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973A -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 Google Patents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973A
KR20190047973A KR1020170142392A KR20170142392A KR20190047973A KR 20190047973 A KR20190047973 A KR 20190047973A KR 1020170142392 A KR1020170142392 A KR 1020170142392A KR 20170142392 A KR20170142392 A KR 20170142392A KR 20190047973 A KR20190047973 A KR 20190047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groove portion
bucket
rotor dis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960B1 (ko
Inventor
장석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02Blade-carrying members, e.g. rotors
    • F01D5/10Anti- vibr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에 관한 것으로,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센터홈부와 로터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센터홈부 및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1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와 로터디스크의 암도부테일부간의 간극을 완화하고 진동을 흡수하여 버킷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MOUNTING STRUCTURE OF BUCKET AND STEAM TURB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기터빈의 한 종류는 고압터빈, 중압터빈, 저압터빈, 응축기, 보일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증기터빈의 동력 생산에 사용되는 작동유체는 먼저 고압터빈을 거쳐 중압터빈으로 유입된 후 저압터빈을 통해 응축기로 흐르는 동안 터빈을 작동시켜 동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고압터빈에서 배출되고 중압터빈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응축기를 거쳐 고압터빈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와, 보일러(원자력의 경우 습분분리 재열기)에서 열교환되며 재열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통상 증기터빈에서 고압터빈, 중압터빈 및 저압터빈은 하나의 로터샤프트로 일체로 연결되고, 로터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복수의 단으로 로터디스크가 배치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증기터빈(1)의 로터디스크(2)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버킷(6)이 장착되어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로터디스크(2)의 외주면에 버킷(6)을 장착할 때에는 로터디스크(2)의 외주면에 형성된 암도브테일부(3)에 버킷(6)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도브테일부(4)를 로터디스크(2)의 축방향에서 끼워 넣어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버킷(6)의 체결 방식은 증기터빈의 작동 중 재질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암도브테일부(3)과 수도브테일부(4)간에 일정 간극을 형성한다. 이는 열팽창시 재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버킷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진동에는 약하게 된다.
국내특허 등록번호:10-07855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와 로터디스크의 암도부테일부간의 간극을 완화하고 진동을 흡수하여 버킷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에 관한 것으로,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센터홈부와 로터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센터홈부 및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1 락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커버 및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센터홈부는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홈부는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락킹부재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센터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1 사이드홈부와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사이드홈부 및 상기 제2 사이드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드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2 락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사이드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2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2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커버 및 상기 제2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2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증기터빈은 고압터빈과 상기 고압터빈과 로터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고압터빈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중압터빈과 상기 중압터빈과 로터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중압터빈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저압터빈과 상기 저압터빈과 연결되고, 상기 저압터빈으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고압터빈간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가열하여 상기 고압터빈으로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샤프트에는 로터디스크가 배치되고, 상기 로터디스크에는 버킷이 장착되며, 상기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센터홈부와 로터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센터홈부 및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1 락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커버 및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센터홈부는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홈부는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락킹부재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센터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1 사이드홈부와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사이드홈부 및 상기 제2 사이드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드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2 락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사이드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2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2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커버 및 상기 제2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2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와 로터디스크의 암도부테일부간의 간극을 완화하고 진동을 흡수하여 버킷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버킷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버킷의 고정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 게시된 발명에서 대한 측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게시된 발명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버킷의 고정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정커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고정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인 버킷의 고정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게시된 발명에서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게시된 발명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 고정커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1 고정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버킷의 고정 구조(10)의 제1 실시예는 제1 센터홈부(33), 제2 센터홈부(23) 및 제1 락킹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터홈부(33)는 버킷(30)의 수도브테일부(3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단면의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센터홈부(23)는 로터디스크(20)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단면의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재(40)는 상기 제2 센터홈부(23)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33)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락킹부재(40)는 제1 고정베이스(41), 제1 고정커버(43) 및 제1 탄성체(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는 상기 제2 센터홈부(23)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는 전반적으로 사각 용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커버(43)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암도브테일부(21)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커버(43)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개방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45)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커버(43)는 상기 제1 탄성체(45)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복원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탄성체(45)는 도 2에 게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원주방향으로의 진동을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45)는 도 3에 게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센터홈부(23)는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홈부(33)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센터홈부(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락킹부재(40)는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센터홈부(2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탄성체(45)가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서 복수의 열로 배치된 경우보다,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보다 더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상기 암도브테일부(21)로 결합할 때, 우선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락킹부재(40)를 눌러서 축소시킨다. 이는 상기 제1 고정커버(43)가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버킷(30)을 밀어놓어 상기 제1 락킹부재(40)의 상부를 따라 상기 수도브테일부(31)의 하단이 지나가도록 한다.
