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564A -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564A
KR20190047564A KR1020170144816A KR20170144816A KR20190047564A KR 20190047564 A KR20190047564 A KR 20190047564A KR 1020170144816 A KR1020170144816 A KR 1020170144816A KR 20170144816 A KR20170144816 A KR 20170144816A KR 20190047564 A KR20190047564 A KR 20190047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wall panel
frame
modular assembl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453B1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ublication of KR2019004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판상 형상을 갖는 지붕부; 지붕부와 지면 사이에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가지며, 가장 자리 둘레에 결합홈을 구비하는 바닥부; 지붕부의 가장 자리 모서리와 바닥부의 가장 자리 모서리 사이에 조립되는 기둥 프레임; 지붕부의 가장 자리와 바닥부의 가장 자리 사이에 조립되는 벽체 패널;을 포함하고, 벽체 패널의 하부 끝부분은 바닥부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벽체 패널의 상부 끝부분은 벽체 패널의 상부 끝부분을 덮도록 밴딩되어 위치하는 고정바에 의해 지붕부 사이에 끼워져 조립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 따라 조립되는 복수의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 및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벽체 패널 각각에 형성된 제1, 2 개구부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벨로우즈(bellows)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MODULAR ASSEMBLY HOUS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AR ASSEMBLY HOUSES}
본 발명은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는 국가 오염 총량의 1/3을 차지하고, 이 가운데 주택 및 상업건축물 부문이 국가에너지 소비의 25.7%(2000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을 폐기하거나 개보수를 통하여 수명을 연장하여 폐기량을 줄이고, 재생 활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자원축적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건축분야에서 환경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서, 폐기물 처리에 관한 문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건축 폐기물은 매립처분 또는 소각처분 되어,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건축 폐기물이 소각 처분될 경우, 이산화탄소와 유해 물질과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최근 난민의 증가 또는 열악한 환경에서 대형 공사로 인하여, 다수의 인력이 임시로 머물 수 있는 조립식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요에 대응하여, 임시로 머물기 위한 주택으로 철제 콘테이너를 변형하여 사용하거나, 임시로 건설된 주택이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주택은 한번 사용된 이후, 필요성이 사라진 경우, 이동의 난해함 또는 분해가 불가능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매립 또는 소각의 방법으로 폐기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이음부 사이에 실리콘 공정을 실행하지 않는 논 코킹(non-caulking) 볼트 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지붕부; 지붕부와 지면 사이에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가지며, 가장 자리 둘레에 결합홈을 구비하는 바닥부; 지붕부의 가장 자리 모서리와 바닥부의 가장 자리 모서리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지붕부 및 바닥부에 조립되는 기둥 프레임; 지붕부의 가장 자리와 바닥부의 가장 자리 사이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벽체 패널;을 포함하고, 벽체 패널의 하부 끝부분은 바닥부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벽체 패널의 상부 끝부분을 덮도록 밴딩되어 위치하는 고정바가 지붕부의 내측 가장 자리에 체결되어, 벽체 패널의 상부 끝부분이 고정바와 지붕부 사이에 끼워져 조립된다.
여기서, 지붕부는 지붕부의 가장 자리 둘레를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 지붕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판상 형상을 갖는 지붕 패널, 지붕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지붕 패널의 외측면을 덮는 지붕 덮개, 및 지붕 프레임의 모서리 외측면에 위치하고, 지붕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를 구비하고, 지붕 패널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벽체 패널의 상부 단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바는 벽체 패널의 내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 부분과, 제1 고정 부분의 끝단에서 지붕 패널과 벽체 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밴딩되어 지붕 프레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 부분, 및 제2 고정 부분이 지붕 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3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고정바에 구비된 제3 고정 부분은 지붕 프레임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바가 지붕부의 내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고정 부분과 지붕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는 단열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는 바닥부의 가장 자리 둘레를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 바닥 프레임의 내측면과 이격하여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바닥 패널, 바닥부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바닥 프레임과 바닥 패널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삽입되어 길게 위치하고, 벽체 패널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인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 베이스,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 상부 측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베이스는 벽체 패널의 하부 단면이 맞닿는 결합홈의 바닥면에 결합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고, 지면 방향으로 함몰되는 배수로를 더 구비하고, 배수로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배수홀이 배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베이스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 2, 3 결합 부분과 배수로를 형성하는 제1, 2 배수 부분을 포함하고, 제1 결합 부분은 결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제2 결합 부분은 제1 결합 부분이 바닥 패널의 측단면과 맞닿는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제1 배수 부분은 바닥 패널의 측단면과 맞닿는 제1 결합 부분의 나머지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제2 배수 부분은 제1 배수 부분이 바닥 패널의 외측면과 교차하는 끝단에서 바닥 프레임 방향으로 밴딩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제3 결합 부분은 제2 배수 부분이 바닥 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닿는 끝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결합 부분의 끝단은 바닥 프레임의 보다 상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제3 결합 부분의 돌출된 끝단을 덮는 가스켓이 더 구비되고, 가스켓은 제3 결합 부분의 돌출된 끝단과 벽체 패널과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켓은 제3 결합 부분의 돌출된 끝단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경질 재질로 형성되는 경질 삽입부와 경질 삽입부에서 벽체 패널 맞닿는 외측면에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연질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둥 프레임의 수평 단면은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둥면, 제1 수평 방향에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기둥면, 제1 기둥면과 제2 기둥면의 각각의 끝단에서 벽체 패널 방향으로 밴딩되는 연장되는 제3 기둥면, 및 제3 기둥면이 벽체 패널의 외측면과 맞닿는 끝단에서 밴딩되어 벽체 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제1 기둥면 또는 제2 기둥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기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패널과 지붕 패널 각각은 각각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강판과 각각의 외부 강판과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강판 및 외부 강판과 내부 강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외부 강판과 내부 강판 각 둘레는 기밀 테이프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 따라 조립되는 