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438A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438A
KR20190047438A KR1020170141329A KR20170141329A KR20190047438A KR 20190047438 A KR20190047438 A KR 20190047438A KR 1020170141329 A KR1020170141329 A KR 1020170141329A KR 20170141329 A KR20170141329 A KR 20170141329A KR 20190047438 A KR20190047438 A KR 20190047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light emitting
red
pixel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4910B1 (en
Inventor
우인철
남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1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4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01L27/3213
    • H01L27/3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lifetime by equalizing deterioration of each sub pixel i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s a plurality of sub pixels which are arranged on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 pixels has a light emitting area which is differently formed in accordance with a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so as to equalize deterioration of each sub pixel, thereby increasing the lifetime.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패널 내 각 서브 화소의 열화를 균등하게 하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fetime by uniformly degrading each sub pixel in a display panel.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표시 장치,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이 대표적이다.The image display device that realizes various information on the screen is a core technology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ge and it is becoming thinner, lighter, more portable and higher performance. Accordingly, a flat pane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volume, which is a disadvantage of a cathode ray tube (CRT), has attracted attention.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sing a liquid crystal, an OLED displa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ing an electrophoretic particle ; EPD).

이들 중 OLED 표시 장치는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발광층이 자발광하는 OLED 소자를 각 서브화소로 이용하여 뛰어난 콘트라스트비 특성 등의 화질적 우수성을 보이며 소형 모바일 장치로부터 대형 TV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표시 장치로 각광 받고 있다.Among them, the OLED display uses an OLED element, which is self-emitting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s the sub-pixel, and exhibits excellent image quality such as excellent contrast ratio characteristics. .

그러나, OLED 표시 장치는 OLED 소자의 자발광 특성상 구동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화되어 인접한 단위 화소 간의 열화 차이에 의해 밝기 차이가 발생되고, 각 단위 화소 내 서브 화소 간 열화 차이에 의해 색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밝기 및 색감 차이는 사용자에게 인지되어 영구 잔상으로 인지되며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self-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OLED display device, the OLED display device is deteriorated with the elapse of driving time, and a difference in brightness is caused by a deterioration difference between adjacent unit pixels, and a color difference occurs due to a deterioration difference between sub- do. Such a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color is perceived by the user and is perceived as a permanent afterimag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내 각 서브 화소의 열화를 균등하게 하여 잔상 발생 시간을 최대한 늦추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eterioration of each sub-pixel in a display pan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다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화소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발광 면적이 다르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disposed in a plurality of display region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 The light emitting area is formed differently.

본 발명에서는 표시 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각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외곽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백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이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백색 서브 화소보다 넓으며,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적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인 외곽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적색 서브 화소보다 넓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외곽 표시 영역에서 백색 잔상, 메인 표시 영역에서 적색 잔상의 발생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외곽 표시 영역 및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들의 수명이 균등해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ssion areas of the respective sub-pixels ar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white sub-pixels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is wider than that of the white sub-pixels arranged in the main display area, and is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which is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d sub- Is wider than the red sub-pixel.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te afterimage in the outer display area,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red afterimage in the main display area can be maximally delayed, and the lifespan of the sub pixels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and the main display area becomes equal,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각 서브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다수의 외곽 표시 영역과 다수의 메인 표시 영역으로 분할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인 표시 영역과 외곽 표시 영역에서 각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외곽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each sub-pixel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uter display areas and a plurality of main display areas.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ight emitting area of each sub-pixel in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sub-display area shown in FIG.
FIG. 5A is a view showing sub-pixels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shown in FIG. 4, and FIG. 5B is a view showing sub-pixels arranged in the main display area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를 가지는 OLED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LED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process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OLED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08) 및 스캔 드라이버(106)를 포함하는 패널 구동부와, 패널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를 구비한다.1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panel driver including a data driver 108 and a scan driver 106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0, a timing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anel driver, 120).