이후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락킹부재(40)의 제1 고정커버(43)가 상기 제1 탄성체(45)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어지면서, 상기 제1 센터홈부(3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버킷(30)이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6를 참고하면,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에 의해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로 진입할 때,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1 센터홈부(3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 및 결합력을 제공한다.
다음 도 7를 참고하면,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곡면부에 의해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로 진입할 때,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곡면부를 따라 상기 제1 센터홈부(3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이 또한 향상된 고정력 및 결합력을 제공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인 버킷의 고정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정커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고정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버킷의 고정 구조(10)의 제2 실시예는 제1 센터홈부(33), 제2 센터홈부(23), 제1 사이드홈부(35), 제2 사이드홈부(25), 제1 락킹부재(40) 및 제2 락킹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터홈부(33)는 버킷(30)의 수도브테일부(3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단면의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센터홈부(23)는 로터디스크(20)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단면의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재(40)는 상기 제2 센터홈부(23)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33)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락킹부재(40)는 제1 고정베이스(41), 제1 고정커버(43) 및 제1 탄성체(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는 상기 제2 센터홈부(23)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는 전반적으로 사각 용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커버(43)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암도브테일부(21)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커버(43)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개방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45)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커버(43)는 상기 제1 탄성체(45)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복원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탄성체(45)는 도 5에 게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원주방향으로의 진동을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45)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41)와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사이드홈부(35)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사이드홈부(25)는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홈부(3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이드홈부(35)보다는 약간 큰 사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재(50)는 상기 제2 사이드홈부(25)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드홈부(35)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락킹부재(50)는 제2 고정베이스(51), 제2 고정커버(53) 및 제2 탄성체(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는 상기 제2 사이드홈부(25)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31)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커버(53)는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보다는 약간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체(55)는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와 상기 제2 고정커버(5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커버(53)는 상기 제2 탄성체(55)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복원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탄성체(55)는 도 5에 게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와 상기 제2 고정커버(53)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20)의 방사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방사방향으로의 진동을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체(55)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탄성체(45)와 유사하게 상기 제2 고정베이스(51)와 상기 제2 고정커버(53)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의 내측에서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완화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6를 참고하면,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에 의해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로 진입할 때,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1 센터홈부(3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 및 결합력을 제공한다.
다음 도 7를 참고하면, 로터디스크(2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곡면부에 의해 상기 수도브테일부(31)가 상기 암도브테일부(21)로 진입할 때, 상기 제1 고정커버(43)의 곡면부를 따라 상기 제1 센터홈부(3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이 또한 향상된 고정력 및 결합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증기터빈(100)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고압터빈(HP)과 상기 고압터빈(HP)과 로터샤프트(R)로 연결되고, 상기 고압터빈(HP)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중압터빈(IP)과 상기 중압터빈(IP)과 로터샤프트(R)로 연결되고, 상기 중압터빈(IP)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저압터빈(LP)과 상기 저압터빈(LP)과 연결되고, 상기 저압터빈(LP)으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C) 및 상기 응축기(C)와 상기 고압터빈(HP)간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C)에서 상기 고압터빈(HP)으로 흐르는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보일러(H)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로터샤프트(R)에는 로터디스크(20)가 배치되고, 상기 로터디스크(20)에는 상기된 버킷의 고정 구조(10)로 체결되는 버킷(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버킷의 고정 구조
20:로터디스크
21:암도브테일부
23:제2 센터홈부
25:제2 사이드홈부
30:버킷
31:수도브테일부
33:제1 센터홈부
35;제1 사이드홈부
40:제1 락킹부재
41:제1 고정베이스
43:제1 고정커버
45:제1 탄성체
50:제2 락킹부재
51:제2 고정베이스
53:제2 고정커버
55:제2 탄성체
100:증기터빈

Claims (20)

  1.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센터홈부;
    로터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센터홈부; 및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1 락킹부재;
    를 포함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1 고정베이스;
    상기 제1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커버; 및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터홈부는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홈부는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재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센터홈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1 사이드홈부;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사이드홈부; 및
    상기 제2 사이드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드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2 락킹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사이드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2 고정베이스;
    상기 제2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커버; 및
    상기 제2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2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11. 고압터빈;
    상기 고압터빈과 로터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고압터빈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중압터빈;
    상기 중압터빈과 로터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중압터빈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저압터빈;
    상기 저압터빈과 연결되고, 상기 저압터빈으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고압터빈간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가열하여 상기 고압터빈으로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샤프트에는 로터디스크가 배치되고, 상기 로터디스크에는 버킷이 장착되며,
    상기 버킷의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센터홈부;
    로터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된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센터홈부; 및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1 락킹부재;
    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재는,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방된 제1 고정베이스;
    상기 제1 고정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커버; 및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커버의 내부에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터홈부는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홈부는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센터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재는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센터홈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7. 제12항에 있어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8. 제12항에 있어서,
    로터디스크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커버의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1 사이드홈부;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사이드홈부; 및
    상기 제2 사이도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도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2 락킹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브테일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1 사이드홈부;
    상기 암도브테일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사이드홈부; 및
    상기 제2 사이도홈부에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도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도브테일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제2 락킹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고정 구조.