복수의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 및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벽체 패널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벽체 패널의 일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서로 연결하여,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벨로우즈(bellows)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벽체 패널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벽체 패널의 일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는 서로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벨로우즈 연결부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연결 통로를 구비하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방향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 벨로우즈의 양측 연결 통로 끝단에 위치하고,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각각의 둘레에 맞닿아 체결되는 플레이트, 및 제1, 2 개구부 각각의 둘레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 각각은 지붕부의 외측 가장 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붕 연결부와 바닥부의 외측 가장 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닥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 연결부와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고,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의 바닥 연결부와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의 바닥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지붕부, 바닥부, 기둥 프레임 및 벽체 패널이 논 코킹(non-caulking) 볼트 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지붕부, 바닥부, 기둥 프레임 및 벽체 패널의 각 부분에 대한 손상 없이 해체가 가능하여, 해체 후 재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는 복수의 모듈러 주택 사이를 연결 통로 방향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 연결부로 형성함으로써, 연결 통로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모듈러 주택 사이의 간격이 시공 공차나 오차 또는 지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연결 통로를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의 대략적인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모듈러 조립 주택에 포함되는 지붕부(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지붕부(100)에 벽체 패널(400)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모듈러 조립 주택에 포함되는 바닥부(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기둥 프레임(300)과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기둥 프레임(300)이 지붕부(100)와 바닥부(200)에 연결되는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기둥 프레임(300)의 내측에 벽체 패널(400)이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400) 및 지붕 패널(13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의 각 부품이 하나의 콘테이너 박스에 적재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모듈러 조립 주택이 조립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방향으로 도시된 x 방향을 지면과 나란한 제1 수평 방향, y 방향을 지면과 나란하고, 제1 수평 방향에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 z 방향을 지면에 수직한 수직 방향(예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의 대략적인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1은 모듈러 조립 주택의 전체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정면 모습, 도 3은 배면 모습, 도 4는 측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전체적으로 직각 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벽체 패널(40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이와 같은 각 부분은 나사 또는 볼트(10)로 체결되어 결합 및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지붕부(1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지붕부(10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부(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바닥부(200)는 지붕부(100)와 지면 사이에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가지며, 가장 자리 둘레에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바닥부(20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부(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바닥부(200)의 결합홈에 대해서도 함께 후술한다.
기둥 프레임(300)은 지붕부(100)의 가장 자리 모서리와 바닥부(200)의 가장 자리 모서리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지붕부(100) 및 바닥부(200)에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 프레임(300)은 지붕부(100)와 바닥부(200) 각각의 가장 자리 모서리, 즉 직사각형 형상의 가장 자리 모서리에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100)의 각 부분 및 바닥부(200)의 각 부분에 나사 또는 볼트(10)로 체결되어 결합 및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 프레임(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더불어, 기둥 프레임(300)과 함께, 도 1 내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기둥 프레임(350)이 각 기둥 프레임(300)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조 기둥 프레임(350) 역시, 지붕부(100)의 각 부분 및 바닥부(200)의 각 부분에 나사 또는 볼트(10)로 체결되어 결합 및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보조 기둥 프레임(350)은 강철 재질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러 조립 주택의 뼈대를 형성할 수 있다.
벽체 패널(400)은 지붕부(100)의 가장 자리와 바닥부(200)의 가장 자리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벽체 패널(400)의 하부 끝부분은 바닥부(200)의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고, 벽체 패널(400)의 내측면 중 상부 끝부분이 고정바(미도시)와 지붕부(100) 사이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체 패널(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고정바(미도시)는 벽체 패널(400)의 내측면 중 상부 끝부분을 덮도록 밴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지붕부(100)의 내측 가장 자리에 체결될 수 있고, 이때, 벽체 패널(400)의 상부 끝부분이 고정바(미도시)와 지붕부(100) 사이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바(미도시)에 대해서는 지붕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이후에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벽체 패널(400)이 논 코킹(non-caulking) 볼트 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벽체 패널(400)의 각 부분에 대한 손상 없이 해체가 가능하여, 해체 후 재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기둥 프레임(300)이 지붕부(100)의 각 부분 및 바닥부(200)의 각 부분에 볼트 체결되어 조립되되, 벽체 패널(400)의 지붕부(100), 바닥부(200) 및 기둥 프레임(300)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조립 구조상 벽체 패널(400)에 대한 타공없이 벽체 패널(400)을 지붕부(100), 바닥부(200) 및 기둥 프레임(300)에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추후 모듈러 조립 주택을 해체하더라도 벽체 패널(400)의 손상이 없으므로, 언제든지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벽체 패널(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모듈러 조립 주택에 포함되는 지붕부(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은 지붕부(100)에 벽체 패널(400)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모듈러 조립 주택에 포함되는 지붕부(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은 지붕부(100)에 벽체 패널(400)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지붕부(100)의 전체적인 외관, 도 6의 (a)는 지붕부(100)의 일부 단면,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 C1-C1 라인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부(100)는 지붕 프레임(110), 지붕 패널(130), 지붕 덮개(150), 상부 결합부(170) 및 상부 보조 결합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부(100)에서 지붕 프레임(110)은 지붕부(100)의 가장 자리 둘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프레임(110)은 강철 재질의 각관이 이용될 수 있다.