스캔 드라이버(106)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스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00)의 스캔 라인(SL)을 순차 구동한다. 스캔 드라이버(106)는 각 스캔 라인(SL)의 해당 스캔 기간마다 하이 상태의 스캔 펄스를 공급하고, 스캔 라인(SL)이 구동되는 나머지 기간에는 로우 상태의 스캔 펄스를 공급한다.The scan driver 106 sequentially drives the scan lines SL of the display panel 100 in response to a scan control signal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The scan driver 106 supplies a scan pulse in a high state for each scan period of each scan line SL and a scan pulse in a low state during the remaining period in which the scan line SL is driven.

데이터 드라이버(108)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스캔 라인(SL)이 구동될 때마다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The data driver 108 converts the digital data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into an analog data voltage in response to the data control signal D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so that data Line DL.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동기 신호(즉,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 도트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8)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와, 스캔 드라이버(106)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스캔 제어 신호(S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생성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스캔 제어 신호(SCS)를 데이터 드라이버(108) 및 스캔 드라이버(106)로 각각 출력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데이터 신호의 래치를 제어하는 소스 스타트 펄스 및 소스 샘플링 클럭과, 데이터 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극성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출력 기간을 제어하는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스캔 제어 신호(SCS)는 스캔 신호의 스캐닝을 제어하는 스캔 스타트 펄스 및 스캔 쉬프트 클럭과, 스캔 신호의 출력 기간을 제어하는 스캔 출력 이네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호스트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8)로 공급한다.The timing controller 120 is connected to the data driver 120 using a plurality of synchronizing signals (i.e.,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and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input from a host computer (not shown), a data enable signal, A data control signal DC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scan driver 108 and a scan control signal SC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scan driver 106 are generated. The timing controller 120 outputs the generated data control signal DCS and the scan control signal SCS to the data driver 108 and the scan driver 106, respectively. The data control signal DCS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and a source sampling clock for controlling the latch of the data signal, a polarit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data signal,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period of the data signal, . The scan control signal SCS includes a scan start pulse and a scan shift clock for controlling scanning of a scan signal, and a scan output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period of the scan signal. Further, the timing controller 120 processes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host system (not shown) and supplies the processed image data to the data driver 108.

표시 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단위 화소를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단위 화소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로 구성되거나,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SP)로 구성된다. 각 서브 화소(S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구동회로,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비한다.The display panel 100 displays an image through unit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unit pixel is composed of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SP or red (R), green (G), blue (B) . Each sub-pixel SP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s shown in Fig.

화소 구동회로는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T1,ST2),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여기서, 화소 구동 회로의 구성은 도 2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의 화소 구동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The pixel driver circu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ST1 and ST2, a driving transistor DT, and a capacitor Cst.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2, and a pixel driving circuit of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 (ST1)는 제1 스캔 라인(SL1)의 제어에 의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 (DT)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한다.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 is turned on by the control of the first scan line SL1 to transfer the data voltage from the data line DL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 (ST2)는 제2 스캔 라인(SL2)의 제어에 의해 턴-온되어 레퍼런스 라인(RL)으로부터의 레퍼런스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 (DT)의 소스 전극에 전달하고, 센싱 모드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레퍼런스 라인(RL)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T1, ST2)는 서로 다른 스캔 라인(SL1, SL2)에 의해 제어되거나 동일 스캔 라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T2 is turned on by the control of the second scan line SL2 to transfer a reference voltage from the reference line RL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DT) to the reference line (RL).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ST1 and ST2 may be controlled by different scan lines SL1 and SL2 or may be controlled by the same scan line.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T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고전위 전압(VDD) 공급 라인(PL)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The driving transistor DT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T1 to control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high potential supply line PL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LE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스캔 단자와 저전위 전압(VSS) 공급 라인 사이에 접속되어 이들 사이의 차전압을 충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구동 전압으로 공급한다.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between the scan terminal of the drive transistor DT and the low potential voltage supply line VSS to charge the difference voltage therebetween and supply the drive voltage to the drive transistor DT.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단자와 저전위 전압(VSS) 공급 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한다. 이를 위해,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 애노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층, 유기층 상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기층은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low potential voltage supply line VSS and emits light by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transistor DT. To this e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includes an anod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 organic layer formed on the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layer. Here, the organic layer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 a hole transporting layer / a light emitting layer /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 an electron injection layer.

