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379A -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 Google Patents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379A
KR20190047379A KR1020170141218A KR20170141218A KR20190047379A KR 20190047379 A KR20190047379 A KR 20190047379A KR 1020170141218 A KR1020170141218 A KR 1020170141218A KR 20170141218 A KR20170141218 A KR 20170141218A KR 20190047379 A KR20190047379 A KR 2019004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toilet
siph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레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레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레스랩
Priority to KR102017014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379A/ko
Priority to CN201811254850.9A priority patent/CN109723112A/zh
Publication of KR2019004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6Bowls with downwardly-extending flanges for the sake of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변에 의해 발생되는 변기 내부의 대변 흡착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물의 양으로 대변을 처리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움푹 파인 형태의 담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담수부의 하부에는 배수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변기 본체; 사용자가 대변을 위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본체와 힌지 결합된 변기 시트; 상기 변기 시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뚜껑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대변이 배수되도록 하는 사이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기 본체의 담수부는 배수구 주위로 완만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하여 배수구 후단에 분포되는 대기수(Waiting water)의 분포정도가 배수구 전단에 분포되는 대기수의 분포정도의 72 내지 110% 범위이다.

Description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A TOILET SEAT FOR PREVENTION OF FECAL ADSORP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SAVING TOILET BOWL}
본 발명은 용변에 의해 발생되는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물의 양으로 대변을 처리하는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에 딸린 화장실에는 수세식 변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한편 항공기나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 등에 딸린 화장실에는 진공 흡입식 변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수세식 변기 시스템의 경우에 변기의 세정을 위한 물은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상수도가 이용되기도 하고, 저수조에 저수된 물이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진공 흡입식 변기 시스템의 경우에는 하나의 진공 펌프가 여러 개의 변기에 연결이 된 방식과, 각각의 변기에 진공 펌프가 연결된 방식이 있다.
진공 흡입식 변기 시스템은 수세식 변기 시스템에 비하여 물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 딸린 화장실에 적합하다.
좌변기를 사용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대변을 처리하기 위한 물 사용양을 줄이는 것과 변기 내에 대변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먼저, 물 사용량을 절약하는 방법 중 하나는 대기수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대기수의 양이 적으면 물 사용량은 줄일 수 있으나, 담수부 내로 대변이 낙하하되, 대기수가 차있지 않은 부분으로 대변이 낙하하면 대변 흡착문제가 발생하고, 대변 흡착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기수의 양을 많이 하면 대변으로 인한 오염은 방지할 수 있으나 물 사용량이 증가하여 절수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제반 사정들을 고려하여 등록특허 제1190006호에서 사용자가 대변을 마친 후에 자동으로 대변이 진공 흡입이 되어 처리될 뿐만 아니라 대변 처리를 위한 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종래기술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변기 본체의 구조가 아닌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물의 사용을 줄인다고 되어 있으며, 그나마도 변기 본체 내부에 대기수가 분포되지 않은 부위에 사용자의 대변이 낙하되어 변기 본체가 대변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되는데 이에 대한 대안이 제기되지 않고 있다.