지붕 패널(130)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지붕 패널(130)의 판상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패널(130)의 두께(T130)는 지붕 프레임(110)의 두께(T110)보다 작을 수 있으며, 지붕 프레임(110)의 상단의 연장 선상에 지붕 패널(130)의 상부면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프레임(110)의 하단 부분은 지붕 패널(130) 아래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패널(130)은 내부 강판과 외부 강판 및 내부 강판과 외부 강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벽체 패널(4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패널(1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붕 덮개(150)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외부면에 돌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덮개(150)는 지붕 프레임(110)의 상부 외측면에 용접에 일체로 고정되어 지붕 패널(130)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지붕 패널(130)이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L형 고정바(410)(141)가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나사(142) 체결된 상태에서, L형 고정바(410)(141)에 걸려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위치된 이후, 지붕 덮개(150)가 지붕 프레임(110)에 용접 시공되어, 지붕 패널(130)이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70)는 지붕 프레임(110)의 모서리 외측면에 위치하여, 지붕 프레임(110)의 하부 방향(z)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모듈러 조립 주택을 서로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600)가 상부 결합부(170)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붕 프레임(110)의 상부 방향(z)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결합부(170)의 단면은 지붕 프레임(110)의 외측면에서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상부 결합면(171)과 지붕 프레임(110)의 모서리에서 제2 수평 방향(y)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상부 결합면(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결합부(170)는 지붕 프레임(110)의 모서리 외측면에 용접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부(100)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결합부(170)의 내측면이 기둥 프레임(300)의 상단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기둥 프레임(300)의 상단과 상부 결합부(170)가 서로 나사 또는 볼트(10)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부 보조 결합부(190)는 상부 결합부(170)들 사이에 위치하고, 지붕 프레임(110)의 하부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보조 결합부(190)의 외측면을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상단 내측면이 감싸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보조 기둥 프레임(350)과 상부 보조 결합부(190)가 서로 나사 또는 볼트(10)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레임(110), 지붕 패널(130), 지붕 덮개(150), 상부 결합부(170) 및 상부 보조 결합부(190)가 하나의 셋트로 일체로 형성되어, 모듈러 조립 주택의 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패널(130)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벽체 패널(400)의 상부 단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붕 패널(130)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벽체 패널(400)의 상부 단면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고정바(410)가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벽체 패널(400)의 상부 끝부분이 고정바(410)와 지붕부(10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바(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강철판이 밴딩되어 형성된 제1, 2, 3 고정 부분(411, 413, 41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 부분(411)은 벽체 패널(400)의 내측면에서 상부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고정 부분(413)은 제1 고정 부분(411)의 끝단에서 지붕 패널(130)과 벽체 패널(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밴딩되어 지붕 프레임(110)이 위치하는 수평 방향(x, 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 부분(413)의 연장 길이(L413)는 벽체 패널(400)의 상부 단면 폭(W400)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3 고정 부분(415)은 제2 고정 부분(413)이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맞닿는 끝단에서 밴딩되어 지붕 패널(130)과 맞닿는 부분까지 상부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고정 부분(415)에는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되어, 복수의 체결홀을 통해 제3 고정 부분(415)이 지붕 프레임(110)에 나사 또는 볼트(430) 체결되어, 고정바(410)가 지붕부(100)의 내측면에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고정 부분(415)이 지붕 프레임(110)에 체결 고정될 때, 고정바(410)와 지붕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벽체 패널(400)의 상부 끝부분이 제3 고정 부분(415)과 지붕 프레임(110) 사이에 끼워져 지붕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고정 부분(415)과 지붕 프레임(110)의 내측면 사이에는 단열재(450)가 더 구비되어, 모듈러 조립 주택의 단열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부 결합부(170)에서 상부로 연장된 선상에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연결부에 대해서는 도 2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닥부(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모듈러 조립 주택에 포함되는 바닥부(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2는 바닥부(200)의 결합홈에 벽체 패널(400)이 조립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바닥부(200)에 포함되는 결합 베이스에 체결되는 가스켓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바닥부(200)의 전체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일부분을 확대한 도이고, 도 9는 바닥부(200)에서 바닥 패널(230)과 결합 베이스(250)가 제거된 상태의 바닥 프레임(210), 갈빗살(290) 및 하부 결합부(27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바닥 프레임(210), 갈빗살(290) 및 하부 결합부(270)에 바닥 패널(230)과 결합 베이스(250)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결합 베이스(25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200)는 바닥 프레임(210), 갈빗살(290), 바닥 패널(230), 결합 베이스(250), 하부 결합부(270) 및 하부 보조 결합부(27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부(200)는 바닥 프레임(210), 갈빗살(290), 바닥 패널(230), 결합 베이스(250), 하부 결합부(270) 및 하부 보조 결합부(272)가 하나의 셋트로 형성되어, 모듈러 조립 주택의 