이에 따라,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SP) 각각은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스위칭을 이용하여 고전위 전원(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층을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색을 표현한다.Each of the red (R), green (G), blue (B) and white (W) subpixels SP is switched from the high potential power supply VDD And controls the magnitude of a current flow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to emit light in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color.

특히, 각각의 색에 대한 최적 휘도를 달성하기 위해 서브 화소(SP) 별로 적합한 개구율을 확보해야 한다. 여기서, 개구율은 각 서브 화소(SP)에서 발광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며, 개구율을 최적화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achieve the optimum luminance for each colo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oper aperture ratio for each sub-pixel SP. Here, the aperture ratio is a ratio occupied by the light emitting region in each sub-pixel SP, and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improved by optimizing the aperture ratio.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체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 백색(W) 서브 화소(SP)를 다른 서브 화소(SP)보다 발광 영역을 가장 크게 형성하고, 수명이 다른 서브 화소(SP)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청색 서브 화소(SP)를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SP)보다 크게 형성하고, 색온도를 맞추기 위해 녹색(G) 서브 화소(SP)는 다른 서브 화소(SP)보다 발광 영역을 가장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백색(W) 서브 화소(SP), 청색(B) 서브 화소(SP), 적색(R) 서브 화소(SP)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순으로 높게 개구비를 설정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he white (W) sub-pixel SP is formed to have the largest light emitting area than the other sub-pixels SP, The green G subpixel SP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ed subpixel SP and the green subpixel SP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ed subpixel SP and the blue subpixel SP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ed subpixel SP,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formed to be the smallest. Therefore, the aperture ratio is set higher in the order of the white (W) sub-pixel SP, the blue (B) sub-pixel SP, the red (R) sub-pixel SP and the green (G) sub-pixel SP.

이 때, 각각의 색에 대한 최적 휘도 평균만을 고려하여 각 서브 화소별로 개구율을 도출한다면, 표시 패널(100)에 구현되는 영상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서브 화소의 열화가 편중되어 색 잔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자막 및 로고와 같은 정형 영상이 구현되는 영역에서는 백색(W) 서브 화소(SP)의 열화가 다른 서브 화소(SP)에 비해 편중되어 백색 잔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메인 영상이 주로 구현되는 영역에서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열화가 다른 서브 화소(SP)에 비해 편중되어 적색 잔상이 발생된다.In this case, if the aperture ratio is derived for each sub-pixel only considering the optimal luminance average for each color, deterioration of a specific sub-pixel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is biased according to an image implemented on the display panel 100 And a color afterimage is generated. For example, in a region where a stereoscopic image such as a caption and a logo is implemented, the deterioration of the white (W) sub-pixel SP is biased relative to the other sub-pixels SP, resulting in a white afterimage. In the region where the main image is mainly implemented, the deterioration of the red (R) subpixel SP is biased relative to the other subpixels SP, and a red afterimage is genera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표시 패널(100)을 다수개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의 열화 정도와 각 서브 화소의 컬러 별 휘도 평균을 고려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의 개구비를 최적화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red (R), green (G), blue (B) (R), green (G), blue (B), and white (W) sub-pixels are optimized by considering the average of the luminance of each sub-pixel.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은 외곽 표시 영역(BA; BA1 내지 BA5)과, 메인 표시 영역(MA;MA1 내지 MA4)으로 분할된다. 외곽 표시 영역(BA)은 메인 영상의 시청에 큰 방해를 주지 않는 영역으로서, 전체 화면에서 상단좌측(BA1) 및 상단우측(BA2)과 하단 영역(BA3,BA4,BA5)에 해당한다. 메인 표시 영역(MA)은 외곽 표시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중심부 영역으로서, 메인 영상이 구현된다.3, the display panel 100 is divided into outer display areas BA (BA1 to BA5) and main display areas MA (MA1 to MA4). The outer display area BA corresponds to the upper left BA1 and upper right BA2 and the lower areas BA3, BA4 and BA5 in the entire screen. The main display area MA is a central area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area of the outer display area, and a main image is implemented.