즉, 물 사용량을 줄이면서 대변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90006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대변이 직접적으로 변기 본체 내부의 담수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수와 배수구와의 거리를 최소로 하되, 담수부 내에 대기수를 넓은 분포로 분포하여 담수부 내부의 대변을 배수구로 배출시켜 물 사용량을 줄이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부 끝단에 부착된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관에 부착되는 배관 플렌지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배관 사이로 새어나오는 오물이나 악취의 발생을 줄이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는, 내부에 움푹 파인 형태의 담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담수부의 하부에는 배수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변기 본체; 사용자가 대변을 위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본체와 힌지 결합된 변기 시트; 상기 변기 시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뚜껑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대변이 배수되도록 하는 사이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기 본체의 담수부는 배수구 주위로 완만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하여 배수구 후단에 분포되는 대기수(Waiting water)의 분포정도가 배수구 전단에 분포되는 대기수의 분포정도의 72 내지 11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기 본체의 배수구 입구에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밸브의 개방 시 상기 담수부에 흡입력을 전달하여 상기 담수부 내의 대변을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구비한 흡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 전단 및 배수구 후단은 배수구를 기준으로 대기수가 차오르는 지점까지 최대 20도의 경사각으로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수는 사용자의 대변이 낙하되는 전체 지점까지 담수부에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내측 둘레를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물 분사 노즐; 및 상기 담수부 내의 대변 흡입이 마쳐진 상태에서 상기 물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펀부의 높이조절로 대기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펀부는 호스로 형성하되, 고무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펀부는 바닥 또는 벽에 설치된 배수관과 플렌지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렌지는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되, 상기 플렌지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탄성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렌지는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되, 상기 배수관 플렌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사이펀 플렌지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내주연으로 탄성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결합부는 고무소재의 패킹 또는 나선구조의 에폭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항문의 위치와 수직한 변기 본체 내부의 담수부의 후단 위치까지 대기수가 차올라 사용자의 대변이 변기 본체 내부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변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를 기준으로 전단 및 후단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변기 본체 내부의 상당부분이 대기수가 차오르되, 대기수의 표면에서 배수구까지의 깊이가 깊지 않아 적은 양의 대기수로도 대변을 처리할 수 있어 절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부에 위치된 대변을 처리하기 위해 기계적인 장치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담수부 내부의 형상의 변형만으로 대변 흡착을 방지하고 절수 할 수 있으므로 변기를 제조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부 끝단에 부착된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를 하나의 세트로 형성하여 밀착력을 향상시켜 배수관에서 새어나오는 오물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의 담수부의 내측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좌변기의 담수부의 내측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의 대기수 분포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좌변기의 대기수 분포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의 플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공 좌변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좌변기의 변기 본체에 기술적 특징을 가지므로 진공 좌변기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좌변기 형태를 갖는 변기를 모두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크게 변기 본체(100), 변기 시트(200), 뚜껑부(300), 흡입수단(400), 및 사이펀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기 본체(100)는 내부에 움푹 파인 형태의 담수부(110)가 형성되며, 담수부(110)의 하부에는 배수관(600)과의 연결을 위한 배수구(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관(600)은 건물 또는 좌변기가 설치될 위치에 매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담수부(110)는 변기 본체(100) 중에서도 사용자의 대변 및 대기수가 위치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120) 주위로 완만한 경사도를 가지고 배수구 전단(121) 및 배수구 후단(122)은 배수구(120)를 기준으로 대기수(111)가 차오르는 지점까지 최대 20도의 경사각으로 완만하게 이루어지다가 급격히 각도를 상승시켜 형성한다.
이때, 담수부(110)는 완만한 경사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단부의 직경이 종래의 변기 대비 커질 수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담수부(110)의 상단부를 변기 본체(100) 상단부의 하부에 위치시켜 두 상단부의 끝을 수평 연장부(112)를 통해 서로 연결한다.
즉, 사용자는 변기 본체(100)의 상단부의 직경 크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담수부는 종래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 전단(21)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도로 시작해서 점차 각도를 상승시키면서 형성되나, 배수구 후단(22)은 배수구로부터 급격한 경사도로 담수부(110)가 형성되어 왔다.
예컨대, 배수구 전단(21)은 배수구 기준으로 약 30도의 각도의 경사도를 가지면서 45도, 60도 순차적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배수구 후단(22)은 배수구를 기준으로 약 80도의 각도로 급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배수구 후단(22)이 급경사를 이룸에 따라 배수구 후단(22)은 대기수가 많은 면적으로 분포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대변이 배수구 후단(22)에 낙하되면 담수부의 벽면에 사용자의 대변이 접촉되어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도를 갖는 담수부(110)를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배수구 후단(122)에 사용자의 대변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변으로 인한 담수부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담수부(110) 내의 대기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대변이 낙하되는 전체 지점까지 담수부(110)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구 후단(122)에 분포되는 대기수의 분포정도가 배수구 전단(121)에 분포되는 대기수(111)에 대한 분포정도의 72% 내지 110% 범위가 되도록 한다.
예컨대, 배수구 전단(121)에 분포되는 분포정도는 배수구(120)의 가장 가까운 끝부분으로부터 약 9 내지 11cm 거리까지 대기수(111)가 분포되고, 배수구 후단(122)에 분포되는 분포정도는 배수구(120)의 가장 가까운 끝부분으로부터 약 8 내지 10cm 거리까지 대기수(111)가 분포될 수 있다.