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프레임(210)은 바닥부(200)의 가장 자리 둘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프레임(110)은 강철 재질의 각관 또는 c형 스터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210)에서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강철 재질의 C형 스터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2 수평 방향(y)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강철 재질의 각관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 프레임(210)은 제2 수평 방향(y)으로 연장되는 각관의 끝단에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C형 스터드의 끝단이 덮혀지도록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 프레임(210)의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면 하단에는 제2 수평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갈빗살(290)이 제1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용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갈빗살(290)은 강철 재질의 각관 또는 c형 스터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닥 패널(2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 결합부(270)는 바닥 프레임(210)의 모서리 상부 측면으로부터 상부 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용접되어 바닥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결합부(270)의 단면은 바닥 프레임(210)의 상부 측면에서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하부 결합면(271)과 바닥 프레임(210)의 모서리에서 제2 수평 방향(y)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결합면(272)을 포함하고, 제1, 2 하부 결합면(271, 272) 각각의 끝단에서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을 향하여 밴딩되어, 수평 방향으로 바닥 프레임(210)의 폭(W270)만큼 연장되는 제3 하부 결합면(2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결합부(270)의 외측면을 기둥 프레임(300)의 하단 내측면이 감싸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기둥 프레임(300)의 하단과 하부 결합부(270)가 서로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하부 보조 결합부(272)는 하부 결합부들(270) 사이에 위치하고, 바닥 프레임(210)의 상부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보조 결합부(272)의 단면은 C형 스터드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바닥 프레임(210)을 가로지는 면의 폭은 바닥 프레임(21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보조 결합부(272)의 하부 결합부(270)의 외측면을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하단 내측면이 감싸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기둥 프레임(300)의 하단과 하부 결합부(270)가 서로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바닥 패널(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판상 형상을 가지며,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에 위치한 갈빗살(290) 위에 배치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면과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 패널(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빗살(290) 위에 목재 재질의 제1 합판(231), 단열재(233), 목재 재질의 제2 합판(235), 장판과 같은 바닥 마감 시트(23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의 (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베이스(250)가 바닥부(200)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바닥 프레임(210)과 바닥 패널(230)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삽입되어 길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베이스(25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패널(400)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인 결합홈(251)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51)은 결합 베이스(250)가 바닥 프레임(210) 및 바닥 패널(230)과 맞닿는 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합홈(251)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패널(400)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 및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결합 베이스(250)는 벽체 패널(400)의 하부 단면이 맞닿는 결합홈(251)의 바닥면에 결합홈(25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고, 지면 방향으로 함몰되는 배수로(2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로(253)의 바닥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수홀이 배수로(253)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베이스(2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51)을 형성하는 제1, 2, 3 결합 부분(251a, 251b, 251c)과 배수로(253)를 형성하는 제1, 2 배수 부분(253a, 253b)을 포함하고, 제1, 2, 3 결합 부분(251a, 251b, 251c)과 제1, 2 배수 부분(253a, 253b)은 하나의 강판이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분(251a)은 제1 합판(231)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결합홈(251)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제2 결합 부분(251b)은 제1 결합 부분(251a)이 바닥 패널(230)[즉, 단열재(233)]의 측단면과 맞닿는 끝단에서 바닥 패널(230)의 측단면을 따라 상부 방향(z)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 부분(253a)은 바닥 패널(230)의 측단면과 일치하는 제1 결합 부분(251a)의 나머지 끝단에서 하부 방향(z)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제2 배수 부분(253b)은 제1 배수 부분(253a)이 바닥 패널(230)의 하부 외측면[즉, 제1 합판(231)의 하부에 위치한 외측면]과 일치하는 끝단 또는 갈빗살(290)과 맞닿는 면에서 바닥 프레임(210) 방향으로 밴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배수 부분(253b)에는 빗물 들에 의해 바닥부(200)가 누수된 경우, 제2 배수 부분(253b)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빗물을 바닥부(200) 아래의 지면으로 흘려 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결합 부분(251c)은 제2 배수 부분(253b)이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면과 맞닿는 끝부분에서 상부 방향(z)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3 결합 부분(251a, 251b, 251c)에 의해 결합홈(251)이 형성되고, 제1, 2 배수 부분(253a, 253b)에 의해 배수로(25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 부분(251c)의 끝단은 바닥 프레임(210)의 보다 상부 방향(z)으로 P250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결합 부분(251c)의 돌출된 끝단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끝단을 덮은 가스켓(2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스켓(260)은 