외곽 표시 영역(BA)에서는 백색 계열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형 영상이 장시간 고정된 위치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정형 영상은 로고,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채널 정보, 콘텐츠 관련 정보,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및 자막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곽 표시 영역(BA)에서 백색(W) 서브 화소(SP)의 사용빈도가 다른 서브 화소(SP)에 비해 많아 외곽 표시 영역(BA)에서는 백색(W) 서브 화소(SP)의 열화가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백색(W)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EA)을 메인 표시 영역(MA)에 배치되는 백색(W)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EA)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백색(W)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EA)은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 각각의 발광 영역(EA)보다 크게 형성한다.In the outer display area BA, the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at a fixed position for a long time by using white-based image data. Here, the stereoscopic image includes a logo, 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content related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related information, and subtitles.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white (W) sub-pixel SP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sub-pixels SP, Is severe. 4,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white (W) sub-pixel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divided into the white (W) sub-pixel SP) than the light-emitting region EA.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white (W) sub pixel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divided into red (R), green (G) and blue (B) sub pixels SP are formed larger than the respective light emitting regions EA.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백색(W)서브 화소(SP)의 발광 면적이 메인 표시 영역(MA)의 백색(W) 서브 화소(SP)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백색(W) 서브 화소(SP)의 열화 속도가 감소되므로, 외곽 표시 영역(BA)에서 백색 잔상이 발생되는 시간을 종래보다 2.5배 이상 지연시킬 수 있으며, 외곽 표시 영역(BA)에서 백색(W) 서브 화소(SP)의 수명이 다른 서브 화소와 균등해진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emitting area of the white (W) sub-pixel SP disposed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formed wider than the white (W) sub-pixel SP of the main display area MA.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rioration speed of the white (W) sub-pixel SP disposed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reduced, the time during which the white afterimage is generated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2.5 times And the lifetime of the white (W) subpixel SP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becomes equal to that of the other subpixels.

메인 표시 영역(MA)에서는 백색(W) 서브 화소(SP)보다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의 사용빈도가 많다. 특히, 메인 표시 영역(MA)에서는 사람의 얼굴 등이 자주 구현되는 동영상 등이 구현되므로, 메인 표시 영역(MA)에서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아 적색(R) 서브 화소(SP)의 열화가 심하다. 이 경우, 메인 표시 영역(MA)에서는 적색 잔상이 발생되며 적색(R) 서브 화소(SP)의 수명이 다른 서브 화소(SP)에 비해 단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MA)에 배치되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EA)을 외곽 표시 영역(BA)의 적색(R) 서브 화소(SP)보다 크게 형성한다. 특히, 표시 패널(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표시 영역(MA1,MA3)은 나머지 메인 표시 영역(MA2,MA4)보다 사람의 얼굴 등이 자주 구현된다. 따라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표시 영역(MA1,MA3)의 적색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EA)을 나머지 메인 표시 영역(MA2,MA4)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 경우, 표시 패널(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표시 영역(MA1,MA3)에서는 적색(R), 백색(W), 청색(B)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진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 표시 영역(MA1,MA3)을 제외한 나머지 메인 표시 영역(MA2,MA4)에서는 백색(W), 적색(R), 청색(B)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진다.In the main display area MA,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sub pixels SP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the white (W) sub pixels SP. Particularly, in the main display area MA, a moving image such as a human face is frequently implemented. Therefore, in the main display area MA, the use frequency of the red (R) subpixel SP is relatively large, The deterioration of the sub-pixel SP is severe. In this case, a red afterimage is generated in the main display area MA, and the lifetime of the red (R) subpixel SP is shorter than that of the other subpixels SP. 4,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of the red (R) sub-pixel SP disposed in the main display region MA is divided into the red (R) sub-pixel (SP). Particularly, in the main display areas MA1 and MA3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100, human faces and the like are often implemented more than the remaining main display areas MA2 and MA4.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red sub-pixels of the main display areas MA1 and MA3 located at the cen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remaining main display areas MA2 and MA4. In this case, red (R), white (W), blue (B), and green (G) subpixels (SP) are arranged in the main display areas MA1 and MA3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100 . In the main display areas MA2 and MA4 except for the main display areas MA1 and MA3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100, white (W), red (R), blue (B) ) Sub-pixel (SP).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 표시 영역(MA)에 배치되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면적이 외곽 표시 영역(BA)의 적색(R) 서브 화소(SP)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메인 표시 영역(MA)에 배치되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열화 속도가 감소되므로, 메인 표시 영역(MA)에서 적색 잔상이 발생되는 시간을 종래보다 2.5배 지연시킬 수 있어, 메인 표시 영역(MA)에서 적색(R) 서브 화소(SP)의 수명이 다른 서브 화소와 균등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d (R) subpixel SP disposed in the main display area MA is formed wider than the red (R) subpixel SP of the outer display area BA.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rioration rate of the red (R) subpixel SP disposed in the main display area MA is reduced, the time during which the red afterimage occurs in the main display area MA is reduced by 2.5 times So that the lifetime of the red (R) subpixel SP in the main display area MA becomes equal to that of the other subpixels.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각 서브 화소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S. 5A and 5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respective sub-pixel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hown in FIG.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SP)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화소를 구비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hown in FIGS. 5A and 5B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pixels including red (R), green (G), blue (B), and white (W) subpixels SP.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SP) 각각은 비발광 영역(NEA)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T1,ST2),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발광 영역(EA)에 배치되는 OLED를 구비한다. 이 때, 각 서브 화소(SP)의 비발광 면적은 동일한 반면 발광 면적은 각 서브 화소(SP)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한다.Each of the red (R), green (G), blue (B) and white (W) subpixels SP includes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ST1 and ST2 arranged in the non- (DT) and a storage capacitor (Cst), and an OLED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At this time, the non-emission area of each sub-pixel SP is the same, but the emission area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each sub-pixel SP.

