다.
그러므로 이동부(300)의 크기를 종래의 이동부보다 크게 형성하여 바닥에 형성된 장애물을 통과하기 수월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흡수부는(400)는 수용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카트의 이동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다.
진동흡수부(400)는 크게 탄성부(410)와 댐퍼부(420)로 이루어진다.
탄성부(410)는 양단이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을 수용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프링과 연결되어 스프링의 탄성을 제어하는 탄성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조절수단은 스프링의 탄성을 제어하기 위한 턴버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스프링의 탄성을 제어 가능하다면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댐퍼부(420)는 탄성부(410)에 인접하여 구비되되,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을 수용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댐퍼(damper)로 형성된다.
즉, 진동흡수부(400)는 탄성부(410)와 댐퍼부(420)가 병렬로 배치되도록 전방프레임(210)과 후방프레임(220)에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이동부(300)의 이동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대적으로 큰 진동은 탄성부(410)를 통해 진동을 흡수하고,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진동은 댐퍼부(420)를 이용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트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프레임부(200)에 구비되는 탄성부(410)와 댐퍼부(420)를 통해 선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해 검사장비(10)가 충격을 받거나, 이에 따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의 수용부(100)는 몸체(110) 상부면에 형성되는 선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부(160)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몸체(110)의 상부면과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선반부(160)는 몸체(110)의 상부면 일측과 경첩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몸체(110)의 상부면을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즉, 선반부(160)는 몸체(110) 상부면에 위치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노트북 등의 검사장비(10)를 안전하게 보관 및 수용하여 운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선반부(160)의 경첩을 통한 회전을 통해 몸체(110)의 상부면과 더불어 선반부(160)의 상부면을 통해 작업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품의 검사 또는 정비를 위해 다수의 검사장비(10)가 필요하며, 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검사장비(10) 일부를 선반부(160)의 회전에 따라 몸체(110)의 상부면과 함께 작업공간으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 내부의 부품을 수월하게 검사 또는 정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는 몸체(110)에 구비되는 센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1000)는 원자력 발전소 등의 부품을 검사 또는 정비하기 위한 검사장비(10)를 수용하여 이동시키므로, 센서부(500)는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500)는 방사선측정센서 외에 온도측정센서, 수분측정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100)의 상부면에는 방사선측정센서, 온도측정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5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500)는 방사선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방사선량이 선택되는 양을 초과할 경우, 작업자로 경고를 보낼 수 있는 경고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경고수단은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경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 경고등에 의해 작업자로 하여금 경고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100 : 수용부
110 : 몸체 120 : 개폐부
130 : 서랍부 140 : 방열부
150 : 프레임결합부 160 : 선반부
200 : 프레임부
210 : 전방프레임 220 : 후방프레임
230 : 손잡이부 240 : 받침부
300 : 이동부
400 : 진동흡수부
410 : 탄성부 420 : 댐퍼부
500 : 센서부
10 : 검사장비

Claims (8)

  1. 내부에 검사장비가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몸체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프레임결합부에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 사선으로 결합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수직한 하부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결합부에 결합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연결하여 진동을 흡수 가능하게 형성되는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제어하는 탄성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와 병렬로 위치되는 댐퍼(damper)로 구비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검사장비를 상기 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검사장비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간을 가지되, 상기 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서랍부를 더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 상측을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 하측 또는 후방프레임 하측을 연결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 상부면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상부면과의 공간을 형성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는
    방사선량을 측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사선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KR1020170142586A 2017-10-30 2017-10-30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KR10200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86A KR102009254B1 (ko) 2017-10-30 2017-10-30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86A KR102009254B1 (ko) 2017-10-30 2017-10-30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80A true KR20190048080A (ko) 2019-05-09
KR102009254B1 KR102009254B1 (ko) 2019-08-09

Family

ID=6654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86A KR102009254B1 (ko) 2017-10-30 2017-10-30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2576A1 (en) * 1988-12-09 1990-06-13 Otis Elevator Company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US6431562B1 (en) * 1997-04-01 2002-08-13 Hansrudolf Vontobel Vehicle for gliding over the ground
KR20150067589A (ko) 2013-12-10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확장 가능한 운반카트
CN205632642U (zh) * 2016-04-29 2016-10-12 熊婧萱 一种防震婴儿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2576A1 (en) * 1988-12-09 1990-06-13 Otis Elevator Company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US6431562B1 (en) * 1997-04-01 2002-08-13 Hansrudolf Vontobel Vehicle for gliding over the ground
KR20150067589A (ko) 2013-12-10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확장 가능한 운반카트
CN205632642U (zh) * 2016-04-29 2016-10-12 熊婧萱 一种防震婴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254B1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830B1 (ko) 충격 흡수 메커니즘을 갖는 로봇 아암 카트 및 그 용도
US20100308615A1 (en)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BR112019019052A2 (pt) sistema de carregamento de carga
CN112912295A (zh) 移动体
CN209366783U (zh) 一种无人机室内存放机构
US8917497B2 (en) Jobsite storage cabinet for housing electronic equipment
US20150336780A1 (en) Automatic lift stand and case
KR20190048080A (ko) 정비지원용 저진동 스마트 카트
KR102009262B1 (ko) 회전 특성을 갖는 정비지원용 스마트 카트
US10005481B1 (en) Dolly for field technicians
KR102062695B1 (ko) 드론용 운반체
US20230381949A1 (en) Modular box for component management in mobile robots
KR101437137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맨홀 뚜껑 개폐 운반기
Plummer Diagnostic Instrument Manipulator (DIM) upgrades for reliabil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a radiological contamination environment at the National Ignition Facility (NIF)
JP4636993B2 (ja) 航空貨物用小型コンテナ
EP2460396A1 (en) Cabinets for storing electronic apparatus
US20100231101A1 (en) Portable casing for housing video production equipment
US20130321622A1 (en) Shipping container scanning system
US6086315A (en) Equipment lift with hooking mechanism for holding a portable work station cart
JP5182619B2 (ja) X線検査装置
RU2452889C1 (ru) Рентгенографический кроулер (варианты)
US9249007B2 (en) Ice machine risers
US10308268B2 (en) Strap dispenser
GB2474719A (en) Animal transportation box
KR102032750B1 (ko) 쇳 밥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