벽체 패널(400)이 바닥부(200)에 조립될 때, 제3 결합 부분(251c)의 돌출된 끝단과 벽체 패널(400)과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켓(260)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 부분(251c)의 돌출 끝단을 덮도록 구비되며, 제3 결합 부분(251c)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켓(260)은 경질 삽입부(261)와 연질 가스켓(26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질 삽입부(261)는 제3 결합 부분(251c)의 돌출된 끝단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홈(263)을 구비하고, 딱딱한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질 삽입부(261)의 상부는 벽체 패널(400)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바닥부(200)의 외측면 쪽으로 흘러나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질 가스켓(262)은 경질 삽입부(261)에서 벽체 패널(400) 맞닿는 외측면에 위치하고, 탄성있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질 삽입부(261)의 상부 외측면과 하부 외측면에 연질 가스켓(262)이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질 가스켓(26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베이스(250)와 벽체 패널(4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벽체 패널(400)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바닥부(200)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설사 빗물이 바닥부(200) 내측으로 유입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베이스(250)에 구비된 배수로(253)를 통해,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불어, 바닥 프레임(210)에서 모서리 외측면과 모서리 사이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모듈러 조립 주택의 바닥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 연결부에 대해서는 도 29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기둥 프레임(300)과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5는 기둥 프레임(300)이 지붕부(100)와 바닥부(200)에 연결되는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6은 기둥 프레임(300)의 내측에 벽체 패널(400)이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14의 (a)는 기둥 프레임(3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의 (b)는 보조 기둥 프레임(35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300)의 수평 단면은 제1, 2, 3, 4 기둥면(310, 320, 330, 34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2, 3, 4 기둥면(310, 320, 330, 340)은 하나의 강판이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둥면(310)의 단면은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기둥면(320)의 단면은 제1 수평 방향(x)에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y)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제3 기둥면(330)의 단면은 제1 기둥면(310)과 제2 기둥면(320)의 각각의 끝단에서 벽체 패널(400)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밴딩되는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4 기둥면(340)의 단면은 제3 기둥면(330)이 벽체 패널(400)의 외측면과 맞닿는 끝단에서 밴딩되어 벽체 패널(400)의 외측면을 따라 제1 기둥면(310) 또는 제2 기둥면(32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2, 3, 4 기둥면(310, 320, 330, 340)을 포함하는 기둥 프레임(300)은 수직 방향(z)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2 기둥면(310, 3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복수의 체결홀(300H)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300)의 상단은 지붕부(100)의 상부 결합부(170)의 내측에 중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홀(300H)을 통해 기둥 프레임(300)이 지붕부(100)의 상부 결합부(170)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기둥 프레임(300)의 하단은 바닥부(200)의 하부 결합부(270) 외측에 중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홀(300H)을 통해 기둥 프레임(300)이 바닥부(200)의 하부 결합부(270)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기둥 프레임(300)의 상부 단면은 지붕부(100)의 지붕 프레임(110)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으며, 기둥 프레임(300)의 하부 단면은 바닥부(200)의 바닥 프레임(210) 상측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보조 기둥 프레임(350)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면과, 제1 수평 방향(x)의 끝단에서 벽체 패널(400) 쪽의 내측으로 밴딩되어 제2 수평 방향(y)으로 연장되는 면, 제2 수평 방향(y)의 끝단에서 벽체 패널(400)의 외측면이 지지되도록 밴딩된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상단은 지붕부(100)의 상부 보조 결합부(190)의 외측에 중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홀(350H)을 통해 보조 기둥 프레임(350)이 지붕부(100)의 상부 보조 결합부(190)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하단은 바닥부(200)의 하부 보조 결합부(272) 외측에 중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홀(350H)을 통해 보조 기둥 프레임(350)이 바닥부(200)의 하부 결합부(270)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상부 단면은 지붕부(100)의 지붕 프레임(110)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으며,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하부 단면은 바닥부(200)의 바닥 프레임(210) 상측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둥 프레임(3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300)의 제1, 2, 3 기둥면(310, 320, 330) 내측으로 벽체 패널(400)이 위치하고, 제4 기둥면(340)에 벽체 패널(400)의 외측면이 지지되어 기둥 프레임(300)에 벽체 패널(400)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기둥면(310, 320)의 폭(W310, W320)은 벽체 패널(400)의 두께(W400)보다 크고, 제1 수평 방향(x)과 나란한 벽체 패널(400)과 제2 수평 방향(y)과 나란한 벽체 패널(400)의 끝단은 제1, 2, 3 기둥면(310, 320, 3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서로 교차하여 조립되고, 제4 기둥면(340)에 의해 벽체 패널(400)의 외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400) 및 지붕 패널(13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7의 (a)는 벽체 패널(400)로 사용되는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서 C2-C2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의 (C)는 도 17의 (a)에서 일부분에 기밀 테이프가 생략된 모습이다.
도 17에서는 벽체 패널(400)을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400)과 지붕 패널(13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지붕 패널(130)의 구조에 대한 도시는 벽체 패널(400)에 대한 도면으로 갈음한다.