이러한 적색(R) 및 백색(W) 서브 화소(SP) 사이에는 적색 데이터 전압 및 백색 데이터 전압 각각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DLR,DLW)이 배치되며, 백색(W) 및 청색(B) 서브 화소(SP) 사이에는 레퍼런스 전압(Vref)을 공급하는 레퍼런스 전압 라인(RL)이 배치되며,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SPG,SPB) 사이에는 녹색 데이터 전압 및 청색 데이터 전압 각각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DLG,DLB)이 배치되며, 녹색(G) 및 적색(R) 서브 화소 영역(SP) 사이에는 고전위 전압(VDD)을 공급하는 고전위 전압 라인(PL)이 배치된다.Data lines DLR and DLW for supplying the red data voltage and the white data voltage are arranged between the red (R) and white (W) subpixels SP, A reference voltage line RL for supplying a reference voltage Vref is disposed between the green and blue sub pixels SPG and SPB and a green data voltage and a blue data voltage are provided between the green and blue sub pixels SPG and SPB. And a high potential voltage line PL for supplying a high potential voltage VDD is arranged between the green (G) and red (R) sub pixel areas SP.

이 때,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백색(W)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EA)은 외곽 표시 영역(BA)에 배치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 각각의 발광 영역(E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백색(W) 서브 화소(SP)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백색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DLW)과 레퍼런스 라인(RL) 간의 수평 이격거리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신호 라인들 간의 수평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백색(W) 서브 화소(SP)의 폭(LW)이 나머지 서브 화소(SP)의 폭(LR,LG,LB)보다 길어져 백색(W) 서브 화소(SP)의 발광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SP)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청색 서브 화소(SP)의 폭(LB)을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SP)보다 크게 형성하고, 색온도를 맞추기 위해 녹색(G) 서브 화소(SP)의 폭(LG)을 다른 서브 화소(SP)보다 가장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외곽 표시 영역(BA)에서는 백색(W), 청색(B), 적색(R)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진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white (W) sub pixel arranged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is divided into red (R), green (G) and blue (B) Emitting region EA. To this end, the horizontal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data line DLW and the reference line RL for supplying the white data voltage spaced with the white (W) sub-pixel SP between the remaining signal lines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ly, the width LW of the white (W) sub-pixel SP is longer than the width LR, LG, and LB of the remaining sub-pixels SP, can do. The width LB of the blue sub-pixel SP whose lifetime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red (R) and green (G) sub-pixels SP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ed (R) And the width LG of the green (G) sub-pixel SP is set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sub-pixels SP in order to match the color temperature. Therefore, in the outer display area BA, the light emitting area is broadened in the order of white (W), blue (B), red (R) and green (G) subpixels (SP).