이때, 대기수(111) 분포정도를 나타낸 길이 단위는 변기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배수구 전단(121)과 배수구 후단(122)에 분포되는 대기수(111)의 분포 정도에 대한 비율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대기수 분포정도와 확연히 다름을 도 5를 통해 알 수 있다.
종래의 변기에는 배수구 전단(21)에 분포되는 대기수(111)의 분포정도는 본 발명의 배수구 전단(121)에 분포되는 대기수의 분포정도보다 많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으나, 종래의 변기에는 배수구 후단(22)에 분포되는 대기수(11)의 분포정도가 없거나 배수구 전단(21)에 분포되는 분포정도보다 현저히 적다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구 전단(121) 및 배수구 후단(122)에 비슷한 비율로 대기수의 분포 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사도가 완만하면서 비슷한 경사도를 가져야 한다.
배수구 후단(122)에 대기수의 분포 범위를 증가시키면서 사용자의 대변이 배수구 후단(122)으로 낙하하여도 대기수의 분포 범위 이내에 위치됨으로써 대기수조 내벽에 대변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수의 분포 범위를 넓히되 깊지 않게 대기수를 사용함으로써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변기시트(200)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을 수 있도록 변기 본체(100)와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수평한 각도에서 수직한 각도까지 회동되어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뚜껑부(300)는 변기시트(200) 상단에 위치하여 변기시트(3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변기본체(100)의 상단을 덮어 담수부(110) 내로 이물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뚜껑부(300)는 변기시트(200)와 마찬가지로 일측이 변기 본체(10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흡입수단(400)은 변기 본체(100)의 배수구(120)에 드레인 밸브(420)가 설치되고, 드레인 밸브(420)의 개방 시 담수부(110)에 흡입력을 전달하여 담수부(110) 내의 대변을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진공펌프(410)를 구비한다.
여기서, 흡입수단(400)은 드레인 밸브(420)를 개방시켜 순환펌프(410)를 통해 담수부 내의 대기수를 흡입하여 배수관(60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흡입수단(400)은 물내림 스위치에 의해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본 발명은 사용자 감지센서, 물 분사 노즐, 및 물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 센서는 변기 본체(100) 또는 변기 시트(2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변기시트(100)에 앉았는지 유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흡입수단(400)의 진공펌프(410)와 드레인 밸브(420)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물 분사 노즐은 변기 본체(100)의 상부 내측 둘레를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어 담수부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한다.
물 공급 수단은 담수부(110) 내의 대변 흡입이 마쳐진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공급한다.
흡입수단(400)의 작동에 의해서 배수관(600)으로 강제로 배출된 용변 및 물 등이 역류하지 않도록 진공펌프(410)가 위치된 후방의 배수관(600)상에는 역류방지밸브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사이펀부(500)는 변기 본체(100)의 배수구(120)와 연결되어 용변이 배수되도록 한다. 사이펀부(500)의 높이 조절로 대기수(1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펀부(5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이펀부(500)를 딱딱한 소재로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이펀부(500)를 호스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고무일 수 있다.
또한, 사이펀부(500)는 바닥 또는 벽에 설치된 배수관(600)과 플렌지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렌지는 사이펀 플렌지(510)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600)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610)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되, 사이펀 플렌지(510)와 배수관 플렌지(610)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상호 결합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탄성 결합부(620)를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수관 플렌지(6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사이펀 플렌지(510)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내주연으로 탄성 결합부(620)를 형성한다.