일례로, 벽체 패널(400)과 지붕 패널(130)은 외부 강판(401), 내부 강판(402), 단열재(403) 및 기밀 테이프(40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강판(401)은 벽체 패널(400)과 지붕 패널(130) 각각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내부 강판(402)은 외부 강판(401)과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벽체 패널(400)과 지붕 패널(130) 각각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열재(403)는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사이에 충진되고, 기밀 테이프(404)는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각 둘레에 접착되어, 단열재(403)를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강판(401) 및 내부 강판(402)은 스틸, 강철,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외부 강판(401) 및 내부 강판(402) 각각의 가장 자리는 단열재(403)를 감싸도록 끝단이 밴딩될 수 있다.
아울러, 단열재(403)는 클라스울, 미네랄 울,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재(403)는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각 둘레에 접착되는 기밀 테이프(404)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사이에 밀봉될 수 있다.
이때, 기밀 테이프(404)는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각각의 밴딩된 외측면이나 내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기밀 테이프(404)가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각각의 밴딩된 외측면에 접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예상치 못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외부 강판(401)과 내부 강판(402) 사이로 빗물이 흘러 들어가 단열재(40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의 각 부품이 하나의 콘테이너 박스에 적재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 내지 도 22는 모듈러 조립 주택이 조립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복수 개가 하나의 콘테이너 박스(CT)에 적재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부(100)와 바닥부(200)는 각각의 모서리가 서로 맞물려 적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지붕부(100)와 바닥부(200) 사이에는 벽체 패널(400) 및 기둥 프레임(300) 등 각 모듈러 조립 주택의 부품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적재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콘테이너 박스(CT)에 일례로, 6개의 각 모듈러 조립 주택(1a ~ 1f)이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을 원하는 장소까지 복수 개의 모듈러 조립 주택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켜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송된 모듈러 조립 주택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설치 장소에 모듈러 조립 주택의 부품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바닥부(200)를 위치시키고, 바닥부(200)에 이격하여 상부에 지붕부(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300)과 보조 기둥 프레임(350)을 지붕부(100) 및 바닥부(200)의 각 부분에 나사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패널(400)의 하부 끝부분을 바닥부(200)의 결합홈(251)에 삽입하고, 벽체 패널(400)의 상부 끝부분을 기둥 프레임(300) 방향으로 밀어 올린 상태에서, 벽체 패널(400)의 상부 끝부분을 고정바(410)를 이용하여 지붕부(100)의 내측에 고정시켜, 모듈러 조립 주택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벽체 패널(400)이 논 코킹(non-caulking) 및 볼트 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붕부(100), 바닥부(200), 기둥 프레임(300) 및 벽체 패널(400)의 각 부분에 대한 손상 없이 해체가 가능하여, 해체 후 얼마든지 재조립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모듈러 조립 주택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모듈러 조립 주택에 대한 구조와 그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은 복수 개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2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이 서로 연결된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24는 도 23에서 지붕부(100)를 제거한 모습이다.
도 25는 도 24에서 모듈러 조립 주택이 벨로우즈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결 통로가 형성된 모습이고, 도 26은 벨로우즈 연결부(5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7은 벨로우즈 연결부(500)에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의 벽체 패널(400)이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8은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의 각 지붕 연결부(600a, 600b)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3에서 K1 부분을 확대한 도이고, 도 29는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의 각 바닥 연결부(700a, 700b)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3에서 K2 부분을 확대한 도이다.
본 발명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러 조립 주택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 각각은 도 1 내지 도 22에서 설명한 모듈러 조립 주택과 동일한 구조와 조립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은 일례로, 제1 수평 방향(x)으로 서로 인접하여,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러 조립 주택(1a)에 구비된 벽체 패널(400)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모듈러 조립 주택(1b)에 구비된 벽체 패널(400)의 일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가 서로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이 서로 맞닿아 위치된 상태에서, 제1, 2 개구부 사이에 벨로우즈(bellows) 연결부(5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 연결부(500)는 제1, 2 개구부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제공하고, 연결 통로 방향으로 신축되어, 조립 공정 중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연결 통로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 사이의 간격이 시공 공차나 오차 또는 지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벨로우즈 연결부(500)에 의해 연결 통로를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 연결부(50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510), 플레이트(520) 및 연결 가스켓(53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벨로우즈(510)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고, 도 2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연결 통로를 구비하며,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자바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510)의 연결 통로는 테두리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로우즈(510)의 연결 통로의 크기는 제1, 2 개구부에 형성되는 도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520)는 벨로우즈(510)의 양측 연결 통로 끝단에 위치하고,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각각의 둘레에 맞닿아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520)는 플라스틱 또는 철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가스켓(530)은 제1, 2 개구부 각각의 둘레와 플레이트(5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510), 플레이트(520) 및 연결 가스켓(530)은 접착제나 별도의 연결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벨로우즈 연결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 연결부(50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의 각 벽체에 피스나 나사(540)에 의해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의 상호 물리적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 각각의 지붕부(100)와 바닥부(200) 역시 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1a, 1b) 각각의 지붕부(100)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100)의 외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지붕 연결부(600a, 