또한, 메인 표시 영역(MA) 중 사람의 얼굴이 자주 구현되는 중앙부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 영역(MA1,MA3)에 배치되는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EA)은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백색(W), 녹색(G) 및 청색(B) 서브 화소 각각의 발광 영역(E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적색(W) 서브 화소(SP)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적색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DLR)과 전원 라인(PL) 간의 수평 이격거리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신호 라인들 간의 수평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적색(R) 서브 화소(SP)의 폭(LR)이 나머지 서브 화소(SP)의 폭(LW,LB,LG)보다 길어져 적색(R) 서브 화소(SP)의 발광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 영역의 전체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 백색(W) 서브 화소(SP)의 폭을 청색(B) 서브 화소(SP) 및 녹색(G) 서브 화소(SP)보다 크게 형성하고, 녹색(G) 서브 화소(SP)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청색 서브 화소(SP)의 폭을 녹색(G) 서브 화소(SP)보다 크게 형성하고, 색온도를 맞추기 위해 녹색(G) 서브 화소(SP)의 폭을 다른 서브 화소(SP)보다 가장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 영역(MA1,MA3)에서는 적색(R), 백색(W), 청색(B),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진다. 또한, 메인 표시 영역(MA) 중 중앙부보다 사람의 얼굴이 구현되는 빈도가 낮은 메인 표시 영역(MA2,MA4)에서는 백색(W), 적색(R), 청색(B) 및 녹색(G) 서브 화소(SP)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진다.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red (R) sub pixel (SP) arranged in the main display areas MA1 and MA3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ain display area MA, Emitting region EA of each of the white (W), green (G) and blue (B) sub- To this end, the horizontal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data line DLR and the power supply line PL for supplying the red data voltage spaced apart by the red (W) sub-pixel SP is set to the remaining signal line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ly, the width LR of the red (R) sub-pixel SP is longer than the width LW, LB, and LG of the remaining sub-pixels SP, can do.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luminance of the main display region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the width of the white W sub-pixel SP is se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lue sub-pixel SP and the green sub- And the width of the blue sub-pixel SP having a shorter life span as compared with the green (G) sub-pixel SP is set larger than the green (G) sub-pixel SP, The width of the pixel SP is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sub-pixels SP. Therefore, in the main display areas MA1 and MA3 arranged at the center, the light emitting area is widened in the order of red (R), white (W), blue (B), and green (G) subpixels (SP). In the main display areas MA2 and MA4 in which the human face is implemented more frequently than the center part of the main display area MA, white (W), red (R), blue (B) (SP).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데이터 라인(DL), 레퍼런스 라인(RL) 및 전원 라인(PL)을 구부려 각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EA)의 면적을 설정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가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캔 라인(SL1,SL2)을 구부려 각 서브 화소(SP)의 발광 영역(EA)의 발광 면적을 설정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데이터 라인(DL), 레퍼런스 라인(RL) 및 전원 라인(PL)과 가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캔 라인(SL1,SL2)을 구부려 각 서브 화소(SP)의 발광 면적을 설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data line DL, the reference line RL, and the power source line PL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of each sub pixel SP is set is exemplified The scan lines SL1 and SL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bent to set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each sub pixel SP and the data line D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can lines SL1 and SL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wer supply line PL may be bent to set the light emitting area of each sub-pixel SP.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자막 및 로고와 같은 정형 영상이 구현되는 영역이 표시 패널의 외곽에 배치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정형 영상은 메인 표시 영역에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표시 영역 중 정형 영상이 구현되는 메인 표시 영역의 적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이 정형 영상이 비구현되는 표시 영역의 적색 서브 화소보다 넓게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such as a caption and a logo is implemented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However, the stereoscopic image may be implemented in the main display area.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d sub-pixel of the main display area in which the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is formed wider than the red sub-pixel of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stereoscopic image is not realiz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색 잔상 및 백색 잔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표시 패널에 구현되는 영상에 따라서 녹색 및 청색 잔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에 구현될 영상을 표시 패널 내 위치별로 분할하여 분석한 후, 표시 패널 제조시 해당 위치별로 각 서브 화소의 최적 개구비로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서브 화소의 OLED 소자의 휘도는 전류량에 의존하므로, 위치별 구동 전압(예를 들어, 데이터 전압 및 스캔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차등 설계는 불필요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 after-image and the after-after-image ar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green and blue after-images may also be generated depending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In this case, the image to be implemented in the display panel may be divi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in the display panel, and then the optimum opening of each sub-pixel may be designed for each posi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panel. Since the brightness of the OLED element of each sub-pixel depends on the amount of current, the driving voltage for each position (for example, a differential design of at least one of a data voltage and a scan voltage is unnecess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표시 패널 106 : 스캔 드라이버
108 : 데이터 드라이버 120 : 타이밍 컨트롤러
100: display panel 106: scan driver
108: Data driver 120: Timing controller