KR1020170142392A 2017-10-30 2017-10-30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KR10204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92A KR102040960B1 (ko) 2017-10-30 2017-10-30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92A KR102040960B1 (ko) 2017-10-30 2017-10-30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973A true KR20190047973A (ko) 2019-05-09
KR102040960B1 KR102040960B1 (ko) 2019-11-05

Family

ID=6654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392A KR102040960B1 (ko) 2017-10-30 2017-10-30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9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896A (ko) * 2020-09-08 2022-03-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KR20230044739A (ko) 2021-09-27 2023-04-04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터보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230048943A (ko) 2021-10-05 2023-04-12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터보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21B1 (ko) 2020-08-19 2022-0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압축기 블레이드의 조립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및 압축기 블레이드의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308A (ja) * 1996-12-24 1998-07-14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ロータ
JPH10299407A (ja) * 1997-04-22 1998-11-10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ロータ
KR100785544B1 (ko) 2000-02-03 2007-12-12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터빈 및 버킷 설치 방법
JP2012202330A (ja) * 2011-03-25 2012-10-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動翼の固定構造及び翼根バネの脱着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308A (ja) * 1996-12-24 1998-07-14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ロータ
JPH10299407A (ja) * 1997-04-22 1998-11-10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ロータ
KR100785544B1 (ko) 2000-02-03 2007-12-12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터빈 및 버킷 설치 방법
JP2012202330A (ja) * 2011-03-25 2012-10-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動翼の固定構造及び翼根バネの脱着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896A (ko) * 2020-09-08 2022-03-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US11542821B2 (en) 2020-09-08 2023-01-03 Doosan Enerbility Co., Ltd. Rotor and turbo machine including same
KR20230044739A (ko) 2021-09-27 2023-04-04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터보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230048943A (ko) 2021-10-05 2023-04-12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터보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960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973A (ko) 버킷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JP6804305B2 (ja) シュラウドハンガ組立体
RU22968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стыков с помощью уплотняющих пластин
KR20070033012A (ko) 터빈 노즐 지지 장치 및 증기 터빈
US77223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mbling a turbine
JP2007146843A (ja) 可変隙間パッキンリング構造
CN102953764A (zh) 连接的叶片平台以及密封方法
US8206082B2 (en) Packing seal rotor lands
JP2001289059A (ja) ガスタービン、及び、複合サイクルプラント
US7338258B2 (en) Axially separate rotor end piece
US20020127105A1 (en) Fixation device for blading of a turbo-machine
RU2602322C2 (ru) Роторный узел, 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роторного узла
JP2016003655A (ja) ブラシシールアセンブリ
US20060285970A1 (en) Hub-centered brush seal arrangement for use in a gas turbine
KR101999445B1 (ko) 버킷의 체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RU2317422C2 (ru) Узел секторов направляющего аппарата турбины в корпусе
US11492920B2 (en) Steam turbine
JP2015155683A (ja) 動翼体及び回転機械
JP2009191850A (ja) 蒸気タービンエンジンとその組立方法
EP2420650A2 (en) Steam turbin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3492705B1 (en) Film-riding sealing system
JPH1030405A (ja) タービン動翼の冷却装置
KR102040959B1 (ko) 변동형 브러시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US10557355B2 (en) Turbine rotor assembly, turbine, and rotor blade
KR101616620B1 (ko) 브러시 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