600b)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닥부(200)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00)의 외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바닥 연결부(700a, 70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연결부(600a, 600b)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레임(110)의 모서리 외측면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상부 결합부(170)에서 상부 방향(z)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부 보조 결합부(190)에서 상부 방향(z)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8에서는 제1 모듈러 조립 주택(1a)의 상부 결합부(170)에 제1 지붕 연결부(600a)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모듈러 조립 주택(1b)의 상부 보조 결합부(190)에 제2 지붕 연결부(60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2 지붕 연결부(600a, 600b)가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아울러, 바닥 연결부(700a, 700b)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210)의 모서리 외측면 가장 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바닥 프레임(210)의 모서리 외측면 중 보조 기둥 프레임(350)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 쪽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8에서는 제1 모듈러 조립 주택(1a)의 바닥 프레임(210) 모서리 외측면에 제1 바닥 연결부(700a)가 형성되고, 제2 모듈러 조립 주택(1b)의 바닥 프레임(210) 중 보조 기둥 프레임(350) 하부에 제2 바닥 연결부(700b)가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제1, 2 바닥 연결부(700a, 700b)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바닥 연결바(710)를 통해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제1, 2 바닥 연결부(700a, 700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 연결부(600a, 600b)와 바닥 연결부(700a, 700b)는 강철 재질로 형성되고, 각각이 지붕 프레임(110) 및 바닥 프레임(210)에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는 지붕 연결부(600a, 600b)와 바닥 연결부(700a, 700b)를 구비하여,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지붕부;
    상기 지붕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위치하고, 판상 형상을 갖는 가지며, 가장 자리 둘레에 결합홈을 구비하는 바닥부;
    상기 지붕부의 가장 자리 모서리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 자리 모서리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상기 지붕부 및 상기 바닥부에 조립되는 기둥 프레임;
    상기 지붕부의 가장 자리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 자리 사이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벽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 패널의 하부 끝부분은 상기 바닥부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 끝부분은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 끝부분을 덮도록 위치하는 고정바가 상기 지붕부의 내측 가장 자리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바와 상기 지붕부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상기 지붕부의 가장 자리 둘레를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판상 형상을 갖는 지붕 패널,
    상기 지붕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지붕 패널의 외측면을 덮는 지붕 덮개,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의 모서리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 패널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상기 벽체 패널의 상부 단면은 서로 이격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벽체 패널의 내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 부분과,
    상기 제1 고정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지붕 패널과 상기 벽체 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밴딩되어 상기 지붕 프레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 부분, 및
    상기 제2 고정 부분이 상기 지붕 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3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에 구비된 상기 제3 고정 부분은 상기 지붕 프레임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바가 상기 지붕부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 부분과 상기 지붕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는 단열재가 더 구비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 자리 둘레를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의 내측면과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판상 형상을 갖는 바닥 패널,
    상기 바닥부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패널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삽입되어 길게 위치하고, 상기 벽체 패널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인 상기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 베이스,
    상기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 상부 측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모듈러 조립 주택.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베이스는
    상기 벽체 패널의 하부 단면이 맞닿는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 상기 결합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고, 상기 지면 방향으로 함몰되는 배수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배수홀이 상기 배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베이스는 상기 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 2, 3 결합 부분과 상기 배수로를 형성하는 제1, 2 배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분은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결합 부분은 상기 제1 결합 부분이 상기 바닥 패널의 측단면과 맞닿는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배수 부분은 상기 바닥 패널의 측단면과 맞닿는 상기 제1 결합 부분의 나머지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2 배수 부분은 상기 제1 배수 부분이 상기 바닥 패널의 외측면과 교차하는 끝단에서 상기 바닥 프레임 방향으로 밴딩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결합 부분은 상기 제2 배수 부분이 상기 바닥 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닿는 끝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 부분의 끝단은 상기 바닥 프레임의 보다 상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3 결합 부분의 돌출된 끝단을 덮는 가스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3 결합 부분의 돌출된 끝단과 상기 벽체 패널과의 사이에서 압착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3 결합 부분의 돌출된 끝단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경질 재질로 형성되는 경질 삽입부와
    상기 경질 삽입부에서 상기 벽체 패널 맞닿는 외측면에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연질 가스켓을 포함하는 모듈러 조립 주택.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프레임의 수평 단면은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둥면,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기둥면,
    상기 제1 기둥면과 상기 제2 기둥면의 각각의 끝단에서 상기 벽체 패널 방향으로 밴딩되는 연장되는 제3 기둥면, 및
    상기 제3 기둥면이 상기 벽체 패널의 외측면과 맞닿는 끝단에서 밴딩되어 상기 벽체 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1 기둥면 또는 상기 제2 기둥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기둥면을 포함하는 모듈러 조립 주택.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패널과 상기 지붕 패널 각각은
    각각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강판과 각각의 외부 강판과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강판 및 상기 외부 강판과 상기 내부 강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강판과 상기 내부 강판 각 둘레는 기밀 테이프에 의해 덮여 있는 모듈러 조립 주택.