여기서, 탄성 결합부(620)는 고무소재의 패킹 또는 나선구조의 에폭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항문의 위치와 수직한 변기 본체 내부의 담수부의 후단 위치까지 대기수가 차올라 사용자의 대변이 변기 본체 내부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변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를 기준으로 전단 및 후단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변기 본체 내부의 상당부분이 대기수가 차오르되, 대기수의 표면에서 배수구까지의 깊이가 깊지 않아 적은양의 대기수로도 대변을 처리할 수 있어 절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부에 위치된 대변을 처리하기 위해 기계적인 장치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담수부 내부의 형상 변형만으로 대변 흡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 절수 할 수 있으므로 변기를 제조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부 끝단에 부착된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를 하나의 세트로 형성하여 밀착력을 향상시켜 배수관에서 새어나오는 오물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변기 본체
110...담수부
111...대기수(Waiting water)
112... 수평연장부
120...배수구
121...배수구 전단
122...배수구 후단
200...변기시트
300...뚜껑부
400...흡입수단
410...진공펌프
420...드레인 밸브
500...사이펀부
510...사이펀 플렌지
600...배수관
610...배수관 플렌지
620...탄성 결합부

Claims (11)

  1. 좌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움푹 파인 형태의 담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담수부의 하부에는 배수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변기 본체;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본체와 힌지 결합된 변기 시트;
    상기 변기 시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뚜껑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용변이 배수되도록 하는 사이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기 본체의 담수부는 배수구 주위로 완만한 경사도를 가지도록 하여 배수구 후단에 분포되는 대기수(Waiting water)의 분포정도가 배수구 전단에 분포되는 대기수의 분포정도의 72 내지 11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배수구 입구에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밸브의 개방 시 상기 담수부에 흡입력을 전달하여 상기 담수부 내의 대변을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구비한 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전단 및 배수구 후단은 배수구를 기준으로 대기수가 차오르는 지점까지 최대 20도의 경사각으로 완만하게 형성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기수는 사용자의 대변이 낙하되는 전체 지점까지 담수부에 분포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내측 둘레를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물 분사 노즐; 및
    상기 담수부 내의 대변 흡입이 마쳐진 상태에서 상기 물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 더 포함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부의 높이조절로 대기수의 높이를 조절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부는 호스로 형성하되, 고무 소재인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부는 바닥 또는 벽에 설치된 배수관과 플렌지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는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되, 상기 사이펀 플렌지 와 배수관 플렌지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상호 결합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탄성 결합부를 형성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는 사이펀 플렌지와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배수관에 부착되는 배수관 플렌지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되, 상기 배수관 플렌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사이펀 플렌지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내주연으로 탄성 결합부를 형성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는 고무소재의 패킹 또는 나선구조의 에폭시로 형성하는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KR1020170141218A 2017-10-27 2017-10-27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KR20190047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18A KR20190047379A (ko) 2017-10-27 2017-10-27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CN201811254850.9A CN109723112A (zh) 2017-10-27 2018-10-26 用于防止待冲水槽内壁粘附大便以及节省水的坐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18A KR20190047379A (ko) 2017-10-27 2017-10-27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79A true KR20190047379A (ko) 2019-05-08

Family

ID=6629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218A KR20190047379A (ko) 2017-10-27 2017-10-27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47379A (ko)
CN (1) CN1097231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06B1 (ko) 2011-10-07 2012-10-12 스티븐 준 한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2779A1 (ja) * 2005-12-20 2007-06-28 Inax Corporation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CN101016748A (zh) * 2006-01-16 2007-08-15 高静宇 一种座便器
KR100776045B1 (ko) * 2006-12-29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의 분뇨배출장치
EP2960386A4 (en) * 2013-02-19 2017-01-11 Sang-Gu Kim Sanitary toi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06B1 (ko) 2011-10-07 2012-10-12 스티븐 준 한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23112A (zh)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8773B2 (ja) 真空吸引式便器及び真空吸引式便器の作動制御方法
WO2009002062A3 (en) Toilet stool having supporting water tank for preventing overflowing
US8156577B1 (en) Aerated bathroom fixture
US5575020A (en) Water-conserving urinal
EP2960386A1 (en) Sanitary toilet
US20040064884A1 (en) Toiler odor blocking system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KR20190047379A (ko) 대기수조 내벽의 대변 흡착 방지 및 절수를 위한 좌변기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US20090276948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CN106320480A (zh) 一种新型防虹吸马桶冲水结构
KR101985189B1 (ko) 진공 흡입식 좌변기
US9445696B2 (en) Sanitary toilet seat and bowl
CN2242273Y (zh) 节水除臭通用型大便池
KR101865904B1 (ko) 절수 및 탈취 양변기
JP2772856B2 (ja) 汚水はね返り防止型節水トイレ
CN105888018A (zh) 一种带靠背的坐便器
KR20200002071A (ko)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KR102175283B1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GB2589304A (en) Toilet system
CN213329294U (zh) 防堵塞感应台式蹲便器
CN207878603U (zh) 一种智能马桶
KR100700306B1 (ko) 절수용 소변기
KR20180109209A (ko) 절수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