Claims (6)

다수의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 화소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발광 면적이 다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arranged in the display region and implementing different color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has a light-emitting area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표시 영역은
일정 시간 동안 정형 영상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곽 표시 영역과;
상기 외곽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표시 영역인 적어도 하나의 메인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화소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화소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t least one outer display area in which a still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t least one main display area which is a display area other than the outer display area,
Where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are red, green, blue, and white sub-pixe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백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백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보다 넓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white sub-pixel disposed in the outer display area is larger than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white sub-pixel disposed in the main display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백색, 청색, 적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ight emitting area is broadened in the order of the white, blue, red and green sub-pixels in the outer display area.
제 2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적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은 상기 외곽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적색 서브 화소의 발광 면적보다 넓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And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d sub-pixel disposed in the main display area is larger than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d sub-pixel disposed in the sub-display are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 표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인 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적색, 백색, 청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순으로 발광 면적이 커지며,
상기 다수의 메인 표시 영역 중 나머지 메인 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백색, 적색, 청색 및 녹색 서브 화소 순으로 발광 면적이 넓어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ight emitting area of each of the red, white, blue, and green subpixels increases in the main display reg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display regions,
And a light emitting area is broadened in the order of white, red, blue, and green subpixels in the remaining main display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main display regions.
KR1020170141329A 2017-10-27 2017-10-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544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29A KR102544910B1 (en) 2017-10-27 2017-10-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29A KR102544910B1 (en) 2017-10-27 2017-10-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438A true KR20190047438A (en) 2019-05-08
KR102544910B1 KR102544910B1 (en) 2023-06-19

Family

ID=6658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329A KR102544910B1 (en) 2017-10-27 2017-10-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9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8000A1 (en) * 2022-10-28 2024-05-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tiled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675A (en) * 2002-03-04 2008-08-28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JP2011242536A (en) * 2010-05-17 2011-12-01 Canon Inc Display device
KR20150122580A (en) * 2014-04-23 2015-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113484A (en) * 2015-03-20 2016-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70001881A (en) * 2015-06-26 2017-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675A (en) * 2002-03-04 2008-08-28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JP2011242536A (en) * 2010-05-17 2011-12-01 Canon Inc Display device
KR20150122580A (en) * 2014-04-23 2015-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113484A (en) * 2015-03-20 2016-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70001881A (en) * 2015-06-26 2017-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8000A1 (en) * 2022-10-28 2024-05-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tile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910B1 (en)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040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P1531452B1 (en) Pixel circuit for time-divisionally driven subpixels in an OLED display
EP153145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06442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303808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334859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same
US11367382B2 (e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KR2013003474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90055642A (en) Display panel
US1139337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9004743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652623B1 (en) Method for driving orgain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5909936A (en) Display device
KR102507393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618390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040819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riving method
KR10199540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55158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16567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11978387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riving method that controls a level of bias voltage applied to a source electrode of a drive transistor
KR20190030959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90073004A (en) Method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30075010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riving method
CN116266445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103679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