  12. 제1 항의 구조에 따라 조립되는 복수의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 및
    상기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상기 벽체 패널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상기 벽체 패널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벨로우즈(bellows)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상기 벽체 패널의 일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에 구비된 상기 벽체 패널의 일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는 서로 맞닿아 위치하는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연결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연결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방향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
    상기 벨로우즈의 양측 연결 통로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각각의 둘레에 맞닿아 체결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2 개구부 각각의 둘레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가스켓을 포함하는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모듈러 조립 주택 각각은
    상기 지붕부의 외측 가장 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붕 연결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 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닥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 연결부와 상기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의 지붕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모듈러 조립 주택의 바닥 연결부와 상기 제2 모듈러 조립 주택의 바닥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KR1020170144816A 2017-10-27 2017-11-01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KR102013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0784 2017-10-27
KR1020170140784 2017-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64A true KR20190047564A (ko) 2019-05-08
KR102013453B1 KR102013453B1 (ko) 2019-08-22

Family

ID=6658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816A KR102013453B1 (ko) 2017-10-27 2017-11-01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4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166A (zh) * 2019-08-07 2019-11-01 中国人民解放军陆军研究院特种勤务研究所 一种模块化组合用房及其搭建方法
CN111636721A (zh) * 2020-06-20 2020-09-08 周书恺 一种房建施工用钢筋加工棚
CN112982678A (zh) * 2021-02-19 2021-06-18 甘肃筑铭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及其安装方法
KR102432145B1 (ko) * 2021-07-26 2022-08-12 주식회사 일성하이드로닉스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11A1 (ko) * 2022-03-31 2023-10-05 김명환 모듈형 하우스 내부벽체의 시공방법
KR102607638B1 (ko) * 2023-03-28 2023-11-29 (주)유나 공기정화용 조립식 실험실
KR102650058B1 (ko) 2023-10-20 2024-03-21 (주)씨홀스하우스 모듈러주택의 철프레임 간 결합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18A (ja) * 1994-07-08 1996-01-23 Masaaki Ezaki 貯液タンク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用密封部材
JPH10131288A (ja) * 1996-11-01 1998-05-19 Nkk Corp スチールハウス
JP2007224618A (ja) * 2006-02-23 2007-09-06 Matsushita Denko Bath & Life Kk ユニットバスルームの壁パネルと天井パネルの連結構造
KR20130044574A (ko) * 2011-10-24 2013-05-03 오연수 조립식 건축의 단위유닛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건축물
KR20130096083A (ko) * 2012-02-21 2013-08-29 (주)바른교육 조립식 플로팅 하우스
KR101534443B1 (ko) * 2014-05-14 2015-07-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18A (ja) * 1994-07-08 1996-01-23 Masaaki Ezaki 貯液タンク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用密封部材
JPH10131288A (ja) * 1996-11-01 1998-05-19 Nkk Corp スチールハウス
JP2007224618A (ja) * 2006-02-23 2007-09-06 Matsushita Denko Bath & Life Kk ユニットバスルームの壁パネルと天井パネルの連結構造
KR20130044574A (ko) * 2011-10-24 2013-05-03 오연수 조립식 건축의 단위유닛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건축물
KR20130096083A (ko) * 2012-02-21 2013-08-29 (주)바른교육 조립식 플로팅 하우스
KR101534443B1 (ko) * 2014-05-14 2015-07-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166A (zh) * 2019-08-07 2019-11-01 中国人民解放军陆军研究院特种勤务研究所 一种模块化组合用房及其搭建方法
CN111636721A (zh) * 2020-06-20 2020-09-08 周书恺 一种房建施工用钢筋加工棚
CN112982678A (zh) * 2021-02-19 2021-06-18 甘肃筑铭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及其安装方法
CN112982678B (zh) * 2021-02-19 2022-06-03 甘肃筑铭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及其安装方法
KR102432145B1 (ko) * 2021-07-26 2022-08-12 주식회사 일성하이드로닉스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453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564A (ko) 모듈러 조립 주택 및 모듈러 조립 주택들 사이의 연결 구조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20110023989A (ko) 적층 가능한 조립식 건축물의 보와 기둥의 연결 매개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348054B1 (ko) 유닛모듈라 주택의 철골 구조물
KR100823953B1 (ko) 수질 오염 방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JP3195516U (ja) 耐震開口フレームの隅角部を剛接合として固定する折り曲げ加工金物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JP2012122313A (ja) 組立式ブロック及び仮設住宅
KR101010259B1 (ko) 금속제 조립식 물탱크
JP3604645B2 (ja) 機器類収容函
KR200463957Y1 (ko) 조립식 창고
KR100922628B1 (ko) 건설 현장용 조립식 방음벽
JP5473515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KR101765090B1 (ko) 지주 매입 일체형 가설 방음벽
KR102415555B1 (ko) 건물의 마감재로 기능하는 조립형 단위 태양광발전 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73561A (ko) 패널 조립식 물탱크와 그 설치 방법
CN209817602U (zh) 立体装配式吸隔音防火墙模块围护结构
KR20180047720A (ko) 조립이 용이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물탱크구조
KR102574318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 구조
KR101779774B1 (ko) 조립식 물탱크
KR101804158B1 (ko) 조립식 건축물용 모서리부재 및 유틸리티 개방구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
KR102601126B1 (ko)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KR200430415Y1 (ko) 조립식 벽체
CN210562615U (zh) 装配式集装箱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